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7 23:38:30

Paper Rex/발로란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Paper Rex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D2D7,#01D2D7><tablebgcolor=#01D2D7,#01D2D7> 파일:VCT Pacific 로고 화이트.svgVCT Pacific
참가팀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파일:Rex Regum Qeon 로고.svg 파일:Talon Esports 엠블럼.svg 파일:T1 로고.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Paper Rex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Rex Regum Qeon 파일:태국 국기.svg Talon Esport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1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 라이트.svg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DFM 로고 2023.svg파일:DFM 로고 2023 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R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Nongshim RedForc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en.G 파일:일본 국기.svg DetonatioN FocusMe
파일:ZETA DIVISION.svg파일:ZETA DIVISION_white.svg 파일:Team Secret 아이콘.svg파일:Team Secret 아이콘 white.svg 파일:Global_Esports_2020_allmode.png 파일:BOOM_Esports_logo.png
파일:일본 국기.svg ZETA DIVISION 파일:필리핀 국기.svg Team Secret 파일:인도 국기.svg Global Esports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BOOM Esports
파일:VCT Americas 로고 화이트.svg 파일:VCT CN 로고 화이트.svg 파일:VCT EMEA 로고 블랙.svg 파일:VCT Pacific 로고 화이트.svg
대한민국 발로란트 프로게임단일본 발로란트 프로게임단SEA 발로란트 프로게임단활동 중인 발로란트 프로게임단 }}}}}}}}}'''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colbgcolor=#000><colcolor=#fff> 페이퍼 렉스
Paper Rex
창단 2020년 7월 20일
소속 리그 VCT Pacific
설립자 니킬 하티라마니
nikH
|매튜 조조네고로
Djojo
|할레위 외르발
dsn
매니저 조슈아 데미안 푹
JdFaker
감독 [[알렉상드르 살레|알렉상드르 살레
alecks
]]
코치 [[라이준 청|라이준 청
Panda
]]
주장 [[제이슨 수산토|제이슨 수산토
f0rsakeN
]]
약칭 PRX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기록
Masters
(1회)
2025 TR
VCT Pacific
(3회, 최다)
2023, 2024 S1, 2025 S2
VCL APAC
(2회)
2022 S1, 2022 S2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000><colcolor=white> ACTIVE 파일:crwn.pn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0. [[제이슨 수산토|제이슨 수산토
f0rsakeN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7. [[할리시 루샤이디|할리시 루샤이디
d4v41
]]
파일:러시아 국기.svg 11. [[일리야 페트로프|일리야 페트로프
something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3. [[왕징제|왕징제
Jinggg
]]
파일:필리핀 국기.svg 5. [[패트릭 멘도사|패트릭 멘도사
PatMen
]]
INACTIVE 10.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에런 레온하트|에런 레온하트
mindfreak
]]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1. 개요2. 상세3. 주요 경력4. 역사
4.1. 2021년4.2. 2022년4.3. 2023년4.4. 2024년4.5. 2025년
5. 평가6. 특징7. 성적8. 구성원
8.1. 로스터 연혁8.2. 스태프 연혁
9. VCT 팀 캡슐 : PRX
9.1. 2024년9.2. 2025년
10. 여담11. 둘러보기

1. 개요

파일:Paper Rex 로고.svg
파일:2025 VCTP Kickoff PRX.jpg
#WGAMING
Paper Rex 소속 싱가포르의 발로란트 프로게임단. 팀 약자는 PRX.

2. 상세

2020년 CS:GO의 프로팀 Paper Rex가 2021년 2월 7일 주 종목을 발로란트로 전향하면서 VCT에 참가했다.

초창기에는 그렇게 유명한 팀도 아니고 뜨는 팀도 아니였지만 점차 여러 리그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인기가 생기고 팬층이 생기게 되었다.

2023 퍼시픽 리그가 만들어졌을 당시 우승하며 퍼시픽의 원조 강호가 되었으나, 챔피언스 결승에선 아쉽게 미끄러져 패배하고 말았다.

그 후 2024 시즌에선 첫 퍼시픽 국제전 우승을 젠지에게 뺏기고 말았으나 최근 마스터스 토론토에서 첫 국제전 트로피를 거머쥐며 성불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북미의 강팀 Sentinels와 함께 VCT에서 가장 팬이 많은 팀으로 불린다.

3. 주요 경력

우승 경력
2022 VALORANT Challengers APAC Stage 1 우승
2022 VALORANT Challengers APAC Stage 2 우승
대회 출범 Paper Rex 대회 개편
2023 VCT Pacific 우승
대회 출범 Paper Rex Gen.G
2024 VCT Pacific Stage 1 우승
Gen.G Paper Rex Gen.G
발로란트 레디언트 아시아 인비테이셔널 우승
대회 출범 Paper Rex 미정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우승
T1 Paper Rex 미정
2025 VCT Pacific Stage 2 우승
Rex Regum Qeon Paper Rex 미정
준우승 경력
2022 발로란트 마스터스 코펜하겐 준우승
LOUD Paper Rex Evil Geniuses
2023 발로란트 챔피언스 로스앤젤레스 준우승
OpTic Gaming Paper Rex Team Heretics
AfreecaTV VALORANT LEAGUE 준우승
대회 출범 Paper Rex Gen.G
2024 VCT Pacific Kickoff 준우승
대회 출범 Paper Rex Gen.G
Asian Champions League 2025 준우승
대회 출범 Paper Rex 미정
VCT Pacific Players Of The Year 수상
2023 VCT Pacific 1st Sentinel of the Year

4. 역사

4.1. 2021년

2021년에는 챌린저스 우승도 X10과 Bren에게 내주며 다 놓치고 스테이지 3 마스터즈는 광탈, LCQ에서도 담원에 패해 챔피언스 진출도 놓치며 아쉬운 성적을 거두게 되었다.

4.2. 2022년

2022년 2번의 챌린저스를 모두 우승하고 마스터스 레이캬비크에서 4위를 기록하는 등 점점 성장하는 중이다. 마스터스 코펜하겐에서 VCT 사상 처음으로 아시아 팀으로서의 결승 진출까지 성공했는데, 서양의 강호들인 Guild Esports, FnaticOpTic Gaming을 연달아 쓰러뜨리는 파괴적인 경기력을 보여줬고 결승에서도 FPX를 상대로 풀세트 접전까지 간 끝에 준우승을 거뒀다. 아쉽게도 2022 챔피언스는 16강의 벽을 넘지 못하고 탈락.

4.3. 2023년

2023년 VCT 퍼시픽 파트너 팀에 선정되었다. 리그 개막을 앞두고 러시아 국적의 특급 유망주 썸띵을 영입했고, 퍼시픽 리그 3주차 T1전에서 강렬한 데뷔전을 치르며 PRX의 새로운 에이스 카드로 자리잡았다.

2023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 결승전에서 DRX를 상대로 패패승승승 역스윕을 성공하며 VCT 퍼시픽 초대 우승팀이 되었다.

마스터스 도쿄를 앞두고 벤카이가 로스터에서 말소되었고 씨가렛을 식스맨으로 올렸으나 썸띵이 비자 문제로 마스터스에 불참하게 되었다. 이에 씨가렛이 풀타임으로 출전했음에도 DRX, EDG, NRG를 꺾고 3위를 기록하는 저력을 보여줬다.

2023 챔피언스 로스앤젤레스에서는 엄청난 경기력을 바탕으로 강팀을 차례차례 잡아내며 결승무대에 올랐지만 폼이 오를대로 올라버린 미친 EG에게 3:1로 패배하며 아쉽게 준우승으로 마무리하게 되었다. 하지만 작년과 비교해 매우 좋은 성적을 거뒀으며 세계 무대에서 퍼시픽 1시드의 저력을 보여줬다.

시즌 후 벤카이가 팀을 떠나고, Monyet을 영입했다.

4.4. 2024년

2024시즌을 앞두고 세계 최고의 레이즈로 평가되는 찡의 이탈로 PRX 특유의 속공 스타일에 큰 의문부호가 생겼다. 실제로 비시즌 중 개최된 서드파티 대회에서 몬옛이 엔트리를 잡았을 때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고, 보통 1선에 서지 않는 썸띵 또한 같이 부진한 모습이 보인데다가 이러한 모습들이 이어져 VCT 킥오프에서 젠지에게 3대1로 패해 우승을 놓쳐 우려가 실제가 되는 듯 했으나

...킥오프 이후 찡이 군 입대 후 신체검사에서 복무 부적격 판정을 받으면서 제대했고 국제리그 중심으로 진행되는 VCT 참여에도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팀에 복귀했다. 찡의 복귀와 함께 PRX는 자신들의 최대무기인 돌진조합을 완전히 운영할 수 있게 되었고 찡이 잠시 자리를 비운 탓에 기복있는 모습을 보이기는 했으나 결국 퍼시픽 스테이지1 결승에서 젠지를 상대로 3대2 설욕이 성공하며 우승을 다시 되찾아왔다. 찡의 합류로 PRX는 팀 색깔을 완벽하게 복구하고 순식간에 대권을 노리는 팀으로 발돋움한 줄 알았으나 마스터스 상하이에서 첫 경기부터 G2에게 패배해서 패자조로 내려가더니 결국 100T에게 패배하며 대권에서 오히려 멀어져버렸다. 마스터스는 같은 퍼시픽 팀인 젠지가 우승하며 퍼시픽의 첫 우승을 일궈내는 것을 쓸쓸하게 구경만 할 수밖에 없었던 PRX였다.

이후 VCT 퍼시픽 스테이지 2가 시작되자 PRX는 TLN,DRX,RRQ 등의 팀들을 전부 꺾고,스테이지 2에서 단 한번도 패배하지 않았다.이후 정규 시즌 결과에서 총 매치 승패 9-1이라는 무시무시한 성적을 보여주고 챔피언스 포인트마저 15점으로 챔피언스 진출을 확정짓게 되었다. 하지만 PO에서는 2라운드에서 젠지에게 2:0 재설욕을 당하며 패자조 진출. 3라운드에서 TLN을 잡아먹으며 결승 진출전에 올라갔지만 DRX에게 리버스 스윕을 허용하며 퍼시픽 리그 첫 결승 진출 좌절과 챔피언스 3시드라는 다소 아쉬운 결과를 받아들이게 됐다.

그렇게 시작된 챔스에서 EDG, G2, FUT이라는 심상치 않은 조에 묶이더니 G2에게 상하이에 이어 또다시 무기력하게 패배하며 패자조로 내려갔고, 거기서 FUT을 잡아내고 최종전에서 맞닥뜨린건 EDG. 상성이 괜찮은 팀이니만큼 PRX의 우세가 점쳐졌고 1세트를 압도적으로 선취할 때까지만 해도 역시 PRX구나 싶었다. 하지만 2세트부터 흔들리기 시작하더니 3세트 로터스에서는 아예 박살이 나버리며 챔스 조별 탈락이라는 결과를 받아들었다. 여러모로 아쉬운 1년을 보낸 PRX이다.

PRX의 장점 중 하나는 모두가 클러치가 가능하고 미친 듯한 고점을 가진 팀이라는 것인데, 이번 챔스에서는 쭉 상수의 폼을 유지해준 마인드프릭을 제외하고는 모두 폼이 들쭉날쭉하였다.

중국 청두에서 열린 발로란트 레디언트 아시아 인비테이셔널에선 찡이 데드록을 기용하기도 하며 다바이와 썸띵의 소바 포세이큰의 네온등 달라진 조합을 가져왔다.GEN.G와 DFM에게 패배하긴 했으나 EDG를 상대로 복수에 성공하였으며 이후 패자조 결승에서 TE를 상대로 3:0으로 꺾는 저력을 보여주었다.결승에선 자신들에게 패배를 안겨준 DFM을 만났고 3:1의 스코어로 승리하며 아시아 인비테이셔널의 초대 우승자가 되었다.

4.5. 2025년

로스터를 그대로 유지하긴 했으나, 작년 중반부를 기점으로 점점 기량이 우하향하고 있었기에 팬들의 우려가 상당하다. 어쨌든 슈퍼 플렉스인 포세이큰과 요원 폭 문제는 없는 마인드프릭을 제외한 나머지 선수들, 특히 썸띵이 요원 폭을 넓혀오지 못한다면 올해도 작년과 비슷한 성적 혹은 작년보다 못한 성적으로 추락할 것이라는 평가가 대세.

그리고 퍼시픽 킥오프에서 1승 2패로 광탈하면서 우려가 현실이 되고 말았다. 이때까지 상대전적에서 압도적으로 우세를 점하고 있던 인간상성 T1을 상대로 처음으로 1:2로 패배하며 패자조로 내려갔고, 패자조에서 퍼시픽의 동네북 제타는 잡아냈으나 마찬가지로 퍼시픽 동네북 팀들 중 하나였던 DFM에게 0:2 스윕으로 패배[1], 심지어 2세트 펄에서는 13:1이라는 충격적인 스코어로 패배[2]하면서 시청자들에게 충격을 선사했다.

팀 내부에서도 이러한 결과가 상당히 충격적이였는지 3월 4일에 새 선수인 팻맨을 영입했다. 현재의 로스터로는 점점 한계가 명확해져가는 모양새라 어떻게든 변화를 주려는 모양.

퍼시픽 스테이지 1에서는 팻맨을 바로 출전시키지 않고 기존 멤버들로 경기를 치루고 있다. 찡의 오멘테호, 마인드프릭의 사이퍼, 썸띵의 소바, 포세이큰의 웨이레이라는 새로운 시도를 선보였으나 DRX젠지에게 연달아 패배하면서 요원 폭 문제가 여전하다는 것을 보여줬다. 찡과 썸띵은 새로운 요원에 적응하지 못하며 부진했고, 다바이스카이의 너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던 폼이 완전히 바닥을 찍었는지 극심한 부진에 시달리고 있으며, 마인드프릭 역시 대부분의 경기에서 마이너스를 찍으며 조용히 못하는 중이다. 어떤 요원을 하던 에이스급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포세이큰이 간신히 팀을 지탱하고 있는 상황. 팬들은 이럴 거면 큰 맘 먹고 팻맨을 투입해보는 게 어떻냐는 반응을 보이는 중이다.

세 번째 경기인 BME전에서 마인드프릭을 빼고 팻맨을 투입했으나 결과는 1:2로 패배. 팻맨이 긴급 투입치고는 나쁘지 않은 활약을 보여주긴 했으나 그 이상의 활약을 보여주진 못했고, 다바이의 폼은 여전히 좋지 못했으며 썸띵이 테호를 픽하며 척후대로서의 역할도 소화하려고 노력 중이지만 여전히 아쉬운 모습이다. 그나마 찡이 연막으로 포변한 이후 나름 준수한 샷을 보여주는 중이고 포세이큰도 건재하다는 것이 위안.

DFM과의 멸망전에서는 1세트 어센트에서 역전패를 당하며 4연패 분위기였으나 로터스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고, 펄에서 찡이 오랜만에 하드 캐리를 하며 명경기 끝에 승리를 거뒀다. 이로써 GE만 이기면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GE전에서 오랜만에 깔끔한 경기력으로 완승하여 알파 그룹 4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썸띵의 요루는 개그 수준이였지만 다바이가 플레이오프를 앞두고 오랜만에 고점을 띄워주면서 플레이오프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플레이오프에서는 T1전에서 1세트에서 처참한 모습을 보여주며 끝인 듯 싶었으나, 이어진 2, 3세트에서 압도적인 모습으로 승리한다. 그 다음 경기인 붐전에서는 마치 2023년의 재림과도 같은 모습으로 알파 그룹 전승의 붐을 2:0으로 완파하며 DRX와의 경기를 앞두게 된다. 그 후 DRX전에서 2세트 모두 압도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마스터스 토론토에 진출하게 되었고, 아쉽게도 결승 진출전에서 RRQ에게 3세트를 내어준 스노우볼로 패배해 EWC 직행권과 토론토 2시드 이상의 티켓은 놓쳤으나 모든 선수들이 다시 한 번 고점을 띄우며 팀합 또한 초기에 비하면 매우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죽음의 문턱에서 살아돌아와 마스터스 진출권을 따낸 것만으로도 PRX에겐 나름 만족스러운 결과가 되었다.

이후 마스터스 토론토에서는..
개막전인 TH전부터 썸띵의 칼찌 뒤치기 플레이,이후 확실히 이전과는 다른 경기력을 제대로 보여주며 2대0으로 승리한다. 이후 GEN과 퍼시픽 내전을 벌이지만 2대0으로 패배, 이어진 플레이오프 진출전에선 상대팀인 TL과의 3세트 로터스에서
11:1이라는 압도적인 점수 차를 보여주며 안정적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줄 알았으나..

놀랍게도 그 이후 12:12까지 따라잡혔다가 14:12로 겨우 승리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게 된다.

플레이오프에선 첫 경기 상대로 G2를 만난 뒤 2대0으로 승리해 작년 2024 챔피언스 서울에서의 리벤지를 성공하고, 이어지는 SEN과의 경기에선 찡의 하드캐리와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밀어붙이며 또다시 승리하게 된다.[3] 그리고 결승 진출전에서 WOL을 만난 뒤 승리하며 2023 챔피언스 LA 이후 약 2년만에 국제대회 결승전에 진출하게 되었다.
결승전에서 만난 FNC와의 경기, 1세트 선셋은 두 팀 모두 치열하게 경쟁하는 모습을 보여주다가 11:12 PRX의 매치 포인트 상황에서 미친 크랙[4]을 보여주며 승리하고, 2세트 아이스박스는 프나틱이 먼저 7:12로 매치포인트를 가져갔음에도 5연승으로 따라잡았지만, 결국 15:17로 프나틱의 승리로 끝난다. 3세트 펄에선 5:9 스코어의 상황에서 PRX가 거의 8연승을 해내며 13:10으로 승리, 4세트 로터스에선 11:7로 우위를 점했으나 프나틱이 12점까지 따라잡으며 먼저 매치 포인트를 가져간다. 하지만 11점에서 1점을 따내며 연장전을 만들고, 연장전 끝에 14:12로 결국 PRX가 승리하며 마스터스 토론토의 챔피언이 된다.
2025 초 VCT 퍼시픽 킥오프에서부터 암흑기를 보내던 PRX가 모두의 평가와 예상을 깨고 퍼시픽에서 3번째 국제대회 트로피를 들며 자신들을 증명하는 순간이였다.

이후 이어진 EWC 2025에선 프나틱에게 리벤지를 허용하긴 했으나 전체 순위 4위라는 준수한 성적으로 마무리했다.

이에 쉴 틈도 없이 이어지는 경기인 VCT 퍼시픽 스테이지 2[5]의 첫번째 경기 시점의 PRX는 마스터스 토론토와 EWC의 마지막 날 일정까지 전부 소화한 뒤 한국으로 귀국한 상태에서 휴식을 취하지 못한 채 경기에 임하기 때문에 부진할 거란 평가가 많았으나, 그런 컨디션 이슈에도 불구하고 바로 전 마스터스 우승 팀이였던 T1을 2대0으로 잡아내는 모습을 보였다. T1과의 경기 이후 PRX는 이전 퍼시픽 킥오프,스테이지 1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그룹 스테이지에 임하며 DFM,BME를 2대0으로 잡아내긴 했으나 그룹 스테이지 3승이였던 PRX와 반대로 3패를 달리는 중이였던 ZETA에게 2대0으로 패배하고 만다. ZETA와의 경기에서 확실히 조금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그래도 TLN과의 경기에선 정신을 차렸는지 2대0 승리, 4승 1패로 오메가 조의 1시드를 차지한다.

그리고 플레이오프 첫경기에서 T1을 상대로 2대0 승리하며 퍼시픽에서 첫번째 챔피언스 파리행 티켓을 얻게 된다. 그리고 결승직행전으로 올라온 탈론과의 경기에서도 2대0으로 승리하면서 결승전에 진출했다. 이후 결승전에서 탈론을 누르고 올라온 RRQ를 상대로 3대1 승리, 리벤지에 성공하고 2024 스테이지 1 이후 1년만에 퍼시픽에서 우승하며 챔피언스 파리의 1시드를 가져가게 됐다.

5. 평가

#W GAMING
#Track By Track
VCT 퍼시픽의 초대 우승자인 만큼 여러 리그에서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며 퍼시픽의 강함을 증명하는 팀이다.

PRX가 국제 대회에서 보여주는 퍼포먼스 또한 엄청난데, 2022 시즌에 첫 국제전 결승전인 마스터스 코펜하겐에서 활약하며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고, 2023시즌엔 썸띵을 영입하며 PRX 특유의 공격적인 플레이를 위주로 챔피언스 LA의 결승까지 무패로 올라가는 위엄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이렇게 결승을 2번이나 갔음에도 한 번을 우승하지 못해 국제전 무관이라는 꼬리표가 따라다니기 일쑤였는데, 2024 시즌엔 찡의 요원 폭 문제나 선수들의 저점이 자주 뜨는게 문제가 되어 챔피언스 서울에서 조별리그 탈락이라는 아쉬운 결과를 맞게 되었다. 그렇게 점점 팀의 기량이 우하향하던 중 2025 시즌이 시작되고, 우려대로 PRX는 평소 자신들이 하던 자신 있는 플레이를 적극적으로 하지 못하며 약체팀으로 평가받던 DFM에게 패배, VCT 역사상 최초로 국제전에 진출하지 못하는 상황까지 이르른다. 이렇게 퍼시픽의 황제는 결국 몰락한 줄 알았으나...
하지만 이후 팻맨을 영입하며 완전히 달라진 PRX는 직전 마스터스 우승팀 T1과 킥오프 우승팀 DRX를 압살하며 국제전 막차를 잡게 되고, 결국 마스터스 토론토에서 우승하게 된다. 항상 5명이 한꺼번에 공격적인 플레이를 추구하던 PRX에서 팻맨은 혼자서 차분하고 침착하게 경기를 뒤집을 수 있는 클러치를 만들어내는 등 PRX의 팻맨 영입은 신의 한수라고 불릴 정도였다.

6. 특징

7. 성적

니엄마

8. 구성원

f0rsakeN 제이슨 수산토
Jinggg 왕징제
something 일리야 페트로프
d4v41 할리시 루샤이디
PatMen 패트릭 멘도사

8.1. 로스터 연혁

||<-6><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000><bgcolor=#000> 로스터 연혁 ||
<rowcolor=#012063> ID 이름 이전 소속 입단 탈퇴 이적
Benkai 베네딕트 탄 파일:Paper Rex 로고.svg Paper Rex CS:GO 2021년 2월 8일 2023년 9월 16일 파일:Global_Esports_2020_allmode.png Global Esports
d4v41 할리시 루샤이디
f0rsakeN 제이슨 수산토
mindfreak 에런 레온하트
Jinggg 왕징제 Team SMG 2021년 9월 28일
CGRS 빠띠판 포시 ZIGMA CS:GO 2022년 10월 22일 2023년 9월 11일 파일:602px-Made_in_Thailand_2021_lightmode_full.png Made in Thailand
something 일리야 페트로프 파일:Sengoku_Gaming_2023_Logo.png Sengoku Gaming 2023년 3월 22일
Monyet 차야 누그라하 파일:Global_Esports_2020_allmode.png Global Esports 2023년 9월 16일 2024년 5월 20일 파일:Rex_Regum_Qeon_allmode.png Rex Regum Qeon
PatMen 패트릭 멘도사 파일:600px-NAOS_Esports_allmode.png NAOS Esports 2025년 3월 4일

8.2. 스태프 연혁

||<-7><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000><bgcolor=#000> 스태프 연혁 ||
<rowcolor=#012063> ID 이름 역할 이전 소속 입단 탈퇴 이적
alecks 알렉상드르 살레 코치 파일:Paper Rex 로고.svg Paper Rex CS:GO 2021년 2월 8일
bulb 레슬리 소엔 N/A 2024년 6월 22일 2024년 9월 10일
Listi 리스티야니 시에깃 2024년 7월 1일

9. VCT 팀 캡슐 : PRX

9.1. 2024년

파일:Paper Rex 로고.svg
PAPER REX
파일:페이퍼렉스.png
The most GOATED skin in VALORANT...
파일:Paper Rex 로고.svg

2024년 2월 22일 , VCT 국제리그 팀들의 캡슐이 공개되었다. 페이퍼 렉스는 팀 유니폼의 색깔인 핑크와 남색 계열을 사용했다.

9.2. 2025년

파일:Paper Rex 로고.svg
PAPER REX
파일:2025 PRX 캡슐.jpg

10. 여담

11. 둘러보기

파일:발로란트 로고_가로.svg
프로게임단
{{{#!wiki style="margin: 0 -10px; word-break: keep-all"
{{{#101a2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5px"
<colbgcolor=#ff4654><colcolor=#101a24>VCT 프렌차이즈 활동중한국/일본 활동중
파일:VCT Americas 로고 화이트.svg 파일:VCT CN 로고 화이트.svg 파일:VCT EMEA 로고 블랙.svg 파일:VCT Pacific 로고 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지역 활동중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북미
TSMShopify Rebellion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중미 통합 체제 깃발.png 파일:남아메리카 연합 깃발.svg
중남미
Rebirth eSportsFurious GamingE-Xolos LAZERRETA Esports
Six KarmaFUSIONAll KnightsZen eSports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TBK EsportsHero BaseStellae GamingGalorys
XLD GamingOLIMPO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MOUZEXO ClanCGN EsportsUCAM Esports Club
KPI GamingMandatoryALTERNATE aTTaXFOKUS
Eintracht FrankfurtOvation eSportsPermitta Unicorns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İstanbul WildcatsGalakticosGalatasaray EsportsPapara SuperMassive
Fenerbahçe EsporEternal FirePCIFIC EsportsHOWL Esports
S2G EsportsDigital AthleticsFire Flux Esports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MiTHBleed EsportsVelocity GamingXERXIA
OrangutanReckoning EsportsMLT EsportsFULL SENSE
Sharper EsportTeam NKTTeam FlashDisguised
Alter EgoNAOS EsportsZOL EsportsRevenant Esports
Rapid Lofi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Rare Atom KeepBest Gaming Chosen Clique Gaming Qing Jiu Club
파일:ANZ 깃발.png
오세아니아
Antic EsportsJFT EsportsJijieHao BONKFOCUSGG
파일:중동 위치.png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중동&아프리카
NASR EsportsThe UltimatesDragons EsportsOnyx Ravens
The ViciousTwisted MindsVision EsportsQadsiah Esports
Team RA'ADTeam Majesty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color: #ff4654"
{{{#!folding 활동 중단 및 해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ff4654><colcolor=#000>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북미
RenegadesCloud9 WhiteCode7beastcoast
NYFUDignitasDignitas FemaleRise
Complexity GamingOpTic GamingImmortalsXSET
Luminosity GamingVersion1Ghost GamingKNIGHTS
FaZe ClanThe GuardDarkZero EsportsOxygen Esports
M80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중미 통합 체제 깃발.png 파일:남아메리카 연합 깃발.svg
중남미
AustralsInfinity EsportsEstral Esports9z Team
19esports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Imperial EsportsBlack DragonsINGAMING EsportsFalkol eSports
paiN GamingDETONA GamingGamelandersB4 eSports
Team VikingseRa EternitySharks EsportsVorax
Los GrandesKeyd StarsLibertyThe Union
LegacyODDIK00 NationRED Canids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SKADEEntropiq BravoInto The Breach ProtocolInto The Breach Prime
GODSENTEntropiqRix.GGVALORANDO
Enterprise EsportsBIGWave EsportsPENTA
Team QuesoGuild EsportsB7 WarriorsDfuseTeam
OGOG LDN UTDReal BetisRebels Gaming
Pon EsportAYM EsportsZETA GamingValiant
Angry TitansWYLDEDIVIZONESC Gaming
Case EsportsWygersSAWDiamant Esports
Diamant EsportsNOM EsportsIncognitoMACKO Esports
GMT EsportsQLASHAcendWLGaming
MetizportZero TenacitySolaryDsyre
Monaco EsportsGoNext EsportsSK GamingOutplayed
파일:독립국가연합 기.svg
독립국가연합
Team EmpireROX TEAMforZeGambit Esports
One Breath GamingCrowCrowdTeam Singularity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Beşiktaş EsportsFUT EsportsParla EsportsRegnum Carya Esports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ahq e-Sports ClubPinto GamingGods ReignDivisionX Gaming
Bren EsportsNigma GalaxyONIC EsportsGodLike Esports
Team SMGAttack All AroundElevateThe MongolZ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대한민국 프로게임단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일본 프로게임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LGD GamingRoyal Never Give UpWeibo GamingDouyu Gaming
Invictus GamingNewHappyLNG EsportsRegans Gaming
JiJieHaoTianba EsportsKING-ZONETop Esports
Attacking Soul EsportsFour Angry MenNinjas in Pyjamas17 Gaming
파일:ANZ 깃발.png
오세아니아
FURYGround Zero GamingKanga EsportsLegacy Esports
Team BlissORDERAvant GamingMindfreak
Dire WolvesWildcard GamingMAMMOTH95X Esports
파일:중동 위치.png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중동&아프리카
Anubis GamingFox GamingQLASH EgyptBravado Gaming
Underground GamingFOG EsportsGamax EsportsFraggerz
GnG EsportsUnited GamingGeekay EsportsTeam Falcons}}}}}}}}}}}}}}}}}}}}}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발로란트 마스터스 로고.svg발로란트 마스터스
역대 우승팀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1 Stage 1 2021 Stage 2 2021 Stage 3 2022 Stage 1
파일:valorant masters s1.png 파일:Sentinels 로고.svg 파일:Gambit_2020_Teamcard.png 파일:600px-OpTic_Gaming.png
지역 별 10개의 팀 Sentinels (NA)
Gambit Esports (EU)
OpTic Gaming (NA)
2022 Stage 2 2023 2024 MA 2024 SH
파일:FPX 로고 2021.svg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Sentinels 로고.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FunPlus Phoenix (EU)
Fnatic
Sentinels
Gen.G
2025 BK
파일:T1 로고.svg
T1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D2D7,#01D2D7><tablebgcolor=#01D2D7,#01D2D7> 파일:VCT Pacific 로고 화이트.svgVCT Pacific
역대 우승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2023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Paper Rex
2024 킥오프 2024 스테이지 1 2024 스테이지 2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G
Paper Rex
Gen.G
2025 킥오프 2025 스테이지 1 2025 S2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Rex Regum Qeon 로고.svg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DRX
Rex Regum Qeon
Paper Rex
}}}}}}}}} ||
[1] 다만 DFM은 2025년부터 리빌딩을 거치며 퍼시픽에서 강팀으로 부상하는 중인 RRQ와 3세트까지 가거나, 퍼시픽에서 항상 중위권을 유지하던 TS를 격파한 GE를 패자조에서 2:0이라는 압도적인 스코어로 잡아내는 모습을 보이며 심상치 않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럼에도 PRX를 격파한 후 다음 상대로 만난 젠지에게 처참하게 깨지는 모습을 보여주며 PRX는 전보다 약해졌다는 평가에서 벗어나지는 못했다.[2] 심지어 펄은 불과 2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PRX가 가장 자신있어하는 맵 중 하나였기에 더더욱 충격이 컸다.[3] 이때 2세트였던 선셋의 마지막 라운드에서 포세이큰이 특기인 고감도를 이용한 도리도리 클러치를 보여줬는데, 연막 설치,해체 타이밍,머리를 돌리며 헤드샷을 피하는 전략까지 포세이큰의 미친 순간 판단력과 두뇌를 보여주는 클러치로 재조명되었다.영상[4] B메인의 입구에 레이즈의 페인트탄을 던져 상대를 미드로 밀어낸 다음, 박스 위로 폭발팩을 사용해 올라간 뒤 세이지의 벽을 사용해 올리면 창문을 통해 미드로 밀려난 상대를 잡는 방식이다. 영상[5] 이전 국제전인 마스터스 토론토까지 알렉스의 옆에서 경기를 보던 마인드프릭이 자신은 아직 최고 수준의 무대에서 계속 경쟁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혀 6인 로스터에서 빠진 뒤 제한적 F/A 상태가 되었다.사실상 PRX에서는 탈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