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4:09:01

호곡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VOCALOID 오리지널 곡}}}에 대한 내용은 [[로스트 원의 호곡]]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로스트 원의 호곡#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로스트 원의 호곡#|]]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VOCALOID 오리지널 곡: }}}[[로스트 원의 호곡]]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로스트 원의 호곡#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로스트 원의 호곡#|]]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네이버 웹툰 로고.svg 네이버 웹툰 연재작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16px;margin-bottom:-5px" PLAY툰 브랜드웹툰 연재종료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전체 네이버 웹툰 연재작

호곡
파일:웹툰 호곡.jpg
장르 액션
작가 감대 [1]
연재처 네이버 웹툰
네이버 시리즈
연재 기간 2018. 06. 23. ~ 2020. 05 16.
연재 주기
이용 등급 12세 이용가

1. 개요2. 줄거리3. 연재 현황4. 등장인물5. 평가

1. 개요

한국의 시대극 웹툰. 작가는 감대.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신입 감찰사 엔도가 겪는 초자연적인 현상들을 소재로 하고 있다.

2. 줄거리

'이제 우리 차례야'
조선의 왕 '천군'이 사라지고 3년 뒤...
한 소녀가 나타나다.

3. 연재 현황

네이버 웹툰에서 2018년 6월 23일부터 매주 일요일에 연재된다.

2020년 5월 9일에 완결되었다.

4. 등장인물

5. 평가

연재 시작 후 몇 달이 지나지 않아 보는 사람만 보는 하위권 만화가 되었다. 댓글이 네이버 베도 수준으로 적다... 툭하면 등장하는 인체 작화붕괴는 웹툰 갤러리에서 고정적으로 조롱당하는 중(# #)이다.

호랑이 같은 동물은 열심히 그리는데 유달리 인물들은 데포르메가 매우 심하다. 특히 눈의 위치가 그냥 자유분방하다. 인체의 각 부분 비율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어서 개그 짤방으로까지 쓰이고 있는 상황이었다.

김형태 같은 일러스트레이터도 인체를 변형하지 않는가 반문하는 사람도 있지만 모든 걸 다 이해한 상태에서 자신만의 개성으로 변형하는 것과 기본적인 이해도 자체가 의심되는 것은 전혀 다른 것이다.

주인공을 포함, 등장인물들 대다수가 멀쩡한 형태로 묘사되는 화가 거의 없고, 이러다보니 분위기가 산만해서 몰입하기 힘들다.

현재는 최하위권에 위치한데다가 마이너한 팬들마저 없고, 베댓마저 싫어요족의 행패로 거의 볼 수 없는 완전히 죽은 웹툰이 되었다. 무관심의 무서움을 볼 수 있는 웹툰. 작가는 연재할 맛이 났을진 의문이다.[3][4]


[1] 현재 만능잡캐(웹툰)의 작화를 담당할 땐 김대훈이라는 본명을 쓴다.[스포일러] 이후 나온 이름은 화랑.[3] 차라리 공감 jpg나 고민툰, 돼지만화도 이 만화처럼 무관심으로만 대처했다면 더 좋았을거라고 평하는 웹툰러들이 있다.[4] 한마디 하자면 공감, 고민툰, 돼지만화보다는 작화나 스토리 모두 호곡이 상대적으로는 좀더 나았다. 저 3종의 차마 웹툰이라고 부르기도 힘든 물건들은 무관심을 넘어 독자로 하여금 분노를 느끼게 할 정도로 질이 낮았기 때문에 오히려 관심을 많이 받았던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