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01:37:01

2025 VCT Pacific Kickoff/하위조/2·3라운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5 VCT Pacific Kickoff/하위조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2025 VCT Pacific Kickoff/상위조/준결승·직행전
,
,
,
,
,


1. 개요2. 2라운드
2.1. 1경기 NS 2 : 1 RRQ
2.1.1. 경기 내용
2.1.1.1. 1세트2.1.1.2. 2세트2.1.1.3. 3세트
2.1.2. 총평
2.1.2.1. 하위조 3라운드 진출 - Nongshim RedForce2.1.2.2. 탈락 - Rex Regum Qeon
2.2. 2경기 PRX 0 : 2 DFM
2.2.1. 경기 내용
2.2.1.1. 1세트2.2.1.2. 2세트
2.2.2. 총평
2.2.2.1. 하위조 3라운드 진출 - DetonatioN FocusMe2.2.2.2. 탈락 - Paper Rex
3. 3라운드
3.1. 1경기 TLN 2 : 1 NS
3.1.1. 경기 내용
3.1.1.1. 1세트3.1.1.2. 2세트3.1.1.3. 3세트
3.1.2. 총평
3.1.2.1. 하위조 준결승 진출 - Talon Esports3.1.2.2. 탈락 - Nongshim RedForce
3.2. 2경기 GEN 2 : 0 DFM
3.2.1. 경기 내용
3.2.1.1. 1세트3.2.1.2. 2세트
3.2.2. 총평
3.2.2.1. 하위조 준결승 진출 - Gen.G3.2.2.2. 탈락 - DetonatioN FocusMe
4. 여담

[clearfix]

1. 개요

2025 VCT Pacific Kickoff 하위조의 2라운드 경기 진행 기록을 서술한 문서. 상위 문서의 내용이 너무 길어짐으로 인해 하위 문서로 분리되었다.

2. 2라운드

2.1. 1경기 NS 2 : 1 RRQ

Nongshim RedForce Rex Regum Qeon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 라이트.svg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Rex_Regum_Qeon_allmode.png
파일:NS vs RRQ_250201.jpg

2.1.1. 경기 내용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킥오프 하위조 2라운드 1경기
(2024. 02. 01. 17:00)
Nongshim RedForce 2 1 Rex Regum Qeon
× × ×
하위조 3라운드 진출 결과 탈락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2025 VCT Pacific Kickoff
하위조 2라운드 1경기 라인업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 라이트.svg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colbgcolor=#01d2d7>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파일:Rex Regum Qeon 로고.svg
Nongshim RedForce Rex Regum Qeon
<colbgcolor=#000><colcolor=#fff> 양지온
(Persia)
<colbgcolor=#000><colcolor=#fff> 차야 누그라하
(Monyet)
이혁규
(Dambi)
막심 바토로프
(Jemkin)
김무빈
(Francis)
박건
(Estrella)
박성현
(Ivy)
브라이언 세티아완
(Kushy)
김지우
(margaret)
데이비드 모낭인
(Xffero)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bgcolor=01d2d7, color=fff, ateam=RRQ, bteam=NS,
aban=바인드, bban=어비스, aban2=스플릿, bban2=헤이븐,
p_apic=프랙처, p_bpic=로터스, p_cpic=펄,
1attack=공격, 2attack=수비, 3attack=공격)]
2.1.1.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프랙처, set=1, teamD=RRQ, teamA=NS,
dpic1=네온, dpic2=브림스톤, dpic3=브리치, dpic4=소바, dpic5=킬조이,
apic1=브림스톤, apic2=레이즈, apic3=테호, apic4=브리치, apic5=사이퍼,
dplayer1=Monyet, dplayer2=Jemkin, dplayer3=Estrella, dplayer4=Kushy, dplayer5=Xffero,
aplayer1=Persia, aplayer2=Dambi, aplayer3=Francis, aplayer4=Ivy, aplayer5=margaret,
dScore=<b>14, aScore=12)]
2.1.1.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로터스, set=2, teamD=RRQ, teamA=NS,
dpic1=바이퍼, dpic2=레이즈, dpic3=오멘, dpic4=페이드, dpic5=바이스,
apic1=오멘, apic2=네온, apic3=페이드, apic4=아스트라, apic5=바이스,
dplayer1=Monyet, dplayer2=Jemkin, dplayer3=Estrella, dplayer4=Kushy, dplayer5=Xffero,
aplayer1=Persia, aplayer2=Dambi, aplayer3=Francis, aplayer4=Ivy, aplayer5=margaret,
dScore=20, aScore=<b>22)]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VCT Pacific 최장라운드
LOSS 하위조 2R 1경기 WIN
Rex Regum
Qeon
20 22 Nongshim
RedForce
파일:RRQ vs NS 42 ROUNDS.jpg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VCT Pacific Record Standing
파일:엑스페로 1000킬.jpg
파일:Rex_Regum_Qeon_allmode.png
Xffero 데이비드 모낭인
VCT Pacific 21번째 1000킬 달성
42라운드로 농심이 이기며 퍼시픽 최장라운드가 됐다.[1]
2.1.1.3. 3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펄, set=3, teamD=NS, teamA=RRQ,
dpic1=아스트라, dpic2=네온, dpic3=테호, dpic4=소바, dpic5=바이스,
apic1=피닉스, apic2=제트, apic3=아스트라, apic4=소바, apic5=바이스,
dplayer1=Persia, dplayer2=Dambi, dplayer3=Francis, dplayer4=Ivy, dplayer5=margaret,
aplayer1=Monyet, aplayer2=Jemkin, aplayer3=Estrella, aplayer4=Kushy, aplayer5=Xffero,
dScore=<b>13, aScore=8)]

2.1.2. 총평

파일:250201_NS vs RRQ.jpg
2번의 연장,퍼시픽 사상 최장 라운드 혈투끝에 승리한 농심
2.1.2.1. 하위조 3라운드 진출 - Nongshim RedForce
2.1.2.2. 탈락 - Rex Regum Qeon

2.2. 2경기 PRX 0 : 2 DFM

Paper Rex DetonatioN FocusMe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파일:DFM 로고 2023.svg파일:DFM 로고 2023 화이트.svg
파일:PRX vs DFM_250201.jpg

2.2.1. 경기 내용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킥오프 하위조 2라운드 2경기
(2024. 02. 01. 20:00)
Paper Rex 0 2 DetonatioN FocusMe
× × - -
탈락 결과 하위조 3라운드 진출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2025 VCT Pacific Kickoff
하위조 2라운드 2경기 라인업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colbgcolor=#01d2d7>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파일:DFM 로고 2023.svg파일:DFM 로고 2023 화이트.svg
Paper Rex DetonatioN FocusMe
<colbgcolor=#ff0066><colcolor=#000> 왕징제
(Jinggg)
<colbgcolor=#2462ff><colcolor=#fff> 세키 이부키
(Meiy)
에런 레온하트
(mindfreak)
나카무라 코키
(gyen)
제이슨 수산토
(f0rsakeN)
유광희
(Akame)
할리시 루샤이디
(d4v41)
카가미 코키
(Art)
일리야 페트로프
(something)
김진원
(Jinboong)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bgcolor=01d2d7, color=fff, ateam=DFM, bteam=PRX,
aban=바인드, bban=헤이븐, aban2=스플릿, bban2=로터스,
p_apic=어비스, p_bpic=펄, p_cpic=프랙처,
1attack=공격, 2attack=공격, 3attack=공격)]
2.2.1.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어비스, set=1, teamD=PRX, teamA=DFM,
dpic1=사이퍼, dpic2=오멘, dpic3=소바, dpic4=케이/오, dpic5=제트,
apic1=제트, apic2=오멘, apic3=케이/오, apic4=소바, apic5=아스트라,
dplayer1=Jinggg, dplayer2=mindfreak, dplayer3=f0rsakeN, dplayer4=d4v41, dplayer5=something,
aplayer1=Meiy, aplayer2=gyen, aplayer3=Akame, aplayer4=Art, aplayer5=Jinboobg,
dScore=10, aScore=<b>13)]
2.2.1.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펄, set=2, teamD=DFM, teamA=PRX,
dpic1=제트, dpic2=아스트라, dpic3=케이/오, dpic4=테호, dpic5=킬조이,
apic1=피닉스, apic2=아스트라, apic3=킬조이, apic4=소바, apic5=제트,
dplayer1=Meiy, dplayer2=gyen, dplayer3=Akame, dplayer4=Art, dplayer5=Jinboong,
aplayer1=Jinggg, aplayer2=mindfreak, aplayer3=f0rsakeN, aplayer4=d4v41, aplayer5=something,
dScore=<b>13, aScore=1)]

PRX의 장기였던 펄에서 DFM이 13대1이라는 믿지 못할 스코어로 PRX를 녹아웃시켜버렸다.

이 게임에서 Meiy는 ACS 379를 기록했다.

2.2.2. 총평

파일:250201_PRX vs DFM.jpg

달라진 DFM이 PRX를 집으로 보내버렸다. PRX는 펄에서 완전히 무너져내리며 킥오프에서 탈락하게 되었다.
2.2.2.1. 하위조 3라운드 진출 - DetonatioN FocusMe
2.2.2.2. 탈락 - Paper Rex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VCT Pacific Kickoff/결산 문서
4.8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맵풀에서 PRX의 약점이었던 브리즈, 어센트, 아이스박스가 죄다 없고 펄, 프랙처가 들어온지라 맵풀로만 보면 가장 강력한 우승후보로 점쳐졌지만 절대우위의 상성을 가지고 있던 T1에게 패배, 작년까지만해도 최하위권이었던 DFM에게 완전히 녹아웃당하면서 쓸쓸한 탈락을 하게 되었다.

3. 3라운드

3.1. 1경기 TLN 2 : 1 NS

Talon Esports Nongshim RedForce
파일:Talon Esports 엠블럼.svg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 라이트.svg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TLN vs NS_250202.jpg

3.1.1. 경기 내용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킥오프 하위조 3라운드 1경기
(2024. 02. 02. 17:00)
Talon Esports 2 1 Nongshim RedForce
× × ×
하위조 준결승 진출 결과 탈락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2025 VCT Pacific Kickoff
하위조 3라운드 1경기 라인업
파일:Talon Esports 엠블럼.svg <colbgcolor=#01d2d7>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 라이트.svg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Talon Esports Nongshim RedForce
<colbgcolor=#000><colcolor=#fff> 피터 노
(Governor)
<colbgcolor=#000><colcolor=#fff> 양지온
(Persia)
조셉 승민 오
(ban)
이혁규
(Dambi)
타나멧 마하타나누윳
(Crws)
김무빈
(Francis)
빠파팟 시파파
(Primmie)
박성현
(Ivy)
찌타나 녹남
(JitBoyS)
김지우
(margaret)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bgcolor=01d2d7, color=fff, ateam=NS, bteam=TLN,
aban=어비스, bban=펄, aban2=헤이븐, bban2=프랙처,
p_apic=로터스, p_bpic=바인드, p_cpic=스플릿,
1attack=공격, 2attack=수비, 3attack=공격)]
3.1.1.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로터스, set=1, teamD=NS, teamA=TLN,
dpic1=오멘, dpic2=네온, dpic3=페이드, dpic4=아스트라, dpic5=바이스,
apic1=레이즈, apic2=데드록, apic3=페이드, apic4=클로브, apic5=오멘,
dplayer1=Persia, dplayer2=Dambi, dplayer3=Francis, dplayer4=Ivy, dplayer5=margaret,
aplayer1=Governor, aplayer2=ban, aplayer3=Crws, aplayer4=Primmie, aplayer5=JitBoyS,
dScore=<b>13, aScore=9)]
3.1.1.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바인드, set=2, teamD=NS, teamA=TLN,
dpic1=브림스톤, dpic2=네온, dpic3=페이드, dpic4=바이스, dpic5=바이퍼,
apic1=레이즈, apic2=게코, apic3=페이드, apic4=데드록, apic5=아스트라,
dplayer1=Persia, dplayer2=Dambi, dplayer3=Francis, dplayer4=Ivy, dplayer5=margaret,
aplayer1=Governor, aplayer2=ban, aplayer3=Crws, aplayer4=Primmie, aplayer5=JitBoyS,
dScore=10, aScore=<b>13)]
3.1.1.3. 3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스플릿, set=3, teamD=TLN, teamA=NS,
dpic1=레이즈, dpic2=사이퍼, dpic3=스카이, dpic4=데드록, dpic5=아스트라,
apic1=아스트라, apic2=네온, apic3=테호, apic4=브리치, apic5=사이퍼,
dplayer1=Governor, dplayer2=ban, dplayer3=Crws, dplayer4=Primmie, dplayer5=JitBoyS,
aplayer1=Persia, aplayer2=Dambi, aplayer3=Francis, aplayer4=Ivy, aplayer5=margaret,
dScore=<b>13, aScore=5)]

3.1.2. 총평

파일:250202_TLN vs NS.jpg
3.1.2.1. 하위조 준결승 진출 - Talon Esports
한층 업그레이드 된 로스터로 우승후보에 진입한 T1을 벼랑 끝 까지 몰아붙인게 운이 아니었음을, 소년만화를 써내려가던 농심을 제압하며 증명하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게 되었다. 이로써 탈론은 킥오프 최소 4위[2]를 확보한다.
3.1.2.2. 탈락 - Nongshim RedForc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VCT Pacific Kickoff/결산 문서
4.5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전 시즌 챌린저스 코리아 우승, 2024 퍼시픽 어센션 우승으로 1부리그에 진입한 후 제타, 붐 이스포츠, RRQ를 잡으며 소년만화를 써내려 간 농심이지만 강렬한 저항에도 탈론을 꺾지 못하며 탈락하게 되었다.
그러나 여러 선수들의 성장 가능성을 비추며 다음 스테이지 1을 기대하게 만들었다.

3.2. 2경기 GEN 2 : 0 DFM

Gen.G DetonatioN FocusMe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DFM 로고 2023.svg파일:DFM 로고 2023 화이트.svg
파일:GEN vs DFM_250202.jpg

3.2.1. 경기 내용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킥오프 하위조 3라운드 2경기
(2024. 02. 02. 20:00)
Gen.G 2 0 DetonatioN FocusMe
- × × -
하위조 준결승 진출
결과 탈락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2025 VCT Pacific Kickoff
하위조 3라운드 2경기 라인업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colbgcolor=#01d2d7>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파일:DFM 로고 2023.svg파일:DFM 로고 2023 화이트.svg
Gen.G DetonatioN FocusMe
<colbgcolor=#aa8a00><colcolor=#000> 김나라
(t3xture)
<colbgcolor=#2462ff><colcolor=#fff> 세키 이부키
(Meiy)
채영문
(yoman)
나카무라 코키
(gyen)
변상범
(Munchkin)
유광희
(Akame)
김원태
(Karon)
카가미 코키
(Art)
정재성
(Foxy9)
김진원
(Jinboong)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bgcolor=01d2d7, color=fff, ateam=DFM, bteam=GEN,
aban=바인드, bban=프랙처, aban2=스플릿, bban2=펄,
p_apic=어비스, p_bpic=로터스, p_cpic=헤이븐,
1attack=공격, 2attack=공격, 3attack=공격)]
3.2.1.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어비스, set=1, teamD=DFM, teamA=GEN,
dpic1=제트, dpic2=오멘, dpic3=케이/오, dpic4=소바, dpic5=아스트라,
apic1=제트, apic2=소바, apic3=케이/오, apic4=오멘, apic5=사이퍼,
dplayer1=Meiy, dplayer2=gyen, dplayer3=Akame, dplayer4=Art, dplayer5=Jinboong,
aplayer1=t3xture, aplayer2=yoman, aplayer3=Munchkin, aplayer4=Karon, aplayer5=Foxy9,
dScore=6, aScore=<b>13)]

DFM이 3전전승을 기록하고 있던 어비스지만 DRX전 패배 이후 절치부심한 젠지가 그 기록을 깨버리며 승리했다.
3.2.1.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로터스, set=2, teamD=GEN, teamA=DFM,
dpic1=레이즈, dpic2=페이드, dpic3=바이퍼, dpic4=오멘, dpic5=킬조이,
apic1=레이즈, apic2=아스트라, apic3=바이스, apic4=오멘, apic5=페이드,
dplayer1=t3xture, dplayer2=yoman, dplayer3=Munchkin, dplayer4=Karon, dplayer5=Foxy9,
aplayer1=Meiy, aplayer2=gyen, aplayer3=Akame, aplayer4=Art, aplayer5=Jinboong,
dScore=<b>13, aScore=6)]

원래부터 젠지의 장점이었던 로터스지만 오늘의 젠지는 그것보다도 더 발전된 로터스를 보여주었다.

3.2.2. 총평

파일:250202_GEN vs DFM.jpg
3.2.2.1. 하위조 준결승 진출 - Gen.G
DRX전에서 패배하며 하위조로 내려온 젠지가 저점에서 벗어나며 탈론을 만나러 가게 되었다. 젠지의 로터스가 여전히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고, 어비스에서도 승리를 거뒀다는 점은 희소식이지만 그 외의 맵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폭시나인의 성장세가 매섭다는 점은 앞으로의 일정에서 희망적인 소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젠지는 최소 4위를 확보하며 킥오프에서 챔피언스 포인트를 확보했다.[3]
3.2.2.2. 탈락 - DetonatioN FocusM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VCT Pacific Kickoff/결산 문서
4.6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PRX전을 승리하며 젠지에게 도전장을 내밀었던 일본의 희망 DFM이지만 앵그리 젠지의 무력에 무릎을 꿇고 킥오프 일정을 마무리하게 되었다.

4. 여담



[1] 이전 최장 라운드는 2023 Pacific LCQ ZETA VS RRQ의 40라운드였다.[2] 챔피언스 포인트 최소 1점[3] 우승팀 3점, 준우승팀 2점, 3위/4위 1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97
, 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97 (이전 역사)
문서의 r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