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4780F5><colcolor=#FFFFFF> 61315 GAMELAB | |
<nopad> | |
동아리명 | 61315 GAMELAB |
종류 | 소모임/연합동아리 |
주요 활동 | 게임 개발 |
설립년도 | 2005 |
관련 링크 |
[clearfix]
1. 요약
61315 GAMELAB은 성균관대학교 게임제작스터디에서 시작한 소모임으로,
지금은 게임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계신 모든 성인분들을 대상으로 모임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인디게임 제작을 중심으로 하는 게임제작 동아리이다.지금은 게임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계신 모든 성인분들을 대상으로 모임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게임제작 동아리이나, 큰 차이없이 소모임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2. 주요 활동
활동은 격주 일요일에 진행되며, 오후 4시에 시작하여 2시간 동안 진행된다.
회비(월 2만원)만 내면 공간 이용이 가능해, 다른 요일에도 작업을 하는 용도로 활용하기도 한다.과자먹자
격주 일요일 소모임 시간에는 프로젝트 진행 상황 공유, 게임업계 현황 공유 등 활동이 진행된다.회비(월 2만원)만 내면 공간 이용이 가능해, 다른 요일에도 작업을 하는 용도로 활용하기도 한다.
2.1. 커리큘럼
신입 소모임원은 커리큘럼을 진행하며, 커리큘럼은 2개월(게임개발 경험자)/6개월(2+4개월, 게임개발 초보자)로 나눠진다.2개월 간은 미니 프로젝트 및 해커톤을 진행하며 게임개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4개월 간은 출시할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2.2. 자율프로젝트
한 학기를 마치고 나면 자율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각자 팀의 스케쥴에 맞게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프로젝트 사이클(4개월 : 프로젝트 + 2개월 : 미니프로젝트)에 맞게 진행한다.
2.2.1. 4개월 프로젝트
4개월 프로젝트 기간에는 주로 출시 가능한 수준의 게임 제작을 진행한다.(미니프로젝트 2개월을 합쳐 6개월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한다.)
기획 파트 혹은 팀장으로 참여하는 팀원이 프로젝트를 이끌며, 소모임에서는 진행 상황에 대한 발표를 진행한다.
2.2.2. 미니 프로젝트
미니프로젝트는 작은 게임을 개발하거나, 다음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토타이핑, 개발 기술에 대한 스터디 등을 진행한다.이 기간 DOTS, VR 등의 스터디가 진행되었다.
2.3. 기타 활동
게임잼, 세미나, 전시 참가 등 다양한 활동을 확인할 수 있다.공식 인스타그램에서 확인 가능하다.
- 지스타 참관(2023) / 플레이엑스포 참관 (2024) / 버닝비버 참관(2022-2024)
- 해긴 커넥션 데이(2024)
- 게임잼 개최 (2020-2025)
2.4. 스터디
유니티 초급 / 유니티 중급 / 언리얼 / 그래픽스(OpenGL/Shader) / 이펙트 / 3D 모델링 등의 스터디가 진행되었다.이미 있는 스터디에 참여해도 되고, 소모임원이 직접 스터디를 개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3. 활동 인원 구성
대학생, 취업준비생, 직장인 등이 섞여있으며, 프리랜서, 게임업계 종사자, 비게임 업계 종사자 등이 섞여있다.신규 소모임원의 모집은 2월과 8월에 진행되며, 기획/아트/개발/기타 파트를 선발한다.
4. 대표작
대표적으로 Brave Beginners, 4주팔자 등의 팀이 있다.
61315 GAMELAB의 팀에서 시작한 Brave Beginners 팀의 CDO2가 대표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