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17:35:31

한양공영 엘리베이터

<colbgcolor=#1574c4><colcolor=#fff> 한양공영
Hanyang Gongyeong
파일:한양 로고(1989-2019) 국문 세로형.svg
법인명 (주)한양공영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일 1989년
해체일 2005년
대표자 정락
본사/공장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남면로 219 (대원동 91-10)
규모 중소기업
업종 승강기 제조업

1. 개요2. 특징3. 생산한 모델4. 티센 제휴 시절5. 독자 개발 모델



1. 개요

한양공영의 승강기 사업부.

2. 특징

3. 생산한 모델

엘리베이터 분류
<rowcolor=#fff> 속도 분류 전기 형식 구동 형식 아이콘 형식
<bgcolor=#0000ff,#00ffff> AC 교류 GD 기어드 (☆) 한국에서 설치 가능한 기종
~60m/min
<bgcolor=#009900,#adff2f> DC 직류 GL 기어리스 (●) 한국에서 전멸 또는 설치현장 존재 여부 확인 불가
60~105m/min
<bgcolor=#ddab01,#ffcd12> VF VVVF MRL 무기계실 (▼) 한국에서 설치 현장 감소 중[1]
105~180m/min
<bgcolor=#ff7f00> H 유압식 (▼) 한국에서 전멸 위기
180~300m/min
<bgcolor=#ff0000> P 권동식(포지티브식) (◐) 운행 정지 현장만 남음
300m/min~
<bgcolor=#ff69b4> LR 리니어식

[1] 7대 안전장치 부착 불가 기종이거나, 부품 수급이 매우 어려운 모델로 교체되는 경우가 많은 경우
화물용
<bgcolor=#000000,#d3d3d3>
알 수 없음
※ 이 문서에 맞춰 엘리베이터를 분류할 시 수정 분쟁 방지를 위해 틀:엘리베이터 분류의 설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티센 제휴 시절

HYC-1(◐) (지원속도: 60m/min) AC GD
탑승영상 : 광산아파트
한양공영의 첫 모델로 추정. 광산아파트에 설치된 HYC-1이 불합격을 받으면서 전멸했다.
ISP(◐) (지원속도: 30m/min 이하 추정) AC H
유압식 교류 기종. 경기 고양시 모 아파트 상가에서 화물용으로 단 한대가 휴지중이다. 대광엘리베이터 측의 관리 스티커가 붙혀있지만 국가승강기정보센터에선 "보수안함" 이라 적혀있다. 속력은 정확하지 않지만 30m/min 이하로 추정된다.
MICOM(●) (지원속도: 60m/min 이하) AC GD
권상식 교류 기종.
LOHER(●) (지원속도: 60m/min 이하) AC GD
충청남도 천안시의 31텔에서 1992년에 4인승으로 설치된 현장이 발견되었다는 정보만 알려졌다.[5]
ISOSTOP16M(●) (지원속도: 30~105m/min) AC GD / VF GD
탑승영상 : 권선한양아파트[TK], 칠곡공작한양아파트[7], 양지마을한양아파트
1990년 출시. 이 기종은 출시 초기엔 권상식 교류, 중후기엔 권상식 VVVF 형태로 설치되었다. 최후의 현장이었던 권선한양아파트 교류기종이 2024년 하반기에 티케이로 부분교체하면서 전멸했다.
ISOSTOP60M(●) (지원속도: 60m/min 이하) VF GD
탑승영상: 구리 인창주공4단지[HD], 동작구 서호빌딩[9]
1999년식 최후기형이었던 신정마을주공1단지 모델이 2025년 1월에 미쓰비시엘리베이터로 전부 교체되면서 전멸했다.
ISOSTOP90M(●) (지원속도: 90~105m/min) VF GD
탑승영상: 구리 인창주공4단지[10][HD]
VECTOR-V(●) (지원속도: 90~105m/min) VF GD
탑승영상: 화정 한양3차아파트[HD]
API40(●) (지원속도: 90~105m/min) VF GD
탑승영상: 진평미래주공아파트

5. 독자 개발 모델

HYVF(HYVF-1/HYVF-2) (▼)(지원속도: 60~105m/min) VF GD
탑승영상: 권선3구역 주공1단지, 운남주공8단지[HD] 금호동 서경빌딩[14]
기종명의 의미는 'HANYANG(사명) + VVVF'로, 기술제휴 관계였던 티센과는 관련없는 기종이다. 1998년 출시된 한양공영 자체 설계 기종으로 당시 대한주택공사에 인수되었던 영향으로 주공아파트에 집중적으로 설치되었다. 안내방송은 출시 초기 당시 현대엘리베이터와 동일한 것을 사용했으나 이후 자체 안내방송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이때부터 장애인용 옵션이 생겼고, 버튼도 승객용/장애인용 구분없이 점자 일체형으로 변경되었다. 한양공영이 2002년 청산된 이후 분사된 '한양EM테크'에서 설비와 인력을 이어받아 2005년까지 판매했다.



[1] 외부의 경우 내부와는 관계없이 세그먼트로 통일되었고, 색상은 층이나 현장에 따라 달랐다.[2] 노후화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심한경우론 듣기 거북할 정도의 고주파 혹은 극저음이 나오기도 한다.[3] LG산전엘리베이터 *GP 모델에도 사용했다.[4] 한양 독자개발 모델인 HYVF 포함[5] 현재는 삼일엘텍 제어반으로 부분교체되었다.[TK] 2024-02-05에 4차 정밀검사에서 7대 안전장치 미설치로 불합격 처분을 받고 현재 회의중이지만, 점점 회의가 길어지고 있고 계속 방치중이였으나 결국 티케이엘리베이터 기종으로 부분교체 되었다.[7] 알 수 없는 시기에 부분 교체되었으나(ISP-CP60-15F) 국가승강기정보센터 상에서는 그냥 'ISO' 기종으로만 표기되어 있다.[HD] 현재 현대엘리베이터로 교체되었다.[9] 1992년식 모델로, 승안법 개정의 영향으로 부분 교체되었다. 하지만 중국제 제어반이 탑재되었다.[10] 이쪽은 동양엘리베이터 알림음이 나온다.[HD] [HD] 현대엘리베이터 기종으로 교체되었다.[HD] 현재 현대엘리베이터로 교체되었다.[14] 2002년 설치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