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18:38:55

연안선

해안선(Rain World)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Rain World/지역
파일:rainworldtitle.png
Rain World 하위문서

||<^|1><tablewidth=90%><tablebordercolor=#000><tablealign=center><rowbgcolor=#000>||
||<^|1><tablewidth=90%><tablebordercolor=#000><tablealign=center><rowbgcolor=#000>||



Rain World 지역 일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교외아이콘.png
교외
파일:산업단지아이콘.png
산업 단지
파일:배수처리시설아이콘.png
배수 처리시설
파일:굴뚝덮개아이콘.png
굴뚝 덮개

· 홈통
파일:쓰레기폐기장아이콘.png
쓰레기 폐기장
파일:그늘진성채아이콘.png
그늘진 성채

· 기억 납골당
파일:연안선아이콘.png
연안선

· 달을 향해 보라
· 절벽
파일:하늘제도아이콘.png
하늘 제도

· 통신 배열
파일:농장배열지아이콘.png
농장 배열지
파일:외부아이콘.png
외부

· 각부
· 하부
· 겉벽
파일:다섯조약돌아이콘.png
다섯 조약돌

· 불운한 발생지
· 재귀 변압 배열
· 메모리 합류점
· 종합 시스템 버스
파일:지하아이콘.png
지하

· 여과 시스템
· 심층
}}}}}}}}}
DLC Downpour 지역 일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파이프공장아이콘.png
파이프 공장

· 집수 터널
파일:해변시설아이콘.png
해변 시설

· 절벽
파일:바깥광야아이콘.png
바깥 광야

· 침하한 교각
· 시설 기반
· 여정의 끝
파일:대도시아이콘.png
대도시

· 가장 높은 탑 꼭대기
· 바닥
· 제12 의회 기둥, 땋은 술 가문
파일:부패아이콘.png
부패

· 담낭 도관
· 재귀 변압 배열
· 일차 피질
· 선형 시스템 레일
· 심층
파일:침수된상부구조물아이콘.png
침수된 상부구조물

· 환풍구
· 심장
· 혹한의 둥우리
· 보조 송신 배열
파일:달을향해보라아이콘.png
달을 향해 보라

· 지주
· 환풍구
· 추상 수렴 다양체
· 메모리 합류점
· 수경
· 신경 말단
파일:지하수림아이콘.png
지하 수림
파일:고요한구조아이콘.png
고요한 구조

· 서리 낀 성당
· 허울
· 다섯 조약돌
파일:루비콘아이콘.png
루비콘
}}}}}}}}}
*지역 순서는 방랑자 도전과제의 순서를 따름
**DLC 지역 순서는 캠페인 순서를 따름




1. 개요2. 상세3. 하위 구역
3.1. 달을 향해 보라(Looks to the Moon)3.2. 절벽(The Precipice)
4. 다른 버전5. 등장 개체6. 오브젝트7. 연결되는 지역8. 기타

[clearfix]

파일:Rain World_SL.jpg

1. 개요

파일:연안선지도.png
연안선 (Shoreline) 맵
[ DLC Downpour 지도 펼치기·접기 ]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gcolor=black><-2> 파일:DLC해안선.png ||
Downpour 연안선 (Shoreline) 맵


Rain World의 지역인 연안선에 대해 다루는 문서다.

2. 상세

생존자, 수도승 캠페인으로 진행 시 통상적인 루트를 따른다면 보통 4번째로 진입하게 되는 지역이다.

공식 한글 번역이 추가된 이후로도 꽤 오랫동안 '해안선'이라는 이름이 유지되었는데, 1.9.14 업데이트 이후 '연안선'으로 변경되었다. 변경 이유에 대해서는 기타 문단에서 후술한다.

이름답게 을 지겹도록 보는 맵으로, 슬러그캣의 잠수와 수영 능력을 십분 발휘해야 한다. 또한 맵의 규모가 큰데다 지상과 지하를 번갈아가며 나아가야 하고, 맵도 다 거기서 거기에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에 길을 잃기 쉽다. 때문에 뉴비들이 은근히 막히는 곳이기도 하다. 쓰레기 폐기장으로부터 진입하여 정석대로 진행 중이라면, 기본적으로 오른쪽을 향해 나아간다는 느낌으로 진행하면 된다.

지상에는 독수리, 물속에는 레비아탄, 또 어딜 가나 거머리 떼가 도사리고 있어 죽을 일도 많은 지역이다. 그나마 피난처의 개수가 많아서 저장은 금방 가능하고, 파란 열매와 물떡, 해파리, 야외에선 박쥐파리도 나오는 등 먹을 것도 굉장히 풍부하다.

잠수하고 있을 때는 진짜 수영이라도 하는 것처럼 물의 저항을 크게 받기 때문에 미세한 컨트롤이 매우 어려워진다. 깊게 잠수할 일이 물맵치곤 생각보다 많지는 않지만, 물 속 컨트롤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잠수하여 헤엄칠 때 점프 키를 누르면 슬러그캣이 순간 가속을 받아 빠르게 헤엄친다. 그러나 가속은 안 그래도 짧은 호흡 게이지를 매우 크게 소모하므로 남발은 자제해야 한다. 때문에 어지간하면 누르지 않는 것이 좋지만, 거머리들이 슬러그캣을 향해 달려들려고 할 때 알맞게 가속하면 달라붙지 않게 회피할 수 있다.

물이 많은 맵이기에 해양생물이 많이 등장하는데, 제트물고기, 해파리, 파란 거머리가 그 예다. 제트물고기는 특히 바다로 된 지역을 이동하거나 잠수가 필요한 구간을 빠르게 이동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다. 푸른 열매를 좋아해서 물에 던져두면 근처에서 나타나 먹으려 하며, 때문인지 연안선에는 푸른 열매가 매우 많이 배치되어 있다.

해파리의 경우 식용 가능에다가 촉수에 몸을 들이대 달라붙은 청거머리를 떼내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고, 그 외 투척하는 각도와 감을 익히면 특유의 전기충격을 이용하여 꽤 훌륭한 호신용품으로 써먹을 수 있다. 단 슬러그캣도 이 전기에 당할 수 있기에 아래로 잠영하는 상황에서 촉수에 닿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파란 거머리는 이 맵에서 주요 골칫덩이가 되는데, 한두 마리 달라붙어도 어떻게 살 수 있었던 빨간 거머리와 달리 이 파란 거머리들은 한 마리라도 달라붙으면 그대로 수장당한다 생각해야 한다. 운 좋게 해파리가 있어 촉수에 몸을 비비거나 방울초를 챙겨오지 않았다면 익사 확정일 정도로 더 무겁고 끈질기다. 그러므로 이 녀석들이 보이는 지점에선 무리가 수영하는 타이밍을 잘 봐서 헤엄쳐가는 센스가 필요하다.

3. 하위 구역

3.1. 달을 향해 보라(Looks to the Moon)

연안선의 가장 오른쪽에 위치한 소구역이며, 생존자나 수도승 캠페인으로 게임을 처음 시작했을 때 슬러그캣의 근처를 따라다니는 노란색 감시자가 이끄는 곳이 바로 이곳이다. 이 구역에 일단 진입하면 포식자나 위험한 요소는 컨트롤 미숙으로 익사하는 게 아닌 이상 없다고 보면 되며, 파란 열매나 해파리 등 먹을 것도 풍부한 편이고 피난처도 이 소구역에만 2개나 존재한다.

가장 오른쪽에 달을 향해 보라라는 존재가 앉아 있다. 여기서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도전과제 달성 여부가 달라진다. 처음 진입하면 이상한 기계음을 낼 뿐 소통을 할 수는 없지만, 이후 다른 존재를 만나고 나서 재방문하면 이야기를 들을 수 있으며, 물건을 갖다 주면 그에 맞는 대화록을 볼 수 있게 된다.

달을 만난 후 플레이어의 행동에 따라 노란 감시자가 다시 새로운 길을 안내하기 시작하거나, 또는 다른 존재를 통해 루트를 추측하게 된다. 정석 루트대로 진행하였다면 달을 만난 시점에서 엔딩까지 게임의 1/3 정도를 완료했다고 보면 된다.

3.2. 절벽(The Precipice)

DLC에 추가된 소구역. 외부의 카르마 게이트와 통한다. 연안선 소구역으로 취급받긴 하지만, 연안선으로부터 진입하거나 연안선으로 가는 길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별개의 지역이라고 보는 것이 맞다. 함정 지역

생존자, 수도승 캠페인에서 하늘 도마뱀이 자연 스폰되는 유일한 지역이기도 하다.

성자 캠페인에서는 절벽에 진입할 수 없다.

4. 다른 버전

DLC의 창술가 및 기술병 캠페인으로 진행할 경우 연안선은 '해변 시설'이라는 맵으로 대체된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

성자 캠페인에서는 기존의 연안선과 큰 차이는 없으나, 성자 캠페인 자체의 특수성 때문에 스포일러 처리했다.
[ 성자 스포일러 펼치기·접기 ]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gcolor=black><-2> 파일:싸늘한연안.png ||
싸늘한 연안 (Frigid Coast)

연안선의 이름이 '싸늘한 연안'으로 바뀌었으며, 다섯 조약돌의 붕괴로 그늘진 성채의 구조가 크게 바뀌면서, 성채와 연결되어 있던 구조도 살짝 바뀌게 되었다. 기존에 성채로 가던 길이 무너지다 못해 조약돌의 하부에 해당하는 지역이 연안선에 놓여 있는 걸 볼 수 있다.[1]

오랜 시간이 흘러 물살이 캠페인보다도 물 색이 더 깨끗한 상태이며, 발광 해초나 공기풀 따위의 비중이 크게 는 것은 물론 물지네와 거대해파리 등 적대적인 수생생물도 늘었다. 거기다 야외에서 수영할 경우 체온이 평소보다 훨씬 빨리 닳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성자는 혀 컨트롤에 많이 의존하게 되는데 개활지 및 물 속에서는 혀를 쓰기 힘들어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작은 해파리 따위를 호신용으로 챙기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단 컨트롤 실수로 성자가 해파리에 닿으면 다른 슬러그캣보다도 더 오랜 시간 기절하니 주의하자.

달을 향해 보라가 있는 맵에서 위로 올라가면 성자 전용 메아리를 만날 수 있다.

[ 성자 후반부 스포일러 펼치기·접기 ]
최대 카르마를 달성하여 승천 능력을 각성하면, 달을 향해 보라에게도 승천을 사용할 수 있다. 승천을 맞는 즉시 달은 영구적으로 작동을 중단하며, 만일 되돌리고 싶어서 일부러 죽는다고 한들 돌아오지 않는다.

비참한 상태가 되어버려 그나마 안식을 줬다는 느낌이라도 받을 수 있는 조약돌과 달리 달을 승천시킬 때는 다소 찝찝한 기분을 받는 유저도 종종 있는 듯하다. 달을 승천시키고 나면 주변의 신경파리들이 모두 사라진다.

여담으로 달의 신경파리를 먹어서 발광하는 상태에서 엔딩을 보고, 재시작하게 되면 발광 상태가 유지된다!

5. 등장 개체


DLC 적용 시

6. 오브젝트

7. 연결되는 지역


DLC 적용 시

8. 기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즉 이곳의 게이트는 기존의 성채와 연안선을 잇던 게이트가 아닌 기존의 하부와 조약돌을 잇던 게이트이다.[2] 초기에는 '해안가'였던 적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