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2 23:11:20

734번 지방도

816번 지방도에서 넘어옴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지방도 파일:Korea_Local_Highway_logo.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일반 지방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24694> 대전 <colcolor=#000,#e5e5e5> 635 장수 - 서대전
충남 635 장수 - 금산 - 대전 · 643 완주(화산) - 공주 · 697 완주(운주) - 공주 · 723 익산 - 청양 · 799 완주(삼례) - 공주
전남 734 정읍 - 장성 · 861 광양 - 남원 · 893 장성 - 고창 · 897 순천 - 순창 · 898 담양 - 고창
경북 1089 산청 - 무주 - 김천
경남 742 임실 - 함양 · 1089 산청 - 무주 - 김천
남북 701 정읍 - 김제 · 705 정읍 - 부안(하서) · 711 김제(부량) - 익산(용안) · 713 김제(금구) - 전주(반월) · 715 순창 - 김제 · 717 순창 - 임실 · 721 남원 - 완주 · 729 순창 - 정읍 · 735 김제(봉남) - 익산 · 741 완주 - 익산 · 743 남원 - 장수 · 745 순창 - 진안 · 747 고창 - 부안 · 749 정읍 - 완주 · 751 남원 - 장수 · 795 진안 - 부안
동서 706 군산(성산) - 익산(용안) · 708 고창 - 정읍 · 710 부안(줄포) - 정읍(고부) · 712 김제(청하) - 전주 · 714 김제 - 완주 · 716 김제 - 전주 · 718 군산(회현) - 익산(망성) · 726 진안 - 장수 · 730 순창 - 남원 · 732 완주 - 진안 · 736 부안 - 김제 · 740 익산 - 완주
시군 702 김제(성덕 - 백구) · 703 부안(위도) · 707 줄포 - 부안 · 709 군산(옥서 - 성산) · 720 익산 - 왕궁 · 722 익산(웅포 - 왕궁) · 724 익산(웅포 - 여산) · 725 진안(정천 - 주천) · 727 안성 - 무주 · 733 고창(상하 - 아산) · 737 남원(정령치) · 744 군산(옥구 - 회현) · 792 복흥 - 순창 · 796 고창(대산 - 무장) }}}}}}}}}
국지도 | 지방도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734번 지방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라남도지방도 파일:Korea_Local_Highway_logo.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일반 지방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color=#000><colbgcolor=#ffcd00> 광주 <colcolor=#000,#e5e5e5> 817 장흥 - 광주대
전북 734 정읍 - 장성 · 861 광양 - 남원 · 893 장성 - 고창 · 897 순천 - 순창 · 898 담양 - 고창
동서 806 완도 - 영암 · 808 함평 - 영광 · 818 나주(문평) - 화순(춘양) · 820 무안 - 장흥 · 822 나주 - 화순(동복) · 836 장흥 - 보성 · 840 광양 - 곡성
남북 801 진도 - 함평 · 803 진도 - 해남 · 805 신안 - 무안 · 811 무안역 - 함평(손불) · 815 무안(일로) - 함평 · 819 장흥 - 해남 - 영암 · 821 영암 - 나주 · 825 신안 - 함평 · 827 해남 - 장흥 · 835 장흥 - 영암 · 839 보성 - 화순 · 843 고흥 - 화순 · 851 고흥 - 보성 · 857 보성 - 순천 · 863 여수 - 광양 · 865 광양 - 구례 · 887 화순 - 담양
시군 814 강진(성전 - 병영) · 830 고흥(녹동 - 두원) · 838 함평(손불 - 나산) · 842 영광(군서 - 홍농) · 845 보성(회천 - 복내) · 855 고흥(도화 - 점암) · 895 보성(회천 - 벌교) }}}}}}}}}
국지도 | 지방도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fab00><tablewidth=350px>
734
지방도 제734호선
Local Highway Route 734

대산 ~ 심원
대마 ~ 북이
}}}
시점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 교회오거리
종점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사거리 사가삼거리
총 구간 112.6km
경유지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정읍시
전라남도 영광군, 장성군
광주광역시 광산구

1. 개요2. 노선
2.1. 대산 - 심원선2.2. 대마 - 북이선 (구 816번 지방도)

1. 개요

지방도 제734호선은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대산면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을 잇는 구간, 전라남도 영광군 대마면과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을 잇는 구간의 두 구간으로 나뉜 전북특별자치도의 지방도이다. 두 구간의 시·종점이 서로 인접해 있어 전체적으로 고창군과 장성군을 순환하는 모습이다.

원래는 대부분의 구간이 고창군에 위치한 짧은 지방도였으나, 2008년 816번 지방도의 전구간을 편입하여 전북특별자치도 지방도지만 전라남도 구간이 훨씬 긴 도로가 되었다. 다만 시·종점의 수정이 이뤄지지 않아[1] 도로현황조서 상으로는 노선번호를 공유하는 두 개의 별도의 지방도로 취급된다. 대부분의 지도 서비스에서 옛 816번 도로를 734번으로 표기하는 바, 이 항목에 옛 816번 도로 구간 또한 기재한다. 일부 구간은 개설되지 않았다.

2. 노선

2.1. 대산 - 심원선

원래부터 734번 지방도였던 구간이다. 이름과는 달리 종점이 고창군 심원면이 아닌 정읍시 입암면이다.

2.1.1. 고창군

공식적인 시점은 대산면 지석리이며 구 816번 지방도와 만나며 출발할 예정이나, 아직 이 구간은 개설되지 않았다. 실질적인 시점은 대산면 매산리이다.

2.1.2. 정읍시

2.2. 대마 - 북이선 (구 816번 지방도)

광역자치단체 경계선을 세번이나 넘는 독특한 구간이다.

2.2.1. 전라남도

2.2.1.1. 영광군

2.2.2. 전북특별자치도

2.2.2.1. 고창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fab00><tablewidth=350px>
816
지방도 제816호선
Local Highway Route 816

}}}
시종점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대산면 지석리
총 구간 1.0km
경유지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대산면

2.2.3. 전라남도

2.2.3.1. 영광군
2.2.3.2. 장성군

2.2.4. 광주광역시

2.2.4.1. 광산구

참고로 옛 816번 지방도는 장성방면이 아닌 임곡동을 거쳐 비아까지 이어지며(임곡로 구간) 안청-비아간 구도로가 바로 그 흔적이다. 이 구간은 광산구가 광주에 편입된 후 지방도에서 해제되었다.

2.2.5. 전라남도

2.2.5.1. 장성군


[1] 본래 734번 지방도 구간의 시점은 고창인데, 이 경우 구 816번 지방도와는 완전히 반대쪽으로 가 버린다. 실제로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이 점을 언급하며 본래 734번 지방도 구간의 구간 서술을 거꾸로 하고 있다.[2] 다음 지도에서는 대산방향 도로(홍교로)를 734번 지방도로 안내하는데, 좌화전하면 본래 734번 지방도 구간인 대산 - 심원선으로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