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4번 지방도 관련 틀 | ||||||||||||||||||||
|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fab00><tablewidth=350px> 734 | 지방도 제734호선 Local Highway Route 734 대산 ~ 심원선 대마 ~ 북이선 | }}} | |
시점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 교회오거리 | |||
종점 |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사거리 사가삼거리 | |||
총 구간 | 112.6km | |||
경유지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정읍시 전라남도 영광군, 장성군 광주광역시 광산구 |
1. 개요
지방도 제734호선은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대산면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을 잇는 구간, 전라남도 영광군 대마면과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을 잇는 구간의 두 구간으로 나뉜 전북특별자치도의 지방도이다. 두 구간의 시·종점이 서로 인접해 있어 전체적으로 고창군과 장성군을 순환하는 모습이다.원래는 대부분의 구간이 고창군에 위치한 짧은 지방도였으나, 2008년 816번 지방도의 전구간을 편입하여 전북특별자치도 지방도지만 전라남도 구간이 훨씬 긴 도로가 되었다. 다만 시·종점의 수정이 이뤄지지 않아[1] 도로현황조서 상으로는 노선번호를 공유하는 두 개의 별도의 지방도로 취급된다. 대부분의 지도 서비스에서 옛 816번 도로를 734번으로 표기하는 바, 이 항목에 옛 816번 도로 구간 또한 기재한다. 일부 구간은 개설되지 않았다.
2. 노선
2.1. 대산 - 심원선
원래부터 734번 지방도였던 구간이다. 이름과는 달리 종점이 고창군 심원면이 아닌 정읍시 입암면이다.2.1.1. 고창군
공식적인 시점은 대산면 지석리이며 구 816번 지방도와 만나며 출발할 예정이나, 아직 이 구간은 개설되지 않았다. 실질적인 시점은 대산면 매산리이다.- 칠거리로
대산면 매산리에서 796번 지방도와 만나며 출발한다.
서해안고속도로와 교차하나 연결되지 않는다. - 감나무등로
아산면 죽산삼거리에서 15번 지방도와 교차하면서 길이 끊어진다. 여기부터 아산면 용계리까지는 미개설 상태이며, 15번 지방도를 통해 돌아가면 된다. - 운곡로
아산면 원평교차로에서 길이 시작되어, 운곡저수지 변을 따라가다가 부안면 용산리에서 22번 국도에 합류한다. 용산1교차로를 통해 간접연결되는데 심원면 쪽으로 가야 한다. 심원면 용기리까지 22번 국도와 중첩되다가 용선삼거리에서 분기한다. - 인촌로
부안면을 반 바퀴 돈 다음 부안면 중흥리 덕흥교차로에서 22번 국도에 합류한다. 흥덕면 흥덕리까지 22번 국도와 중첩된 후 미개통 구간이 등장한다. 여기서부터 정읍시 입암면 봉양리까지 도로가 개설될 예정이다.
2.1.2. 정읍시
- 밤고개로
밤고개에서 708번 지방도와 중첩되어 입암면 천원사거리에서 끝난다.
2.2. 대마 - 북이선 (구 816번 지방도)
광역자치단체 경계선을 세번이나 넘는 독특한 구간이다.2.2.1. 전라남도
2.2.1.1. 영광군
- 영장로
대마면 장보사거리에서 시작한다. 인근에 23번 국도와 서해안고속도로 영광IC가 있으며 영대로5길을 통해 간접 연결된다.
대마면 송촌교차로에서 대마산단, 영광IC 방면 도로와 만난다. 직진하자.
대마면 소재지교차로에서 묘량면 방면 군도와 교차한다. 직진하자.
2.2.2. 전북특별자치도
2.2.2.1. 고창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fab00><tablewidth=350px> 816 | }}} | ||
시종점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대산면 지석리 | |||
총 구간 | 1.0km | |||
경유지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대산면 |
- 영장로
대산면 지석리를 잠깐 지난다. 이는 마을길을 제외하면 대마면의 동서를 왕래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기 때문.
816번 지방도가 734번 지방도에 통합되었지만 이 구간의 말소가 진행되지 않아, 현재 서류상으로는 아직 이 구간이 816번 지방도로써 남아 있다.
2.2.3. 전라남도
2.2.3.1. 영광군
2.2.3.2. 장성군
- 영장로
깃재를 넘어 삼계면을 종관한다.
삼계면 월정교차로에서 24번 국도와 교차한다.
삼서면 홍정리교차로에서 좌회전. 동화면 방향으로 이어지다가 동화면 월산IC에서 49번 지방도에 잠시 합류.
2.2.4. 광주광역시
2.2.4.1. 광산구
- 국지로
49번 지방도와 중첩되다가 몇키로 못간 오산IC에서 다시 갈라진다. - 임곡상촌길
임동교를 건넌 뒤 광산동 연계삼거리에서 고봉로와 만난다. 좌회전하자.
참고로 옛 816번 지방도는 장성방면이 아닌 임곡동을 거쳐 비아까지 이어지며(임곡로 구간) 안청-비아간 구도로가 바로 그 흔적이다. 이 구간은 광산구가 광주에 편입된 후 지방도에서 해제되었다.
- 고봉로
여기서부터 장성군 북이면까지는 구 825번 지방도의 구간으로, 816번과 734번 지방도의 통합 전에는 816번 지방도의 구간이었다. - 강변로
광산동 오룡마을 입구(89번 버스 종점)에서부터 강변로로 이름이 바뀐다.
2.2.5. 전라남도
2.2.5.1. 장성군
- 강변로
황룡면 와룡교 앞 사거리에서 군도와 교차한다. 직진하자.
황룡면 황룡교차로에서 24번 국도와 교차한다. - 장재길
장성읍 공설운동장 앞 사거리에서 강변로와 합류한다. - 봉암로
안평리를 거쳐 신흥리로 향한다.
북일면 소재지에서 708번 지방도와 합류했다가, 신흥교차로에서 다시 분기한다.
북이면 사가삼거리에서 1번 국도와 합류하며 종료된다.
[1] 본래 734번 지방도 구간의 시점은 고창인데, 이 경우 구 816번 지방도와는 완전히 반대쪽으로 가 버린다. 실제로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이 점을 언급하며 본래 734번 지방도 구간의 구간 서술을 거꾸로 하고 있다.[2] 다음 지도에서는 대산방향 도로(홍교로)를 734번 지방도로 안내하는데, 좌화전하면 본래 734번 지방도 구간인 대산 - 심원선으로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