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3 18:15:05

2015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고급 지구과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15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계열 전문 교과 ('18~'24 高1)
심화 수학Ⅰ* 심화 수학Ⅱ* 고급 수학Ⅰ* 고급 수학Ⅱ*
고급 물리학 고급 화학 고급 생명과학 고급 지구과학
물리학 실험 화학 실험 생명과학 실험 지구과학 실험
융합과학 탐구 과학과제 연구 생태와 환경 정보과학
■ 이후 교육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 과학 계열 선택 과목
*: 수학과 선택 과목

1. 개요2. 고급 지구과학
2.1. 고체 지구2.2. 대기와 해양2.3. 우주
3. 관련 문서

1. 개요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의 전문 교과로, 과학 계열 고등학교 또는 일반계 고등학교 2~3학년때 배운다.

2. 고급 지구과학

2.1. 고체 지구

1 지오이드와 지구타원체를 이용하여 지구 모양을 나타낼 수 있다.
2 지진파의 종류와 전파특성을 이해하고, 지진파를 이용하여 지각의 두께를 결정할 수 있다.
3 지진파 분석을 통한 지구 내부의 성층 구조와 구성 물질을 이해하고, 각 성층의 밀도, 중력, 압력 및 온도와 같은 물리량을 설명할 수 있다.
4 지구의 인력, 중력 및 중력의 측정, 중력 보정과 중력 이상 등 지구의 중력장을 이해하고 우리나라의 중력 이상 분포를 설명할 수 있다.
5 지구 자기장의 측정과 분포, 지구 자기의 변화, 지구 자기의 생성원리 및 역전을 발표할 수 있다.
6 판구조론이 성립되기까지의 과정을 이해하고, 대륙 이동과 해저 확장을 지지하는 다양한 지질학적 고지자기학적 증거와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판구조론을 설명할 수 있다.
7 판구조론에서 판을 이동 시키는 원동력, 판의 경계와 종류, 각 경계에 나타나는 다양한 지질 현상을 이해하며 판의 운동과 지진, 화산 및 조산 운동을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8 지진파 토모그래피를 이용한 신구조론인 플룸 구조론을 이해하고 판구조론과의 차이를 발표할 수 있다.
9 광물의 정의와 종류, 여러 광물 중에서 조암 광물의 의미와 종류 등을 설명할 수 있다.
10 광물을 구성하는 화학 성분이나 결정 구조에 따라 광물의 물리적, 광학적 성질이 달라짐을 이해하고 광물의 물리적 성질과 화학적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11 편광 현미경의 원리와 박편 제작 및 관찰을 통한 색, 간섭색, 소광현상 등의 광학적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12 마그마의 화학 조성과 냉각 속도에 의해 다양한 화성암이 형성되는 과정을 이해하고, 화성암의 산출 상태, 조직, 광물 성분과 화학 조성 등을 통해 화성암을 분류할 수 있다.
13 변성암을 분류하고, 변성 광물의 종류와 변성 광물의 조합을 통해 변성 작용을 유추할 수 있다.
14 퇴적암을 분류하고, 다양한 퇴적 구조를 통해 퇴적 환경을 유추할 수 있다.
15 지층의 선후 관계 해석에 사용되는 다양한 법칙을 통해 지층의 대비와 생성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16 방사성 동위 원소의 반감기를 이용하여 절대 연령을 구할 수 있다.
17 지질 연대표를 이용하여 지질 시대를 구분하는 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
18 화석의 종류와 의의, 그리고 화석을 통한 고생물의 특징과 진화를 설명할 수 있다.
19 표준 화석과 시상 화석을 이해하고, 지질 시대별 화석의 특징을 발표할 수 있다.
20 한반도의 지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지질 시대의 변천에 따른 한반도 지체 구조의 발달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21 우리나라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 지층의 분포 및 특징을 각 지층에서 산출된 다양한 화석을 통하여 설명할 수 있다.
22 우리나라의 화성 활동을 판구조론과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23 한반도의 지질학적 형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24 화성, 변성, 퇴적 과정을 통해 광상이 형성되는 과정과 열수광상 및 해저자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5 주요 광물 및 희토류광물 등의 탐사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26 화산 활동과 지진에 의해 일어나는 재해의 유형과 원인 및 피해 사례, 사태의 의미와 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 그리고 운석 충돌의 흔적 사례와 예상되는 피해 등을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2.2. 대기와 해양

1 대기와 해양에 작용하는 힘들을 설명할 수 있다.
2 와도의 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3 대기에 작용하는 힘들의 평형 관계를 이해하며, 대기에서의 지균풍과 해양에서의 지형류 평형에 관여하는 힘들을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4 대기와 해양에서의 지상풍과 에크만수송의 생성 기작을 통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5 시공간 규모별 주요 현상을 단주기, 장주기, 초장주기 파동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6 대기와 해양의 자오면상에서 나타나는 대기 대순환, 편서풍파동과 날씨, 제트류를 설명할 수 있다.
7 해수의 표층순환과 서안강화현상, 심층순환을 설명할 수 있다.
8 대기와 해양 운동의 규모, 대기와 해양의 유사성과 상대성, 그리고 해수면을 통한 대기와 해양간의 상호 작용을 통한 에너지와 물질 교환을 설명할 수 있다.
9 기후 변화의 원인을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인간 활동에 의한 기후 변화의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영향과 기후 변화 문제 해결의 과학적 방법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10 엘니뇨라니냐의 발생 메커니즘과 남방진동(ENSO) 순환을 이해하고, 엘니뇨에 의한 지구적 기후 변화의 결과와 우리나라 기후 변화에 대한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11 대기중의 수증기를 이해하고, 단열 변화를 통해 구름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12 단열선도(skew T & log P diagram)를 이용하여 대기의 안정도를 이해하고 안정층과 불안정층을 구분하며 상승응결고도(LCL), 대류응결고도(CCL), 자유대류고도(LFC)의 의미와 차이점을 발표할 수 있다.
13 태양복사와 지구복사를 이해하고, 온실 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
14 조석을 일으키는 힘인 기조력을 수식으로 이해하며 평형 조석론과 동역학적 조석론 관점에서 조석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15 조석파 개념에서의 조화성분을 이해하고, 조석 마찰 개념에서의 조석과 지구자전을 설명할 수 있다.
16 해수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수괴를 설명할 수 있다.
17 해수 중 음파의 속도, 굴절과 반사 등의 특성을 이해하고, 해수 중의 음파가 가지는 독특한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2.3. 우주

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