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rowcolor=#fff>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 1916 아르헨티나 | 1917 우루과이 | 1919 브라질 | 1920 칠레 | 1921 아르헨티나 | |
| <rowcolor=#fff>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 1922 브라질 | 1923 우루과이 | 1924 우루과이 | 1925 아르헨티나 | 1926 칠레 | |
| <rowcolor=#fff>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 1927 페루 | 1929 아르헨티나 | 1935 페루 | 1937 아르헨티나 | 1939 페루 | |
| <rowcolor=#fff>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
| 1941 칠레 | 1942 우루과이 | 1945 칠레 | 1946 아르헨티나 | 1947 에콰도르 | |
| <rowcolor=#fff>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
| 1949 브라질 | 1953 페루 | 1955 칠레 | 1956 우루과이 | 1957 페루 | |
| <rowcolor=#fff> 26회 | 27회 | 28회 | 29회 | 30회 | |
| 1959 아르헨티나 | 1959 에콰도르 | 1963 볼리비아 | 1967 우루과이 | 1975 분산 개최 | |
| <rowcolor=#fff> 31회 | 32회 | 33회 | 34회 | 35회 | |
| 1979 분산 개최 | 1983 분산 개최 | 1987 아르헨티나 | 1989 브라질 | 1991 칠레 | |
| <rowcolor=#fff> 36회 | 37회 | 38회 | 39회 | 40회 | |
| 1993 에콰도르 | 1995 우루과이 | 1997 볼리비아 | 1999 파라과이 | 2001 콜롬비아 | |
| <rowcolor=#fff> 41회 | 42회 | 43회 | 44회 | 45회 | |
| 2004 페루 | 2007 베네수엘라 | 2011 아르헨티나 | 2015 칠레 | 2016 미국[1] | |
| <rowcolor=#fff> 46회 | 47회 | 48회 | 49회 | 50회 | |
| 2019 브라질 | 2021 브라질 | 2024 미국 | 2028 미정 | 2032 미정 | |
| [1] CONMEBOL 100주년 기념 대회 | |||||
| 같이 보기: 역대 UEFA 유로, 역대 AFC 아시안컵, 역대 코파 아메리카, 역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CONCACAF 골드컵, 역대 OFC 네이션스컵 | }}}}}}}}} | ||||
1. 개요
역사적인 첫 코파 아메리카 대회이자 처음으로 열린 대륙 축구 선수권 대회. 1916년 7월 2일부터 7월 17일까지 아르헨티나에서 개최되었다. 이 당시에는 남아메리카 챔피언십(South American Championship)로 불리었다. 원래 1910년에 열린 코파 센테나리오란 대회가 있었지만 이 대회를 코파 아메리카의 시작으로 여긴다.2. 경기장
| 도시 | 경기장 이름 | 수용인원 |
| 아베야네다 | 에스타디오 라싱 클루브 | 30,000명 |
| 부에노스아이레스 | 에스타디오 G.E.B.A[1] | 18,000명 |
- 최종전을 제외한 모든 경기는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에스타디오 G.E.B.A에서 개최되었다. 원래는 최종전도 같은 에스타디오 G.E.B.A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지만 훌리건들의 난동으로 인해 경기 시작 5분만에 중단되고 다음날에 아베야네다로 장소를 옮겨 치러졌다.
3. 진행 방식
- 4개국이 출전한 풀리그 방식이었다. 각 팀은 한 번씩 경기를 치렀으며 순위가 가장 높은 팀이 우승팀이 되었다.
- 승점은 승리팀에게 2점, 무승부시에는 1점씩, 패배팀에게 0점이 주어졌다.
4. 결과
| 순위 |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 1 | | 우루과이 | 3 | 2 | 1 | 0 | 6 | 1 | +5 | 5 |
| 2 | | 아르헨티나 | 3 | 1 | 2 | 0 | 7 | 2 | +5 | 4 |
| 3 | | 브라질 | 3 | 0 | 2 | 1 | 3 | 4 | -1 | 2 |
| 4 | | 칠레 | 3 | 0 | 1 | 2 | 2 | 11 | -9 | 1 |
| 경기장 | 에스타디오 G.E.B.A 부에노스아이레스 - 아르헨티나 | |
| 경기일 | 1916년 7월 2일 | |
| 국 가 | 우루과이 | 칠레 |
| 득 점 | 4 | 0 |
| 득점자 | 호세 피엔디베네 (44') 이사벨리노 그라딘 (55') 이사벨리노 그라딘 (70') 호세 피엔디베네 (75') | |
| 경기장 | 에스타디오 G.E.B.A 부에노스아이레스 - 아르헨티나 | |
| 경기일 | 1916년 7월 6일 | |
| 국 가 | 아르헨티나 | 칠레 |
| 득 점 | 6 | 1 |
| 득점자 | 알베르토 오아코 (2') 후안 도밍고 브라운 (60')(PK) 후안 도밍고 브라운 (62')(PK) 알베르토 마르코베키오 (67') 알베르토 오아코 (75') 알베르토 마르코베키오 (81') | 텔레스포로 바에스 (44') |
| 경기장 | 에스타디오 G.E.B.A 부에노스아이레스 - 아르헨티나 | |
| 경기일 | 1916년 7월 8일 | |
| 국 가 | 칠레 | 브라질 |
| 득 점 | 1 | 1 |
| 득점자 | 에르난도 살라사르 (85') | 데모스치니스 (29') |
| 경기장 | 에스타디오 G.E.B.A 부에노스아이레스 - 아르헨티나 | |
| 경기일 | 1916년 7월 10일 | |
| 국 가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 득 점 | 1 | 1 |
| 득점자 | 호세 라구나 (10') | 아우엔카르 (23') |
| 경기장 | 에스타디오 G.E.B.A 부에노스아이레스 - 아르헨티나 | |
| 경기일 | 1916년 7월 12일 | |
| 국 가 | 우루과이 | 브라질 |
| 득 점 | 2 | 1 |
| 득점자 | 이사벨리노 그라딘 (58') 호세 토뇰라 (77') | 아르투르 프리덴라이히 (8') |
| 경기장 | 에스타디오 라싱 클루브 아베야네다 - 아르헨티나 | |
| 경기일 | 1916년 7월 17일 | |
| 국 가 | 아르헨티나 | 우루과이 |
| 득 점 | 0 | 0 |
| 득점자 | - | - |
| 1916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우승 |
| 우루과이 |
| 첫 번째 우승 |
5. 기록실
- 최초 득점 - 호세 피엔디베네(우루과이). vs 칠레, 전반 44분
- 최초 페널티킥 - 후안 도밍고 브라운(아르헨티나). vs 칠레, 후반 15분
- 최초 멀티골 - 이사벨리노 그라딘(우루과이). vs 칠레, 후반 10분&전반 25분
- 해트트릭 - 없음
- 최다 득점 경기&최다 득점차 경기 - 아르헨티나 6 vs 1 칠레
- 최초 역전승 - 우루과이 2 vs 1 브라질
- 퇴장 - 없음
- 자책골 - 없음
- 무득점팀 - 없음
6경기에 18골이 터지면서 경기당 평균 3골을 기록했다.
6. 수상
6.1. MVP
이사벨리노 그라딘(우루과이)
6.2. 득점 순위
1위(3골) - 이사벨리노 그라딘(우루과이)2위(2골) - 호세 피엔디베네(우루과이), 후안 도밍고 브라운, 알베르토 오아코, 알베르토 마르코베키오(이상 아르헨티나)
7. 뒷이야기
- 우루과이 대표팀에는 당시 남미 최초의 흑인 대표 선수들이었던 이사벨리노 그라딘과 후안 델가도가 있었다. 상대팀인 칠레에서는 그것에 대해 큰 불만이 있었다. 사유는 비겁하게 아프리카인들을 썼다는 것. 당시에는 남미에 흑인들이 많지 않았기 때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