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아킨랍토르 Joaquinraptor | |
| |
학명 | Joaquinraptor casali Ibiricu et al., 2025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계통군 | 석형류Sauropsida |
목 | 용반목Saurischia |
아목 | 수각아목Theropoda |
계통군 | †메가랍토르류Megaraptora |
과 | †메가랍토르과Megaraptoridae |
속 | †호아킨랍토르속Joaquinraptor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
|
복원도 |
1. 개요
7000만년 전 중생대 백악기 후기 마스트리히트절 남아메리카에 살았던 메가랍토르과의 수각류 공룡. 속명의 뜻은 '호아킨 약탈자'. 명명자인 루시오 M. 이비리쿠 박사의 아들 이름에서 따왔다.[1] 라틴어 표기 원칙을 적용하면 '요아쿠인랍토르'지만 원어의 발음을 존중해 표기한다.2. 연구사
골격도 |
메가랍토르과 내에서는 상당히 거대한 크기를 지녔으며 호아킨랍토르의 몸길이는 7m 이상에 체중은 대략 1t에 달했을 것으로 보고있다.[2]. 골격의 성장선을 바탕으로 녀석의 나이는 최소 19세 전후로 보이나 골격에 융햡선이 없는 건 물론 사망 당시 나타나는 골피질이 관찰되지 않아 아성체로 보여 메가랍토르과 역시 아벨리사우루스과 만큼 성장이 느렸음을 시사하고 있다. 다만 성장선이 19줄이 기록된 이후 성장 정지가 확인되어 이제 막 성숙기를 거치는 개체였을 가능성도 있기에 성체의 크기도 이 개체와 비교했을 때 크게 차이가 나진 않았을 것이다.
특이하게도 호아킨랍토르의 화석 더미에서 악어형류의 상완골이 동시에 발굴되었는데[3] 이에 따라 악어나 악어형류의 파충류를 주로 잡아먹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 가설이 맞다면 메가랍토르과는 본래 작은 머리 때문에 사냥이 가능한 먹잇감이 제한적이라는 가설을 반박하는 강력한 증거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 강물에 의해 악어형류의 상완골이 휩쓸려 그 자리에 퇴적되거나 두 종간의 치열한 다툼 도중 죽었을 가능성도 있다는 의견이 있다.[4]
현재 기준으로 호아킨랍토르의 화석은 아이로스테온, 아우스트랄로베나토르와 더불어 중요한 메가랍토르과 화석으로 평가받고 있는데 아이로스테온이 메가랍토르과의 골격 구조와 움직임에 대한 단서, 아우스트랄로베나토르는 메가랍토르과 수각류들이 사냥시에 앞다리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는 단서를 제공했다면 호아킨랍토르는 두개골의 보존률이 좋아 다른 메가랍토르과의 복원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3. 생태
호아킨랍토르는 캄파니안과 마스트리히트절 사이의 시간을 간직한 라 콜우에 우아피층(Lago Colhué Huapí Formation)의 상부 지층에서 발견되었으며 당시 그곳은 거대한 호수를 끼고 있어 건조하면서도 매우 풍요로운 환경이었다. 같은 지층 상부에서는 조각류 세케르노사우루스, 세크텐사우루스와 용각류에 속하는 아이올로사우루스, 아르기로사우루스 같은 초식공룡들과 공존했으며 조각류들은 성체까지 사냥할 수 있었겠지만, 용각류들은 덩치가 컸기 때문에 새끼나 아성체를 주로 사냥했을 것이다. 그외 위에서 소개했던 콜후에후아피수쿠스와 같은 악어형류 역시도 녀석의 먹잇감이 되었을지도 모른다.[1] 고생물학자의 딸 이름을 학명에 쓴 라엘리나사우라가 연상된다.[2] 주로 남미에서 번성한 메가랍토르과들은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들이 몰락 하면서 생태적 빈자리를 차지해 거대해졌지만 같은 지역에 번성했던 아벨리사우루스과들과의 경쟁으로 인해 지나치게 거대해지지는 못했다. 이는 아벨리사우루스과도 마찬가지.[3] 실제 호아킨랍토르가 발견된 지층에선 노토수쿠스류에 속하는 악어형류의 화석이 발견 되기도 했다. 이후 이 종은 콜후에후아피수쿠스로 명명되었다.[4] Ibiricu, Lucio M.; Lamanna, Matthew C.; Alvarez, Bruno N.; Cerda, Ignacio A.; Caglianone, Julieta L.; Cardozo, Noelia V.; Luna, Marcelo; Martínez, Rubén D. (2025). "Latest Cretaceous megaraptorid theropod dinosaur sheds light on megaraptoran evolution and palaeobiology". Nature Communications. 16 8298. doi:10.1038/s41467-025-637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