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0:20:18

프릭(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파일:MCULOGO WHITE.png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해피 호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c1d23><colcolor=#fff> 메인 유니버스 해피 호건
지구-89521 해피 호건(지구-89521)
지구-32938 해피 호건(지구-32938)
지구-? 프릭
1602년 호건 경 }}}}}}}}}
<colbgcolor=#ec1d23><colcolor=#fff>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등장인물
프릭
Freak
파일:왓이프 프릭.png
본명 해럴드 조지프 "해피" 호건
Harold Joseph "Happy" Hogan
이명 프릭
Freak[1]
헐크 호건
Hulk Hogun
종족 인간 (강화인간)
국적 미국
성별 남성
소속 스타크 인더스트리
직책 토니 스타크 개인 운전기사 겸 경호원 (이전)
스타크 인더스트리 보안팀장 (이전)
어벤져스 타워 보안팀장
등장 애니 왓 이프...? 시즌 2
담당 배우 존 패브로

1. 개요2. 작중 행적3. 능력4. 기타

[clearfix]

1. 개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헐크가 된 해피 호건.

2. 작중 행적

2.1. 왓 이프...? 시즌 2

2.1.1. 3화

어벤져스 멤버들이 크리스마스로 자리를 비웠을 때 마리아 힐과 같이 회사에 남았다. 이때 자비스가 보수에 들어간 상황이었는데, 그 틈을 타서 저스틴 해머가 어벤져스 타워에 침입하고는 보안 로봇인 아이언 리전을 해킹해 습격한다. 해머가 노리던 것은 타워에 보관되어 있던 헐크 혈청이었다. 해피가 혈청을 해머보다 먼저 확보하여[2] 지키려고 했으나 손이 미끄러지는 바람에 의도치 않게 헐크 혈청을 맞게 되고 헐크화가 진행되고 만다.[3] 해머는 해피가 헐크 혈청을 맞았다는 걸 알자 해피를 해부하려고 헐크버스터를 착용한다. 마리아 힐과 달시가 자비스 백업 AI를[4][5] 로딩하기 위한 시간을 벌기 위해서 해피는 헐크버스터를 입은 해머와 맞서게 된다.

해피는 해머에게 당하는가 싶더니 이내 역으로 헐크버스터 째로 마운트시킨 뒤 신명나게 두들긴다. 이때 침입을 눈치챈 어벤져스 멤버들이 급히 돌아오는데, 헐크화된 해피를 알아보지 못하고 공격하다 달시의 개입으로 보라색 괴물이 해피고, 헐크버스터를 입은 게 해머라는 걸 알게 된 후 토니가 헐크버스터 슈트를 원격으로 해체해 해머를 무력화시키면서 사건이 일단락된다. 그 후 해피 헐크의 포효에 해머는 창 밖으로 떨어지나 해피가 구해준다.[6]

2.1.2. 8화

본 화에서도 프릭으로 변할 수 있는 해피가 나오는데, 인커전의 영향으로 3화(혹은 비슷한 멀티버스)의 해피가 1602년으로 이동한 것인지 원래 1602년의 해피인 것인지는 불명.

2.1.3. 9화

크리스마스 세계관의 프릭과 동일인물인지는 알 수 없으나 졸라 비전의 광선을 막으며, 히어로들, 빌런들과 싸우는 난장판에서 싸우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3. 능력

토니가 헐크의 피로 만든 분노하지 않고도 헐크로 변신할 수 있는 혈청을 맞아, 몸집이 헐크와 비슷해졌고 신체능력 또한 유사하다.[7]

다만 대머리가 되고 피부가 초록색 대신 보라색으로 변하는 등 보다 흉악하게 생겼다.[8] 저스틴 해머가 탄 헐크버스터를 압도했으며[9] 어린아이 지능인 헐크랑 달리 해피 호건의 인격과 지능을 유지한다.[10][11]

작중 가장 인상적인 장면으로 해머를 찾을때 앞을 가로막은 수많은 아이언 리전을 주먹으로 부수고 찢어버리는데 이때 마치 사람을 찢어버리는 듯이 기름이 영화에서 피 튀기는 것처럼 연출해서 호러로 봐도 될 정도로 잔인하게 연출한다.

4. 기타

3화의 사건이 종료된 후 치료제를 맞아 원래 해피로 돌아왔을지 의문이지만 토니가 어벤져스로 영입하려는 늬앙스로 얘기해 어쩌면 어벤져스 멤버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2]


[1] 원작에서도 프릭이라 불리는 헐크 계열의 괴물이 된 적이 있는데, 이 에피소드도 그걸 반영해서 만든 것으로 보인다.[2] 저스틴 해머가 토니의 왕좌에 좀 앉는데 물은 안내릴 거야 라는 표현을 하자 해피는 해머의 깐족거림에 탄식을 한다.[3] 처음에는 혈청 주사에 찔린 한쪽 다리만 헐크화되었다. 그 이후에 캐비넷에 숨어 동료들과 연락하지만 임무를 수행하는 도중 목숨을 위협받고 있는 위도우와 연락 자체가 안 되는 토르를 제외한 남은 멤버들은 각자의 사생활 사정으로 전부 연락을 씹자 충동적인 분노가 솟았는지 팔다리가 하나씩 부분적으로 헐크화 된다. 그나마 연락을 받고 대응한 인물이 달시였다.....[4] 프라이데이, 와즈워스, 이디스 1.0 등이 있었으나 달시는 베르너라는 AI를 골랐다.[5] 마리아 힐과 달시가 기껏 로딩시켰더니 베르너는 헐크 버스터 권한을 해제하라는 명령에 갑자기 이젠 기계는 인간의 주인이란 등 명령에 따를수 없다는 등 이상한 짓거리만 해댄다. 이에 짜증이 난 마리아 힐은 "이딴 허무주의자 시리는 왜 만든거냐"면서 포기하고 해피에게 자력으로 해결할수 밖에 없다고 외친다.[6] 다이하드를 오마주한 에피소드답게 이 장면은 한스 그루버 추락씬의 오마주이다. 물론 해머가 추락한 것은 해피의 포효였으니 자신의 과실치사를 방지하기 위해서도 구할 수 밖에는 없었다.[7] 3화에서는 헐크와 싸우는 장면이 나오지 않으나 8화에서 드디어 본격적으로 붙는데, 헐크와 서로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호각으로 붙는다[8] 척봐도 부작용이 발현된 것으로 보인다. 토니가 천재인 것은 맞지만 헐크의 혈청은 생물유기화학 분야의 물건이다 보니 생물유기화학을 전공하지 않은 토니로서는 어느 정도만 구현만 한 것이 한계였던 것이다.[9] 처음에는 해머가 교도소에서 배운 무에타이외 주짓수, 태권도라며 해피를 밀어붙였지만, 이내 해피가 헐크버스터를 던져버리더니 역으로 마운트하고 무자비하게 구타한다.[10] 헐크의 피가 슈퍼 솔져 혈청의 일종인 것, 이 혈청은 악한 자일수록 더 힘에 취해 폭력적이게 된다는 것을 고려하면 그 만큼 해피가 인격자임을 알려주는 장치라고 볼 수 있다.[11] 이 의견을 보면 브루스 배너는 악인이라 지능이 낮은 것이냐고 보는 의견도 있지만, 사실 배너는 논외다. 배너의 경우는 감마선에 너무 강하게 노출되어 헐크란 또 다른 인격이 만들어진 것이고, 다른 이들은 나중에 인위적 및 간접적으로 힘을 얻은 것이기에 비교의 기준이 다르다.[12] 하지만 헐크와 포지션도 겹쳐서 아마 그대로 타워 보안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