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5 07:15:30

Friday Night Funkin'/모드/Wednesday's Infidelity/스테이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Friday Night Funkin'/모드/Wednesday's Infidelity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모드 사이트에서 조회수 50만회 이상을 받은 모드만을 등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모드 사이트에서 조회수 50만회 이상을 받은 모드만을 등재하기
토론 - 파생 모드는 이 문서 내 '파생 모드' 문단의 하위 문단으로서 등재하기
토론 - 모드의 주소는 공식 사이트와 한글 패치 주소 외에는 기재가 불가능하나\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colbgcolor=#f7339a><colcolor=#ffffff> 파일:fnflogo.png
게임 정보 등장인물 | 스테이지 | 더미 데이터
모드 목록
(단독 문서)
2020년 · 2021년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2022년 (1분기 · 2분기 · 3~4분기) · 2023년~
논란 및 사건 사고 2021년 · 2022년 · 2023년
기타 마이너 갤러리 | 팬덤 | 템플릿

1. 개요2. WEEK 1
2.1. Wistfulness2.2. Dejection2.3. Unknown Suffering2.4. 해피루트
2.4.1. Sunsets2.4.2. Versiculus Iratus
2.5. 배드루트
2.5.1. Last Day2.5.2. Hellhole
3. WEEK 2/3
3.1. Carnival in Toyland3.2. Spring March3.3. Cravings3.4. Hunger Pangs
4. Imposter
4.1. Needle mouse4.2. Unknowm Defeat
5. 커버곡
5.1. Battered5.2. Accelarant5.3. Too slow
6. 프리플레이
6.1. Vesania6.2. Untold Loneliness6.3. leak my balls
7. 취소된 곡
7.1. Megrims7.2. drugs

1. 개요

게임을 실행하면 프나펑 인트로가 나오는데 갑자기 어떤 음악과 함께 메세지 하나가 뜬 후 음악이 바뀌더니 현실적인 눈을 크게 뜬 미키 마우스의 혐짤[1]이 있는 엔터를 눌러 실행하는 화면이 나온다.

그리고 엔터를 누르면 경고 메세지가 뜨며 메인 메뉴로 이동한다.
여담으로 이 모드에서는 여자친구가 나오지 않으며, 남자친구의 스킨으로 바꿀수있다.[2][3][4] 또 만약 ESC나 Enter키를 누르면 사탄이 나타나 멈추지 못하게한다.

2. WEEK 1

WEEK 1을 시작하면 컷신이 나온다. 어느 아름다운 수요일 아침, 미키는 미니가 어떤 키가 큰 멋진 쥐에게 말하고 있는 것을 보았다. 그건 미니가 그 쥐의 매력에 푹 빠지게 했고 그녀는 이제 그의 품 안에 있다. 미키는 외로워하고 두려워하며 계속 도로를 걷다가 남자친구를 발견했고 나레이션은 아마도 남자친구가 미키에게 도움이 될거라 말한 후 계속 검은 화면만 나오다가 또 미키 혐짤이 나온다.

2.1. Wistfulness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Wistfulness}}}
길이 1분 42초
BPM 101
속도 2.3
최고점 101850
(미키가 행복하게 걷는 모습을 보여준다. 내레이터는 Wistfulness로 이어지는 일련의 사건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내레이터: 어느 아름다운 수요일 아침, 미키 마우스는 사랑하는 미니 마우스가 키 크고 우아한 쥐와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그 쥐는 미키를 재빨리 그의 매력에 빠지게 만들었습니다. 물론 그의 품에도 말이죠.
(미키는 Mr. Slicker가 미니를 유혹하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 미니는 Slicker에 대해 경외감을 느키고 슬리커는 계속해서 미니에게 뭔가를 말하고 나서 자신을 비웃는다)
내레이터: 미키가 거기에서 쳐다보고 있다는 사실도 신경쓰지 않았습니다.
(미키가 다시 등장하고 이제 미니의 불신앙에 놀란다. 그런 다음 그는 눈에 띄게 화가 난 채 현장에서 시선을 돌린다. 그리곤 그의 다리에 주사기가 그의 발 아래로 떨어진다.[5])
나레이터: 그는 혼자 두려워하며 죽음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미키가 자살하는 쥐처럼 걷는모습이 나온다)
남자친구: 삐!
나레이션: ...그는 뭔가 도움이 될 만한 것을 찾았습니다...


우울한 미키 마우스와 대결한다. Sunday Night Suicide 모드의 Unhappy처럼 증기선 윌리의 휘파람 소리를 노래로 부르며 난이도는 쉽다. 중간에 미키가 몸을 떨다가 눈이 하얗게 변하고 고통스러운 표정을 지으며 흑백 만화에서는 볼 수 없는 붉은색의 피눈물을 흘리다 원래대로 돌아온다. 이때부터 화면이 흔들리고 채보창이 깜빡거리니 주의. 노래가 끝난 후 컷신에서는 미키 마우스가 몸을 떨며 수상하게 미소를 짓는다.

2.2. Dejection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Dejection}}}
길이 2분 34초
BPM 140>160
속도 2.6
최고점 126700

미키 마우스가 몸을 떨지 않은 채로 미소를 짓지만 노래를 부르지 않는 상태일 때 잠시동안 표정이 Wistfulness 중간에 나온 고통스러워하는 표정으로 바뀐다. 이 노래부터 미키가 노래를 부를 때 마다 게이지가 깎이니 주의. 난이도는 쉽지만 중간에 미키가 비정상적으로 웃더니 화면이 검어지며 웃는 노트가 내려오는데 누르면 몇 초 동안 얼굴이 녹아내린 미키의 점프스케어가 나와 화면을 가리니 주의.[6] 후에도 난이도는 화면이 흔들리거나 게이지가 밀리므로 살짝 까다로워졌지만 노트만 잘 보면 쉽다. 다만 노래가 2분 34초로 꽤 긴 편이고, 곡 후반부에 약한 폭타가 내려오니 집중하자.

2.3. Unknown Suffering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Unknown Suffering}}}
길이 2분 55초
BPM 200
속도 3.4
최고점 191800
결국 미쳐가는 미키는 남자친구에게 주사기를 보여주게된다.


초반부에는 Dejection에서의 모습이었다가 기괴하게 웃는 채로 주사기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변하는 미키 마우스랑 대결한다. 노트 수가 상당히 많은 데다가 속도도 꽤 빨라 꽤나 어렵다. 또한 노래 초중반에 암전 효과와 함께 미키 마우스의 스프라이트가 바뀌는데[7][8], 이 때부터 주사기를 던지는 패턴이 나온다. 주사기는 Space로 피하고 맞으면 얼굴이 잠깐 변하고 체력이 조금 차지만 노트 속도가 빨라지고 화살표도 위치가 조금씩 움직이고 조금 회전한다.[9] 가로막힌 문의 판자에 IM DEAD라고 적혀있다 어? 또 업데이트로 시간 기믹이 생겼는데,원래는 2분 1초짜리 곡이라고 나오지만 실제로는 2분 54초이며,2분 1초가 되면 시간이 늘어난다.

이후 곡을 클리어하면 미스개수에 따라 해피루트나 베드루트로 나뉜다.

2.4. 해피루트

미스 갯수가 30회 미만시 진행되는 루트

2.4.1. Sunsets[10]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Sunsets}}}
길이 1분 45초
BPM 116
속도 2.3
최고점 39550

이후 미키가 남자친구를 건드려고 할때 뒤에서 미니가 말린다, 그리고 남자친구한테 키가 큰 멋진 쥐와 자기는 아무 사이도 아니라고 얘기한다.
이후 다시 남자친구와 미키는 다시 랩배틀을 한다.
에서는 평범한 모습으로 돌아온 미키 마우스와 대결한다. 난이도는 많이 쉽다.

클리어 이후
아, 그런데 정말 해피엔딩이군요!
우리의 사랑하는 친구 미키가 애도를 멈췄기 때문에 그 수요일 아침은 다시 밝아졌습니다. 태양의 아름다움과 따뜻함은 살아있는 것의 진정한 행복을 보여주었습니다!
두 친구 모두 살아남았습니다
미키의 손에 있던 주사기는 새로운 친구와 함께 탐험하고 싶었기 때문에 결국 바닥에 떨어졌습니다. 아직 준비할 게 너무 많아서 저 문 뒤에 있는 두 사람과 또 다른 공연을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두 사람이 변화를 만들었다고 믿고 부른 노래. 다시 행복해지는 것이 그렇게 쉽다고 생각하시나요?!
네가 나한테 무슨 짓을 했는지 봐, 이 어리석은 쥐야.
-미키의 머리가 갑자기 격렬하게 터트리면서 나레이션이 정체를 밝힌다.

이후 컷신은 지옥으로 향하는 포털 장면에서 검게 변하는데, 터진 미키와 보프는 마지 못해 카메라 밖으로 끌려간다.

2.4.2. Versiculus Iratus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Versiculus Iratus}}}
길이 3분22초
BPM 185
속도 3
최고점 157500
미키 마우스로 플레이하며 사탄 체르노보그와 대결한다. 초반부에는 망토를 입은 슬픈 악마이지만, 잠시후 갑자기 뒤에서 머리만 있는 체르노보그가 나타나며 거대한 본모습이 된다. 또 미키는 쇠사슬이 묶여있고,배경은 지옥에서 해골들이 움직인다. 후반부에는 머리만 있는 체르노보그가 화면에서 웃고,미키가 공중에 뜨며 글리치가 일어난다.[11] 이후 화면이 어두워지며 끝

2.5. 배드루트

미스개수가 30회 이상시 진행되는 루트

2.5.1. Last Day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Last Day}}}
길이 2분
BPM 106
속도 2.5
최고점 45150

미키가 총을 머리에 대 자살을 하려하고 보프의 뒤에서 글리치가 있는 균열이 생긴다. 곡 분위기가 암울하고,난이도는 Sunsets와 비슷하다.

결국 미키는 자살하고 보프는 어디론가 이동된다. 도착한 곳은 다름아닌 지옥. 그리고 그곳에서 죽었던 미키 마우스를 만난다. 이후 굿엔딩과 마찬가지로 나레이터의 목소리가 체르노보그로 바뀌고 모습을 드러내며 다음곡이 시작된다.

2.5.2. Hellhole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Hell Hole}}}
길이 5분 08초
BPM 200
속도 2.8>3.6
최고점 249200

타락한 미키마우스와 대결한다.[12]초반에는 Dejection의 모습이었다가,이후 Unknown Suffering의 두번째 모습이되었다가,중간에 모습이 또 바뀐다. 또 체르노보그가 중간에 난입하여 대결하다가 사라진다.[13] 이후 계속 노래를 부르다 곡이 끝난다. 참고로 이 곡은 이 모드에서 가장 긴 곡이며[14], Week 1 곡들중 유일하게 프리플레이에서 봇플레이 사용이 불가능하다.

중간에 Cycle 멜로디가 나온다. 마찬가지로 어두워지며 끝

3. WEEK 2/3

1주차랑 스토리가 이어진다

3.1. Carnival in Toyland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Carnival im Toyland}}}
길이 1분47초
BPM 115
속도 2.4
최고점 67900

Brick of Friendship 2주차의 주요 적인 줄리안(Julian)과 대결한다.

3.2. Spring March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Spring March}}}
길이 2분50초
BPM 130
속도 2.6
최고점 130200

난이도는 조금 올라갔다.Week2의 스토리는 미키코스튬 안에 있던 원숭이가 숨이 막혀 죽고 미키코스튬과 한몸이 되었다는 스토리다.

3.3. Cravings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Craving}}}
길이 2분18초
BPM 135
속도 2.5
최고점 85750

체다치즈를 갈망하는 기괴한 미키와 대결한다.초반에 너를 사랑해 노래를 부르다가 화면이 검어지고 Father...I Craving Cheddar...(아버지...저는 체다를 갈망해요...)라고 한다.

3.4. Hunger Pangs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Hunger Pang}}}
길이 2분57초
BPM 140>150
속도 2.5
최고점 95200



앞에 노래를 부르다 화면이 어두워진후 Father...II crave more...(아버지...저는 더 갈망해요...)라고 말한다. 이후 곡이 빠르고 조금 밝아진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점점 느려지다 피아노를 쾅 치는 소리와 함께 끝난다.

4. Imposter

4.1. Needle mouse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Needle mouse}}}
길이 3분 42초
BPM 150
속도 2.5
최고점 243950

4.2. Unknowm Defeat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Unknowm Defeat}}}
길이 3분
BPM 170
속도 2.7
최고점 168700


5. 커버곡

5.1. Battered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Battered}}}
길이 2분12초
BPM 170
속도 2.7
최고점 170800


행크의 마스크를 쓴 미키 마우스와 대결한다.[15] 노트 속도가 빠르고 채보도 많이 내려오며[16] 곡의 길이도 길어 어렵다.

5.2. Accelarant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Accelarant}}}
길이 3분 11초
BPM 110
속도 2.8
최고점 191800

5.3. Too slow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Too Slow}}}
길이 3분 08초
BPM 135>180
속도 2.5
최고점 216300


소닉.exe의 too slow를 커버한 곡

6. 프리플레이

6.1. Vesania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Vesania}}}
길이 3분 07초
BPM 200
속도 2.8
최고점 254800



지옥에서 죽기를 3번 반복한 미키가 완전히 미쳐서 체르노보그가 보프와 미키 둘을 대결시키며 둘이 누가 먼저 죽는지 지켜본다.

6.2. Untold Loneliness[17]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Untold Loneliness}}}
길이 3분 11초
BPM 200
속도 3.3
최고점 177100


오스왈드[18]와 D-Side 남자친구가 대결한다. 미키가 주사기였다면 오스왈드는 권총으로 원본인 Unknown Suffering이 D- Side로 리믹스 되면서 아이콘도 D-side처럼 서로를 마주보는 형태로 바뀌었으며 메인 부분 비트가 더 신나졌고 도중에 대사가 나오는 것이 특징. 처음에 오스왈드가 Alright, Alright. Let's get this over with.[해석]이라고 말하고 시작한다.후반부엔 오스왈드가 D-Side의 마이티.Zip 처럼 어떤 시를 외우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In the end, We all... DIE.
결국 끝에는, 우리 모두...죽어.
Why should I, even try?
그런데 왜 나는, 노력해야 할까?
Gun in hand, My life shall end...
이 손에 쥐어진 총으로, 내 삶은 끝나겠지...
MY SUFFERING SHALL BE KNOWN, FRIEND!
내 고통이 알려지겠지, 친구!

이후 오스왈드가 미친듯이 웃으며[20] 보프의 턴이 끝날 즈음 손에 쥐던 권총으로 자기 머리를 쏴버리지만, 총알이 뇌를 관통하는 대신 눈에 맞아버려 생존한다.[21][22]

6.3. leak my balls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leak my balls}}}
길이 3분 40초
BPM 140
속도 3.2
최고점 227850

미키랑 체르노보그가 한 팀을 이루어 루이스와 펠리페 즉 실제 모드를 유출한 두 개발자를 상대한다.

랩 배틀이 끝난 후, 오스왈드는 머리에 겨눈 총을 자신의 머리를 향해 발사하지만, 그의 터무니없는 행운으로 인해 그의 뾰족한 슛이 빗나가고 운 좋게도 유출자들을 맞추며 마무리

7. 취소된 곡

7.1. Megrims

Megrims
Dejection의 D사이드버전이다.

7.2. drugs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Drugs}}}
길이 3분 30초
스카이모드스카이블루로 플레이하는게 특징으로

이 모드의 자살하는 쥐, Vs Sonic.exe모드의 소닉.exe, 그리고 Mostful Crimson붉은눈 징징이 3명이서 순서대로 죽이려고 든다.

후반부는 다같이 스카이를 상대로 같이 부른다.


[1] 흔히 자살하는 쥐 괴담과 함께 떠돌아다니는 짤이다.[2] 머리카락은 검은색으로 바뀌었으며, 미키 마우스가 입는 바지와 신발을 입고 옛날식 마이크를 들고 있다.[3] 그리고 남자친구가 미스를 낼 때마다 남자친구의 얼굴이 위에 나온 미키 혐짤로 바뀐다.[4] 여자친구는 굿엔딩 컷신에만 나온다.[5] 미키가 고통을 마비시키기 위해 일종의 약물을 자신에게 주사했다는 암시이다.[6] 다만 이 노트는 업데이트로 사용되지 않게되었다.[7] 자살하는 쥐 영상을 유튜브에 찾아보면 나오는 영상 중에 이와 같은 모습이 있다, Sunday Night Suicide 모드의 곡인 Really Happy의 미키 마우스와 비슷한 모습인 이유.[8] 업데이트로 처음 모습이 바뀐 이후 다음 파트에 바로 이 모습이 된다.[9] 심하면 채보끼리 겹칠수 도 있다.[10] 일몰이라는 뜻도 있지만 종말이라는 뜻도 있다.[11] 이 모습중 체다치즈나 줄리안의 얼굴이 보인다.[12] 어째 미묘하게 트리키 모드 배경과 비슷하다(...)[13] 참고로 등장을 할때 나오는 소리가 밈에 사용되는 굵은 비명소리다(...).[14] 무려 5분 10초라는 길이이다![15] 마스크라던가 대기 모습을 보면 행크 챌린지에 나오는 행크와 매우 같지만 곡은 Accelerant가 아닌 Antipathy 모드의 Battered라는 곡을 사용했다.[16] 동타가 거의 기본 패턴 수준으로 내려오며, 중반부에 폭타가 나오는데 난이도가 꽤 높다.[17] 뜻은 말하지 않은 외로움으로, 작중 오스왈드가 심히 피폐해진 이유가 이때문일 수도 있다.[18] 정확히는 D-Side 미키 마우스[해석] 알았어, 알았어. 이걸로 끝내보자.[20] 웃음소리를 잘 들어보면 흐느끼는 것 같아도 보인다.[21] 오스왈드의 이명이 오스왈드 더 럭키 래빗(Oswald The Lucky Rabbit)인데, 이때문인지 미키와 달리 자살 시도조차 운에 막혀버려 실패한듯 하다. 오스왈드도 못마땅하는듯 짜증내하는 신음소리를 내며 곡에 돌입한다.[22] 유출러,임포스터를 제외한 나머지의 D-Sides 디자인은 파일에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8
, 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