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1 02:50:50

한성대학교/학부/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성대학교/학부
파일:한성대학교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 정보
학부 대학원 캠퍼스
상징 역사 사건 사고
||<-4><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91919><bgcolor=#004f9f>
학생 정보
||
학사 제도 학교생활 커뮤니티 동아리
입학 기구/언론 출신 인물
기타 정보
교통 (셔틀버스) 한성학원 설립자
}}}}}}}}} ||
파일:한성대학교 엠블럼.svg 한성대학교의 단과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디자인대학 IT공과대학
창의융합대학 미래플러스대학 상상력교양대학 글로벌인재대학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A4DA1> 파일:한성대학교 시그니처 화이트.svg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人文藝術大學
College of Creative Humanities and Arts
}}}
출범 <colbgcolor=#fff>1973년 한성여자대학 문학부
FM 순수인예
학장 이은희
학과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 예술학부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학부
2.1.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2.2. 예술학부
3. 폐지된 학과

1. 개요

<nopad> 파일:jiseongwan.jpg
한성대학교 지선관

한성대학교인문대학이자 예술대학.

1973년 한성여자대학 문학부로 설립되어 1993년 인문대학으로 승격하였다. 대학설립과 함께 출범한 학부로, 최초 6개학과[1] 중 4개가 소속된 가장 역사 깊은 단과대학이다.[2] 응용학문과 실용학문 전공이 많은 한성대 내에서 순수학문 과정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2017년 예술대학이 디자인대학으로 개편되면서 디자인계열이 아닌 학과가 인문대로 넘어와 인문예술대학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인문계열은 사회과학대학과 함께 탐구관, 상상관을, 예술계열은 지선관과 낙산관을 사용한다.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연혁
1973 영어영문학과 국어국문학과 비서학과 가정학과
1974 불어불문학과 (폐지)
1977 (폐지) 국사학과
1978 사학과
1979 (폐지)
1993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국어국문학과 사학과
2000 영어영문학부 한국어문학부 지식정보학부[3] 역사문화학부
2016 응용인문학부
2017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예술학부[4]

2. 학부

2.1.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rowcolor=#ffffff>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Division of Creative Humanities
영미문화콘텐츠트랙
British and American Cultural Content Track
영미언어정보트랙
English and American Language Information Track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D5D5D5; border-radius:5px; color:#191919;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FM: 진보영문'''}}}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D5D5D5; border-radius:5px; color:#191919;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FM: 진보영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973 영어영문학과
1993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2000 인문대학 영어영문학부(영문학전공 · 영어학전공)
2017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영미문학트랙 · 글로벌언어정보트랙
2018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영미문학문화트랙 · 영미언어정보트랙
2023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영미문화콘텐츠트랙 · 영미언어정보트랙
}}}}}}
⠀[ 교육과정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width=25%> 전공기초 ||<width=25%> 영화로읽는영미문화콘텐츠 ||<width=25%> 영어시스템의이해 ||<width=25%> ||
전공필수 영국문화의이해 현대영미희곡과 대중문화 미국문화의이해
시로읽는영국문화 콘텐츠로서의셰익스피어 영미소설과 콘텐츠기획 캡스톤디자인
영어학습이론 실용영문법 II 영어데이터활용
English Word Elements English Sentence Analysis 영어의 화용과은유
전공선택 English Conversation I 그리스로마문화와 성서이야기 영미콘텐츠와 미디어
영미콘텐츠독해번역 English Conversation II English Writing Skills
Job English 영미문화스토리텔링 Business English
영어발음의실제 캡스톤디자인 드라마로보는영미사회 할리우드영화와 미국문화연구
실용영문법 I 영어구문해석 I English Pronunciation
영어구문해석 II 무역영어 영한번역
실용영어청취 영어데이터분석 캡스톤디자인 언어와데이터
}}} ||
한국어교육트랙
Korean Language Education Track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D5D5D5; border-radius:5px; color:#191919;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FM: 자유국문'''}}}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D5D5D5; border-radius:5px; color:#191919;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FM: 자유국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973 국어국문학과
1993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00 인문대학 한국어문학부 한국어문화교육전공
2016 인문대학 응용인문학부 국어국문전공
2017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한국어교육트랙
}}}}}}
⠀[ 교육과정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width=25%> 전공기초 ||<width=25%> 한국어교육의이해 ||<width=25%> ||<width=25%> ||
전공필수 한국어문법의이해 한국어교육과정의 이해와적용 한국어문법교육의 원리와실제
한국어교재연구 한국어평가의 원리와실제
전공선택 한국어의이해 한국어표현교육의 원리와실제 외국어습득의이해
한국어이해교육의 원리와실제 한국문화의이해 한국어발음교육의 원리와실제
한국어의미탐구 한국어교육자료 종합설계 한국어교육실습
한국어교수법의 이해와적용 언어와데이터 언어데이터와 챗봇
}}} ||
역사문화큐레이션트랙
History and Culture Curation Track
역사콘텐츠트랙
Historical Content Track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D5D5D5; border-radius:5px; color:#191919;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FM: 열정역사'''}}}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D5D5D5; border-radius:5px; color:#191919;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FM: 열정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977 국사학과
1978 사학과
1993 인문대학 사학과
2000 인문대학 역사문화학부(한국역사문화전공 · 아시아역사문화전공 · 유럽및아메리카문화전공)
2017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글로컬역사트랙 · 역사문화콘텐츠트랙
2022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역사문화큐레이션트랙 · 역사콘텐츠트랙
}}}}}}
⠀[ 교육과정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width=25%> 전공기초 ||<width=25%> 역사문화큐레이션의이해 ||<width=25%> 역사콘텐츠의이해 ||<width=25%> ||
전공필수 유물·유적으로본중국문화 한국근현대의라이벌 역사테마의탐구와연습
21세기의여명,셔양근대 역사와논쟁 역사문화탐색과활용
역사큐레이션실습 종합설계 중세유럽의 전쟁,섹슈얼리티,질병 현대일본의어제와오늘
한국고대사콘텐츠 종합설계 역사다큐멘터리제작하기 실크로드의미술과종교
일본사인물스토리텔링 지역사와콘텐츠개발 종합설계
전공선택 격동의20세기서양 조선시대의일상과문화 한국근현대의일상
중국고대문명의탄생 서양고전읽기 쇼군,사무라이의역사와문화
서양의건축과미술 중국인의생활문화사 르네상스와종교개혁
문화유산전시,기획실습 종합설계 테마로보는일본역사문화 역사콘텐츠기획,제작실습
}}} ||
지식정보문화트랙
Knowledge Information Culture Track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Digital Humanities Informatics Track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D5D5D5; border-radius:5px; color:#191919;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FM: 자주지정'''}}}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D5D5D5; border-radius:5px; color:#191919;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FM: 자주지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980 도서관학과
1988 문헌정보학과
1993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2000 인문대학 지식정보학부(문헌정보전공 · 기록관리학전공)
2016 인문대학 응용인문학부 문헌정보전공
2017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정보문화트랙 · 라키비움비즈니스트랙
2018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도서관정보문화트랙 ·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2024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지식정보문화트랙 ·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
⠀[ 교육과정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width=25%> 전공기초 ||<width=25%> 정보미디어와리터러시 ||<width=25%> 디지털과 지식콘텐츠 ||<width=25%> ||
전공필수 지식의세계 서지정보의이해 지식문화경영
도서관과 지식자원관리 문헌정보학 캡스톤디자인 문헌정보학현장실습
도서관데이터구축실습 인문콘텐츠와 정보기술 메타데이터의이해
학술커뮤니케이션의 이해 디지털자원큐레이션 디지털인문정보학 캡스톤디자인
문화자원 디지털리터러시
전공선택 정보학의이해 분류의이해 지식정보서비스
도서관과 마을공동체 기록관리의 이해 소셜데이터의 이해
공동체아카이빙 정보검색의 이해 어린이청소년 북큐레이션
이용자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기초 출판과 책생태계
문화콘텐츠와 저작권 카테고리와 태그 프로그램기획과 평가
정보시스템설계와평가 문화자원과 아카이브 언어와데이터
언어데이터와 챗봇
}}} ||

영미문화콘텐츠트랙 / 영미언어정보트랙

영어영문학과.


한국어교육트랙

한국어교육학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와 그에 대한 교육을 다루는 전공. 국어교육과와는 다르다. 본래 국어국문학과 산하 세부전공이었으나 2017년 독립 전공으로 빠져나왔다. 영역별 필수 교과목을 모두 이수하면 한국어교원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역사문화큐레이션트랙 / 역사콘텐츠트랙

사학과. 한국정신의 고취라는 건학이념과 애국정신 학풍에 따라 불어불문학과를 폐지하고 사학과를 설치하였다. 특히 응용학문과 실용학문 비중이 높은 학내에서 눈에 띄는 순수학문 전공이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며 취업 문제 등으로 여느 다른 대학들처럼 인문대 전공 개편이 이루어졌고 그 대상 중 하나로 현재는 역사문화학/콘텐츠 계열로 개편되었다.

1994년 본 사학과 대학원생이 고양시에서 최초로 연산군시대 금표비를 발견, 국문학과 교수에 의해 금표비임이 입증되어 1995년 경기도 문화유산자료로 등록되었다.


지식정보문화트랙 /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문헌정보학과. 사회과학대학이었으나 2000년 인문대학으로 옮겨졌다. 도서관 분야를 바탕으로 기록학, 정보학, 서지학 등의 커리큘럼이 개설되어 있다. 졸업 시 정사서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에서는 디지털기술과 인문학을 접목하여 기록학을 중점으로 콘텐츠 기획, 개발, 관리 등의 분야를 다룬다. 삼선동, 성북동, 돈암동 등 학교 주변지역의 아카이빙 프로젝트를 진행한 바 있으며 재개발 진행, 예정 지역들의 기록을 보존하고 있다.

2.2. 예술학부

<rowcolor=#ffffff> 예술학부
Division of Arts
동양화전공
Major in Oriental Painting
서양화전공
Major in Western Painting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D5D5D5; border-radius:5px; color:#191919;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FM: 최강회화'''}}}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D5D5D5; border-radius:5px; color:#191919;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FM: 최강회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973 생활미술학과
1982 미술학과
1993 예술대학 미술학과
1994 예술대학 회화과
2017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예술학부 동양화전공 · 서양화전공
}}}}}}
⠀[ 교육과정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 ||
}}} ||
한국무용전공
Major in Korean Dance
현대무용전공
Major in Modern Dance
발레전공
Major in Ballet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D5D5D5; border-radius:5px; color:#191919;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FM:'''}}}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D5D5D5; border-radius:5px; color:#191919;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F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974 무용학과
1993 예술대학 무용학과
2017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 현대무용전공 · 발레전공
}}}}}}
⠀[ 교육과정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 ||
}}} ||

동양화전공 / 서양화전공

회화과.


한국무용전공 / 현대무용전공 / 발레전공

무용학과.

3. 폐지된 학과



[1] 영어영문학과, 국어국문학과, 비서학과, 가정학과, 의상학과, 생활미술학과[2] 비서학과와 가정학과는 디자인대학의 전신인 가정학부 산하였으나 학교측에서 위 학과들을 인문대학으로 분류하고 있다.[3] 사회과학대학에서 이동[4] 예술대학에서 이동[5] 예술계열이 아니지만 예술학부 소속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