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2 16:14:31

Get Back

1. 비틀즈빌리 프레스턴의 곡
1.1. 개요1.2. 제작 과정1.3. 차트 성적1.4. 가사1.5. 여담
2. 비틀즈의 미발표 앨범3. 비틀즈 다큐멘터리 시리즈4.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Detonation의 삽입곡

1. 비틀즈빌리 프레스턴의 곡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Let_it_be_vinyl.jpg
Let It Be
트랙리스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Side A
<rowcolor=#FFF> 트랙 곡명 재생 시간
1 Two of Us 3:36
2 Dig a Pony 3:55
3 Across the Universe 3:49
4 I Me Mine 2:26
5 Dig It 0:51
6 Let It Be 4:04
7 Maggie Mae 0:40
Side B
<rowcolor=#FFF> 트랙 곡명 재생 시간
1 I've Got A Feeling 3:38
2 One After 909 2:55
3 The Long and Winding Road 3:37
4 For You Blue 2:33
5 Get Back 3:09
파일:비틀즈 로고 화이트.svg
}}}}}}}}} ||

Get Back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롤링 스톤 선정 비틀즈 100대 명곡
41위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파일:Acclaimed-Music-Logo-Dark.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1164위

Get Back
<colbgcolor=#000><colcolor=#fff> 수록 앨범
앨범 발매일 1970년 5월 8일
싱글 발매일 1969년 4월 11일
싱글 B면 Don't Let Me Down
녹음일 1969년 1월 27일 - 1월 28일
스튜디오 EMI 스튜디오
장르 블루스 록
작사/작곡 폴 매카트니 (레논-매카트니 명의)
프로듀서 조지 마틴[A], 필 스펙터[B]
러닝 타임 3:14[A]
3:07[B]
레이블
파일:Apple_Corps_logo.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get back.jpg
}}}}}}}}} ||

[clearfix]

1.1. 개요

2015년 리이슈 싱글 버전 2009년 리마스터 앨범 버전
2021년 리믹스 버전 2013년 Naked 리마스터 버전
1969 글린 존스 리믹스 버전 비틀즈: 겟 백 루프탑 콘서트 라이브 버전 Take 1
비틀즈: 겟 백 루프탑 콘서트 라이브 버전 Take 2 비틀즈: 겟 백 루프탑 콘서트 라이브 버전 Take 3
스튜디오 녹음 과정을 담은 뮤직 비디오
루프탑 콘서트에서의 공연 영상

비틀즈빌리 프레스턴의 노래. 싱글로는 1969년 4월 11일, 앨범 버전으로는 Let It Be에 실려 비틀즈 해체 후인 1970년 5월 8일 발매되었다. 앨범 버전은 싱글 버전보다 조금 짧다. 폴 매카트니가 작곡했다. 특이하게도 아티스트가 '비틀즈'로 발매되지 않고 비틀즈와 빌리 프레스턴[5]으로 발매되었는데, 이는 빌리 프레스턴이 렛잇비 세션 내내 함께했고, 이 곡에서 로즈 일렉트릭 피아노를 연주했기 때문이다. 블루스 락(Blues rock) 장르의 곡이다.

싱글 버전, Let It Be 앨범 버전, Let It Be... Naked 버전이 조금씩 다르다. 싱글 버전은 Past Masters 앨범에 수록되어 있다. 비틀즈 리믹스 앨범 Love 앨범에 A Hard Day's Night, The End 등과 같이 믹스 되어있다.

1.2. 제작 과정


겟백 세션의 부분.

파일:external/www.feelnumb.com/l_14b4efaf5fc682f8440c4ecbf441950e.jpg
겟백 세션 도중. 멤버들 얼굴을 보면 알겠지만, 밴드의 해체가 임박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이 사진은 심슨 가족의 한 장면에서 패러디되기도 했다. Number 8 꺼억

처음에는 동명의 앨범(2.항목)의 타이틀곡으로 사용할 예정이었고, A면과 B면에 각각 한 개를 실으려 했으나, 이 앨범이 이리 채이고 저리 채여서 결국 타이틀곡도 바뀌고 수록도 한 번만 되었다.


B 사이드에 실으려 했던 Reprise 버전이다. 사실 Get Back 싱글 버전의 페이드 아웃 부분 뒷부분이 이 Reprise 버전이며, Get Back (Take 19)에 해당한다.[6] 이 Reprise는 그래도 세상에 빛을 보긴 했다. 이듬해 공개된 Let It Be 영화의 엔딩 크레딧 부분에 등장한다. 핫핫핫핫핫핫핫핫...허허허허..호우..허허허허..헛헛헛..

1.3. 차트 성적

빌보드 핫 100 역대 1위곡
Medley: Aquarius/Let the Sunshine In (The Flesh Failures) Get Back (5주)   Love Theme From Romeo & Juliet

[include(틀:오피셜 싱글 차트 1위 노래,
전번_곡=Israelites,
전번_아티스트=데스몬드 데커 & 디 에이시스,
전번_1위_기간=주 연속,
이번_곡=Get Back,
이번_아티스트=비틀즈,
이번_1위_기간=6주 연속,
후번_곡=Dizzy,
후번_아티스트=토미 로,
후번_1위_기간=1주 연속)]
빌보드 핫 100에서는 다섯 주간 1위를 했고[7] , 영국에서는 여섯 주간 1위를 차지했다. 미국과 영국 동시에 1위를 차지한 마지막 비틀즈의 곡이다. 1969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25위, 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선 327위에 올랐다.

1.4. 가사


Get Back
Jo Jo was a man who thought he was a loner
조 조는 자기가 외톨이란 걸 알았지만
But he knew it couldn’t last
영원하진 않을거라 생각했지
Jo Jo left his home in Tucson, Arizona
그래서 고향인 애리조나주 투손을 떠나
For some California grass
캘리포니아 초원으로 갔다네[8]

Get back, get back
돌아가요, 돌아가
Get back to where you once belonged
그대가 살던 곳으로 돌아가요
Get back, get back
돌아가요, 돌아가
Get back to where you once belonged
그대가 있어야 할 곳으로 말이오

Get back jo- jo!
돌아가 조 조!

Get back, get back
돌아가요, 돌아가
Get back to where you once belonged
그대가 살던 곳으로 돌아가요
Get back, get back
돌아가요, 돌아가
Get back to where you once belonged
그대가 있어야 할 곳으로 말이오

Get back Jo!
돌아가 조!

Sweet Loretta Martin thought she was a woman
예쁜 로레타 마틴은 자신이 여자라고 생각했지만
But she was another man
사실 그녀 역시 남자였다네
All the girls around her say she’s got it coming
그녀를 알던 여자들은 꼴 좋다고 말했지만[9]
But she gets it while she can
그녀 역시 항상 깨닫고 있었네[10]

Get back, get back
돌아가요, 돌아가
Get back to where you once belonged
그대가 살던 곳으로 돌아가요
Get back, get back
돌아가요, 돌아가
Get back to where you once belonged
그대가 있어야 할 곳으로 말이오

Get back, Loretta
돌아가요, 로레타

Get back, get back
돌아가요, 돌아가
Get back to where you once belonged
그대가 살던 곳으로 돌아가요
Get back, get back
돌아가요, 돌아가
Get back to where you once belonged
그대가 있어야 할 곳으로 말이오
파일:비틀즈 로고 화이트.svg

1.5. 여담

원래 이 노래는 동명의 앨범의 타이틀 곡으로 들어갈 예정이었다. 앨범의 분위기나 컨셉도 합주와 공연을 하던 비틀즈 초기로 '돌아가자'는 것이었다. 일부러 바로 전 앨범까지 넣었던 엄청난 효과들이나 복잡한 이런저런 것들을 다 빼고 담백하게, 기타, 베이스, 드럼, 기껏해야 피아노 정도만 사용해 라이브 공연을 하는 느낌을 주자는 것이 목표였다. 하지만 막상 녹음을 하고 보니 예상과 많이 달랐고, 글린 존스에게 이 리허설 테이프들을 맡겼다. 이것도 결과물이 시원찮았는지, 필 스펙터에게 앨범을 다시 맡겼다. 그렇게 앨범이 이러저러하게 미뤄지다가 비틀즈가 해체를 했다(...). 때문에 멤버들은 결과물을 제대로 보지도 못하고 발매가 되었다.

그러나 필 스펙터는 "Wall Of Sound"기법, 쉽게 말하자면 소리를 벽처럼 층층이 쌓아올리는 기법을 쓰는 프로듀셔였고, 필 스펙터의 손을 거치게 되며 비틀즈 초기의 목적과는 완전히 다른 앨범이 나오게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Let It Be 문서로.

초기 가사에 "I dig no Pakistans"가 들어가 있었다. "나는 파키스탄인들이 싫어"라는 뜻. 사실 "Get Back"은 원래 이민자들을 혐오하는 정치인(대표적으로 이넉 파월 의원)들을 풍자하는 곡으로 기획되었다. 후렴구의 "Get back to where you once belonged (네가 있던 곳으로 돌아가)"는 그 흔적.[11] 하지만 제대로 풍자하지 못하면 오히려 반감만 살 만한 내용이었기에[12] 그냥 별 내용이 없는 노래로 바뀌었다.

폴 매카트니의 리드 보컬 곡이었지만, 존 레논조지 해리슨도 이 곡을 불렀었다. 정규는 아니고 부틀렉으로만 남아있다. 그나마 조지 해리슨의 버전은 All Things Must Pass 50주년 기념반을 통해 정식으로 들을 수 있다.


존 레논. 겟백 세션 중에 녹음되었다.


조지 해리슨. All Things Must Pass 세션 중에 녹음되었다.

죠죠의 기묘한 모험의 주인공들을 일컫는 호칭 죠죠는 이 곡에서 따온 것이다. 그래서인지 유튜브에서 죠죠 관련 영상에 Who is JoJo라는 댓글이 달리면 JoJo was a man who thought he was a loner라는 답글이 달리기도 한다. 죠셉의 "절대 일본인을 용서 못하지만 워크맨은 좋아한다"는 대사의 앞부분을 죠죠 드립 치느라 이 곡을 담은 영상 댓글에 달았다가 비틀즈 해체에 일조한 오노 요코를 두고 하는 소리냐는 오해를 받기도 한다. 3부 마지막에 죠셉 죠스타장 피에르 폴나레프와 헤어지며 듣는 곡이 이 곡이기도 하다. 다만 저작권료 문제 때문인지 TVA판에서는 아쉽게도 나오지 않았고 3부의 두 번째 엔딩곡인 Last Train Home이 나왔다.

사족으로 삼국지조조 역시 이 드립이 쓰이기는 하지만, 전술한 죠죠에 비하면 화력이 매우 미약한(?) 편이다. 그것도 조조의 중국 본토 이름인 '차오차오'가 아니기에 한국 한정 드립인지라.

2. 비틀즈의 미발표 앨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et It Be 문서
번 문단을
제작 과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1969getbacksession.jpg

3. 비틀즈 다큐멘터리 시리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비틀즈: 겟 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Detonation의 삽입곡

가수는 페이트 테스타로사의 성우인 미즈키 나나.
奪われた君の笑顔は 行き場もなく 捕えられた
우바와레타 키미노 에가오와 이키바모 나쿠 토라에라레타
빼앗긴 너의 미소는 갈 곳 없이 붙잡혀있었어

目を閉じて誓える事は 何も変わらない 今でも
메오 토지테 치카에루 코토와 나니모 카와라나이 이마데모
눈을 감고 맹세한 것은 지금도 변함없어

怯えてる 弱さを 拭いましょう 必ず
오비에테루 요와사오 누구이마쇼- 카나라즈
떨고 있는 약함을 씻어내자 반드시

取り戻すために もっと強さを求めたい
토리모도스 타메니 모옷토 츠요사오 모토메타이
되찾기 위해서 좀 더 강함을 원해

戦うその日まで 限られた時間を
타타카우 소노 히마데 카기라레타 지카은오
싸우는 그날까지 한정된 시간을
そう全てを君に 捧げたいよ
소- 스베테오 키미니 사사게타이요
그래 모든 걸 너에게 바치고 싶어

本気で思う 昔のように 君に笑って欲しいだけ
호은키-데 오모우 무카시노 요-니 키미니 와라앗테 호시이다케
진심으로 생각해, 옛날처럼 네가 웃어주었으면 해

答えがある限り 痛みは感じない
코타에가 아루 카기리 이타미와 카은지나이
대답이 있는 한 아픔은 느끼지 않아

もう悩む意味は どこにもない
모- 나야무 이미와 도코니모 나이
더 이상 고민할 이유는 어디에도 없어

走り出したよ 揺るぎない心
하시리다시타요 유루기나이 코코로
달리기 시작했어, 흔들림 없는 마음

これだけは 譲れない 叶えよう 挑むだけ
코레다케와 유즈레나이 카나에요- 이도무다케
이것만은 양보할 수 없어, 이루자 도전한 만큼


あの頃の張り裂けそうな 弱い僕を 変えてくれた
아노 코로노 하리사케 소-나 요와이 보쿠오 카에테쿠레타
그 시절 찢어질 듯하게 약한 나를 변하게 해주었어

幸せを教えてくれた 満ち溢れる想い 今でも
시아와세오 오시에테 쿠레타 미치아후레루 오모이 이마데모
행복을 알려주었던 넘쳐흐르는 마음이 지금도

大好きな 人です 込み上げる この気持ち
다이스키나 히토데스 코미아게루 코노 키모치
정말 좋아하는 사람이에요, 북받치는 이 마음

奇跡は起きない? 起こせば!と笑っていたよね
키세키와 오키나이? 오코세바! 토 와라앗테 이타요네
기적은 일어나지 않아? 일으키면! 이라고 웃고 있었어

乾いた街を出て 望みを叶えましょう
카와이타 마치오 데테 노조미오 카나에마쇼-
말라버린 거리를 나와 소원을 이루자

そう引き返せないよ 目を覚まそう
소- 히키카에세나이요 메오 사마소-
그래 되돌릴 수는 없어, 눈을 뜨자

後悔なんて 必要ないね 見つけよう2人の居場所
코-카이 나은테 히츠요- 나이네 미츠케요- 후타리노 이바쇼
후회 따위 필요없어, 찾아내자 두 사람이 있을 장소를

月夜に願います 今度は僕の番
츠키요니 네가이마스 코은도와 보쿠노 바응
달밤에 소원을 빌어요, 이번에는 내 차례야

もう負けやしない 迎えに行く
모- 마케야시나이 무카에니 유쿠
이젠 지지 않아, 맞이하러 갈게

何が起きても ブレたりはしない
나니가 오키테모 부레타리와 시나이
무엇이 일어나도 흔들리지 않아

魂を この腕に 込めたなら 振り上げよう
타마시-오 코노 우데니 코메타나라 후리아게요-
영혼을 이 팔에 담았다면 치켜들자


共に強くありたい 胸の鼓動鳴り止まない
토모니 츠요쿠 아리타이 무네노 코도- 나리야마나이
함께 강해지고 싶다는 가슴의 고동이 끊임없이 울려 퍼져

約束しよう 美しい未来 辿り着くはずだから
야쿠소쿠시요- 우츠쿠시이 미라이 타도리츠쿠 하즈다카라
약속을 하자, 아름다운 미래에 도달할 테니까

戦いの日が来た 覚悟を貫いて
타타카이노 히가 키타 카쿠고오 츠라누이테
싸움의 날이 왔다, 각오를 관철하고

そう全てを君に 捧げたいよ
소- 스베테오 키미니 사사게타이요
그래 모든 걸 너에게 바치고 싶어

夜を越えたら また強くなる 君だけは守りたいよ
요루오 코에타라 마타 츠요쿠나루 키미다케와 마모리타이요
밤을 넘는다면 또 강해져, 너만큼은 지키고 싶어

月夜に願います 今度は僕の番
츠키요니 네가이마스 코은도와 보쿠노 바응
달밤에 소원을 빌어요, 이번에는 내 차례야

もう負けやしない 迎えに行く
모- 마케야시나이 무카에니 유쿠
이젠 지지 않아, 맞이하러 갈게

何が起きても ブレたりはしない
나니가 오키테모 부레타리와 시나이
무엇이 일어나도 흔들리지 않아

魂を この腕に 込めたなら 振り上げよう Wow Wow
타마시-오 코노 우데니 코메타나라 후리아게요- Wow Wow
영혼을 이 팔에 담았다면 치켜들자 Wow Wow


[A] 싱글 버전[B] 앨범 버전[A] [B] [5] 1946~2006. 미국의 유명 키보디스트이다.[6] Take 19는 Let It Be 50주년 음반에 공식으로 수록되었다.[7] 미국에서 비틀즈의 17번째 1위 곡이다.[8] 조조가 투손시 출신인 린다 매카트니의 전남편 "조"세프 멜빌 시 주니어 (Joseph Melville See, Jr.)에 기반한 캐릭터라는 설도 있었지만, 린다와 조세프는 이혼 후에도 친하게 지냈기 때문에 가능성은 희박하다.[9] get(혹은 have) it coming은 '도리상 마땅히 나쁜 일을 당하다', 더 쉽게 말해서 '나쁜 일을 자초하다'란 뜻이다. 맥밀란 사전 캠브리지 사전[10] while someone can은 직역하면 '기회가 있을 동안'이지만 거의 살아있는 한, 즉 '항상' 혹은 '평생'이란 뜻으로 쓰인다. get it은 상술한 got it coming을 현재형으로 바꾼 걸로 보이나 understand it(알고 있다)의 구어체로도 볼 수 있다. 즉 누구한테 이래라저래라 소리 듣기 이전에 본인이 가장 잘 알고 있다는 의미. 후술할 작곡 의도를 곱씹어보면 "우리(비틀즈)도 초창기로 돌아가고 싶어, 그런데 이미 너무 멀리 와 버렸다고" 정도로 이해할 수 있다. 실제로 이 시기의 비틀즈는 존과 폴의 대립이 심각했고 링고도 겉돌기 시작하자 조지가 말리려고 애쓰던 상황이었다.[11] 직역해 다듬어서 별 거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의미는 X발 너네 나라로 꺼져 정도의 엄청 험한 말이다. 2000년대 이후 이민자 반대 시위에서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는 문구이기도 하다.[12] 특히 해체 이후의 존 레논은 베트남 전쟁 반대 시위에도 참여하는 등 사회비판적인 메시지를 강조했는데, 그러다 보니 닉슨 행정부에게 반체제 위험인물 비슷한 취급을 당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