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2025 VCT Pacific Stage 1|2025 VCT Pacific Stage 1]]
||<-7><tablebordercolor=#01D2D7><tablewidth=48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colcolor=white><bgcolor=#01D2D7>
2025 VCT Pacific Stage 1
경기 일정 ||
경기 일정 ||
그룹 스테이지 (3/22~4/21) | 1주 | 2주 | 3주 | 4주 | 5주 | |
플레이오프 (4/26~5/11) | 상위조 | 하위조 | ||||
결승전 | ||||||
결산 |
1. 개요
2025 VCT Pacific Stage 1 3주차, 4월 5일부터 4월 7일까지의 경기를 기록한 문서.||<-11><tablealign=center><rowbgcolor=#01D2D7><tablebgcolor=#fff,#181818><tablebordercolor=#01D2D7>
2025 VCT Pacific Stage 1
그룹 스테이지 3주차 알파 그룹 순위표 ||
그룹 스테이지 3주차 알파 그룹 순위표 ||
순위 | 팀 | 승 | 패 | 맵 득실 | 득실차 | 라운드 득실 | 득실차 | 비고 | ||
1 | | DRX | 3 | 0 | 6-1 | +5 | 88-53 | +35 | 승 | |
2 | | BME | 3 | 0 | 6-1 | +5 | 90-67 | +23 | 승 | |
3 | | GEN | 2 | 1 | 4-3 | +1 | 81-63 | +18 | 승 | |
4 | | GE | 1 | 2 | 2-4 | -2 | 51-70 | -19 | 패 | |
5 | | PRX | 0 | 3 | 3-6 | -3 | 88-102 | -14 | 패 | |
6 | | DFM | 0 | 3 | 0-6 | -6 | 35-78 | -43 | 패 | |
보라색: 상위조 R2 진출 | 파란색: 상위조 R1 진출 연두색: 하위조 R1 진출 | 노란색: PO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1승당 챔피언십 포인트 1 획득 |
||<-11><tablealign=center><rowbgcolor=#01D2D7><tablebgcolor=#fff,#181818><tablebordercolor=#01D2D7>
2025 VCT Pacific Stage 1
그룹 스테이지 3주차 오메가 그룹 순위표 ||
그룹 스테이지 3주차 오메가 그룹 순위표 ||
순위 | 팀 | 승 | 패 | 맵 득실 | 득실차 | 라운드 득실 | 득실차 | 비고 | ||
1 | | T1 | 3 | 0 | 6-2 | +4 | 99-74 | +25 | 승 | |
2 | | RRQ | 2 | 1 | 5-2 | +3 | 83-59 | +24 | 승 | |
3 | | TLN | 2 | 1 | 4-4 | 0 | 75-77 | -2 | 승 | |
4 | | ZETA | 1 | 2 | 3-4 | -1 | 67-85 | -18 | 패 | |
5 | | NS | 1 | 2 | 3-5 | -2 | 79-88 | -9 | 패 | |
6 | | TS | 0 | 3 | 2-6 | -4 | 59-83 | -24 | 패 | |
보라색: 상위조 R2 진출 | 파란색: 상위조 R1 진출 연두색: 하위조 R1 진출 | 노란색: PO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1승당 챔피언십 포인트 1 획득 |
| |||||
<rowcolor=#fff> 요일 | 토 | 일 | 월 | ||
<colbgcolor=#01D2D7><colcolor=#fff> 캐스터 | 정인호[1] | 김수현 | 채민준 | ||
해설 | 유정선 | 정인호 | |||
× | 김진영 | 박동진 | |||
인터뷰어 | 이정현 | 동수항 | |||
분석 데스크 | 김수현 | 채민준 | 정용검 | ||
김진영 | 정인호 | 김진영 |
2. 대회 정보
3주차 | 패치 버전 | 10.05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5 맵 로테이션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스플릿 | |||
헤이븐 | ||||
어센트 | ||||
아이스박스 | ||||
프랙처 | ||||
펄 | ||||
로터스 | }}}}}}}}} |
3. 13경기 GEN 2 : 0 DFM
(2025. 04. 05.) | |||||||
Gen.G | 2 | 0 | DetonatioN FocusMe | ||||
○ | ○ | - | × | × | - | ||
2승 1패 | 결과 | 3패 |
|
변상범 (Munchkin) |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bgcolor=01D2D7, ateam=GEN, bteam=DFM,
aban=어센트, bban=아이스박스, aban2=펄, bban2=스플릿,
p_apic=로터스, p_bpic=프랙처, p_cpic=헤이븐,
1attack=공격, 2attack=수비, 3attack=공격)]
PRX를 잡고 한숨 돌린 젠지와, 초비상이 걸린 DFM. 젠지는 이 경기를 잡고 분위기 반전을 노려야 하고, DFM은 플레이오프 진출을 하고 싶다면 어떻게든 여기서 살아남아야한다.
젠지는 서제스트 대신 폭시나인이 선발 출전한다.
3.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심플2, map=로터스, set=1, teamD=Gen.G, teamA=DetonatioN FocusMe, dpic1=레이즈, dpic2=페이드, dpic3=바이퍼, dpic4=바이스, dpic5=오멘
, apic1=레이즈, apic2=바이퍼, apic3=페이드, apic4=오멘, apic5=바이스
, dplayer1=t3xture, dplayer2=Ash, dplayer3=Munchkin, dplayer4=Foxy9, dplayer5=Karon
, aplayer1=Meiy, aplayer2=gyen, aplayer3=Akame, aplayer4=Art, aplayer5=Jinboong
, dplayer3mvp=, aplayer2mvp= )]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GEN, dscore=13, ateam=DFM, ascore=2
, dfirstk=11, dthrift=0, dpostpwin=3, dpostp=3, dclutch=0
, afisrtk=4, athrift=0, apostpwin=2, apostp=5, aclutch=0)]
|
|
김나라 (t3xture) |
VCT Pacific 2번째 2000킬 달성 |
3.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심플2, map=프랙처, set=2, teamD=Gen.G, teamA=DetonatioN FocusMe, dpic1=네온, dpic2=테호, dpic3=브리치, dpic4=사이퍼, dpic5=브림스톤
, apic1=레이즈, apic2=브림스톤, apic3=테호, apic4=브림스톤, apic5=바이스
, dplayer1=t3xture, dplayer2=Ash, dplayer3=Munchkin, dplayer4=Foxy9, dplayer5=Karon
, aplayer1=Meiy, aplayer2=gyen, aplayer3=Akame, aplayer4=Art, aplayer5=Jinboong
, dplayer2mvp=, aplayer2mvp= )]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GEN, dscore=13, ateam=DFM, ascore=4
, dfirstk=12, dthrift=0, dpostpwin=5, dpostp=5, dclutch=0
, afisrtk=4, athrift=0, apostpwin=4, apostp=6, aclutch=0)]
3.3. 총평
DFM은 상수역할을 하던 메이마저 말려버리면서 0승 3패를 기록, 사실상 탈락이라는 상황에서 암울한 4주차를 맞이하게 되었다.
4. 14경기 RRQ 2 : 0 ZETA
(2025. 04. 05.) | |||||||
Rex Regum Qeon | 2 | 0 | ZETA DIVISION | ||||
○ | ○ | - | × | × | - | ||
2승 1패 | 결과 | 1승 2패 |
|
응오꽁안 (crazyguy) |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bgcolor=01D2D7, ateam=ZETA, bteam=RRQ,
aban=어센트, bban=로터스, aban2=아이스박스, bban2=펄,
p_apic=스플릿, p_bpic=헤이븐, p_cpic=프랙처,
1attack=수비, 2attack=공격, 3attack=공격)]
오메가 그룹의 분수령이 될 경기. 이 경기를 잡는 팀은 중위권에 도약하고, 상위권을 노릴 수 있는 자리를 선점하게 된다.
4.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심플2, map=스플릿, set=1, teamD=Rex Regum Qeon, teamA=ZETA DIVISION, dpic1=오멘, dpic2=요루, dpic3=브리치, dpic4=테호, dpic5=바이퍼
, apic1=테호, apic2=요루, apic3=브리치, apic4=오멘, apic5=바이퍼
, dplayer1=Monyet, dplayer2=Jemkin, dplayer3=crazyguy, dplayer4=Kushy, dplayer5=Xffero
, aplayer1=CLZ, aplayer2=Dep, aplayer3=Xdll, aplayer4=SugarZ3ro, aplayer5=SyouTa
, dplayer2mvp=, aplayer5mvp= )]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RRQ, dscore=13, ateam=ZETA, ascore=6
, dfirstk=12, dthrift=0, dpostpwin=6, dpostp=6, dclutch=0
, afisrtk=7, athrift=0, apostpwin=5, apostp=7, aclutch=0)]
4.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심플2, map=헤이븐, set=2, teamD=Rex Regum Qeon, teamA=ZETA DIVISION, dpic1=요루, dpic2=아이소, dpic3=오멘, dpic4=소바, dpic5=사이퍼
, apic1=테호, apic2=네온, apic3=브리치, apic4=오멘, apic5=사이퍼
, dplayer1=Monyet, dplayer2=Jemkin, dplayer3=crazyguy, dplayer4=Kushy, dplayer5=Xffero
, aplayer1=CLZ, aplayer2=Dep, aplayer3=Xdll, aplayer4=SugarZ3ro, aplayer5=SyouTa
, dplayer3mvp=, aplayer2mvp= )]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RRQ, dscore=13, ateam=ZETA, ascore=9
, dfirstk=9, dthrift=0, dpostpwin=7, dpostp=8, dclutch=0
, afisrtk=13, athrift=0, apostpwin=7, apostp=8, aclutch=1)]
4.3. 총평
5. 15경기 PRX 1 : 2 BME
(2025. 04. 06.) | |||||||
Paper Rex | 1 | 2 | BOOM Esports | ||||
× | ○ | × | ○ | × | ○ | ||
3패 | 결과 | 3승 | |||||
플레이오프 진출 |
|
피크리 자키 (Famouz) |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bgcolor=01D2D7, ateam=PRX, bteam=BME,
aban=헤이븐, bban=스플릿, aban2=아이스박스, bban2=로터스,
p_apic=펄, p_bpic=어센트, p_cpic=프랙처,
1attack=수비, 2attack=수비, 3attack=수비)]
BME 매치 승리시: PO 확정
퍼시픽 출범 이래 최대 위기를 맞이한 PRX와 스테이지 1 화제의 주인공으로 떠오른 붐의 대결. 예전이었다면 PRX의 압도적인 정배로 예측되었겠지만 현재의 PRX는 포세이큰을 제외한 나머지 선수들의 경기력이 좀처럼 올라오지 않고 있으며 붐은 도스나인을 필두로 쾌조의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기에 붐이 이긴다고 해도 전혀 놀랄 일이 아닐 것이다.
PRX는 마인드프릭 대신 팻멘이 선발 출전한다.
5.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심플2, map=펄, set=1, teamD=BOOM Esports, teamA=Paper Rex, dpic1=케이/오, dpic2=킬조이, dpic3=아스트라, dpic4=제트, dpic5=테호
, apic1=아스트라, apic2=페이드, apic3=요루, apic4=바이스, apic5=피닉스
, dplayer1=Shiro, dplayer2=BerserX, dplayer3=Dos9, dplayer4=Famouz, dplayer5=NcSlasher
, aplayer1=d4v41, aplayer2=PatMen, aplayer3=something, aplayer4=f0rsakeN, aplayer5=Jinggg
, dplayer4mvp=, aplayer2mvp= )]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BME, dscore=13, ateam=PRX, ascore=10
, dfirstk=14, dthrift=1, dpostpwin=4, dpostp=4, dclutch=0
, afisrtk=9, athrift=1, apostpwin=4, apostp=7, aclutch=0)]
그저 페이머즈.
BME이 페이머즈의 엄청난 활약에 힘입어 1세트를 선취했다. 찡이 1라운드부터 에이스를 만들었고, 포세이큰과 팻맨이 엄청난 활약을 보여주었는데, 특히 팻맨은 데뷔전에서 MVP를 먹는 활약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페이머즈에 차력쇼에 무너지면서 전반전이 완전히 박살났고, 후반전 말렸던 다바이도 일어나면서 다바이, 포세이큰, 팻맨이 분전했으나, 찡과 썸띵의 파멸적인 저점이 발목을 잡으면서 BME이 승리한다. 이전 두 경기에서 엄청난 폼을 보여주던 도스나인은 말린 듯한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마지막 라운드 승리를 견인하면서 아직 건재함을 보여주었다.
5.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심플2, map=어센트, set=2, teamD=Paper Rex, teamA=BOOM Esports, dpic1=바이스, dpic2=케이/오, dpic3=제트, dpic4=페이드, dpic5=오멘
, apic1=소바, apic2=킬조이, apic3=오멘, apic4=피닉스, apic5=테호
, dplayer1=d4v41, dplayer2=PatMen, dplayer3=something, dplayer4=f0rsakeN, dplayer5=Jinggg
, aplayer1=Shiro, aplayer2=BerserX, aplayer3=Dos9, aplayer4=Famouz, aplayer5=NcSlasher
, dplayer2mvp=, aplayer4mvp= )]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PRX, dscore=13, ateam=BME, ascore=8
, dfirstk=10, dthrift=0, dpostpwin=3, dpostp=6, dclutch=0
, afisrtk=11, athrift=0, apostpwin=2, apostp=3, aclutch=0)]
말렸던 썸띵이 완벽히 부활하면서 페렉이 10:2라는 점수로 전반전을 앞서나갔으나, 후반전 페이머즈가 이번에도 분전하면서 11:8까지 추격당한다. 그러나 다시 라운드를 따내면서 결국 2세트는 페렉이 가져간다. BME 입장에선 1세트에 이어서 2세트마저 도스나인이 말린 것이 아쉬운 점이다.
5.3. 3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심플2, map=프랙처, set=3, teamD=Paper Rex, teamA=BOOM Esports, dpic1=바이스, dpic2=브리치, dpic3=테호, dpic4=네온, dpic5=브림스톤
, apic1=테호, apic2=킬조이, apic3=브림스톤, apic4=네온, apic5=브리치
, dplayer1=d4v41, dplayer2=PatMen, dplayer3=something, dplayer4=f0rsakeN, dplayer5=Jinggg
, aplayer1=Shiro, aplayer2=BerserX, aplayer3=Dos9, aplayer4=Famouz, aplayer5=NcSlasher
, dplayer5mvp=, aplayer5mvp= )]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PRX, dscore=9, ateam=BME, ascore=13
, dfirstk=8, dthrift=0, dpostpwin=4, dpostp=8, dclutch=1
, afisrtk=14, athrift=1, apostpwin=7, apostp=9, aclutch=0)]
5.4. 총평
PRX의 포세이큰은 감시자-척후대-타격대의 3포지션을 소화하는 대단한 요원폭을 선보였다. BME는 돌풍을 이어가며 플옵 진출을 확정지었다.
6. 16경기 TLN 2 : 1 NS
(2025. 04. 06.) | |||||||
Talon Esports | 2 | 1 | Nongshim RedForce | ||||
× | ○ | ○ | ○ | × | × | ||
2승 1패 | 결과 | 1승 2패 |
|
빠파팟 시파파 (Primmie) |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bgcolor=01D2D7, ateam=TLN, bteam=NS,
aban=펄, bban=어센트, aban2=스플릿, bban2=아이스박스,
p_apic=헤이븐, p_bpic=로터스, p_cpic=프랙처,
1attack=공격, 2attack=공격, 3attack=수비)]
RRQ에게 진 탈론, T1에게 진 농심. 이기는 팀은 다시 한번 위를 향해, 지는 팀은 아래로 떨어지는 경기다.
6.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심플2, map=헤이븐, set=1, teamD=Talon Esports, teamA=Nongshim RedForce, dpic1=오멘, dpic2=아이소, dpic3=소바, dpic4=요루, dpic5=사이퍼
, apic1=오멘, apic2=네온, apic3=테호, apic4=소바, apic5=사이퍼
, dplayer1=thyy, dplayer2=Primmie, dplayer3=Crws, dplayer4=killua, dplayer5=JitBoyS
, aplayer1=Persia, aplayer2=Dambi, aplayer3=Francis, aplayer4=Ivy, aplayer5=margaret
, dplayer2mvp=, aplayer2mvp= )]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TLN, dscore=5, ateam=NS, ascore=13
, dfirstk=9, dthrift=0, dpostpwin=0, dpostp=4, dclutch=0
, afisrtk=9, athrift=0, apostpwin=6, apostp=8, aclutch=2)]
6.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심플2, map=로터스, set=2, teamD=Nongshim RedForce, teamA=Talon Esports, dpic1=오멘, dpic2=네온, dpic3=페이드, dpic4=아이소, dpic5=사이퍼
, apic1=오멘, apic2=웨이레이, apic3=테호, apic4=브리치, apic5=사이퍼
, dplayer1=Persia, dplayer2=Dambi, dplayer3=Francis, dplayer4=Ivy, dplayer5=margaret
, aplayer1=thyy, aplayer2=Primmie, aplayer3=Crws, aplayer4=killua, aplayer5=JitBoyS
, dplayer3mvp=, aplayer2mvp= )]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NS, dscore=8, ateam=TLN, ascore=13
, dfirstk=12, dthrift=0, dpostpwin=3, dpostp=7, dclutch=0
, afisrtk=9, athrift=1, apostpwin=6, apostp=8, aclutch=0)]
6.3. 3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심플2, map=프랙처, set=3, teamD=Talon Esports, teamA=Nongshim RedForce, dpic1=브림스톤, dpic2=웨이레이, dpic3=테호, dpic4=브리치, dpic5=사이퍼
, apic1=브림스톤, apic2=네온, apic3=브리치, apic4=테호, apic5=사이퍼
, dplayer1=thyy, dplayer2=Primmie, dplayer3=Crws, dplayer4=killua, dplayer5=JitBoyS
, aplayer1=Persia, aplayer2=Dambi, aplayer3=Francis, aplayer4=Ivy, aplayer5=margaret
, dplayer1mvp=, aplayer5mvp= )]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TLN, dscore=13, ateam=NS, ascore=6
, dfirstk=11, dthrift=0, dpostpwin=3, dpostp=5, dclutch=0
, afisrtk=8, athrift=0, apostpwin=2, apostp=6, aclutch=0)]
6.4. 총평
농심의 경우 이번 경기로 팀의 한계가 명확히 드러났는데, 사실상 네온 원툴 수준의 조합 운영과[3] 팀 전체가 한번 말리는 순간 게임을 계속 풀어내질 못하고 끝까지 말린다는 특징이 나왔다. 자칫하면 다른 팀들 또한 이후 농심을 분석하고 카운터 전략을 준비할 수 있기에 농심은 새로운 전략을 최소 1개 이상 준비해야 한다는 과제가 주어졌다.
7. 17경기 DRX 2 : 0 GE
(2025. 04. 07.) | |||||||
DRX | 2 | 0 | Global Esports | ||||
○ | ○ | - | × | × | - | ||
3승 | 결과 | 1승 2패 | |||||
플레이오프 진출 |
|
박건 (Estrella) |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bgcolor=01D2D7, ateam=DRX, bteam=GE,
aban=펄, bban=아이스박스, aban2=헤이븐, bban2=로터스,
p_apic=어센트, p_bpic=스플릿, p_cpic=프랙처,
1attack=수비, 2attack=공격, 3attack=공격)]
DRX 매치 승리시: PO 진출 확정
디펜딩 챔피언 DRX와 갈 길이 먼 GE의 대결. 여러모로 DRX의 우세가 점쳐지지만 GE가 유도탄은 물론 패트릭후의 경기력이 올라온다면 의외의 결과가 나올 수 있다.
DRX는 이틀 전에 영입된 에스트레아가 베인 대신 선발 출전한다.
7.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심플2, map=어센트, set=1, teamD=Global Esports, teamA=DRX, dpic1=사이퍼, dpic2=오멘, dpic3=데드록, dpic4=제트, dpic5=테호
, apic1=제트, apic2=바이스, apic3=오멘, apic4=요루, apic5=테호
, dplayer1=UdoTan, dplayer2=Papi, dplayer3=KellyS, dplayer4=patrickWHO, dplayer5=Kr1stal
, aplayer1=HYUNMIN, aplayer2=Estrella, aplayer3=MaKo, aplayer4=Flashback, aplayer5=free1ng
, dplayer3mvp=, aplayer2mvp= )]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GE, dscore=3, ateam=DRX, ascore=13
, dfirstk=4, dthrift=0, dpostpwin=0, dpostp=1, dclutch=0
, afisrtk=12, athrift=0, apostpwin=9, apostp=10, aclutch=0)]
7.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심플2, map=스플릿, set=2, teamD=Global Esports, teamA=DRX, dpic1=사이퍼, dpic2=아스트라, dpic3=데드록, dpic4=레이즈, dpic5=페이드
, apic1=레이즈, apic2=오멘, apic3=바이퍼, apic4=네온, apic5=테호
, dplayer1=UdoTan, dplayer2=Papi, dplayer3=KellyS, dplayer4=patrickWHO, dplayer5=Kr1stal
, aplayer1=HYUNMIN, aplayer2=Estrella, aplayer3=MaKo, aplayer4=Flashback, aplayer5=free1ng
, dplayer4mvp=, aplayer4mvp= )]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GE, dscore=10, ateam=DRX, ascore=13
, dfirstk=8, dthrift=1, dpostpwin=3, dpostp=3, dclutch=0
, afisrtk=15, athrift=0, apostpwin=6, apostp=10, aclutch=0)]
7.3. 총평
8. 18경기 T1 2 : 1 TS
(2025. 04. 07.) | |||||||
T1 | 2 | 1 | Team Secret | ||||
○ | × | ○ | × | ○ | × | ||
3승 | 결과 | 3패 | |||||
플레이오프 진출 |
|
유병철 (BuZz) |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bgcolor=01D2D7, ateam=T1, bteam=TS,
aban=펄, bban=프랙처, aban2=스플릿, bban2=어센트,
p_apic=헤이븐, p_bpic=아이스박스, p_cpic=로터스,
1attack=수비, 2attack=공격, 3attack=수비)]
T1 매치 승리시: PO 진출 확정
마스터스 우승의 전력을 잃지 않고 강팀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는 T1과, 무려 264일만에 ZETA에게 승리를 내어주며 처참하게 망가진 TS의 대결. T1이 압도적인 정배로 예상된다.
8.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심플2, map=헤이븐, set=1, teamD=Team Secret, teamA=T1, dpic1=오멘, dpic2=제트, dpic3=소바, dpic4=브리치, dpic5=사이퍼
, apic1=사이퍼, apic2=요루, apic3=소바, apic4=오멘, apic5=아이소
, dplayer1=2GE, dplayer2=Jremy, dplayer3=JessieVash, dplayer4=invy, dplayer5=Wild0reoo
, aplayer1=iZu, aplayer2=BuZz, aplayer3=stax, aplayer4=Sylvan, aplayer5=Meteor
, dplayer3mvp=, aplayer2mvp= )]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TS, dscore=6, ateam=T1, ascore=13
, dfirstk=7, dthrift=0, dpostpwin=2, dpostp=3, dclutch=1
, afisrtk=12, athrift=0, apostpwin=8, apostp=12, aclutch=1)]
8.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심플2, map=아이스박스, set=2, teamD=Team Secret, teamA=T1, dpic1=바이퍼, dpic2=아이소, dpic3=소바, dpic4=케이/오, dpic5=체임버
, apic1=소바, apic2=체임버, apic3=케이/오, apic4=바이퍼, apic5=레이나
, dplayer1=2GE, dplayer2=Jremy, dplayer3=JessieVash, dplayer4=invy, dplayer5=Wild0reoo
, aplayer1=iZu, aplayer2=BuZz, aplayer3=stax, aplayer4=Sylvan, aplayer5=Meteor
, dplayer2mvp=, aplayer5mvp= )]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TS, dscore=13, ateam=T1, ascore=9
, dfirstk=14, dthrift=1, dpostpwin=2, dpostp=3, dclutch=0
, afisrtk=8, athrift=0, apostpwin=3, apostp=5, aclutch=0)]
8.3. 3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심플2, map=로터스, set=3, teamD=T1, teamA=Team Secret, dpic1=바이퍼, dpic2=레이즈, dpic3=페이드, dpic4=오멘, dpic5=아이소
, apic1=오멘, apic2=레이즈, apic3=사이퍼, apic4=브리치, apic5=테호
, dplayer1=iZu, dplayer2=BuZz, dplayer3=stax, dplayer4=Sylvan, dplayer5=Meteor
, aplayer1=2GE, aplayer2=Jremy, aplayer3=JessieVash, aplayer4=invy, aplayer5=Wild0reoo
, dplayer2mvp=, aplayer3mvp= )]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T1, dscore=13, ateam=TS, ascore=8
, dfirstk=10, dthrift=0, dpostpwin=8, dpostp=8, dclutch=1
, afisrtk=11, athrift=1, apostpwin=5, apostp=6, aclutch=0)]
8.4. 총평
다만 이후 스택스의 인터뷰와 어텀 감독의 트윗에서 경기 전 무려 선수 3명이 아팠던 상태인지라 컨디션이 악화된 상태로 경기에 임했다고 말했기에[4] 이후 컨디션 회복 후 다시 경기력 회복이 가능할지가 관건으로 보인다.
9. 그룹별 리뷰
9.1. 알파 그룹
- DRX: GE를 셧아웃내며 깔끔하게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지었다. 이제 남은 과제는 그룹 1위로 PO 2라운드 직행인데, 남은 경기가 BME, GEN인 만큼 결코 긴장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다.
- Gen.G: 붐한테 첫 경기를 졌지만, PRX, DFM을 이기면서 한 숨 돌린 젠지다. 남은 경기가 GE와 DRX인 만큼 다음주 GE는 무조건 이겨야 한다.
- DetonatioN FocusMe: 0승 3패, 심지어 남은 경기는 PRX와 BME. 이제 정말 킥오프에서 PRX를 때려잡던 그 기억을 되살려야한다. 말 그대로 다음주가 마지막 기회라 생각해야 하는 상황.
- Paper Rex: 항상 한국팀을 끌어내리고 퍼시픽의 대표로 나서던 그 PRX에게 0승 3패라는 성적표가 쥐어졌다. 그나마 초반 3경기가 DRX, GEN, BME였던 만큼 남은 일정이 쉽다는게 유일한 위안거리다. 다만, 이제 남은 경기중 1경기라도 더 지면 진짜 플레이오프도 못 가는 참사가 벌어질 수 있다.
- BOOM Esports: 킥오프때만 해도 같은 승격팀이지만 농심의 활약에 가려졌던 붐은 젠지, GE, PRX를 때려잡고 공동 1위의 고지에 올라서며 스테이지 1의 가장 강력한 다크호스임을 보여주고 있다. 붐 입장에서는 다음주에 붙을 DRX전을 이긴다면, 사실상 그룹 1위를 확정짓고 PO 2라운드 직행이 가능해지기에 DRX전만큼은 반드시 잡아야 할 것이다.
- Global Esports: 초반에 DFM을 셧아웃 낼 때만 해도 많이 강해졌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이후 DFM의 경기력이 바닥이라는것이 드러나며 입장이 어려워진 GE다.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싶다면 다음주에 젠지를 잡거나, 마지막주에 PRX를 잡거나. 두 팀중 한 팀은 무조건 잡아야 한다.
9.2. 오메가 그룹
- T1: 3승 0패로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짓고, 남은 팀들이 서로 얽히는 덕분에 단독 1위까지 올라왔다. 다만 이번에 있었던 TS와의 경기력을 다음주 RRQ전에서 그대로 들고온다면 위험해보인다. 그룹 1위로 PO 2라운드 직행을 원한다면 약간의 갈무리가 필요해 보인다.
- Talon Esports: RRQ에게 셧아웃 당하며 많이 위태로워 보였지만, 킥오프에 이어 또 다시 농심을 잡아내며 유리한 고지를 잡아냈다. 다음주에 제타를 잡아낸다면 플레이오프 진출 확정은 물론이고, T1에게 그룹 1위 도전장을 내밀 자격도 주어진다.
- Nongshim RedForce: 탈론에게 또 일격을 맞으며 일단 5위로 가라앉았다. 다만 남은 2 경기가 모두 하위권으로 평가받는 TS와 ZETA전인 만큼, 2 경기를 모조리 잡고 3위 이상을 노려봐야 한다.[5]
- Rex Regum Qeon: 제타를 깔끔하게 셧아웃내며 상위권에 도착했다. 만약 다음주에 T1을 잡을 수 있다면, RRQ에게도 그룹 1위 도전장을 내밀 자격이 생긴다.
- ZETA DIVISION: RRQ에게 셧아웃당하며 비상이 걸렸다. 이미 자신들과 비슷한 전력이라 평가받는 TS와의 경기는 끝이 났고, 남은 경기는 TLN과 NS. 만약 플레이오프 진출을 하고 싶다면, 최소한 두 팀중 한팀은 잡아야 가능성이 생긴다. 다음주에 있는 탈론전이 제타의 최대 분수령이다.
- Team Secret: 그냥 큰일났다. 다음주에 만나는 농심에게도 지는 순간 탈락 확정이라고 보면 된다.
[1] 본래 정용검 캐스터였으나 스케줄 조정 실수로 인해 정인호 해설이 일일 캐스터로 참여했다.[2] 사실 이경기도 세이브하는 오멘을 잡으려다가 다 죽어버리는 등 아쉬운 장면도 있었다.[3] 1선인 담비가 네온으로 진입 후 2선이 진입하여 난전에서 승리하는 방식인데, 탈론은 이 1선과 2선과의 연결을 스킬로 차단시켜 담비를 고립시키는 식으로 카운터를 쳤다.[4] 메테오, 실반, 이주의 컨디션이 좋지 못한 것으로 추정되며, 실제로 해당 경기 이전 메테오의 마지막 개인방송에서 메테오가 기침을 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T1선수들 내에서 감기가 전염된 것으로 보인다. 어텀 감독 또한 선수 3명중 메테오의 컨디션이 매우 좋지 못한 상태라 밝히기도 했다.[5] 4위로 진출하면 PO 하위조에서 시작한다. 즉, 1코인조차 못받고 시작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