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04 20:52:44

블리자드컵

핫식스컵에서 넘어옴
파일:attachment/블리자드컵/blizzardcup.jpg


1. 개요

GSL 투어의 정점. 블리자드에서 직접 스폰싱하며, 전세계의 모든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들이 반드시 서고 싶어하며, 반드시 서야 할 최고·최후의 대회이다. GSL의 그랜드 파이널 격이고, GSL 버전 연예대상이라 할 수 있는 대회이다(투표 등으로 진행되는 연예대상과는 다르게 여기서는 순수히 서로의 기량만을 겨루지만).

이름 때문에 종종 블리즈컨과 착각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쉽게 말하면 '블리자드 배 GSL'이다.

2012년에는 명칭을 GSL Grand Final로 바꾸는가 했는데 다시 GSL Blizzard Cup으로 돌아왔다(…).

'예선전을 치르지 않는 대회는 이벤트 전'으로 규정하던 엄재경식 리그 관(觀)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단순히 왕중왕전같은 이벤트 전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는데, GSL 측에서 공식으로 인정하고 있는 대회이다. 즉, 이 대회의 우승은 GSL 우승으로 친다.[1][2][3]

2013년, 블리자드가 직접 주관하는 세계 챔피언십 시리즈로 인해 블리자드컵이라는 명칭이 소멸하고, 블리자드컵의 위상마저 WCS 글로벌 파이널이 차지해버리고 말았다(…). 곰TV에서는 2013 HOT6 Cup Last Big Match를 열긴 했으나 블리자드컵과는 달리 별도의 리그로 취급받아 더 이상 GSL 우승자가 아니다.

2. 진행 방식

가장 기본적으로 GSL의 그랜드 파이널 격인 대회인 만큼 GSL 투어 포인트 랭킹 (코드 S,코드 A 포함) 1위~3위 [4]는 자동 직행. 그 외의 경우는 해외 대회(MLG,IPL,드림핵)등에서 연말 대회등에 주는 시드와 국가 대항전인 WCG블리즈컨 스타크래프트2 인비테이셔널의 우승자 [5]까지 합쳐서 도합 10명의 선수를 선발하며, 중복 수상 시드가 있을 경우 블리자드곰TV의 직접 지명으로 와일드카드가 선발된다. [6] 2개조 풀리그로 치른 뒤 각 조 1~3위간 6강 플레이오프 진행. (각조 1위는 4강 직행. 2,3위는 준플옵) 4강 크로스토너먼트 - 결승전으로 이어진다.

3. 상금

우승 - 4000만원
준우승 - 1000만원
4강 (플레이오프) - 500만원
6강 (준플레이오프) - 200만원
10강 (조별 풀리그) - 100만원

4. 대회 일람

4.1. 2011 Blizzard Cup

항목참조, 세종대학교 대양홀에서 결승전이 치러졌으며, 축하공연은 시간증폭아 달려봐 아이유, 블리자드가 스폰서였던 만큼 이분도 오셨다. 특히 영어 쫌 한 사람DK Out이 뭐냐고 한 장면은 압권. 경기 내용도 최고의 결승전에 딱 맞는 경기였다. 우승자는 문성원. 준우승자는 박수호.

4.2. 2012 Blizzard Cup

이번 대회 이후로 2013 GSL 시즌은 군단의 심장으로 치러질 예정. 일단 배틀넷 월드 챔피언쉽 시리즈 SC2 2012 그랜드파이널 상하이 우승자와 WCG2012 스타크래프트2 그랜드파이널 우승자는 시드를 받게 된다. GSL 시즌 포인트 1-3위의시드와 중복수상자 와일드카드제는 유지, 다만 변수가 있다면 옥션 스타리그 2012우승자에게 블리자드컵 시드가 지급이 될것인지 안될 것인지의 여부이다. 이로 인해서 MLG,IEM,드림핵,IPL이 4개 해외대회로 인한 시드가 줄어들 수도 있는 상황. 다만 작년 대회의 경우, MLG에게 시드를 2장을 줬기 때문에 MLG 시드가 1장으로 줄어드는 대신 그 나머지를 스타리그로 채울 가능성이 높은 상황. 그리고 결국 스타리그 우승자에게 시드를 주고 대신 IEM이 시드 없음. IPL에 시드 2장,MLG에 시드 1장이 배분되었으며, 명칭이 바뀌는 첫 시즌이 되려는 듯 했다가 다시 블리자드컵으로 이름이 돌아왔다.

결승전은 W Seoul 워커힐 호텔 비스타홀에서 치러졌으며, 우승자는 이승현. 준우승자는 원이삭.

4.3. 2013 HOT6 Cup Last Big Match

2013년 3월 7일 곰TV측에서 연말 그랜드파이널에 대한 공지를 발표했는데, 올해는 곰TV-블리자드 외에 롯데칠성음료도 스폰서에 합류하여 3사 스폰으로 결정되었고, 메인 스폰서로는 롯데칠성음료가 확정되었다.

처음으로 기타대회 시드가 없어진다. 즉 4번의 시즌의 우승자-준우승자가 8강부터 시작하며, 4강-결승형태로 1주일 동안만 치러진다. 이렇게 되면 2013시즌부터 GSL 포인트 랭킹이 따로 산정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7]

일단 HOT6 Season 1 결승 진출자인 강동현신노열은 그랜드 파이널 진출을 확정 지었다. HOT6 CUP이 '국내 대회 우승자' 8명으로 알려졌을 때 눈치챈 사람도 있었는데, WCS로 바뀐 체제에서 GSL과 스타리그 우승자 모두에게 시드를 주게 되었다. GSL로 치러진 2013 WCS Korea Season 1 에서 우승자인 김민철과 준 우승자인 이신형이 핫식스컵 명단에 합류했다. 스타리그로 치러진 2013 WCS Korea Season 2 에서 우승자 조성주와 준 우승자인 정윤종이 가려지면서 이 선수들 역시 HOT6 CUP에 진출 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그리고 2013 WCS Korea Season 3 우승자 백동준과 준 우승자 어윤수까지 합류하여 출전 멤버가 완성되었다.

결승전은 2013년 12월 8일 세종대학교 대양홀에서 펼쳐졌으며 우승자는 정윤종. 준우승자는 김민철.

4.4. 2014 HOT6 CUP: Last Big Match

2014년부터는 세계 챔피언십 시리즈 글로벌 파이널과 통합되어 사실상 폐지된다. 애초에 시즌 파이널이 2013년 한정으로 WCS 글로벌파이널/핫식스컵으로 두번씩이나 있던게 이상한 케이스였기 때문에 곰TV측도 WCS로 2014 파이널을 밀어넣은듯.(게다가 2014년엔 WCS Korea = GSL이다.) 다만, 2014시즌 곰TV가 GSL의 서브브랜드 대회를 만들 것이라 공언하면서 명칭만 바꾼채 진행되는지는 불투명해졌다. 일단 올해는 핫식스컵으로 정상적으로 진행한다.

결승전은 2014년 12월 7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렸으며 우승자는 김유진, 준우승자는 이정훈.

이 대회에서 GSL 우승자 세 명에게 시드를 줬지만, GSL 준우승자 한 명에게만 시드를 주어 논란을 일으켰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어, 윤, 수가 각각 시드 한 장을 받았으므로, 준우승자에게도 시드 세 장을 준 것이 맞다고 한다.

5. 이모저모

2012 시즌은 한가지 문제가 생겨버렸다. 바로 2012 배틀넷 월드 챔피언쉽(WCS)인데 이 대회의 일정에 따라서 블리자드컵의 일정이 크게 변동 될 듯으로 보였는데, WCS가 11월 17-18일로 확정되면서 WCS 우승자가 블리자드컵 직행 조건중 하나로 추가되는 것으로 결정, 2012 블리자드컵은 12월에 정상개최 확정.


[1] 가정이지만 만일 스타 1 시절 방송사들이 이러한 스탠스를 취했다면 블리자드컵과 비슷한 성격에 있는 온게임넷 왕중왕전과 MBC게임 KPGA 위너스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홍진호도 당당한 양대 리그 우승자로 대접받았을 것이다.[2] 사실 초창기에는 온게임넷 측에서도 왕중왕전의 우승을 포함해 기욤을 2회 우승자로 소개하는 등 정규 리그 급으로 대우해주고 있었지만 어느새 빠져버렸다.[3] 스타1 리그에서도 온게임넷 이전 까지는 왕중왕전을 정규리그 보다 상급 대회로 간주했다. 거의 모든 스포츠가 다 그렇다. 테니스나 골프의 4대 메이저는 전부 정규리그 성적을 바탕으로 시드를 주는 일종의 왕중왕전 개념의 대회들이다. 엄밀히 왕중왕전은 예선전이 없는 것이 아니라 정규리그를 예선으로 삼는 것.[4] 원래 이것도 초기 계획 안에서는 GSL 투어 랭킹 1위~10위를 줄세워서 플레이오프 방식으로 치르려던 대회였다.[5] 2012년엔 배틀넷 월드 챔피언쉽 (이른바 WCS)으로 대체[6] 이 와일드카드를 통해서,2011시즌에는, GSL 포인트가 부족했었던 문성원이 직행한 뒤 우승, 그리고 계획 변경으로 인해, 원래는 직행했어야 정상이었던 슈퍼토너먼트 우승자 최성훈이 블리자드컵 직행을 못하게 되었다가. 정종현의 WCG,블리즈컨 우승으로 인해 발생한 와일드카드로 직행하였다.[7] 즉 랭킹이 케스파 랭킹-연맹 랭킹으로 재분류 될지, 아니면 케스파-연맹이 합쳐진 새로운 랭킹제가 될지 아직 미지수라는 점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