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30 18:58:46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스테이지 1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3월 14일부터 진행되는 플레이오프에 대한 내용은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스테이지 1/플레이오프 문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스테이지 1/플레이오프#s-|]]번 문단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스테이지 1/플레이오프#|]] 부분을
#!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3월 16일에 진행되는 결승에 대한 내용은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스테이지 1/결승전 문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스테이지 1/결승전#s-|]]번 문단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스테이지 1/결승전#|]] 부분을
#!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33e48><tablebgcolor=#333e48> 파일:OWCS_Asia_2025_icon_darkmode.pngOWCS 아시아
역대 대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06314> Overwatch Champions Series Asia
2024 스테이지 1 스테이지 2
2025 스테이지 1 스테이지 2 스테이지 3
}}}}}}}}} ||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2024 OWCS 아시아 스테이지 2 2025 OWCS 아시아 스테이지 1 2025 OWCS 아시아 스테이지 2
2025 OWCS 아시아 스테이지 1 우승팀
Team Falcons Team Falcons 미정
2025 OWCS 아시아 스테이지 1 결승 MVP
김동현
(Proper)
최한빈
(Hanbin)
미정
(미정)
파일:2025_OWCS_Asia_S1_Champions.png
파일:OWCS_Asia_2025_lightmode.png파일:OWCS_Asia_2025_darkmode.png
2025 OWCS 아시아 스테이지 1
<colbgcolor=#f06314><colcolor=#fff> 대회 기간 2025년 3월 6일 ~ 3월 16일
주최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주관 WDG
개최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대한민국
스폰서 조위 기어, 희림건축[플레이오프]
참가팀 8팀
패치 버전 -
경기장
WDG 스튜디오 홍대(플레이오프 & 결승전)
중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06314><colcolor=#fff> 중계 플랫폼 온라인
<colbgcolor=#f5f5f5>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SOOP 아이콘.sv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SOOP Global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중계진 진행 / 해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김정민, 문창식, 심지수, 안승용, 장지수, 홍현성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蒼汁, おやつ, Gappo3, hoshimi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인터뷰어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이시윤
통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uest
}}}}}}}}} ||
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06314><colcolor=#fff> 그룹 스테이지 라운드 로빈
3월 6일 ~ 3월 9일
플레이오프 더블 엘리미네이션
3월 14일 ~ 3월 16일
결승전 대진
Crazy Raccoon vs Team Falcons
경기장
WDG 스튜디오 홍대
}}}}}}}}} ||
결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06314><colcolor=#fff> 우승 파일:Team_Falconslogo_square.webp Team Falcons
준우승 파일:Crazy Raccoon 로고.svg Crazy Raccoon
결승 MVP 최한빈 (Hanbin)
}}}}}}}}} ||
1. 개요2. 참가팀3. 대회 진행4. 결과
4.1. 순위표4.2. 총평
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2025년 3월 6일부터 16일까지 진행되는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스테이지 1의 아시아 지역 메인 이벤트.

2. 참가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333e48> 파일:OWCS_Asia_2025_icon_darkmode.png 2025 OWCS
아시아 스테이지 1

참가팀
}}} ||
KOREA S1 TOP 4
파일:Crazy Raccoon 로고.svg 파일:ZETA DIVISION.svg파일:ZETA DIVISION_white.svg 파일:Team_Falconslogo_square.webp 파일:WAY_allmode.png
Crazy Raccoon ZETA DIVISION Team Falcons Team WAY
PACIFIC S1 TOP 2 JAPAN S1 TOP 2
파일:99DIVINE_light.png파일:99DIVINE_dark.png 파일:MFC_allmode.png 파일:VARREL_lightmode.png파일:VARREL_darkmode.png 파일:VortexWolf_logo.png
99DIVINE Miku Fan Club VARREL VortexWolf

2.1. 로스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스테이지 1/로스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스테이지 1/로스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스테이지 1/로스터#|]][[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스테이지 1/로스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대회 진행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bgcolor=#FFFFFF><tablebordercolor=#333e48> 파일:OWCS_Asia_2025_icon_darkmode.png 2025 OWCS 아시아 스테이지 1
경기 일정
}}} ||
<colbgcolor=#f06314><colcolor=#fff> 그룹 스테이지
(3/6~3/9)
A조 B조
플레이오프
(3/15~3/16)
플레이오프 결승전
결산


그룹 스테이지에서는 2개의 조로 나뉘어 Ft3(3선승) 싱글 라운드 로빈을 치루고 상위 2팀은 플레이오프 진출, 나머지는 탈락한다.

플레이오프는 4강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이며 모든 경기는 Ft4(4선승)으로 진행한다. 결승전에 진출한 두 팀은 챔피언스 클래시에 진출한다.

3.1. 맵 풀

<rowcolor=#fff> 쟁탈 혼합 밀기 플래시포인트 호위
오아시스 눔바니 뉴 퀸 스트리트 뉴 정크 시티 66번 국도
리장 타워 블리자드 월드 이스페란사 수라바사 감시 기지: 지브롤터
사모아 파라이수 콜로세오 리알토
남극 반도 왕의 길 하바나

3.2. 그룹 스테이지

파일:OWCS_Asia_2025_icon_darkmode.png 그룹 스테이지 A조 순위표
<rowcolor=#fff> 순위 득실차 비고
1 파일:Crazy Raccoon 로고.svg CR 3 0 +9 무실 세트 전승
2 파일:WAY_allmode.png WAY 2 1 +3
3 파일:99DIVINE_light.png파일:99DIVINE_dark.png 99D 1 2 -3
4 파일:VortexWolf_logo.png VOR 0 3 -9 무득 세트 전패
초록색: 플레이오프 진출 | 노란색: PO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include(틀: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스테이지 1/그룹 스테이지/B조 순위표
)]

3.3. 플레이오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333e48> 파일:OWCS_Asia_2025_icon_darkmode.png 2025 OWCS 아시아 스테이지 1
플레이오프 대진표
}}} ||
1라운드 2라운드 3라운드 결승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1 (3/14)
CR
A조 1위
파일:Crazy Raccoon 로고.svg 4
<nopad>
ZETA
B조 2위
파일:ZETA DIVISION.svg파일:ZETA DIVISION_white.svg 1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UBF (3/15)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Crazy Raccoon 로고.svg 4
파일:Team_Falconslogo_square.webp 0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Grand Finals (3/16)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Crazy Raccoon 로고.svg 2
파일:Team_Falconslogo_square.webp 4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2 (3/14)
FLC
B조 1위
파일:Team_Falconslogo_square.webp 4
WAY
A조 2위
파일:WAY_allmode.png 0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LBSF (3/15)
<colbgcolor=#f5f5f5,#282828>
M1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ZETA DIVISION.svg파일:ZETA DIVISION_white.svg 4
M2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WAY_allmode.png 0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LBF (3/16)
<colbgcolor=#f5f5f5,#282828>
UBF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Team_Falconslogo_square.webp 4
파일:ZETA DIVISION.svg파일:ZETA DIVISION_white.svg 0 }}}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노란색: 우승

3.4. 결승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스테이지 1/결승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스테이지 1/결승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스테이지 1/결승전#|]][[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스테이지 1/결승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결과

4.1. 순위표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333e48> 파일:OWCS_Asia_2025_icon_darkmode.png 2025 OWCS
아시아 스테이지 1

순위표
}}} ||
순위 상금 시드
1위 파일:Team_Falconslogo_square.webp Team Falcons $10,500 챔피언스 클래시
2위 파일:Crazy Raccoon 로고.svg Crazy Raccoon $6,300
3위 파일:ZETA DIVISION.svg파일:ZETA DIVISION_white.svg ZETA DIVISION $4,200
4위 파일:team_way_logo.png Team WAY
5-6위 파일:99DIVINE_light.png파일:99DIVINE_dark.png 99DIVINE $2,450
파일:VARREL_lightmode.png파일:VARREL_darkmode.png VARREL
7-8위 파일:VortexWolf_logo.png VortexWolf $2,100
파일:MFC_allmode.png Miku Fan Club

4.2. 총평

코리아에 이어 라쿤에게 8:0으로 절망적인 패배를 맞았던 과거를 보상받듯, 아시아 스테이지에서 라쿤을 꺾고 당당히 우승을 차지했다. 정규 시즌과 플레이오프 내내 불안정한 폼과 운영을 보여주며 팬들을 긴장하게 만들었지만, 큰 무대에 익숙하고 노련한 선수들의 집중력을 끝까지 발휘한 노력과 정신력이 특히 고평가 받는다.[2]

코리아 결승에 이어 아시아 결승 직전까지 압도적인 스코어로 내리 4:0 ~ 4:1 승리를 만들어냈으나, 아쉽게도 우승을 차지하지는 못했다. 준빈과 희상이 분전했고 슈 역시 좋은 폼을 보였으나, 팀의 기둥인 립의 기량은 작년에 비해 다소 약화되었고, 특히 결승에 이르러서는 전까지 안정적이었던 초롱이 팔콘의 집요함에 말리는 모습을 많이 보였다.

플로라의 고점 돌파와 빠른 특전 이해로 초반에 앞서나간 제타지만, 결국 아시아에서 3위의 저주에서 빠져나오지 못했다. 특히 불안정한 바이올렛의 폼이나 서브 탱커밖에 소화할 수 없는 베르나르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점도 크게 작용했다.

스폰서도 없는 팀이 자력으로 아시아까지 진출했다는 점에 의의를 두어야 할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아시아 3강의 벽은 높았다는 것을 증명이라도 하듯, 팔콘-라쿤-제타에게 모두 속수무책으로 깨지며 4위를 기록했다. 발전 가능성 또한 여전히 높게 평가되고 있다.

작년 임금 체불 문제로 해체한 블리드 이스포츠의 PaLee와 Ace를 영입하며 퍼시픽 슈퍼팀을 구성한 99디바인이었지만, 코리아의 벽을 넘기엔 모자름이 많았다. 더도말고 덜도말고 딱 시청자들의 기대치 만큼의 순위를 기록하며 스테이지 1을 마무리했다.

일본 팀 최초로 공식전에서 퍼시픽을 꺾어내며 일본 1황의 자존심을 지켜냈다. 그룹 스테이지에서 일본과 퍼시픽의 우승팀들이 각기 다른 조로 갈리는 바람에 99디바인과의 경기를 볼 수 없었던 점에 대해선 아쉽다는 반응이 잦다.

리거 출신 에디슨과 칼리오스의 영입으로 한국 커뮤니티에서도 큰 관심을 받았던 보텍스울프였지만, 퍼시픽의 벽을 넘지 못하고 침몰하며 7-8위를 기록했다.
에디슨과 칼리오스의 체급과 크랙에 기댈 뿐이지 팀적인 움직임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졸전을 펼쳤으며, 재팬의 지난 스테이지 우승자인 라줄리가 4강에서 바렐을 먼저 만나 떨어진 덕분에 어부지리로 아시아에 진출할 수 있었다는 악평을 들었다.
특히 라줄리는 보텍스울프를 처참하게 깨트린 99디바인을 올해 초 중국에서 열린 프로체이서 시즌 3에서 3-2로 꺾은 바 있기에 라줄리가 올라왔어야 했다는 이야기가 많다.

이번 스테이지부터 퍼시픽에 참여가 가능해진 호주의 로컬 팀으로, 참가 첫 시즌에 퍼시픽 준우승을 달성하는 쾌거를 이룩했으나, 아시아 시작 직전에 Neuu의 성추문으로 인한 인원 변동으로 좋지 않은 분위기에서 대회를 맞이한 것은 유감스러운 부분이다.
결국 바렐에게 패배하며 퍼시픽 및 호주 최초로 일본에게 승리를 내어주게 되었지만, 그룹스테이지 내내 평소 잘 쓰이지 않는 정크랫 등의 픽을 들고와 시청자들에게 재미를 선사해줬다는 점에선 호평이 자자하다.

5. 여담

6. 둘러보기


||<-5><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0><tablewidth=100%> 파일:OWCS_logo.png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
<colbgcolor=#333e48><colcolor=#fff> 스테이지 1 파일:OWCS_Asia_2025_icon_lightmode.png파일:OWCS_Asia_2025_icon_darkmode.png 아시아 (코리아 · 재팬 · 퍼시픽) 파일:중국 국기.svg 챔피언스 클래시
파일:OWCS_China_2025_icon_lightmode.png파일:OWCS_China_2025_icon_darkmode.png 차이나 파일:OWCS_EMEA_2025_icon_lightmode.png파일:OWCS_EMEA_2025_icon_darkmode.png EMEA 파일:OWCS_NA_2025_icon_lightmode.png파일:OWCS_NA_2025_icon_darkmode.png NA
스테이지 2 파일:OWCS_Asia_2025_icon_lightmode.png파일:OWCS_Asia_2025_icon_darkmode.png 아시아 (코리아 · 재팬 · 퍼시픽)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미드시즌 챔피언십
파일:OWCS_China_2025_icon_lightmode.png파일:OWCS_China_2025_icon_darkmode.png 차이나 파일:OWCS_EMEA_2025_icon_lightmode.png파일:OWCS_EMEA_2025_icon_darkmode.png EMEA 파일:OWCS_NA_2025_icon_lightmode.png파일:OWCS_NA_2025_icon_darkmode.png NA
스테이지 3 파일:OWCS_Asia_2025_icon_lightmode.png파일:OWCS_Asia_2025_icon_darkmode.png 아시아 (코리아 · 재팬 · 퍼시픽) 파일:스웨덴 국기.svg 월드 파이널
파일:OWCS_China_2025_icon_lightmode.png파일:OWCS_China_2025_icon_darkmode.png 차이나 파일:OWCS_EMEA_2025_icon_lightmode.png파일:OWCS_EMEA_2025_icon_darkmode.png EMEA 파일:OWCS_NA_2025_icon_lightmode.png파일:OWCS_NA_2025_icon_darkmode.png NA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fff,#191919>2024 시즌 ||<-2><bgcolor=#333e48> 2025 OWCS 파트너 팀 일람 || 2026 시즌||

[플레이오프] [2] 팔콘의 집중력이 가장 크게 드러난 것이 결승 4세트 지브롤터다. 2분 26초를 남기고 3점을 밀린 뒤, 공격에서 19초가 남는 시점까지 완막 직전에 몰렸으나, 추가 시간에 세 번 도달하고 연달아 3점을 따낸 뒤 연장전에서 승리하는 역대급 명경기를 만들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