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1 04:09:11

I Wish I Was in Dixie's Land

I Wish I Was in Dixie에서 넘어옴
1. 개요2. 가사 및 바리에이션

1. 개요



군가 버전

"I Wish I Was in Dixie"(줄여서 "Dixie's Land" 혹은 그냥 "Dixie")는 미국인 대니얼 D. 에밋(Daniel Decatur Emmett, 1815-1904)이 작곡한 곡으로, 1859년에 발표된 민스트럴 공연(Minstrel Show)을 위해 작곡한 노래다. 즉, 원래 흑인 광대쇼[1]를 위한 작품으로 이미 전쟁이 시작되기 전에 북부에서 굉장히 유명한 곡이었다. 가사를 고려하면 흑인 밴드였던 대니얼 에밋과 친분이 있던 스노든 패밀리 밴드(Snowden Family Band)와 공동저작이라는 주장도 있다. 아무튼 남북전쟁의 남부를 대표하는 곡이면서도 북부에서, 그것도 전쟁 전에 발표된게 확실한 곡.[2]

이 곡은 흑인 노예미국 남부의 플랜테이션 농장에서 일하던 때를 그리워하는 내용을 다소 과장된 미국 흑인 영어로 민스트럴 광대쇼에서 부르던 노래로, 남부 엘리트 지주계급 입장에서는 상황이 다르기도 했다. 그러나, Yellow Rose of Texas처럼 광대쇼를 위한 흑인 곡이라도, 멜로디가 아주 흥겨운데다가 남부의 애향심을 자극하는 가사라서 무산계급 백인 병사들에게는 아주 인기가 많았다. 이 때문에 남북 전쟁 당시에는 개사되어 남군 측의 비공식적인 국가(國歌)가 되기도 했고, 제퍼슨 데이비스미연합국 대통령 취임식 때 연주하기도 했다. 그래서 이 곡을 인종차별이 강한, 과거의 노예제를 운영하던 남부 시절을 그리워하는 노래로 인식하는 경향도 있다. 정작 이 곡의 작사자인 에밋은 열렬한 연방지지자였기 때문에 딕시와 남부의 관계를 극구 부인했다.

전쟁전에 북부에서 상당한 인기 가요였기 때문에 북부인인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은 당연히 개인적으로 매우 좋아했다. 남군의 수장 로버트 E. 리 장군이 항복선언을 할 때에도 다시 이 곡(=Dixie, 더 나아가 남부 전체)가 우리것이 되었다며 희희낙락거리면서 연주하게 했다.

그것과 별개로 영국 플리머스 지방 민요와 관련이 있다는 설도 있다.

엘비스 프레슬리의 노래 'American Trilogy'의 가사에도 'I wish I was in Dixie'하는 부분이 계속해서 나온다.

미국계 멕시코인, 미국계 브라질인 등 라틴아메리카 국가 국적의 미국계 주민들 중 일부가 이 노래를 부르기도 하는데, 이 경우는 조상이 남북전쟁 종전 이후 해당 국가로 망명한 남부연합 유민이었던 경우다.

2. 가사 및 바리에이션




원본이자 가장 잘 알려진 가사는 아래와 같다.
Oh, I wish I was in the land of cotton,
아, 나는야 목화 피는 땅에 있고 싶어라
Old times there are not forgotten.
그곳에서의 나날들이 잊히지 않아
Look away, look away, look away Dixie Land!
보아라, 보아라, 딕시 땅을 보아라!

In Dixie's Land, where I was born in,
내가 태어난 딕시 땅에서,
early on one frosty mornin'.
서리 앉는 이른 아침에
Look away, look away, look away Dixie Land!
보아라, 보아라, 딕시 땅을 보아라!

I wish I was in Dixie, Hooray! Hooray!
살고파라, 딕시 땅에, 만세! 만세!
In Dixie's Land I'll take my stand,
나 다짐하리, 딕시 땅에서
to live and die in Dixie.
나 살고 죽으리라고!
Away, away, away down south in Dixie
멀리, 멀리, 남쪽 멀리 딕시 땅에서!
Away, away, away down south in Dixie!
멀리, 멀리, 남쪽 멀리 딕시 땅에서!

There's buckwheat cakes and Injun batter,
나를 살찌우고 뚱뚱하게 만드는
Makes you fat or a little fatter.
메밀 케이크[3]와 인전 배터도 있지[4]
Look away! Look away! Look away! Dixie Land
보아라! 보아라! 딕시 땅을 보아라!

Then hoe it down and scratch your gravel,
춤을 추자, 호다운 춤[5]을 추자!
To Dixie's Land I'm bound to travel.
나 딕시 땅으로 반드시 떠나리!
Look away! Look away! Look away! Dixie Land
보아라! 보아라! 딕시 땅을 보아라!

I wish I was in Dixie, Hooray! Hooray!
살고파라, 딕시 땅에, 만세! 만세!
In Dixie's Land I'll take my stand,
딕시 땅에 말뚝을 박고서,
to live and die in Dixie.
나 그곳에 살고 죽으리!
Away, away, away down south in Dixie!
멀리, 멀리, 남쪽 멀리 딕시 땅에!
Away, away, away down south in Dixie
멀리, 멀리, 남쪽 멀리 딕시 땅에!


링크로 대체
앨버트 파이크(Albert Pike)에 의해 개사된 버전. 사실상 남부의 국가로 쓰였다.
1절
Southern men the thunders mutter!
속삭이는 천둥과 같은 남부의 남자들아!
Northern flags in South winds flutter!
남부에서 북쪽의 깃발이 휘날리고 있다!
To arms! To arms! To arms, in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무장하라! 이곳 남부에서!

Send them back your fierce defiance!
그들에게 맹렬한 반격을 가하라!
Stamp upon the cursed alliance!
저주받은 옛 동맹을 짓밟으라!
To arms! To arms! To arms, in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무장하라! 이곳 남부에서!


Advance the flag of Dixie!
남부의 깃발을 휘날리며 전진하자!
Hurrah! Hurrah!
만세! 만세!
For Dixie's land we take our stand,
남부를 위해 우린 궐기한다!
And live or die for Dixie!
남부를 위해 죽음을 각오하라!
To arms! To arms! And conquer peace for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남부의 평화를 쟁취하라!
To arms! To arms! And conquer peace for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남부의 평화를 쟁취하라!
2절
Fear no danger! Shun no labor!
위험을 두려워하지 말라! 노동을 피하려 하지 말라!
Lift up rifle, pike, and sabre!
소총과 총검과 군도를 높이 쳐들라!
To arms! To arms! To arms, in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무장하라! 이곳 남부에서!

Shoulder pressing close to shoulder,
어깨와 어깨를 맞닿아
Let the odds make each heart bolder!
서로의 심장에 용기를 불어넣어라!
To arms! To arms! To arms, in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무장하라! 이곳 남부에서!


Advance the flag of Dixie!
남부의 깃발을 휘날리며 전진하자!
Hurrah! Hurrah!
만세! 만세!
For Dixie's land we take our stand,
남부를 위해 우린 궐기한다!
And live or die for Dixie!
남부를 위해 죽음을 각오하라!
To arms! To arms! And conquer peace for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남부의 평화를 쟁취하라!
To arms! To arms! And conquer peace for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남부의 평화를 쟁취하라!
3절
Swear upon your country's altar
조국의 혁명에 충성을 맹세하고
Never to submit or falter
결고 항복하거나 흔들리지 말라!
To arms! To arms! To arms, in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무장하라! 이곳 남부에서!

Till the spoilers are defeated,
저 역겨운 북부가 패할 때까지
Till the Lord's work is completed!
주님의 과업이 완성될 때까지
To arms! To arms! To arms, in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무장하라! 이곳 남부에서!


Advance the flag of Dixie!
남부의 깃발을 휘날리며 전진하자!
Hurrah! Hurrah!
만세! 만세!
For Dixie's land we take our stand,
남부를 위해 우린 궐기한다!
And live or die for Dixie!
남부를 위해 죽음을 각오하라!
To arms! To arms! And conquer peace for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남부의 평화를 쟁취하라!
To arms! To arms! And conquer peace for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남부의 평화를 쟁취하라!


이 가사는 당시 북군이 남군을 조롱할 목적으로 남군의 인기 군가를 개사한 버전이다. 일명 Union Dixie.
반대로 남군 측은 Yankee Doodle을 개사한 일명 "딕시 두들"(Dixie Doodle)로 북군을 조롱하였다.
1절
Away down South in the land of traitors,
남쪽으로 진격하자, 역도들의 땅이자
Rattlesnakes and alligators,
방울뱀과 악어의 땅으로,
Right away, come away, right away, come away.
곧바로 가자, 곧바로 가자.
Where cotton's king and men are chattels,
목화가 왕이고 사람은 소유물인 곳에서,
Union boys will win the battles,
연방남자들은 승리할 것이라네,
Right away, come away, right away, come away.
곧바로 가자, 곧바로 가자

후렴
We'll all go down to Dixie,
우린 남부로 내려갈거라네,
Away, away!
멀리, 멀리!
Each Dixie boy must understand
남부 촌놈들은 알아야 할 것이네,
That he must mind his Uncle Sam,
그가 그의 엉클 샘을 신경써야 한다는 걸,[6]
Away, away,
멀리, 멀리.
And we'll all go down to Dixie.
그리고 우린 남부로 내려갈거라네.
Away, away,
멀리, 멀리.
And we'll all go down to Dixie!
그리고 우린 남부로 내려갈거라네!
2절
I wish I was in Baltimore,
내가 볼티모어에 있었으면 좋겠네,
I'd make Secession traitors roar,
탈퇴한 역도들이 울부짖게 만들었지,
Right away, come away, right away, come away.
곧바로 가자, 곧바로 가자.
We'll put the traitors all to rout.
우린 역도들이 마구 도망치게 할 거라네,
I'll bet my boots we'll whip them out,
난 우리가 그들을 싹 쓸어버릴 수 있다는데 내 군화도 걸 수 있지,
Right away, come away, right away, come away.
곧바로 가자, 곧바로 가자.
3절
Oh, may our Stars and Stripes still wave
오, 우리의 별과 줄무늬
Forever o'er the free and brave,
자유와 용기 위에서 영원히 펄럭이길,
Right away, come away, right away, come away.
곧바로 가자, 곧바로 가자.
And let our motto ever be --
그리고 우리의 표어가
"For Union and for Liberty!"
"연방과 자유를 위해!"가 되게 하자
Right away, come away, right away, come away.
곧바로 가자, 곧바로 가자.
1820~60년대의 남부 음악들을 그 시기의 스타일로 연주하는 밴드 2nd South Carolina String Band의 연주 영상.


이 곡은 집잽(JibJab)의 유명한 패러디 작품 Good to be in D.C.의 원곡이기도 하다.


북부의 Yankee Doodle Dandy와 남부의 Dixie's Land를 섞은 Dixie Doodle Dandy라는 곡도 있다.

"
산리츠 전기에서 제작하고 세가에서 판매한 아케이드용 게임 뱅크 패닉(한국명 '은행강도')의 BGM으로도 쓰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블랙페이스라고 백인이 흑인으로 분장하고 과장되고 우스꽝스러운 미국 흑인 영어를 사용하여 바보짓을 하는 것을 백인들이 웃고 즐기는 쇼로써 남북전쟁 전후 미국 북부에서 오랫동안 인기가 있던 공연이었다. 대한민국에서 80년대 유명해던 개그코너인 시커먼스의 원조라고 할 수 있으며 현대적인 관점에서는 지독히도 모멸적이고 인종차별적. 이런 쇼를 즐기면서도 남부의 노예제와 남부의 노예 농장주들을 혐오해서 공화당의 링컨에게 표를 던진 미국의 앵글로색슨계 개신교 백인들의 반 노예제 성향을 단순히 현대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려고 하면 안 된다는 걸 보여주는 사례.[2] 이렇게 남부곡들 중에서 작사자나 곡이 순수 남부것이라고 할 수 없는 유명 곡들이 몇개 존재한다. Lorena는 작중 인물들이 100% 북부인이고, 작곡 & 작사자가 북부인이며, Battle Cry of Freedom은 아예 북부인이 대놓고 내전중인 연방을 위해서 헌정한 곡이다. Yellow Rose of Texas도 엄밀히 따지면 북부에서 발표된 곡이다(Yellow라는 말은 금발이라는 말이 아니라 혼혈이라는 말이다. 게다가 발표곡 화자는 미국 흑인 영어를 쓴다). The Bonnie Blue Flag는 아일랜드 민요인 'The Irish Jaunting Car'의 곡조를 따온데다가, 아예 작사자가 전쟁중에 북부로 이주한다(...).[3] 메밀은 아시아에서 미국으로 유입되었으며, 19세기경 밀가루 대용으로 혹은 가축 사료용으로 활발하게 재배되었다. 20세기 이후에는 재배가 급감했으나 현대 웰빙 붐을 타고 다시 재배가 시도되고 있다.[4] 인전(injun)은 인디언(indian)의 발음이 변형된 것으로, 과거 상당히 자주 쓰인 철자법이다. 톰 소여의 모험의 등장인물 "인디언 조"도 원문에서는 "Injun Joe"로 나온다. 인전 배터(인전 "버터"가 아니다)는 옥수수 가루, 물, 소금, 지방 등을 섞은 반죽을 튀기거나 구운 요리로 메밀로 구운 케이크와 함께 과거 노예들의 흔한 주식이었다.[5] Hoedown. 과거 미국에서 유행했던 포크 댄스 혹은 스퀘어 댄스의 일종.[6] 엉클 샘은 미국의 상징으로, 연방정부에 대한 충성심을 은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