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15:10:19

BOSS/이펙터/스톰프박스 시리즈/튜너 및 유틸리티 계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BOSS/이펙터
[[BOSS|
파일:BOSS_Logo_Blue.svg
]]제품 목록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min-width: 50%"
{{{#!folding [ 스톰프박스 이펙터 시리즈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드라이브 계열 BC-2 | BD-2(BD-2W) | DA-2 | DF-2 | DN-2 | DS-1(DS-1X, DS-1W) · DS-2 | FZ-1W · FZ-2 · FZ-3 · FZ-5 | HM-2(HM-2W) | JB-2 | MD-2 | ML-2 | MT-2(MT-2W) | MZ-2 | OD-1(OD-1X) · OD-2(OD-2R) · OD-3 | OS-2 | PW-2 | SD-1(SD-1W) · SD-2 | ST-2 | TB-2W | XT-2
부스터/프리앰프 계열 AD-2 | BP-1W | FBM-1 | FDR-1 | FB-2 | IR-2
다이나믹/필터 계열 AW-2 · AW-3 | CP-1X | CS-1 · CS-2 · CS-3 | EH-2 | FT-2 | GE-6 · GE-7 | LM-2 | NS-1X · NS-2 | PQ-4 | SG-1 | SL-2 | SP-1 | TW-1 | VO-1
피치/모듈레이션 계열 BF-2 · BF-3 | · CE-2(CE-2W) · CE-3 · CE-5 | CH-1 | DC-2(DC-2W) · DC-3 | MO-2 | OC-2 · OC-3 · OC-5 | PH-1(PH-1R) · PH-2 · PH-3 | PN-2 | PS-2 · PS-3 · PS-5 · PS-6 | TR-2 | VB-2(VB-2W)
공간 계열 DD-2 · DD-3(DD-3T) · DD-5 · DD-6 · DD-7 · DD-8 | DM-2(DM-2W) · DM-3 | DSD-2 · DSD-3 | FRV-1 | RE-2 | RV-2 · RV-3 · RV-5 · RV-6 | SDE-3 | TE-2
베이스 페달 BB-1X | BC-1X | BF-2B | CE-2B | CEB-3 | GE-7B | GEB-7 | LM-2B | LMB-3 | ODB-3 | PQ-3B | SYB-5
튜너/유틸리티 계열 AC-2 · AC-3 | LS-2 | PSM-5 | TU-2 · TU-3(TU-3S, TU-3W) | SY-1
루프스테이션 RC-1 · RC-2 · RC-3 · RC-5 · RC-10R · RC-20XL · RC-30 · RC-50 · RC-202 · RC-300 · RC-500 · RC-505 · RC-505 MKII · RC-600
20 시리즈
(더블페달 시리즈)
CE-20 | DD-20 | EQ-20 | GP-20 | OC-20G | OD-20 | RC-20 | RE-20 | RT-20 | SL-20 | VE-20 | WP-20G
200 시리즈 DD-200 | EQ-200 | IR-200 | MD-200 | OD-200 | RV-200 | SY-200
500 시리즈 DD-500 | MD-500 | RV-5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min-width: 50%"
{{{#!folding [ 멀티 이펙터 시리즈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GT 시리즈 GT-5 | GT-3 | GT-6(GT-6B) | GT-8 | GT-10(GT-10B) | GT-100(GT-001) | GT-1 | GT-1000(GT-1000CORE) | Pocket GT
ME 시리즈 ME-5 | ME-6(ME-6B) | ME-8 | ME-10 | ME-20 | ME-25 | ME-70 | ME-80 | ME-90
그 외 GX-100 }}}}}}}}}
※ 개별 문서가 없는 모델들은 BOSS/이펙터 항목 참조
취소선: 단종된 모델
이텔릭: 콜라보레이션 모델


1. 개요2. 목록
2.1. AC-2 Acoustic Simulator2.2. AC-3 Acoustic Simulator2.3. LS-2 Line Selector2.4. PSM-5 Power Supply & Master Switch2.5. TU-2 Chromatic Tuner2.6. TU-3 Chromatic Tuner
2.6.1. TU-3S Chromatic Tuner2.6.2. TU-3W Chromatic Tuner
2.7. SY-1 Synthesizer

1. 개요

BOSS사의 튜너 및 유틸리티 계열 스톰프박스 이펙터 제품들을 정리해놓은 문서.

알파벳 순서대로 정리되어 있으며, 단종된 제품은 취소선 처리가 되어 있다.

2. 목록

2.1. AC-2 Acoustic Simulator

파일:ac-2.jp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1996년에 처음 출시되어 2006년에 단종된, 일렉트릭 기타의 사운드를 어쿠스틱 기타스러운 사운드로 바꾸어주는 이펙터. 아무래도 두 악기 모두 무게가 어느정도 되는데다, 본격적으로 톤을 만들기 위해서는 저 둘 외에도 싸들고 다녀야 하는 부속 악세사리들이 많기에 그런 기타리스트들을 위해 고안된 제품이다. 해당 제품이 개발된 시기는 아직 기술이 농익지 못한 상태였다보니 실제 사운드는 일렉트릭 기타와 어쿠스틱 소리를 적당히 섞어놓은 정도의 전문적인 스튜디오 녹음에서 사용하기엔 무리가 있는 소리라는 평이 많다.[1]

조작부 우측의 모드 노브를 조작하여 희망하는 어쿠스틱 기타의 성향(스탠다드, 점보, 인헨스, 피에조)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바로 옆의 TOP 노브를 돌려 얼마나 소리를 밝게 할 것인지를 조절할 수도 있다.

2.2. AC-3 Acoustic Simulator

파일:ac-3.jp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위 AC-2 Acoustic Simulator의 후속작. AC-2가 단종된 2006년에 개선판으로 출시된 제품이다. 당시 보스에서 따끈따끈하게 막 개발된 상태였던 COSM 샘플링 기술을 활용하여 전작보다 훨씬 사실적인 어쿠스틱 기타 사운드를 살려내었다.

2.3. LS-2 Line Selector

파일:ls-2.jp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기타 시그널을 두 개로 나누어 각각의 앰프로 보내거나, 전문 스튜디오에서 믹싱을 하듯 샌드/리턴 단자를 통해 모듈레이션이나 공간계 이펙터들의 적용값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페달.

모드 노브를 사용하여 어떤 방식으로 사용할 것인지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2.4. PSM-5 Power Supply & Master Switch

파일:psm-5.jp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1982년에 출시되었다가 이듬해인 1983년에 단종된 제품으로, 일종의 원시적인 이펙트 루프 및 파워서플라이 페달이다.

페달 조작부에 있는 AMP와 GUITAR 부분에 각각 기타 앰프와 악기를 연결해놓고, 페달 측면부에 있는 SEND RETURN에 사용하고자 하는 다른 이펙터들을 이펙트 루프와 동일한 구성으로 세팅하여 사용한다. 페달 LED 인디케이터에 초록 불이 들어오도록 했을 때는 SEND-RETURN 사이에 연결된 이펙터들이 바이패스되며, 이 상태에서 페달을 발로 밟아 LED 인디케이터를 붉은 빛이 들어오도록 했을 때는 SEND-RETURN 사이에 연결된 이펙터들을 통과한 사운드가 난다.

페달 측면부, 다른 이펙터들이라면 DC 인풋 단자가 있던 위치에 있는 단자로 다른 페달에 전원을 공급하며, 해당 제품 자체는 조작부 중앙에 있는 DC 인풋 단자로 전원을 공급받는다. 해당 방식과 아주 동일하진 않지만, 이후 튜너 페달인 TU-2와 TU-3가 해당 페달과 비슷한 '본체로 받은 전원을 다른 이펙터에도 공급해준다'는 구조적 컨셉을 이어받았다.

거의 40년도 더 전에 단 1년여밖에 생산되지 않고 단종된 제품 치고는 엄청나게 저렴한 가격에 중고로 구할 수 있는 제품이기도 한데, 근래 등장한 제품중에는 훨씬 부피도 작고 지원하는 기능도 많은 제품들이 넘쳐나기 때문이다. 실제로 굳이 빈티지 보스 페달들을 수집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아니라면 딱히 구입할 필요도, 구입한 뒤에 유용성도 느낄 수 없는 제품이다.

2.5. TU-2 Chromatic Tuner

파일:tu-2.jp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보스 인클로저를 사용한 페달 튜너. 1998년에 출시되어 후속작 출시 직전인 2009년에 단종되었다.

측면 아웃풋 단자가 일반 아웃풋과 바이패스(BYPASS) 단자로 총 두 개인데, 이 중 일반 아웃풋으로 연결 시, 튜너가 켜졌을 때는 모든 소리가 뮤트되나, 바이패스 단자에 연결 시 튜너가 켜진 상태에서도 지속적으로 사운드 신호가 흐르게 된다.

2.6. TU-3 Chromatic Tuner

파일:tu-3.jp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위 TU-2의 개선작. 조작부 버튼의 형태가 약간 달라졌으나, 대부분의 기능들은 TU-2와 크게 다르지 않다.

2.6.1. TU-3S Chromatic Tuner

파일:tu-3s.jp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위의 TU-3를 컴팩트하게 줄인 버젼. 작은 크기 덕에 페달보드에 장착할 경우 더 좋은 공간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다.

2.6.2. TU-3W Chromatic Tuner

파일:tu-3w.jp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2016년 보스의 하이엔드 라인업인 와자 크래프트에서 선보인 TU-3의 개선작.

기존 TU 시리즈들과 극명히 대비되는 검정색 인클로저를 채용하였으며, 디스플레이에 뜨는 색깔 또한 기존 색과 반대인 파란색이다. 그 외에 기존 TU 시리즈 튜너들이 버퍼 바이패스를 채택하여 고질적인 톤 깎임 증상이 발생된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트루 바이패스와 버퍼 바이패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를 추가하였다.

2.7. SY-1 Synthesizer

파일:sy-1.jp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1] 물론 소닉 유스서스턴 무어처럼 사용중인 프로 아티스트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