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9 17:19:42

언리얼 엔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에픽게임즈의 언리얼 게임 시리즈에 대한 내용은 언리얼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tablebordercolor=#000,#fff><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000,#fff> 게임 엔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메이저 상용 게임 엔진
파일:언리얼 엔진 로고.svg파일:언리얼 엔진 로고 화이트.svg 파일:유니티 로고.svg파일:유니티 로고 화이트.svg
언리얼 엔진 유니티
기타 엔진 목록 }}}}}}}}}

그래픽 툴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2D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eee,#333> DTP LibreOfficeΟF · Affinity Publisher · Microsoft Publisher · Sigil · QuarkXPressC · 어도비 인디자인C · ScribusΟF
비트맵 GIMPΟF · Affinity PhotoB · Artecture Draw, Sketch, PaintΜ · SketchbookBF · AzPainter2 · Black InkBF · CLIP STUDIO PAINTB$ · Dr. HALOΧ · ExpresiiC · EzPhotoX · ibisPaint XB$ · KritaBΟFC · LeonardoC · mdiappF · MyPaintΟF · Paint.NET$ · PaintTool SAI · PintaΟF · PixiaF · ProcreateΜ$ · RebelleC· SketchableC · Spine · 그림판 · 디럭스 페인트Χ · 메디방페인트BF · 스무스 드로우F · 아트레이지 · 아트위버 · 어도비 포토샵C · 에지B$ · 오픈캔버스 · 일러스트 스튜디오Χ · 콜러페인트F · 파이어알파카F · 페이즈원 캡처원프로$ · 페인터C · 페인트샵 · 페인트스톰 스튜디오B · 포토샵 라이트룸 · 포토스케이프 X$프레시 페인트B · 픽셀메이터 프로B · 픽픽$ · 하늘Χ · 훠닐 스타일픽스F · Pocket ArtistXM
벡터 InkscapeΟ · Affinity DesignerB · Corel DRAWC · CorelTRACEOFC · CLIP STUDIO PAINTBC · ibisPaint XΜ · Microsoft Visio · Spine · 어도비 애니메이트C ·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C · 툰붐 하모니
UI Sketch · 피그마$ · 어도비 XD
웹 기반 Draw Chat · Drawesome · Kleki · PixlrB$ · Photopea$ · Sketch Pad · Magma Studio · Sumo App · Queeky · 미리캔버스B$ · 툴디B$
}}}}}}}}}
[ 3D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eee,#333><width=70> CAD ||<(>FreeCADOF · CATIA · CREO · Fusion 360 · Inventor · NX · Solid Edge · SolidWorks · OpenSCADOF · TinkercadF · ARCHICAD · AutoCAD · QCADO$ · ZWCAD · ZW3D · K-CAD||
PLM CATIA · CREO · Inventor · NX · Solid Edge · SolidWorks
Mesh BlenderOF · 3ds Max · Mudbox · Autodesk Maya · Cinema 4D(BodyPaint 3D) · Daz StudioF · Houdini · LightWave 3D · Metasequoia · MilkShape 3D · Mine-imator · MODO · Poser · SculptGL · Sculptris · SketchUp$ ·소프트이미지Χ · Source FilmmakerF · Substance 3D Painter · VUE · ZBrush · Zmodeler · 포즈 스튜디오 · Prisma 3DFM · XISMOF · VRoidBF · MikuMikuDance · Nomad SculptΜ
NURBS Alias · Autodesk Maya · 3ds Max · Rhino · 소프트이미지Χ
렌더 Arnold · Chaos Corona · Enscape · Mental RayΧ · V-Ray · Lumion · Twinmotion · 언리얼 엔진 · Keyshot · RenderMan$ · 코미Po! · 툰스푼 에디터
웹 기반 Onshape
[ 영상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eee,#333><width=70> 편집 ||<(>Avid Media Composer$ · AviUtlF · Camtasia Studio · Clipchamp$ · DaVinci Resolve$F · Final Cut Pro · HitFilm$ · iMovieB · KdenliveOF · Lightworks$ · LumaFusionB$ · Movavi Video · OliveOFC · ShotcutΟF · VITAM · VivaVideoΜ · Windows Movie MakerΧ · 곰믹스$ · 뱁믹스$ · 베가스$ · 소니 카탈리스트 · 에디우스 · 소프트이미지Χ · 캡 컷B · 키네마스터Μ · 파워디렉터B · 프리미어 프로 · 필모라 · 반디컷$ · Vrew$ · VLLOΜ ||
특수효과 애프터 이펙트 · Live2D$ · Motion · Nuke · 베가스 이펙트 · Alight Motion$ · NatronΟF · Luma FX$X
}}}||
B PC·모바일 공동 지원 · Μ 모바일 전용 · Ο 오픈 소스 · F 프리웨어 · $ 유·무료 공존/부분유료 · C 컬러 매니지먼트 시스템 · Χ 단종
Unreal Engine
언리얼 엔진
파일:언리얼 엔진 로고.svg파일:언리얼 엔진 로고 화이트.svg
개발사 에픽게임즈
출시일 언리얼 엔진 빌드 넘버 v1 / 1997년 9월 23일[1]
최신 버전 정식 출시 언리얼 엔진 5.3.2 / 2023년 11월 3일
미리 보기 언리얼 엔진 5.4.0 Preview / 2024년 3월 20일
개발중
브랜치
언리얼 엔진 5 메인 / 매일
유형 리얼타임 3D 창작 툴[2][3]
공식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정보 더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지원 언어 한국어, 중국어(정체), 중국어(간체), 일본어, 영어, 아랍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폴란드어
프로그래밍 언어 런타임 C++, C#
스크립트 C++[4], UnrealScript[5], Verse[6], 기타[7] 키즈멧[8], 블루프린트[9]
셰이더 GLSL, Cg, HLSL, CUDA, OpenCL
그래픽
API
DirectX[10] | Vulkan API | Metal
OpenGL[11] | WebGL
플랫폼 PC Microsoft Windows | macOS | 어도비 플래시 | HTML5
게임기 플레이스테이션 2 | 플레이스테이션 3 | 플레이스테이션 4 | 플레이스테이션 5 | 플레이스테이션 비타
Xbox | Xbox 360 | Xbox One | Xbox Series X|S
게임큐브 | Wii U | Nintendo Switch
모바일 iOS | 안드로이드 | UWP
VR HMD Oculus Rift | HTC VIVE | 플레이스테이션 VR
Windows Mixed Reality | 구글 카드보드
구글 데이드림
AR HMD ARKit | ARCore | 마이크로소프트 홀로렌즈
구글 글래스 | 매직 리프
TV 안드로이드 TV | Samsung Smart TV | tvOS
Cloud Stadia
자동차 테슬라 소프트웨어
사용요금[12]참고참고 스탠다드
라이선스
[13]
프로젝트 별 총 수익 $1,000,000 USD를 초과 후 발생한 분기별로 $10,000 USD를 초과한 매출액의 5%[14]
커스텀
라이선스
[15][16]
계약조건에 따라 로열티 감소 또는 로열티를 완전히 없앨 수도 있음[17]

}}}}}}}}} ||
1. 개요2. 사용 사례들
2.1. 국내에서의 역사2.2. 해외에서의 역사
3. 세부 버전4. 역사5. 게임 목록6. 주요 특징
6.1. 강력한 엔진의 성능6.2. 소규모 사업에서는 사실상 무료6.3. 대규모 프로젝트 개발에 유리한 적합성
7. 기타

[clearfix]

1. 개요

미국에픽게임즈에서 제작[18]리얼타임 3D 그래픽 솔루션 제작 툴.
리얼한 언리얼로 언리얼한 리얼을.[19]
매트릭스 어웨이큰스: 언리얼 엔진 5 익스피리언스

강력한 그래픽 성능과 다양한 개발 옵션, 시장의 동향에 따른 빠른 변화와 적응 등을 장점으로 실시간 3D 그래픽 제작 분야의 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언리얼 엔진 3는 PC, 가정용 게임기 및 스마트폰의 수많은 대작 게임 개발에 사용되었으며, 언리얼 엔진 4에서는 PC, 가정용 게임기, 스마트폰은 기본이고, VR을 비롯한 대중적인 기기와 향후 유행을 고려한 신규 기기, 그리고 게임을 넘어서 CG 영화 & 애니메이션 제작, 건축 설계, 실내 & 실외 디자인, 조경, 가상 & 증강현실 및 그것을 이용한 군사훈련용 시뮬레이션이나 기타 다양한 용도의 시뮬레이션 등 산업 분야에도 진출하고 있다.

1994년 중순에 디지털 익스트림즈의 창립자인 James Schmalz가 언리얼을 공동 개발하던 당시 혼자서 몇 달간 어셈블리어로 개발하며 모눈종이레벨 디자인을 하고 있는 모습을 에픽게임즈팀 스위니가 보고 "맵 에디터도 없이 종이에 뭐하는건가? 이 친구야. 내가 레벨 에디터를 만들어주겠네!"라며 브러시가 딸린 맵 에디터인 "언리얼 에디터"를 개발한 것이 언리얼 엔진의 시초이다.[20]

그런데 언리얼 에디터 툴이 어느정도 개발되자 팀 스위니는 James Schmalz에게 개발한 코드를 받았는데 전체가 어셈블리어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을 보고 경악하며 렌더링 엔진을 포함한 언리얼 엔진의 모든 것을 팀 스위니가 혼자서 개발하게 된다.

에픽게임즈에서 언리얼 엔진 1을 사용한 첫 출시작으로 1998년 4월 30일에 FPS 게임 언리얼을 발매하였다. 다분히 게임 본편만을 의식하여 만들어진 퀘이크 엔진과는 달리 편의성과 범용성을 크게 강조하여 3D 엔진 미들웨어 시장에서 커다란 성공을 거두었다.

본래 FPS 게임인 언리얼의 개발과 동시에 만들어진 엔진이라서 FPS 장르 외엔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말도 있었지만 언리얼 엔진 1로도 3인칭 액션 게임이 다수 출시되었으며 심지어 핀볼 게임도 나왔던 적이 있다. 언리얼 엔진 2로는 국내외로 많은 MMORPG를 포함한 여러 종류의 온라인 게임들이 제작되기도 했으며 다양한 장르의 게임들이 제작되어 발매되었다. 언리얼 엔진 3에 가서는 특정한 틀에 맞추어 놓지 않고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기능들도 다양한 장르를 고려했으며(온라인 게임을 위한 심리스 로딩 등) 여러 형태의 변조가 쉽게 가능하여 사실상 아무 장르나 다 만들 수 있는 범용성을 갖추게 되었고 언리얼 엔진 3이 버전업되면서 그러한 부분이 더욱 강화되었는데, 특히, 랜드스케이프와 초목 툴 등 한국형 MMORPG에서 필수적인 기능들이 추가되면서 더욱 다양한 장르의 게임에 활용이 가능하게 됐으며, 지원 플랫폼도 모바일까지 확대하는 등 지속적으로 범용성이 확장되었다. 언리얼 엔진 4 역시 애초부터 단일 엔진으로서의 범용화를 추구하여 개발(버전업)되고 있다.

언리얼 엔진이 이렇게 성공가도를 달리게 된 원동력은 범용성이 뛰어나며 사용하기 쉬운 툴 제공, 그리고 지속적인 업데이트로 인한 신기술의 적용과 개선, 그리고 개발사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기 때문이다. 범용성이 뛰어나 FPS 장르가 아니더라도 엔진을 활용할 수 있으며, 통합 개발툴인 'UnrealEd'를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인 게임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UnrealScript라고 불리는 자체 스크립트 언어의 완성도와 확장성이 환상적이라 범에 날개를 달아주는 격. 다른 엔진들에 비해 OOP 및 구조의 미학(?)에 더 충실하다는 평이다.[21] 언리얼 엔진 4 이후부터는 UnrealScript를 완전히 제거하고 보다 더 대중성을 위해서 C++를 기반으로 한 스크립트로 대체하였다. 마이크로소프트 소속 개발자들이 제작한[22] MonoUE라는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C# 사용이 가능하다.

그 외에 언리얼 엔진 3부터는 비주얼 스크립팅 시스템[23]이 포함되었는데 언리얼 엔진 3에서 Kismet이라는 이름으로 레벨 단위의 스크립팅을 작성할 수 있었고, 언리얼 엔진 4에서 더욱 발전된 Blueprint가 등장하여 레벨 단위뿐 아니라 오브젝트 단위로도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다.[24]

엔진 가격은 매우 비쌌으나[25], 2009년 공개된 UDK와 언리얼 엔진 4 멤버십 라이선스의 출현으로 이 또한 옛 이야기가 되었다. UDK는 소스코드를 제외한 언리얼 엔진 3의 거의 모든 기능을 무료로 제공하며 5만 달러 이상의 매출이 발생하면 그 때부터 매출의 25%를 로열티로 지불해서 사용할 수 있다. 2014년 공개된 언리얼 엔진 4의 멤버십 라이선스는 "여러분의 성공이 곧 저희의 성공입니다"라는 모토 아래 한 달 19달러에 소스코드를 포함한 모든 기능을 사용 가능하며 멤버십 비용 지불 기간 중에 업데이트[26]를 받을 수 있고, 분기별 매출이 3천 달러 이상일 경우 그 5%를 로열티로 지불하는 조건에 사용할 수 있다.[27] 단, 인센티브를 지불하고 싶지 않은 대형 제작사들을 위해 여전히 커스텀 라이선스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2015년 3월 2일 "사랑한다면 자유롭게"라는 문구와 함께 언리얼 엔진 4의 완전 무료화 선언으로 월 $19의 멤버십 라이선스 비용을 없애고 누구나 사용가능하도록 소스코드까지 완전 공개했으며 빠르고 지속적인 업데이트 또한 계속 무료로 제공되고 있다. 남은 것은 분기별 5%의 로열티뿐이며, 대형 개발사를 위한 로열티를 줄이거나 없애는 커스텀 라이선스는 여전히 존재한다. 그리고 매출이 발생하지 않는 무료 앱 개발이나 건축 설계, 영화 제작, 시뮬레이터 같은 개발은 완전히 공짜다.
"저희는 독립 게임 제작자들이 언리얼 엔진으로 성공하는 것을 더욱 쉽게 만들고자 하고 싶었습니다. 전에는 여러분은 게임이 3000달러를 (350만원) 얻으면 분기별 5%의 로열티를 지불하였지만, 이제부터 당신의 게임이 1백만 달러를 벌때까지 당신은 에픽게임즈에게 그 어떤 빚도 지지 않습니다."
ㅡ 다나 카울리, 에픽게임즈 마케팅 책임자
언리얼 엔진 5 공개 이후, 게임 판매량이 백만달러 (약 12억원) 이하인 제작자들을 위해 로열티를 완전히 제거한다고 발표했다. 저 정도 돈은 사실상 AAA 게임 개발사밖에 벌지 못하기 때문에 사실상 인디 게임 개발자에게는 아예 공짜로 풀어준것이라고 봐도 무방.

유튜브의 언리얼 엔진 채널에 들어가면 언리얼 엔진 GDC 기술 소개 영상, 언리얼 엔진 기반 게임들 영상, 한글 자막이 달린 엔진 튜토리얼 등 언리얼 엔진에 관한 여러가지 영상을 볼 수 있으며 자주 업데이트된다.

공식 매뉴얼은 언리얼 엔진 문서 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언리얼 엔진 5.0 정식 출시 영상.

2. 사용 사례들

2.1. 국내에서의 역사

국내에선 2003년에 선보인 리니지 2가 언리얼 엔진 2를 사용해서 본격적으로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언리얼 엔진 2를 기반으로 MMORPG 리니지 2를 만들었다는 것은, 실로 놀라운 사용례라 할 수 있다. 단지 FPS를 만들기 위한 엔진을 이정도로 활용한 예는 찾아보기 드물다.

이후 라그나로크 2, 프리스톤 테일 2 등 자금력이 어느정도 되는 개발사에서 개발하는 대형 프로젝트의 개발에 언리얼 엔진 2가 사용되었다.

언리얼 엔진 3이 처음 공개된 2004년에는 엔씨소프트웹젠이 언리얼 엔진 3를 도입한다는 기사가 떴고 2006년을 기점으로 국내 개발자들에 의해 언리얼 엔진 3에 대한 편의성과 고성능에 대한 입소문이 돌며 언리얼 엔진 3의 채용이 점점 늘어났다. 2007년에 선보인 AVA가 언리얼 엔진 3를 사용한 첫 국산 온라인 FPS 게임으로 유행을 탔고 AVA의 성공으로 국내에 언리얼 엔진 3를 채용하는 프로젝트가 더욱 많아지는 계기가 된다.

한국에서의 언리얼 엔진 소요가 많아지자 2009년 6월에 에픽게임즈 코리아가 설립된다. 설립목적은 언리얼 엔진의 지원과 한국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 추가 및 개발이고 이는 매우 성공적이어서 각종 설명서뿐 아니라 언리얼 엔진 3 자체의 한글화까지 이루어지고 한국시장에서 많이 필요로 하는 기능들[28]이 개발되어 엔진의 정식 버전업에 추가되는 이전에는 없던 유래없는 결과까지 만들어낸다. 한국지사 설립 이후 적극적인 지원과 프로 개발자들을 위한 세미나뿐 아니라 초보 개발자, 학생, 아마추어 개발자들이나 일반인들을 위한 세미나도 지속적으로 개최하여 좋은 결과를 이끌어낼수 있었다.

2009년에는 대한민국의 6개 대학에서 언리얼 엔진 3/UDK를 기본으로 하여 언리얼 엔진을 배우는 강의가 신설되었다.

언리얼 엔진 3도 처음에는 대형 프로젝트에만 사용되었으나 UDK가 공개된 이후 새로운 라이선스 정책에 따라 소규모 게임에도 많이 채택되기 시작했고 모바일을 본격적으로 지원하면서 2012년에는 브랜 뉴 보이라는 국산 모바일 게임을 시작으로 우후죽순으로 언리얼 엔진 3를 사용한 모바일 게임들이 출시되었고 마구더리얼 같은 스포츠 게임 등 캐주얼 장르를 비롯한 다수의 게임들이 개발되었다.

언리얼 엔진 4는 최초 개발시부터 한국지사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개발되었으며 처음부터 한글화되어 나왔다. 언리얼 엔진 3보다 더욱 발전된 랜드스케이프와 폴리지 외에도 한국 개발사들을 위한 여러가지 기능들이 추가로 개발되었으며 지속적인 피드백을 받아 엔진의 업데이트에 반영이 되고 있다.

언리얼 엔진 4의 무료화 및 오픈소스 정책으로 인해 소규모/인디 게임에서부터 대형 프로젝트까지 게임의 장르와 플랫폼을 가리지 않고 다양한 게임들에 채택되고 있다.

2.2. 해외에서의 역사

언리얼 엔진으로 만든 게임들은 언리얼 엔진/게임 목록에서 확인 가능하다.

언리얼 엔진 1 ~ 2는 데이어스 엑스(1, 2), 해리포터 게임 시리즈(1, 2, 3), 레인보우 식스(3 시리즈), 시프: 데들리 섀도스, SWAT 4, 킬링 플로어, 레드 오케스트라, 브라더스 인 암즈 시리즈(1, 2) 스플린터 셀 시리즈(1, 2, 3, 4, 5, 6), 바이오쇼크 시리즈(1, 2) 같은 명작 및 유명한 게임 시리즈를 비롯하여 약 10년간 100개가 넘는 게임들에 사용되었다.

언리얼 엔진 3는 기어스 오브 워 시리즈(1, 2, 3, 저지먼트), 보더랜드 시리즈(1, 2, 프리-시퀄), 매스 이펙트 시리즈(1, 2, 3), 배트맨 아캄 시리즈 (어사일럼, 시티, 오리진, 나이트) 모탈 컴뱃 시리즈 (8, 9, 10, 11), 인저스티스 시리즈(1, 2), 길티기어 Xrd, 라이프 이즈 스트레인지, 킬링 플로어 2, 레드 오케스트라 2, 라이징 스톰 시리즈 (1, 2), 아웃라스트 시리즈(1, 2), 디스아너드, 로켓 리그, 인피니티 블레이드 시리즈 (1, 2, 3), 브라더스 인 암즈: 헬즈 하이웨이, 엑스컴 시리즈(리부트 1, 2, 키메라 스쿼드), 셜록 홈즈 시리즈 같은 명작 게임 시리즈를 비롯하여 AAA급부터 인디 게임까지 약 15년간 1,000개가 넘는 게임들에 사용되었다.

언리얼 엔진 4 이후 버전(4 ~ 5 ~ 6 ~ 계속 같은 기반으로 업그레이드)으로 개발된 게임들은 2014년에 첫 출시를 시작해서 2023년 8월 기준으로 약 10년간 AAA급부터 인디 게임까지 모두 합쳐 상용으로 출시된 것만 대략 5,000개가 넘고, 무료 게임을 비롯해 게임이 아닌 다양한 용도로 활용한 앱들까지 계산하면 몇 만개가 훌쩍 넘어간다.

스트리트 파이터 5, 철권 시리즈(7, 8), 모탈 컴뱃 1, 길티기어 스트라이브, 드래곤볼 파이터즈,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15), 사무라이 쇼다운, 소울 칼리버(6) 등 주요 격투 게임 시리즈들이 언리얼 엔진을 사용하며, 기어스 오브 워 시리즈(4, 5), 보더랜드 3, 셜록 홈즈(리부트 이후), 아웃라스트 트라이얼, 매스 이펙트(신작), 킬링 플로어 3, 라이프 이즈 스트레인지 2 (및 이후 시리즈) 같은 기존의 언리얼 엔진 3로 만든 시리즈들이 언리얼 엔진 4 이후버전으로 넘어와서 사용중이다.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 (11, 12), 킹덤 하츠 시리즈(3, 4), 파이널 판타지 7 리메이크, 타임 크라이시스 5, 드래곤볼 Z 카카로트, 원피스, 나루토 게임 시리즈 등 스퀘어 에닉스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의 개발 체제가 언리얼 엔진으로 전환 되었다.

그외 헬 블레이드 시리즈(1, 2), 아크: 서바이벌 이볼브드, 씨 오브 씨브즈 같은 나름 유명해진 신규 IP나, 모토 GP 시리즈, 트레인 심 월드 시리즈도 지속적으로 언리얼 엔진을 사용중이다.

언리얼 엔진 5로 업그레이드된 후 비용(인력, 시간, 노력) 대비 그래픽 품질 상승 효율이 매우 높아서 AAA 게임들뿐 아니라 인디 게임들도 훨씬 많이 늘어나고 있다.

최근 스타워즈, 왕좌의 게임 등의 유명 영화와 드라마 시리즈들의 배경 CG 합성에 언리얼 엔진이 활용되고 있다. 일본에서도 특촬물인 기사룡전대 류소우저를 시작으로 가면라이더 세이버에서도 언리얼 엔진을 사용했다고 한다.[29] 이 두 특촬물 시리즈의 제작사 토에이는 앞으로의 작품들의 CG 제작에도 언리얼 엔진과 유니티 엔진을 병행하여 사용할 예정이다. 그리고 울트라맨 시리즈의 제작사 츠부라야 프로덕션도 울트라맨 시리즈의 CG에 신 울트라 파이트를 시작으로 언리얼 엔진을 도입하기 시작하여 일본 3대 특촬에 전부 쓰이기 시작했다.

GMC 허머 EV와 7세대 포드 머스탱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도 활용되었다. 차량 세팅 시 3D 모델링을 보여주는데 게임 커스터마이징하는 듯한 연출이 인상적.

3. 세부 버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언리얼 엔진/세부 버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언리얼 엔진의 버전은 크게는 세대(Generation)별 구분이 되고 세대 안에서도 세부 버전이 구분된다.

4.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언리얼 엔진/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게임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언리얼 엔진/게임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주요 특징

6.1. 강력한 엔진의 성능

기초적인 조명 설정만으로도 상당한 수준의 그래픽 품질을 보장할 정도로 단순히 타 게임 엔진과 기본 맵을 확인해도 그래픽 품질에 차이가 있다.

지원 기술의 성능, 툴의 기능, 유연한 코드 구성 등이 매우 우수하여 종합적인 실시간 3D 개발 도구로서의 역할에 충실하다.

각종 최신 기술들을 끊임없이 연구/개발 및 최적화하여 도입하고, 그것을 편리하게 사용하게 만들어주는 개발 툴, 그리고 전체 기능과 잘 융합시키는 버전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엔진의 전체적인 성능이 더욱 강력해지고 있다.

6.2. 소규모 사업에서는 사실상 무료

표준 라이선스 조건은 1개 프로젝트당 수익이 미화 $1,000,000(약 한화 12 ~ 13억)를 넘었다면, 이후 분기별 매출이 미화 $10,000 초과시 그 5%의 로열티를 지불하는 정책이다. 총 매출이 $1,000,000를 넘겼더라도 분기당 $10,000의 매출이 발생하지 않으면 로열티를 지불하지 않는다. 그리고 총 매출액도 프로젝트별 조건이기 때문에 같은 회사에서 2개 프로젝트가 각각 $500,000를 초과하여 $1,000,000을 넘기더라도 1개 프로젝트가 $1,000,000을 넘긴게 아니므로 로열티 지불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다.

그 정도의 수익을 내는 소규모 프로젝트는 없기 때문에 소규모 사업에는 사실상 공짜다. 또한 단순히 사용하거나, 공부나 개발 연구, 또는 비영리 프로젝트에서는 무료다.

표준 라이선스 정책 때문에 대규모 프로젝트에는 로열티가 많이 발생한다는 오해가 있다. 로열티를 지불하지 않는 대신 프로젝트당 몇 억 단위의 라이선스 비용을 지불하는 커스텀 라이선스도 있는데, 이것은 예전에 언리얼 엔진이 무료화 공개 이전에 몇 억 단위의 비용을 지불했다는 바로 그 라이선스가 그대로 남아있는 것이며, 중급에서 대형 게임 개발사의 대형 게임 개발 프로젝트는 당연히 이 라이선스로 계약하기 때문에 수익이 많이 난다고 해서 로열티를 많이 지불할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굳이 표준 라이선스를 남겨 놓는 이유는, 엔진 사용이 어떤 경우에도 완전 무료라면 커스텀 라이선스의 명분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며, 혹여라도 인디 게임이 대박이 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6.3. 대규모 프로젝트 개발에 유리한 적합성

언리얼 엔진은 입문부터 어느 정도 숙달된 후에도 유니티에 비해 어려운 편이다. 학생이나 아마추어 개발자 입장에서는 유니티가 더 쉬워 보인다. 다만 그것도 어디까지나 정말 작은 규모의 게임을 제작할 때에 한해서이며 개발 규모가 커진다면 유니티 엔진이나 언리얼 엔진이나 전문 지식 없이 개발하기 힘든 건 같다.

얼핏 보기에는 두 엔진이 비슷해 보일지 몰라도 유니티 엔진은 최소 규모의 모바일 게임, 2D 게임부터 중규모 게임까지에 주로 쓰이는 반면에 언리얼 엔진은 모바일 게임도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수준부터 대형 온라인 게임이나 싱글 캠페인 게임의 개발에 주로 쓰이는 엔진이고 그에 따라 엔진의 전체적인 구조 설계나 업데이트, 버전업 방향도 완전히 다르다.

언리얼 엔진이 소규모 게임 개발 분야에서도 약간씩 점유율을 늘려가고는 있지만 기본적인 무게가 있는 만큼 초저사양의 가벼운 3D 게임이나 2D 게임은 유니티로 개발하는 게 적합한 편이나 프로젝트와 개발팀의 규모가 커지고 전문 지식을 가진 개발자가 많을수록 유니티로는 그 구조적 한계상 감당하기가 점점 힘들어지는 반면 언리얼은 프로젝트와 팀의 규모가 크고 팀에 전문가가 많을수록 철저하게 관리 가능한 리소스, 프로파일링, 소스 코드 최적화 등을 비롯하여 여러가지면에서 대규모 프로젝트가 적합한 구조 설계상 유니티에 비해 오히려 개발 난이도가 점점 낮아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게임업계 표준 엔진이라 자체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베테랑 인력 충원이 쉽고, 신규 직원이 업무에 적응하기도 쉽다.

7. 기타

[SystemSettings]
r.DynamicRes.OperationMode=0
r.DynamicRes.MinScreenPercentage=100
r.DynamicRes.MaxScreenPercentage=100

[1] 개발은 1994년부터, 알파 버전은 1995년도에 공개, 베타버전은 1996년도부터 1997년도까지 조금씩 개발되는 버전들이 꾸준히 공개되었다. 1996년도에 언리얼의 베타 버전으로 엔진의 우수성이 알려지면서 마이크로프로즈 같은 개발사에서 먼저 요청하여 라이선스를 제공하였다. 1997년 9월 23일에는 빌드 넘버 1로 시작되는 정식 버전이 출시되었다.[2] 공식 홈페이지에는 영문 : Real-time 3D Creation Tool, 한글 : 리얼타임 3D 창작 툴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단순히 게임 엔진을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므로 게임 엔진이라고 표현하는 걸 넘어서 실시간 3D 창작 툴이 맞는 말이다[3] 이 명칭은 계속 변화했는데, 2014년 처음 언리얼 엔진 4.0 정식 버전이 등장한 해에는 the game engine technology(게임 엔진 기술), 같은 해 연말에는 complete suite of game development tools(완전한 게임 개발 툴 모음), 2017년 1월에는 creation engine(창작 엔진), 2020년 2월에는 real-time 3D creation platform(리얼타임 3D 제작 플랫폼), 같은해 말에는 Real-time 3D Creation Tool(리얼타임 3D 창작 툴)이라고 부르고 있다[4] 언리얼 엔진 4부터는 C++에 기반하여 기존의 UnrealScript의 기능을 탑재한 일종의 언리얼 C++를 기본 스크립트 언어로 사용한다.[5] 언리얼 엔진 3까지 사용된 JavaScript 스타일의 언리얼 엔진만의 고유 언어다.[6] 언리얼 엔진 5 업데이트(5.2 이후 예상)에 도입 될 예정이다. 에픽게임즈에서 자체 개발 중인 언리얼 엔진 고유의 스크립트 언어로 문법이 매우 간결하고 명확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할 것으로 예상되는 새로운 스크립트 언어다. 언리얼 C++를 대체하거나 보완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7] Python 등 다양한 스크립트 언어들을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들이 존재한다.[8] 언리얼 엔진 3의 비주얼 스크립트 언어로 레벨 단위의 스크립팅에 사용되었다.[9] 언리얼 엔진 4 이후로 사용되는 비주얼 스크립트 언어로 레벨 단위 스크립트를 넘어서 액터 단위별 조작이나 엔진 전반의 기능이 비주얼 스크립트화 되고 있다.[10] DX 5/6/7/8/9/10/11/12[11] OpenGL ES 포함[12] https://www.unrealengine.com/en-US/eula[13] 기존의 퍼블리싱 라이선스 옵션과 크리에이터 라이선스 옵션을 통합했다. 크리에이터 라이선스가 통합되었다고 해서 비용이 생긴 것은 아니며, 기존의 크리에이터 라이선스처럼 사용하는 것은 100% 무료에 로열티도 없다.[14] $1,000,000 초과되었더라도 매 분기별 매출액이 $10,000보다 적게 발생하면 로열티 지불 면제다. 또한 이것은 회사의 총 수익이 아닌 프로젝트 별 수익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2개의 게임을 개발해서 둘 다 $1,000,000를 초과한 매출을 낸 후 분기에 A라는 게임이 $9,999의 수익을, B라는 게임이 $9,999의 수익을 내서 한 분기에 총 수익이 $10,000를 초과하더라도 각 게임당의 $10,000를 넘지 않으므로 로열티가 면제다.[15] 맞춤형 라이선스는 예전 언리얼 엔진 가격이 프로젝트당 몇억 단위로 하던 바로 그 옵션이다. 언리얼 엔진이 무료화(퍼블리싱 라이선스 등장)되면서 발생한 흔한 오해 중 하나는 일정 수익 이상이 발생하면 무조건 로열티 5%를 부과하는 라이선스로 정책이 완전히 변경됐다고 생각하는 것인데 무료화(퍼블리싱/표준 라이선스 등장) 이후에도 단 한번도 맞춤형 라이선스 옵션이 사라졌던 적이 없고 수익을 많이 창출할 것으로 계획되는 대형 개발사의 AAA 게임들은 당연히 항상 맞춤형 라이선스로 계약을 한다.[16] 언리얼 엔진 5.4 출시 이후 기존의 엔터프라이즈 라이선스와도 통합되었다. 이제 스탠다드 라이선스 외에는 모두 커스텀 라이선스로 통일되었으며, 시트별로 라이선스하거나 프로젝트당 라이선스하는 등 분야별로 각 계약 조건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다.[17] 일반적으로 대형 개발사나 AAA급 개발들은 로열티를 완전히 없애는 조건으로 계약한다.[18] 최초의 언리얼 1 게임 개발의 시작부터 언리얼 토너먼트 2004까지는 디지털 익스트림즈와 공동으로 개발했으나 언리얼 게임 시리즈가 아닌 언리얼 엔진은 디지털 익스트림즈와 전혀 무관하며, 오직 에픽게임즈에서만 제작했다.[19] UDK 공개 당시 한국어 버전의 홍보 문구.[20] Blinded By Reality: The True Story Behind the Creation of Unreal. 참고로 해당 기사 작성자가 현재는 더 게임 어워드의 주최자이자 진행자로도 활동하는 캐나다의 게임 저널리스트인 '제프 케일리'이다.[21] Java와 유사한 문법에 게임에 특화된 여러 기능을 추가한 언어이다.[22]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23] 말 그대로 눈에 보이는 코드 조각들을 선으로 연결하며 프로그래밍하는 방식.[24] OOP의 형태를 갖추고 있어 라이트나 스태틱 메쉬 등의 여러 구성요소를 한데 묶어 켜고 끌 수 있는 조명 클래스를 만든다던가, 자동문 클래스를 만든다던가 하는 등의 일이 가능하다.[25] 2008년 기준으로 언리얼 엔진 3의 경우 임대형 구입은 한화 기준 5억 원 + 해당 게임의 수익 5%를 로열티로 지불해야 하며, 엔진 업데이트 1년에 1억원 가량의 비용이 추가로 청구되는 게 일반적이지만 조건에 따라 다르기도 하다. 로열티를 지불하지 않는 경우에는 조건에 따라 약 10억원에서 20억원 정도의 비용이 든다.[26] 멤버십 비용을 최초 한달만 지불했더라도 이후 업데이트를 적용하지 못할 뿐 기존에 받은 엔진과 소스코드는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다.[27] 언리얼 엔진 4 라이선스 프로그램의 공개로 기존 UDK 사용자들도 한달 5%의 인센티브와 기존 라이선스 프로그램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28] 대표적으로 랜드스케이프와 폴리지.[29] 기계전대 젠카이저에서는 유니티의 사용이 확인되었다.[30] 대신 1년 선결제 혹은 누적 1년 결제 시마다 업데이트가 제공되지 않는 무제한 라이선스를 준다. 자세한 사항은 JetBrains 항목 참조.[31] 스팀의 경우 -DX12[32] 게임 실행 도중에 캐시를 생성하기 때문에 게임이 버벅대는 것인데 그 이유는 셰이더 컴파일 과정에서 CPU 연산량을 100%에 가깝게 사용하기 때문이다.[33] DirectX 9, 10, 11에서도 로컬 셰이더를 사용하는 게임도 있었지만 하드웨어 기기에 따른 특색을 타지 않기 때문에 개발사에서 미리 컴파일해서 셰이더 캐시를 넣어두었다. 가끔 셰이더 캐시가 없는 게임들도 있었는데, 그런 게임들도 셰이더 컴파일에 짧은 시간만 걸렸고, 설치하거나 최초 실행 시에 게임이 구동되기 전에 컴파일을 완료하고 셰이더 캐시를 생성하므로, 체감하기 힘들었다. 하지만 DirectX 12나 Vulkan 같은 API의 경우 하드웨어마다 완전히 다르게 컴파일해야 하기 때문에 미리 컴파일해서 넣어 놓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고, 컴파일 시간도 오래 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