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24 17:56:12

2027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예선/최종예선/E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7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예선/최종예선
2027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최종예선
A조 B조 C조 D조 E조 F조


1. 개요2. 순위3. 각 팀간 전적4. 경기 진행
4.1. 1차전
4.1.1. 1경기4.1.2. 2경기
4.2. 2차전
4.2.1. 1경기4.2.2. 2경기
4.3. 3차전
4.3.1. 1경기4.3.2. 2경기
4.4. 4차전
4.4.1. 1경기4.4.2. 2경기
4.5. 5차전
4.5.1. 1경기4.5.2. 2경기
4.6. 6차전
4.6.1. 1경기4.6.2. 2경기
5. 총평

1. 개요

2027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의 최종예선 E조 경기를 정리한 문서.

여담으로 여기에 속해 있는 나라들이 전부 상황이 좋지 않는 위험한 나라들이다.

2. 순위

순위 국가 경기 수 득점 실점 득실 차 승점 비고
1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4 4 0 0 11 1 +10 12 통과 확정
2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4 2 0 2 4 9 -5 6 탈락 확정
3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4 0 2 2 2 4 -2 2
4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4 0 2 2 1 1 -3 2
국가적으로 혼란을 겪고 있는 4팀이 나란히 모인 조다. 전력으로만 놓고 보자면 시리아의 1위가 유력하며, 미얀마와 아프가니스탄이 이변을 노릴만한 팀으로 평가된다. 파키스탄은 다소 경쟁이 버거울 전망이다.

상술했듯 변수는 4팀의 홈 경기 개최 여부가 될 것이다. 독재정권이 무너져 과도정부 체제로 운영되는 시리아, 국제 사회에서 크게 인정받지 못하는 극단주의 정부가 운영하는 아프가니스탄, 현재 내전 상황에 놓인 미얀마, 그 아프가니스탄과 현재 교전 중이며 경제적으로도 크게 열악한 파키스탄이 한 조에 속했다. 공히 4팀 모두 홈 경기 개최 여부가 매우 불투명해 홈, 원정 이점이 사실상 사라진 조이기도 하다.

2025년 2월 6일, 예선 시작을 약 한 달 반 앞두고 FIFA가 파키스탄 축구협회에 FIFA와 AFC가 인준한 회칙을 도입하지 않은 것을 사유로 징계를 내려, 예선 시작 전까지 징계가 철회되지 않으면 파키스탄의 참가가 불투명한 상태가 되었다. 2월 27일 회칙이 통과되어 3월 2일 파키스탄에 대한 징계가 철회되고 파키스탄은 정상적으로 예선에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

3. 각 팀간 전적

4. 경기 진행

4.1. 1차전

4.1.1. 1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1차전 1경기
2025년 3월 26일(수) 03:00 (UTC+9)
프린스 압둘라 빈 잘라위 스타디움 (사우디아라비아, 알 아사)
주심: 시바콘 푸우돔 (태국)
관중: 1,217명
파일: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신정부군 엘블럼.png
2 : 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ew2008_PFFlogo.png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rowcolor=#373a3c,#dddddd> 23' 아흐마드 파카 (A. 암마르 라마단)
56' 오마르 알 소마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시리아가 파키스탄에 졸전했다.

4.1.2. 2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1차전 2경기
2025년 3월 25일(화) 19:30 (UTC+9)
투완나 스타디움 (미얀마, 양곤)
주심: 야히아 알 발루시 (오만)
관중: 6,500명
파일:Myanmar_national_football_team_2024.svg
2 : 1
파일:Afghanist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rowcolor=#373a3c,#dddddd> 28' 탄 파잉 (A. 마웅 마웅 르윈)
75' 마웅 마웅 르윈 (A. 오카르 나잉)
파일:득점 아이콘.svg 14' 오미드 포팔자이 (A. 오미드 무사위)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홈에서 경기를 치른 미얀마는 아프간 상대로 짜릿한 역전승을 거두었다.

4.2. 2차전

4.2.1. 1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2차전 1경기
2025년 6월 10일(화) 19:30 (UTC+9)
투완나 스타디움 (미얀마, 양곤)
주심: 장레이 (중국)
관중: 22,000명
파일:Myanmar_national_football_team_2024.svg
1 : 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ew2008_PFFlogo.png
파일:AFF SUZUKI CUP 2018 Myanmar.png 미얀마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rowcolor=#373a3c,#dddddd> 41' 탄 파잉 (A. 띠하 테 엉)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미얀마가 2연승을 질주했다. 파키스탄은 아쉽게 석패했다.

4.2.2. 2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2차전 2경기
2025년 6월 11일(수) 02:15 (UTC+9)
프린스 압둘라 빈 잘라위 경기장 (사우디아라비아, 호푸프)
주심: 유시프 사이드 하산 (이라크)
관중: 532명
파일:Afghanist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0 : 1
파일: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신정부군 엘블럼.png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6' 오마르 알 소마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시리아가 2연승을 거두고 아프가니스탄은 2연패를 기록하며 본선 진출 가능성은 매우 낮아졌다.

4.3. 3차전

4.3.1. 1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3차전 1경기
2025년 10월 9일(목) 18:00 (UTC+9)
진나 스포츠 경기장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
주심: 모하메드 알 샤마리 (카타르)
관중: 7,375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ew2008_PFFlogo.png
0 : 0
파일:Afghanist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나란히 2패를 깔고 시작한 양팀이 사이좋게 무승부를 거두며 탈락이 유력해졌다. 특히 아프가니스탄으로서는 200위 근처 팀과 무승부를 거두는 치욕적인 결과를 맞이했다.

4.3.2. 2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3차전 2경기
2025년 10월 10일(금) 01:15 (UTC+9)
프린스 압둘라 빈 잘라위 스타디움 (사우디아라비아, 알 아사)
주심: 모하마드 모피드 (요르단)
관중: 198명
파일: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신정부군 엘블럼.png
5 : 1
파일:Myanmar_national_football_team_2024.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rowcolor=#373a3c,#dddddd> 6', 19', 71' (PK) 오마르 크르빈 (A. 6' 모하메드 오스만, 19' 아이함 오우소우 )
29' 모함마드 알사카디
89' 모함마드 알 할라크 (A. 모하메드 오스만)
파일:득점 아이콘.svg 90+1' 난다 키아오 (A. 윈 나잉 뚠)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2차예선 리벤지 매치로, 나란히 2승을 거둔 팀끼리의 1위 결정전이 될 것이다.
앞전처럼 시리아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사우디아라비아 중립 경기에서 시리아가 압승을 거두었다. 미얀마로서는 홈에서 이긴다해도 골득실차를 만회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

4.4. 4차전

4.4.1. 1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4차전 1경기
2025년 10월 15일(수) 02:00 (UTC+9)
알리 사바 알 살렘 스타디움 (쿠웨이트, 쿠웨이트)
주심: 아스커 나자팔예프 (우즈베키스탄)
관중: 750명
파일:Afghanist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1 : 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ew2008_PFFlogo.png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rowcolor=#373a3c,#dddddd> 5' 마흐부브 하나피 파일:득점 아이콘.svg 29' 에트자즈 후세인 (A. 오티스 칸)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앞 시간대에 이미 시리아가 미얀마를 꺾으며 본선 진출이 확정되어 동기부여가 다 떨어진 경기가 되었다.

전반에 나란히 1골을 주고받으며 무승부를 거두었다. 파키스탄은 이로써 아시아 하위권 중 하위권 수준에서 벗어났다는 것을 증명했다.

4.4.2. 2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4차전 2경기
2025년 10월 14일(화) 19:30 (UTC+9)
투운나 스타디움 (미얀마, 양곤)
주심: 알렉스 킹 (호주)
관중: 3,514명
파일:Myanmar_national_football_team_2024.svg
0 : 3
파일: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신정부군 엘블럼.png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80', 85' 파블로 사바그 (A. 80' 모하마드 알살카디,
87' 모하마드 알살카디'''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시리아가 본인들을 2차 예선 탈락으로 몰아넣은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던 지옥의 미얀마 원정을 다시 떠난다. 시리아는 이 경기를 이기면 본선 진출이 확정된다.

그 악연이 잊혀지지 않았는지 수차례 득점취소가 되는 수모를 겪으며 고전했으나, 결국 시리아가 후반부에 싸박의 멀티골을 필두로 한 득점포를 대거 발동하며 대승을 거두었다.

시리아는 이로써 3차 예선 참가팀 중 가장 먼저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1]

4.5. 5차전

4.5.1. 1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5차전 1경기
2025년 11월 18일(화) ??:?? (UTC+9)
경기장 (국가, 도시)
주심: 이름 (국적)
관중: -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ew2008_PFFlogo.png
# : #
파일: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신정부군 엘블럼.pn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4.5.2. 2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5차전 2경기
2025년 11월 18일(화) ??:?? (UTC+9)
경기장 (국가, 도시)
주심: 이름 (국적)
관중: -명
파일:Afghanist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 : #
파일:Myanmar_national_football_team_2024.svg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4.6. 6차전

4.6.1. 1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6차전 1경기
2026년 3월 31일(화) ??:?? (UTC+9)
경기장 (국가, 도시)
주심: 이름 (국적)
관중: -명
파일: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신정부군 엘블럼.png
# : #
파일:Afghanist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4.6.2. 2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6차전 2경기
2026년 3월 31일(화) ??:?? (UTC+9)
경기장 (국가, 도시)
주심: 이름 (국적)
관중: -명
파일:Myanmar_national_football_team_2024.svg
#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ew2008_PFFlogo.png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5. 총평




[1] 시리아가 남은 경기를 모두 던지고 미얀마가 남은 경기를 모두 이기면 승점이 같아지지만 시리아가 승자승에서 앞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