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4번 지방도 관련 틀 | ||||||||||||||||||||
|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734번 지방도 | |
대산~심원 | |
시점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 |
종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천원리 |
경유지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대산면, 무장면, 아산면, 부안면, 심원면, 흥덕면, (성내면)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
연결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22번 국도 23번 국도 15번 지방도 708번 지방도 733번 지방도 747번 지방도 796번 지방도 |
대마~북이 | |
시점 | 전라남도 영광군 대마면 원흥리 |
종점 |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사거리 |
경유지 | 전라남도 영광군 대마면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대산면 전라남도 장성군 삼계면, 삼서면, 동화면, 황룡면, 장성읍, 서삼면, 북일면, 북이면 광주광역시 광산구 |
연결도로 | 23번 국도 24번 국도 49번 지방도 708번 지방도 |
1. 개요
지방도 제734호선은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대산면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을 잇는 구간, 전라남도 영광군 대마면과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을 잇는 구간의 두 구간으로 나뉘어진 전북특별자치도의 지방도이다. 두 구간의 시·종점이 서로 인접해 있어 전체적으로 고창군과 장성군을 순환하는 모습이다.원래는 대부분의 구간이 고창군에 위치한 짧은 지방도였으나, 2008년 816번 지방도의 전구간을 편입하여 전북특별자치도 지방도지만 전라남도 구간이 훨씬 긴 도로가 되었다. 다만 시·종점의 수정이 이뤄지지 않아 도로현황조서 상으로는 노선번호를 공유하는 두 개의 별도의 지방도로 취급된다.[1] 대부분의 지도 서비스에서 옛 816번 도로를 734번으로 표기하는 바, 이 항목에 옛 816번 도로 구간 또한 기재한다. 일부 구간은 개설되지 않았다.
2. 노선
2.1. 대산 - 심원선
원래부터 734번 지방도였던 구간이다. 이름과는 달리 종점이 고창군 심원면이 아닌 정읍시 입암면이다.2.1.1. 고창군
공식적인 시점은 대산면 지석리이며 구 816번 지방도와 만나며 출발할 예정이나, 아직 이 구간은 개설되지 않았다. 실질적인 시점은 대산면 매산리이다.- 칠거리로
대산면 매산리에서 796번 지방도와 만나며 출발한다.
서해안고속도로와 교차하나 연결되지 않는다. - 감나무등로
아산면 죽산삼거리에서 15번 지방도와 교차하면서 길이 끊어진다. 여기부터 아산면 용계리까지는 미개설 상태이며, 15번 지방도를 통해 돌아가면 된다. - 운곡로
아산면 원평교차로에서 길이 시작되어, 운곡저수지 변을 따라가다가 부안면 용산리에서 22번 국도에 합류한다. 용산1교차로를 통해 간접연결되는데 심원면 쪽으로 가야 한다. 심원면 용기리까지 22번 국도와 중첩되다가 용선삼거리에서 분기한다. - 인촌로
부안면을 반 바퀴 돈 다음 부안면 중흥리 덕흥교차로에서 22번 국도에 합류한다. 흥덕면 흥덕리까지 22번 국도와 중첩된 후 미개통 구간이 등장한다. 여기서부터 정읍시 입암면 봉양리까지 도로가 개설될 예정이다.
2.1.2. 정읍시
- 밤고개로
밤고개에서 708번 지방도와 중첩되어 입암면 천원사거리에서 끝난다.
2.2. 대마 - 북이선 (구 816번 지방도)
광역자치단체 경계선을 세번이나 넘는 독특한 구간이다.2.2.1. 전라남도
2.2.1.1. 영광군
- 영장로
대마면 월촌교차로에서 23번 국도와 분기하며 시작한다.
대마면 송촌교차로에서 대마산단, 영광IC 방면 도로와 만난다. 좌회전 살짝 하고나서 직진하자.
대마면 소재지교차로에서 묘량면 방면 군도와 교차한다. 직진하자.
2.2.2. 전북특별자치도
2.2.2.1. 고창군
- 영장로
대산면 지석리를 잠깐 지난다. 마을길을 제외하고 생각한다면 대마면의 동서를 왕래할 수 있는 유일한 길.
2.2.3. 전라남도
2.2.3.1. 영광군
2.2.3.2. 장성군
- 영장로
깃재를 넘어 삼계면을 종관한다.
삼계면 월정교차로에서 24번 국도와 교차한다.
삼서면 홍정리교차로에서 좌회전. 동화면 방향으로 이어지다가 동화면 월산IC에서 49번 지방도에 잠시 합류.
2.2.4. 광주광역시
2.2.4.1. 광산구
- 국지로
49번 지방도와 중첩되다가 몇키로 못간 오산IC에서 다시 갈라진다. - 임곡상촌길
임동교를 건넌 뒤 광산동 연계삼거리에서 고봉로와 만난다. 좌회전하자.
참고로 옛 816번 지방도는 장성방면이 아닌 임곡동을 거쳐 비아까지 이어지며(임곡로 구간) 안청-비아간 구도로가 바로 그 흔적이다. 이 구간은 광산구가 광주에 편입된 후 지방도에서 해제되었다.
- 고봉로
여기서부터 장성군 북이면까지는 구 825번 지방도의 구간으로, 816번과 734번 지방도의 통합 전에는 816번 지방도의 구간이었다. - 강변로
광산동 오룡마을 입구(89번 버스 종점)에서부터 강변로로 이름이 바뀐다.
2.2.5. 전라남도
2.2.5.1. 장성군
- 강변로
황룡면 와룡교 앞 사거리에서 군도와 교차한다. 직진하자.
황룡면 황룡교차로에서 24번 국도와 교차한다. - 장재길
장성읍 공설운동장 앞 사거리에서 강변로와 합류한다. - 봉암로
안평리를 거쳐 신흥리로 향한다.
북일면 소재지에서 708번 지방도와 합류했다가, 신흥교차로에서 다시 분기한다.
북이면 사가삼거리에서 1번 국도와 합류하며 종료된다.
[1] 또한 816번 지방도의 전북특별자치도 구간 말소도 진행되지 않아, 서류 상으로는 816번 지방도도 남아있긴 하다.[2] 다음 지도에서는 대산방향 도로(홍교로)를 734번 지방도로 안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