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16:05:21

Into the Dead 2/무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nto the Dead 2
1. 개요2. 권총
2.1. 디펜더 D9 (B)2.2. G911 인포서 (B)2.3. 해머헤드 357 (B)2.4. 카르텔 트윈스 (E)2.5. G911 블랙 베일 (E)2.6. R77 래피드 (E)2.7. 알파 앤 오메가 (E)2.8. 드래군 IX (V)2.9. 손가락 총 (V)
3. 산탄총
3.1. 브루트 더블 (B)3.2. 저스티스 M32 (B)3.3. S-12 라이엇 (B)3.4. ASH-20 브리쳐 (E)3.5. 브루트 인페르노 (E)3.6. 외과의 (E)3.7. X-12 타이런트 (E)3.8. 콜로서스 (E)
4. 기관단총
4.1. 밴딧 T9 (B)4.2. MT-56A 택티컬 (B)4.3. 특급 비밀 (E)4.4. 페이트 & 포춘 (E)4.5. T19 래틀스네이크 (E)4.6. A45 에이펙스 (E)4.7. 이직 (E)4.8. PP20 돌벤코브 (E)
5. 돌격소총
5.1. 밀리샤 HK-5A (B)5.2. ARC-7 리전 (B)5.3. ARC-9 배털리언 (E)5.4. 에스코르피온 III (E)5.5. ARC-11 섀도 (E)5.6. ARC-12 뱅가드 (E)5.7. ARC-4 게릴라 (E)5.8. K1 스트라이커 (E)5.9. 올드 독 (E)
6. 소총
6.1. 프레데터 308 (B)6.2. 와일드스퍼 (B)6.3. 재블린 AP51 (E)6.4. F300 카바인 (E)6.5. 코발트 마크 IV (E)6.6. M5 커스버트 (E)
7. 활
7.1. 스피릿 DDX (B)7.2. Spectral II (E)7.3. 사면 (E)7.4. V.L.A.D. (V)
8. 특수 무기
8.1. GL-03 크람푸스 (E)8.2. MGN-6 저거노트 (E)8.3. 베인브리지 M14 (E)8.4. 네일바이터 (E)8.5. XM-4 타이탄 (E)8.6. 애프터쇼크 (E)8.7. M2020 하빙어 (E)8.8. 톱니 (E)8.9. G-8 머로더 (E)8.10. 헬파이어 (E)8.11. 던지는 단검 (V)
9. 기타
9.1. 수류탄9.2. 칼9.3. 전기톱9.4. 스크럽 커터9.5. 중기관총

1. 개요

Into the Dead 2에 등장하는 무기에 대한 문서.

기본적으로 스테이지 시작 전 무기 2개를 선택한다. 1개만 선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같은 종류의 무기만 2개를 선택하는것도 불가능하다.

전작과 같이 스테이지 내 일정 간격으로 탄약 상자가 배치되어 있으며, 초록색 빛과 연기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꽤 가까이 가야 보이는 탓에 전작의 까마귀처럼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고 찾아가는 것은 힘들다. 한 술 더 떠서 탄약 상자가 벽 속에 스폰한다거나 맵 바깥에 스폰한다거나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절대 갈 수 없는 3m 높이의 다리 위에 스폰한다던가 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탄약 상자에서는 랜덤하게 주무기 또는 보조무기의 탄약이 들어오며, 가끔 두 무기의 탄약을 동시에 얻거나 탄약과 함께 수류탄 1개를 얻을수도 있다. 얻을 수 있는 탄약은 1레벨 무기의 한 탄창 기준 절반에서 2배까지다.

좀비가 사거리 내에 있으면 총을 약간 위로 들기 때문에 전방 시야가 크게 제한되는 옥수수 밭에서도 전방에 위치한 좀비의 유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좀비가 공격 범위 내에 들어와야 자동으로 조준을 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조준이 안 된 상태에서는 아무리 쏴 봐도 유탄형 무기를 제외하면 전혀 맞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가로로 달려오는 좀비도 공격 범위 밖에 있다면 조준을 안 한다.

공격 범위 내에 다수의 좀비가 존재하면 가장 가까이 있는 좀비가 아닌 화면 중앙에 가장 가까운 좀비를 조준하니 주의. 측면 코앞에 있는 좀비를 보고 총을 쐈더니 저 멀리 화면 중앙에 있는 좀비를 쏴서 물어뜯기는 경우가 종종 있다. 게임 출시 초기부터 존재했던 무기일수록 가로 인식범위가 좁아서 이런 문제가 심각하다.

무기는 부품을 얻어서 제작하고, 업그레이드 시엔 부품과 함께 실버가 필요하다. 실버 얻기가 매우 힘든 게임이니 종류별로 고성능 무기만 우선적으로 언락하고 업그레이드 하는 게 좋다. 특히 랜덤 무기를 사용하는 일일 이벤트에선 언락만 되어 있으면 좋은 무기건 안 좋은 무기건 마구잡이로 튀어나오기 때문에 더더욱 좋은 무기만 언락하는 게 좋다.

스토리 모드에서 새로운 챕터를 열면 해당 챕터에 해당되는 무기의 부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일종의 스토리 진행 보상인데, 정작 이런식으로 얻을 수 있는 무기들은 성능이 별로라 사용하기 곤란하다는 게 문제.

이벤트 무기는 기본적으로 이벤트에서만 부품을 얻을 수 있기에 언락 및 업그레이드가 힘든 편이다. 한 번 부품을 얻으면 무기 상자 뽑기로도 부품을 얻을 수 있지만 다르게 말하면 부품이 하나도 없을 경우 과금 등의 방법이 아니면 랜덤박스에서조차 부품이 안 나온다는 말이다.

무기의 최대 레벨은 20이지만 게임 시작과 동시에 얻는 무기나 이벤트 무기가 아닌 경우엔 그보다 낮은 게 보통이다. 그리고 가장 체력이 높은 좀비의 체력이 2만 내외이기 때문에 업그레이드 도중 피해량이 2만을 초과하는 무기가 있을 경우 피해량만 맞추고 그 이상 업그레이드 할 필요는 적다.

무기들은 기본적으로 히트스캔 방식이지만 활 및 유탄 계열 무기들은 발사체 방식이다. 발사체 방식의 무기들은 발사체가 매우 느리게 날아가거나 사격 시 발사체가 허공으로 증발하거나 한 발로 사살 가능한 좀비에 불필요하게 여러발이 날아가 박히거나 발사체가 좀비 앞에 있는 벽 등의 장애물에 막혀 공격이 무효화되는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문제가 너무 많다

스토리 진행으로 첫 부품 수급이 가능한 무기는 (B), 이벤트 등으로 첫 부품 수급이 가능한 무기는 (E), VIP 이벤트 등으로만 부품 수급이 가능한 무기는 (V) 표시함.

2. 권총

게임 시작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무기군이지만 동시에 사용하기 곤란한 무기들만 포진한 무기군.

권총은 피해량, 연사력, 장탄수 셋이 균형있는 무기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피해량이 높으면 연사력이나 장탄수가 나사빠진 경우가 많고 연사력이나 장탄수가 괜찮다 싶으면 피해량이 낮아서 써먹기 곤란하다. 알파 앤 오메가, 손가락 총, 드래군 IX가 아니면 비축 이벤트도 없기 때문에 부품 수급도 매우 힘들다.

위에서 언급한 대로 단점만 가득한 무기군이지만 이벤트 등에서 보조무기 보너스 배율이 고작 2배에 불과하다는 것도 문제. 정말 심각하게 나사빠진 무기군이다.

2.1. 디펜더 D9 (B)

파일:Screenshot_20171026-231354.png
오래되었지만 신뢰도 높은 권총. 시간의 시험을 통과한 설계입니다.
최대 레벨 10
피해 240
발사율 172
재장전 334
매거진 7

게임 시작부터 사용할 수 있는 기본 무기.

초반에는 그럭저럭 쓸만하지만 다른 무기를 얻으면 권총 미션을 깰 때 외엔 사용할 구석이 없으며, 그나마도 기본적으로 저열한 성능 탓에 다른 권총을 얻게 되면 버리게 된다. 최대 레벨이 고작 10으로 낮은 것도 단점.

실제 모델은 M1911.

2.2. G911 인포서 (B)

파일:Screenshot_2017-11-03-22-47-23.png
가볍고 장탄수가 높아서 경찰들이 애용하는 총입니다.
최대 레벨 18
피해 3,840
발사율 353
재장전 414
매거진 16

스토리 3장에 진입하면 얻을 수 있는 권총. 디펜더와 비슷한 레벨대에선 비슷한 피해량을 가지지만 디펜더보다 훨씬 높은 레벨까지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최대 장탄수도 16발로 디펜더의 2배 이상이기 때문에 다수의 좀비가 출현하는 이 게임에서는 여러모로 디펜더보다 훨씬 쓸만한 무기다.

전설 스킨으로 관통 탄약 추가 부스트가 붙는 케일라의 G911이 있다.

실제 모델은 글록.

2.3. 해머헤드 357 (B)

파일:Screenshot_2017-11-03-22-47-47.png
무겁고 연사력이 느리지만, 엄청난 저지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장난감이 아닙니다.
최대 레벨 18
피해 15,360
발사율 128
재장전 316
매거진 6

스토리 4장 진입 시 획득 가능.

리볼버답게 강력한 피해량을 자랑하지만 연사력이 낮고 장탄수가 고작 6발밖에 안 된다. 좀비가 소수만 나온다면 유용한 무기지만 떼거리로 출현한다면 장탄수와 연사력 부족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전설 스킨으로 빠른 재장전 추가 부스트가 붙는 룰렛이 있다.

실제 모델은 콜트 파이슨.

2.4. 카르텔 트윈스 (E)

파일:Screenshot_2017-11-03-22-48-08.png
전설적인 카르텔 보스가 애용한 9mm 커스텀 권총. 2배의 재미를 선사합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7,680
발사율 261
재장전 375
매거진 26

쌍권총.

준수한 연사력과 괜찮은 장탄수를 가진 권총, 다만 피해량은 썩 좋지 않은 편이다. 정확히는 같은 레벨의 G911 인포서와 같다.

전설 스킨으로 더 빠른 발사 추가 부스트가 붙는 음양 I, 음양 II, 음양 III이 있다.

실제 모델은 베레타 M9.

2.5. G911 블랙 베일 (E)

파일:Screenshot_20231210_005024_Into the Dead 2.jpg
코드네임 블랙베일이라는 요원이 까다로운 암살작전을 위해 제작한 커스텀 G911로 소음기, 레이저 조준기, 확장 탄창을 장착했습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7,680
발사율 375
재장전 429
매거진 22

기존 G911에 레이저 포인터, 소음기, 확장 탄창을 부착한 모델.

성능은 그럭저럭 평범한 수준이다. 레이저 포인터는 사거리 내에 좀비가 있을 경우 작동하며, 소음기는 게임 특성상 장식이고, 확장 탄창은 실제로 G911보다 장탄수가 많으니 아주 장식은 아니다.

의외로 쌍권총인 카르텔 트윈스보다 연사력이 빠르다.

2.6. R77 래피드 (E)

파일:인투 더 데드 2 R77 래피드.jpg
은폐형 패키지 안에 신속한 화력이 담겨 있습니다. 단사 및 점사 모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기관단총은 많은 세계 지도자들을 지켜주었습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7,680
발사율 400
재장전 429
매거진 30

단발과 3점사로 조정간 변경이 가능한 기관권총.

단발 연사력도 빠른 편이고 3점사로 권총 특유의 부족한 화력을 보충할 수도 있어 좋은 무기. 3점사 모드일 때는 가로 조준범위도 넓어진다. 후반에 체력이 많은 좀비를 상대할 땐 기본적으로 3점사로 갈기는 걸 추천한다.

3점사 모드로 변경 시 전방 손잡이를 펼치는 모션이 존재한다. 전방 손잡이는 단발로 바꿔도 접지 않지만 단발로 바꾼 뒤 무기를 교체하고 다시 꺼내면 접은 채로 꺼낸다.

실제 모델은 베레타 93R.

2.7. 알파 앤 오메가 (E)

파일:인투 더 데드 2 알파 앤 오메가.jpg
알파와 오메가. 시작과 끝. 시작한 싸움은 끝내는 무기입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34,560
발사율 240
재장전 334
매거진 16

쌍권총.

같은 쌍권총 무기인 카르텔 트윈스와 정 반대로 압도적인 피해량을 가진 대신 연사력과 장탄수가 낮다. 때문에 좀비 떼거리에 뛰어들면서 쏘면 물어뜯기기 딱 좋다.

2.8. 드래군 IX (V)

파일:인투 더 데드 2 드래군 IX.jpg
산탄총 탄약 발사용 별도의 배럴이 있는 희귀 빈티지 기병 리볼버. 내전에서 사용된 것으로 유명합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30,720
발사율 200
재장전 334
매거진 9

해머헤드의 완벽한 상위호환인 9발들이 리볼버.

해머헤드와 달리 탄환을 1발씩 장전하는데 재장전 도중 격발이 가능해 위급상황 대처 능력이 좋다. 특수 사격 모드로 단 한 발의 산탄을 쏠 수 있는데 이 산탄이 위력도 발군이고 범위도 상당히 넓은 편.

실제 모델은 르맷 리볼버. 무기 설명에서 내전을 언급하는데 실제 르맷 리볼버도 남북전쟁에서 남군이 사용했다.

2.9. 손가락 총 (V)

색종이 조각과 불꽃으로 좀비를 폭파해 최고의 언데드 장난을 쳐 보세요!
최대 레벨 20
피해 34,560
발사율 375
재장전 375
매거진 26

알파 앤 오메가의 완벽한 상위호환 무기.

이름 그대로 손가락을 권총 모양으로 취한 무기. 사격할때마다 입으로 '피융' 거리는 게 여러모로 맥빠지지만 성능은 권총 최강이라고 불러도 과언이 아니다. 피해량은 가장 높고 연사력도 재장전 속도도 장탄수도 전혀 부족함이 없다.

단점이라면 좌우 조준 범위가 좁은 편에 탄약 보급량이 썩 좋지 않다.

3. 산탄총

근접한 좀비들을 화끈하게 날려버리는 무기군.

높은 피해량과 짧은 사거리, 대체로 적은 장탄수가 특징인 무기군이며, 산탄총 특성 상 사거리 내의 좀비들에게 광역공격을 할 수 있다.

각 산탄총마다 산탄 수가 다른 것으로 추측되는데 수치상 명확히 나타나는 게 아니라서 자세한 정보는 불명. 확실한 것은 산탄총마다 광역 공격 차이가 상당하다는 것이다.

3.1. 브루트 더블 (B)

파일:Screenshot_20171026-231408.png
농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식 산탄총. 무게는 가볍지만 파괴력은 강합니다. 근거리에서 최고의 성능을 발휘합니다.
최대 레벨 15
피해 2,560
발사율 400
재장전 359
매거진 2

기본으로 지급되는 샷건.

초반에는 빠른 연사력과 준수한 재장전 속도 덕분에 쓸만하지만 샷건 중 최약체라는 사실은 절대로 변하지 않기에 다른 샷건을 얻으면 버리게 된다.

실제 모델은 흔한 더블 배럴 샷건을 잘라낸 소드오프 샷건 버전이다.

3.2. 저스티스 M32 (B)

파일:Screenshot_20171026-231422.png
휴대할 수 있는 법의 심판자. 연사력은 느리지만 공격 범위가 넓습니다.
최대 레벨 18
피해 15,360
발사율 71
재장전 300
매거진 5

스토리 2장 진입 시 얻을 수 있는 펌프액션 샷건.

브루트 더블보다 피해량이 더 높고 가로 공격 범위가 더 넓어 한 발로 좀비 3마리 이상 잡는 것도 거뜬하다.

단점은 연사력과 재장전 속도. 둘 다 끔찍하게 느린데 초기 무장이라 피해량이나 산탄 수도 썩 좋지 않아서 좀비 무리 코 앞에서 갈기다가 이쪽이 물어뜯기는 경우가 빈번하다. 특히 관형탄창 샷건들은 처음 1발을 장전할 때 별도의 장전 모션을 가지는데 저스티스는 그게 특히 더 느린 편이다.

실제 모델은 레밍턴 M870.

3.3. S-12 라이엇 (B)

파일:Screenshot_20231210_004535_Into the Dead 2.jpg
수많은 좀비를 죽이기에 아주 최적화된 무기로서, 이 전술 산탄총은 생존자들에게는 훌륭한 동반자입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30,720
발사율 188
재장전 250
매거진 8

스토리 7장 진입 시 얻을 수 있는 반자동 샷건.

스탯 수치상으론 좋은 피해량을 가지고 있지만 산탄 수가 적은 것인지 광역 공격 능력이 부실한 편이다. 그 외엔 크게 모난 곳 없는 샷건이지만 부품 수급이 극악이라 쓸 일이 없다. 비축 이벤트에 나오는 샷건들이 훨씬 더 부품 수급이 쉬운데 어지간해선 그쪽 샷건들이 성능도 더 좋다.

실제 모델은 베넬리 M1014 JSCS.

3.4. ASH-20 브리쳐 (E)

파일:Screenshot_2018-05-04-11-31-24.png
밀그램 사는 분쟁지역에 있는 구조물을 박살내기 위해 완전자동 전투산탄총을 개발했습니다. 하지만 가르시아 상병은 이를 다른 용도로 사용했습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12,800
발사율 200
재장전 200
매거진 22

사이드 스토리 '분리(DIVIDED)' 이벤트와 함께 출시된 샷건. 해당 사이드 스토리에 따르면 시험용 프로토타입이라고 한다.

막대한 장탄수가 특징인 샷건으로 최대 22발까지 장전된다. 상자 탄약 부스트가 달린 전설 스킨까지 장착하면 탄약이 모자랄 일은 없다. 느리긴 하지만 자동사격이 된다는 것도 장점.

단점은 그 외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것. 사거리가 끔찍하게 짧고 피해량도 매우 낮으며 산탄총 주제에 슬러그탄 쏘는 거 아닌 가 싶을 정도로 공격 범위가 좁고 재장전마저 느리다. 굳이 이 무기를 언락할 필요 없이 일일 대학살 이벤트에 나오는 것만 써 봐도 코 앞에서 좀비한테 갈겼는데 내가 물어뜯기는 상황이 자주 벌어진다.

전설 스킨으로 상자 탄약 추가 부스트가 붙는 엘리트 옵스 I, 엘리트 옵스 II, 엘리트 옵스 III가 있으며, 빠른 재장전 추가 부스트가 붙는 망령 작전이 있다.

3.5. 브루트 인페르노 (E)

파일:인투 더 데드 2 브루트 인페르노.jpg
석유 기업가가 한 때 소유했던 이 수집 물품은 한 번에 두 배럴에서 엄청난 폭발력의 소이 탄환을 발사합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20,480
발사율 400
재장전 375
매거진 2

브루트 더블의 원본 격 되는 더블 배럴 샷건. 사이드 스토리 '나이브 오브 더 리빙 데드(NIGHT OF THE LIVING DEAD)'에서 부품 수급이 가능하다.

한 번에 두 발을 사격하기에 실질적으로 단발식 샷건이며, 소이탄이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어 화끈한 화력을 자랑... 하는 것처럼 보인다. 자세한 것은 후술. 그 외에 산탄 수가 많은지 광역 공격 능력이 좋은 편이다.

단점이라면 한 번에 2발을 사격한다는 특성 상 실질 탄약 수가 반토막이며, 그 탄약 수도 많지 않다. 재장전 속도도 좀 느린 편이고, '더 빠른 발사' 부스트 효과도 전혀 못 받는다.

브루트 인페르노의 스탯 상 피해량 수치는 2발 일제사격+소이탄 효과의 합산값이다. 즉, 실제 1발당 피해량은 20레벨 기준 5,120에 불과하다.

3.6. 외과의 (E)

파일:인투 더 데드 2 외과의.jpg
공식명이 Surge Compact인 외과의는 뒷골목에서 지저분한 절단을 수행하는 것 때문에 그 별명을 얻었습니다.
빠른 발사 속도와 넓은 확산은 생명의 은인이지만, 환자의 생존은 거의 전무합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30,720
발사율 150
재장전 400
매거진 4

저스티스의 완벽한 상위호환 펌프액션 샷건.

저스티스를 가볍게 압도하는 피해량과 더 빠른 연사력, 재장전 속도, 그리고 광역 공격 능력이 특징이다. 샷건 중에서 가장 샷건다운 무기라고 한다면 바로 이놈.

관형탄창 샷건 공통 단점으로 처음 1발 재장전이 느리고, 1발만 재장전한다면 더욱 느려진다.

전설 스킨으로 상자 탄약 추가 부스트가 붙는 시발바가 있다.

실제 모델은 슈퍼 쇼티.

3.7. X-12 타이런트 (E)

파일:인투 더 데드 2 X-12 타이런트.jpg
이 산탄총은 최고의 억제력을 위하여 설계되었지만 대량 생산을 하기에는 너무 강력한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20,480
발사율 240
재장전 163
매거진 14

더블배럴 펌프액션 샷건.

샷건치고 많은 장탄수와 넓은 공격범위, 빠른 연사력, 재장전 속도 등을 가진 가히 완전체라 부를만한 샷건.

전설 스킨으로 폭발성 탄약 부스트가 붙는 1776이 있다. 해당 스킨은 안 그래도 완벽에 가까운 해당 무기의 성능을 사기무기로 끌어올려주니 필히 얻을 것.

실제 모델은 DP-12.

3.8. 콜로서스 (E)

파일:인투 더 데드 2 콜로서스.jpg
콜로서스는 엄청난 화력으로 짧은 사거리를 보완합니다. 재장전하는 동안 공격당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최대 레벨 20
피해 46,080
발사율 400
재장전 353
매거진 1

브루트 인페르노에서 사거리를 반토막내고 피해량을 2배 이상 끌어올린 무기. 게다가 장탄수는 단 1발이다.

표기스탯 그대로 피해량이 전부인 샷건이고 생각보다 재장전 속도가 빠른 편이다. 물론 예능 무기에 가까운 물건이니 주의해서 사용할 것.

해당 무기로 좀비를 사살할 경우 좀비가 제자리에 얼어붙은 듯 서서 쓰러지는 연출이 있다.

전설 스킨으로 빠른 재장전 부스트가 붙는 에그스터미네이터가 있다.

실제 모델은 샷건의 시초인 블런더버스.

4. 기관단총

장탄수는 많지만 피해량이 심각하게 낮은 연사화기들이 포진한 무기군.

정말로, 피해량이 권총보다도 낮아서 순정 상태로는 제대로 써먹기가 곤란한 수준이라 소이탄 부스트를 강제하고 있다. 게다가 대부분의 무기들이 완자동에 아무리 짧게 끊어쏴도 최소 2발 이상 연사하는 탓에 기껏 1발로 처치할 수 있는 좀비를 상대하더라도 최소 1발 이상은 허공에 낭비하는 문제도 있다.

이벤트 등에서 붙는 보조무기 보너스 배율이 고작 3배다.

4.1. 밴딧 T9 (B)

파일:Screenshot_20171026-231415.png
거리를 지배하는 악명높은 무기. 탄약을 많이 씁니다.
최대 레벨 12
피해 192
발사율 1,200
재장전 429
매거진 45

스토리 2장 진입 시 획득 가능한 기관단총.

연사력이 빠르고 장탄수가 많은 편이지만 피해량은 정말 터무니없이 낮은 수준이라 극초반을 제외하면 무기고 구석에 처박아두는 물건. 최소 3점사부터 갈기기 시작하는 특징도 단점.

실제 모델은 KG-9.

4.2. MT-56A 택티컬 (B)

파일:Screenshot_2017-11-13-19-14-51.png
경호원과 스트라이크 팀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종말은 또 다른 임무일 뿐.
최대 레벨 18
피해 2,304
발사율 858
재장전 429
매거진 36

스토리 5장 진입 시 획득 가능.

외형만 보면 밴딧보다 강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부품 수급이 극악인데다 스토리 5장에 가서야 첫 부품을 얻을 수 있다는 문제 탓에 이 무기를 얻을 때 쯤이면 밴딧의 레벨이 차고넘칠 수준으로 올라간 상태라 쓸 일이 전혀 없다. 일일 이벤트에 나오는 게 그나마 쓸 만한 부분이다.

실제 모델은 H&K MP7으로 추정. 원본과 많이 다르게 생겼다.

4.3. 특급 비밀 (E)

파일:Screenshot_2017-12-04-17-41-16.png
이 프로토타입 무기는 비밀작전 CQB를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존재해서는 안 되는 무기입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4,608
발사율 1,000
재장전 429
매거진 48

무난한 성능의 기관단총. 너무 무난해서 설명할 게 없는 수준이다.

외형상 소음기와 레이저 포인터가 달려 있는데, 소음기는 장식이지만 레이저 포인터는 사거리 내에 좀비가 들어오면 실제로 작동한다.

실제 모델은 맥풀 PDR으로 추정. 사실 탄창 삽입 방식을 빼면 FN P90과 더 닮았다.

4.4. 페이트 & 포춘 (E)

파일:페이트 & 포춘.jpg
한때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개척하는 것을 믿었던 권력 있는 CEO에게 선물로 주었던 기관단총입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6,144
발사율 1,000
재장전 400
매거진 88

양 손에 들고 사격하는 아킴보 기관단총. 총성에 용 울음소리가 조금 섞여있는것이 특징.

아무리 짧게 사격해도 4점사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탄 소모가 극심하지만 탄약 보급량이 많은 편에 장탄수도 넉넉하고 피해량도 기관단총 중에선 좋기 때문에 다수의 약한 좀비를 쓸어버리는데 좋다.

실제 모델은 UZI 또는 MAC-10으로 추정.

4.5. T19 래틀스네이크 (E)

파일:인투 더 데드 2 T19 래틀스네이크.jpg
빠르고, 신뢰할 수 있고, 치명적입니다. 비교불허의 래틀스네이크.
최대 레벨 20
피해 3,840
발사율 1,000
재장전 462
매거진 60

장탄수가 넉넉하고 재장전 속도가 빠른 편이지만 피해량이 특히나 안 좋은 기관단총. 쓸 일은 없다.

실제 모델은 MP34.

4.6. A45 에이펙스 (E)

파일:인투 더 데드 2 A45 에이펙스.jpg
이 소형 SMG는 발사 모드를 전환하는 것만큼 신속하게 전술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SWAT 팀이 선호합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5,376
발사율 1,715
재장전 429
매거진 33

조정간 변경 기능을 통해 단발 또는 연사 변경이 가능한 기관단총.

기관단총 중 가장 빠른 연사력을 자랑하지만 단발 사격 기능 덕분에 오히려 총알을 아낄 수 있는 게 장점. 피해량도 기관단총 중에선 강한 편이다.

단점은 너무 적은 장탄수. 20레벨 기준 고작 33발밖에 안 된다. 단발 사격 기능이 연사력 때문이 아니라 장탄수 때문에 존재하는건가 싶은 수준.

실제 모델은 KRISS Vector.

4.7. 이직 (E)

파일:인투 더 데드 2 이직.jpg
이직의 컴팩트한 디자인은 기관단총을 혁신시켜 손안에 쥘 수 있는 강력한 화력을 제공합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5,376
발사율 750
재장전 462
매거진 32

무난한 기관단총. 연사력이 느리지만 최소 2점사부터 시작한다.

실제 모델은 UZI.

4.8. PP20 돌벤코브 (E)

파일:인투 더 데드 2 PP20 돌벤코브.jpg
하이테크 야간 투시경 세트와 함께 소음 PP20 '돌벤코브'는 스텔스 접근과 소음 사격을 가능하게 합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6,758
발사율 600
재장전 290
매거진 88

사이드 스토리 '응보(RECKONING)'에서 추가된 기관단총.

러시아제 PP-19 기관단총에 소음기와 도트 사이트를 장착한 모델이며 특이하게도 야간투시경이 덤으로 딸려온다. 덕분인지 무기 선택 시 효과음도 야간투시경을 켜는 것 같은 효과음이다.

기관단총 중 유일하게 별도 조작 없이 단발 사격이 가능하며 피해량이 가장 높다. 그래봤자 권총보다 단발 화력은 약해서 묵시급 난이도에서 피 보는 건 여전하지만.

단점은 느린 재장전 속도와 야간투시경. 야간투시경의 경우 사이드 스토리에서 써 보면 알겠지만 게임이 야간투시경이 필요할 정도로 어두운 경우도 없고 야간투시경을 사용하면 좀비 식별 거리가 더 짧아진다. 물론 이것만으론 단점까진 아니지만 야간투시경이 무기에 딸린 보조무장으로 취급되어 탄약을 모두 소모해도 무기를 자동으로 바꿔들지 않는다. 이 사실을 잊는다면 탄약을 모두 소모하고 다른 무기로 자동교체를 기다리다가 좀비한테 물어뜯기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

총평은 야간투시경을 빼면 탄창 용량도 넉넉하고 밸런스 괜찮은 무기. 어디까지나 기관단총 중에서 그렇다는 게 문제지만.

실제 모델은 앞서 언급한 PP-19.

5. 돌격소총

피해량과 장탄수 모두 적당히 높은 밸런스형 무기. 피해량이 2만을 넘는 무기가 없어 가장 체력이 높은 좀비는 2발 이상 사격해야 하지만 그 외에 특출난 단점은 없는 편이다.

특이사항으로 대부분의 무기들이 완자동이 아닌 점사 무기들이다.

5.1. 밀리샤 HK-5A (B)

파일:인투더데드2 AK.jpg
가장 널리 사용하는 돌격소총 중 하나입니다. 전투를 환영합니다.
최대 레벨 18
피해 7,680
발사율 750
재장전 400
매거진 26

게임 시작부터 부품 수급이 가능한 돌격소총.

최대 3점사까지 사격이 가능하며, 그 외엔 별다른 특징이 없는 돌격소총. 장탄수가 꽤 적다는 게 단점이라면 단점이다.

실제 모델은 AK-47. 다만 3점사 사격이 가능하다는 점은 오히려 M16 소총을 닮았다.

5.2. ARC-7 리전 (B)

파일:Screenshot_2017-11-17-23-45-38.png
전쟁을 위해 만든 무기. 세계는 혼란에 빠졌지만 이 총에게는 아주 어울리는 환경입니다.
최대 레벨 18
피해 7,680
발사율 858
재장전 462
매거진 30

스토리 5장 진입 시 획득 가능한 돌격소총.

최대 4점사 사격이 가능하며, HK-5A보다 연사력이 빠르지만 부품 수급이 극악이라 사용할 기회는 사실상 없다. 일일 이벤트에 나오는 걸 써 볼 수 있는 게 고작이다.

전설 스킨으로 폭발성 탄약 추가 부스트가 붙는 길라 몬스터 I, 길라 몬스터 II, 길라 몬스터 III가 있다.

실제 모델은 H&K G36. 총몸은 AR-15의 총몸이다.

5.3. ARC-9 배털리언 (E)

파일:Screenshot_2017-11-20-17-37-49.png
통제된 군용 무기로서 트윈 매거진과 총열 하단부에 부착하는 유탄발사기를 갖추었습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15,360
발사율 924
재장전 500
매거진 36

언더배럴 유탄발사기를 장착한 돌격소총.

매일 일일 미션을 달성하면 부품을 수급할 수 있으며, 미션 난이도도 높은 편이 아니라 돌격소총 중 가장 빠르게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무기다.

최대 5점사까지 가능하며, 언더배럴 유탄발사기는 탄약 상자에서 탄약을 얻을 때 최대 1발까지 충전된다. 유탄은 수류탄 정도의 성능을 가지고 있으나 피해량은 총기 업그레이드를 따라가기 때문에 총기 레벨이 낮다면 좀비들이 죽지 않고 피해만 입은 채 경직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성능상으로 문제는 없지만 그 외의 문제가 다수 있는 편인데, 가장 큰 문제는 총기 위에 큼지막하게 달린 조준경이 오른쪽 시야를 많이 가린다는 것. 총기로 좀비를 조준하거나 재장전 할 때 화면 반 정도를 그대로 가려버린다. 그 외에 출시 초기 무기인 탓에 가로 조준 범위가 좁은 편이다.

탄창이 두 개를 붙인 이중 탄창인데 이 이중 탄창은 실제로 기능하여 재장전 할 때 짝수 회마다 빠르게 재장전한다.

실제 모델은 M203 유탄발사기를 장착한 M4 카빈.

5.4. 에스코르피온 III (E)

파일:인투 더 데드 Escorpión III.jpg
어느 카르텔 보스는 두 전갈을 사용하여 불충한 암살자들을 혼낸 것으로 유명했습니다. 이 무기는 마지막 경고로서 그의 사무실에 설치되었습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15,360
발사율 800
재장전 375
매거진 60

최초의 완자동 돌격소총.

드럼 탄창을 채용하여 장탄수가 많다는 것 외에 별다른 특징은 없다.

원본은 AKS.

5.5. ARC-11 섀도 (E)

파일:인투 더 데드 2 ARC-11 섀도.jpg
은밀한 작전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클래식 ARC 포뮬라를 변조한 이 무기에는 반자동 또는 관통 탄약 버스트의 두 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15,360
발사율 750
재장전 429
매거진 36

조정간 변경으로 단발과 3점사를 변경할 수 있는 돌격소총.

단발 사격은 평범하지만 3점사의 경우 관통 탄약 부스트가 적용된다. 어지간한 좀비는 돌격소총의 단발 사격으로 사살이 가능해 3점사는 탄약 낭비로 느껴질수도 있으나 좀비 무리에 쏘면 매 사격마다 조준을 새로 하기 때문에 실제로 낭비되는 탄약은 거의 없는 편이다. 가로 조준 범위도 상당히 넓은 편.

단점은 애초에 장탄수가 적다는 것. 3점사 무기가 장탄수마저 적으니 함부로 난사하기 힘들다.

원본은 H&K HK416.

5.6. ARC-12 뱅가드 (E)

파일:인투 더 데드 2 ARC-12 뱅가드.jpg
침입 및 소거 작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된 이 완전 자동 ARC 변형은 언더배럴 산탄총을 갖추고 있습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11,520
발사율 706
재장전 400
매거진 36

언더배럴 샷건이 장착된 완자동 돌격소총.

다른 돌격소총과 비교했을 때 피해량이 낮은 편이지만 플레이어가 불편함을 느낄 정도로 낮은 수준은 아니다.

하부 샷건이 장착되어 있으며, 탄약 상자에서 탄약을 보충받을 때 최대 2발의 샷건 탄환이 충전된다. 별도 재장전 모션은 없으며, 공격력과 가로 범위는 좋은 편이지만 사거리는 짧으니 이 점을 유의하고 사용해야 한다.

전설 스킨으로 빠른 재장전 추가 부스트가 붙는 블랙아웃이 있는데 이 게임에서 유일하게 특수사격의 능력을 변경시키는 스킨이다. 하부 샷건이 조명탄 발사기로 바뀌어 조명탄을 발사하면 일정 시간동안 시간을 느리게 흐르도록 만든다.

실제 모델은 KAC 마스터키가 장착된 H&K HK416.

5.7. ARC-4 게릴라 (E)

파일:인투 더 데드 2 ARC 게릴라.jpg
정글에서 단련된 이 정통 ARC는 많은 인기 영화와 TV 쇼에 등장한 후 유명해졌습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19,200
발사율 1,134
재장전 400
매거진 25

연사력이 매우 빠른 돌격소총. 게릴라보다 연사력이 빠른 무기는 몇 없다.

연사력이 매우 빠른데 장탄수마저 적어서 탄 관리를 잘 해줘야 하는 무기. 다행스럽게도 조정간 변경으로 단발과 연사를 변경할 수 있다. 원체 빠른 연사력 덕분에 단발로 사격해도 빠르다. 정말로 탄 관리를 위해 단발 사격을 하게 되는 무기.

실제 모델은 M16A1.

5.8. K1 스트라이커 (E)

파일:인투 더 데드 2 K1 스트라이커.jpg
스트라이커는 반자동으로 정밀한 피어싱 샷을 발사하여 그 이름에 걸맞게 작동하지만 완전 자동 모드에서 표준 라운드를 발사할 수도 있습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19,200
발사율 600
재장전 500
매거진 32

단발 사격에 관통 탄약 부스트가 붙은 돌격소총.

높은 피해량과 단발 사격의 관통탄이 맞물려 좀비 무리 학살에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는 돌격소총. 조정간 변경으로 연사도 가능하지만 어지간해선 단발 사격으로 거의 모든 상황이 처리되기 때문에 연사 할 일은 없다.

전설 스킨으로 상자 탄약 추가 부스트가 붙는 얼음의 손아귀가 있다. 해당 스킨 장착 시 피격당한 좀비들이 얼어붙어서 죽으며, 해당 스킨 장착 후 소이 탄약 부스트를 사용하면 푸른 불꽃이 붙는다.

실제 모델은 슈타이어 AUG. 그 중에서도 기본형인 A1 모델이다.

5.9. 올드 독 (E)

더 안정적인 무기들을 조합하여 만든 올드 독은 오래 발사하면 과열되어 총알에 불이 붙습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11,520
발사율 1000
재장전 600
매거진 35

사격하다보면 총열이 과열되어 총알에 불이 붙는 것이 특징인 돌격소총. 탄환도 평범한 탄환이 아닌 수제 바늘탄을 사용하는지 불 붙은 총알에 피격된 좀비를 보면 일반적인 총알이 아닌 바늘같은것에 꿰뚫린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만 저 과열 모드는 실제로 의도해서 사용하기 어렵다. 일단 총을 과열시키려면 난사를 해야 하는데 이 게임은 근본적으로 총알이 남아도는 게임이 아닌데다 돌격소총이라는 특성 상 기본 피해량도 부족하지 않기 때문에 불 붙은 총알을 쏜다고 해도 별 체감이 되질 않는다.

배털리언처럼 탄창 두 개를 이어붙인 이중 탄창이고, 마찬가지로 재장전 할 때 짝수 회마다 빠르게 재장전한다.

실제 모델은 불명. 최소한 총몸과 총열은 기성 총기가 맞을 것이지만 그 외 잡동사니를 덕지덕지 붙여 만든 탓에 알아볼수가 없다.

6. 소총

피해량은 높지만 연사력과 장탄수가 낮은 무기군. 다수의 좀비를 상대하는 용도는 아니다.

6.1. 프레데터 308 (B)

파일:Screenshot_2017-11-03-22-47-37.png
강력하고, 장거리에서 매우 정확하게 쏠 수 있는 사냥꾼의 무기.
최대 레벨 18
피해 21,120
발사율 67
재장전 343
매거진 6

스토리 3장 진입 시 얻을 수 있는 볼트액션 저격소총.

별다른 특징이 없다는 게 특징인 무기. 재장전 시 탄창 교환이 아닌 한발씩 재장전한다.

실제 모델은 M40 저격소총.

6.2. 와일드스퍼 (B)

파일:Screenshot_2017-11-20-21-06-58.png
이 구식 총기는 서부시대 때 셀 수 없이 많은 무법자를 죽였습니다. 이 총의 활약은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최대 레벨 18
피해 7,680
발사율 110
재장전 300
매거진 10

스토리 6장 진입 시 얻을 수 있는 레버액션 소총.

스토리 후반에 얻을 수 있는 무기답게 부품 수급이 극악인데 그걸 차치하더라도 피해량이 권총과 비교해야 할 수준으로 낮아서 안 쓰는 무기. 게다가 재장전도 한발씩 한다. 연사력이 빠르니 소총으로 다수의 좀비를 처치해야 하는 미션에 쓰지 않을까 싶지만 아래 관통 탄약을 쓰는 재블린이나 코발트를 쓰고 말지 와일드 스퍼는 절대 아니다. 프레데터에 관통 탄약이나 폭발 탄약 부스트를 써도 와일드 스퍼보다 훨씬 나은 대량살상 능력을 보여준다.

실제 모델은 윈체스터 M1866.

6.3. 재블린 AP51 (E)

파일:Screenshot_20180629-151053.png
기본적으로 관통 탄약을 사용하는 초강력 50구경 저격소총.
최대 레벨 20
피해 46,080
발사율 63
재장전 375
매거진 12

관통 탄약이 기본적으로 장착된 볼트액션 저격소총.

총 자체는 흠잡을 곳 없이 좋지만 부피가 큰 탓에 화면을 상당 부분 가리는 문제가 있다. 현재는 코발트 마크 IV의 하위호환이 되어버렸다.

6.4. F300 카바인 (E)

파일:인투 더 데드 2 F300 카바인.jpg
이 빠르고 정확한 소총에는 총검이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근접 공격을 막을 수 있는 기회를 한 번 줍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30,720
발사율 219
재장전 375
매거진 30

연사력이 빠르고 장탄수가 많은 게 특징인 소총. 와일드 스퍼와 달리 피해량도 출중하다.

카바인은 총검이 장착되어 있는데 이 총검은 좀비에게 잡혔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칼과 같이 살아남을 기회를 제공한다. 이 게임에서 좀비에게 잡혔을 때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은 칼, 구출 능력을 지닌 컴패니언, 이벤트 모드에서 구조 능력을 지닌 동료가 있는데 거기에 기회가 하나 더 추가되는 격이다. 다만 이 총검은 좀비에게 잡혔을 때 이 무기를 들고 있을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으니 주의.

이 무기의 가장 큰 단점은 오직 패키지 구매로만 입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나마도 브루트 인페르노와 같이 팔아서 싼 것도 아니다.

실제 모델은 M1 카빈. 카빈과 카바인 둘 다 맞는 발음이지만 미국에선 카바인 발음이 보편적이다.

6.5. 코발트 마크 IV (E)

파일:인투 더 데드 2 코발트 마크 4.jpg
이 특급 비밀 반물질 소총은 전자기장을 사용하여 초음속으로 장갑 관통탄을 발사합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64,000
발사율 105
재장전 500
매거진 10

사이드 스토리 '강하(DESCENT)'에서 추가된 소총.

관통 탄약이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다는 점에서 재블린 AP51과 비슷해 보이지만 피해량이 더 높고 연사력과 재장전 속도도 더 빠른데 피격 판정도 더 후하다. 장탄수가 살짝 적긴 한데 신경 쓸 수준의 단점은 아니다. 이 소총을 구할 수 있다면 재블린은 잊어도 된다.

전설 스킨으로 시작 탄약 추가 부스트가 붙는 케이먼이 있다. 특이하게도 케이먼 스킨 장착 시 탄환 모양이 초승달처럼 변하고 피격당한 좀비가 신체 일부가 잘려나가 죽는다.

창작 총기이기에 실제 모델은 없다. 레일건이긴 한데 반물질 소총이라고 언급하는 부분에서 보통 레일건도 아니다.

6.6. M5 커스버트 (E)

파일:Screenshot_20231210_003452_Into the Dead 2.jpg
원래의 전쟁은 오래 전에 끝났지만 M5 커스버트에는 살상 잠재력이 여전히 많이 남아 있습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34,560
발사율 240
재장전 600
매거진 8

총류탄을 사용할 수 있는 소총. 총류탄은 유탄이 아닌 공중작렬탄이라 사용하면 공중에서 폭발한 뒤 지상에 자탄을 흩뿌린다.

문제는 총류탄 사용 과정이 너무 번거롭다. 특수사격 버튼을 누르면 일단 총류탄을 장전하고, 총류탄이 장전된 뒤에 사격해야 총류탄을 발사하는데 눈 앞에 좀비가 나타난 것을 보고 이 모든 과정을 수행해 사격하면 이미 늦었다. 그렇다고 총류탄을 장전한 채 충분한 수의 좀비 무리를 기다리는 것은 일반 사격을 못 해서 위험하다.

앞서 말했듯 특수사격 버튼은 총류탄 장전이며, 이미 장전된 상태에서 특수사격 버튼을 한 번 더 누르면 총류탄을 장착해제하니 주의.

실제 모델은 M1 개런드.

7.

쓰레기 집합소
사면 단 하나를 제외하면 그 어떤 무기도 쓸 일이 없다

활 계열 무기들은 화살로 좀비를 사살한 뒤 좀비 위로 지나가면 화살을 회수할 수 있다. 폭발 탄약 부스트 사용 시엔 회수 불가.

활은 소이 탄약 부스트와 폭발성 탄약 부스트 단 두 개만 사용할 수 있으며, 활의 소이 탄약 부스트는 소이 탄약 미션에 카운트되지 않는다. 폭발 탄약은 시작 탄약 추가와 상자 탄약 추가 부스트가 합쳐져 있다.

이벤트 보조무기 보너스 배율이 4배로 높다.

7.1. 스피릿 DDX (B)

파일:Screenshot_2017-11-07-20-49-30.png
조용하고, 강력하고, 화살을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려면 어느 정도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최대 레벨 18
피해 20,480
발사율 120
재장전 800
매거진 1

스토리 모드 4장 진입 시 얻을 수 있는 석궁.

현대 전쟁에서 냉병기가 사장된 이유를 뼈저리게 느낄 수 있는 무기. 이 게임 특성상 좀비들은 무리지어 플레이어에게 달려드는게 보통인데 스피릿은 한 번에 한 마리밖에 못 죽이는 주제에 재장전이 경악할 정도로 느리고 관통 사격이 되는 것도 아니며 공격력도 특출나게 높은 게 아니라 도저히 쓸 구석을 찾을수가 없다. 화살 특성상 히트스캔이 아닌 발사체 방식으로 공격하는데 벽에 막히거나 쏘자마자 허공에 증발하는 문제도 당연히 존재한다.

이게 언락되어 있으면 일일 이벤트 중 클래식 런에서 아무 퍼크 없이 튀어나오는 모습을 볼 수도 있다. 꽤나 자주 튀어나오는데 클래식 런은 좀비들이 특히 많이 튀어나오는 이벤트라 폭발성 화살 퍼크가 달려 있어도 못 써먹을 물건이 아무 퍼크 없이 튀어나오니 순식간에 이벤트 난이도가 급상승한다. 이미 제작했다면 늦었지만 제작하지 않았다면 절대 제작 버튼도 누르지 말 것.

7.2. Spectral II (E)

파일:Screenshot_2018-01-29-15-43-12.png
이 현대적인 경량 복합궁은 활을 빠르게 발사할 수 있지만 화살을 쏠려면 강력한 힘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화살은 회수가 가능합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20,480
발사율 219
재장전 2,000
매거진 1

그냥 활.

스피릿 DDX보다 연사력이 훨씬 빠르지만 그게 전부. 나머지 모든 단점을 스피릿 DDX와 공유하기에 당연히 쓸 일이 없다.

7.3. 사면 (E)

파일:인투 더 데드 2 사면.jpg
이 수수께끼의 무기는 놀라운 속도로 빠르게 볼트를 연속으로 발사하거나 힘을 모아 굉장한 위력의 볼트 하나를 발사할 수 있습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7,680
발사율 750
재장전 388
매거진 30

사이드 스토리 '입회자(INITIATE)' 이벤트와 함께 출시된 연발 석궁. 프로미스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한 수제 무기로 보인다.

연사 모드와 단발 모드를 지원하며, 연사 모드는 말 그대로 볼트를 연사하지만 발사체 방식을 사용하는데다 피해량이 낮고, 단발 모드는 반자동 소총처럼 사격해야 하지만 히트스캔 방식을 사용하고 피해량이 높아진다.

실제로 써 보면 연사 모드는 발사체 방식 특유의 심각한 단점들이 부각되는 탓에 단발 모드를 주로 사용하게 될 것이다. 단발 모드로 사용해도 여타 활 계열 무기들은 당연하다는 듯이 압도하고 권총이나 기관단총도 가뿐하게 밟을 수 있는 성능을 자랑한다.

폭발성 탄약 부스트 사용 시 여타 활 무기들과 다르게 착탄 즉시 볼트가 폭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전설 스킨으로 소이 탄약 추가 부스트가 붙는 데스 터치 가 있다.

7.4. V.L.A.D. (V)

파일:인투더데드2 작살총.jpg
매우 큰 화살 발사기(Very Large Arrow Dispenser)는 종말에 대한 재능 있는 엔지니어의 대답이었습니다. 재사용할 수 있는 각 작살로 여러 대상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42,240
발사율 78
재장전 400
매거진 5

5발들이 펌프액션 작살총.

작살의 위력이 작살나는 수준이라 관통 탄약 부스트가 없음에도 일직선상의 좀비들을 전부 꿰뚫는 위력을 보여준다.

단점은 장탄수가 고작 5발로 적은데 연사력이 꽤 느리다. 관통 사격이 필요하다면 소총 무기군에서 재블린이나 코발트를 싸도 되고, 그게 없더라도 돌격소총이나 소총에 관통 탄약 부스트를 써도 된다. VIP 광고에서 항상 이 무기를 보여주는데 실 성능은 사면보다 훨씬 못 하니 VIP를 구독했다면 사이드 스토리에서 사면 부품을 빠르게 얻는 게 낫다.

8. 특수 무기

위 분류군에 속하지 않는 무기들이 이곳에 속한다.
주로 기관총이나 유탄발사기 같은 중화기들이 특수 무기 분류에 속하며, 기원불명의 수제 무기들도 존재한다.

특수 무기들은 부스트 사용이 불가능하다.

8.1. GL-03 크람푸스 (E)

파일:Screenshot_2017-12-20-17-15-28.png
구식 군용 유탄발사기로서 혁신적인 하모니카 탄창을 사용합니다. 착하게 사용해야 할까요? 아니면 못되게 사용해야 할까요?
최대 레벨 20
피해 64,000
발사율 150
재장전 400
매거진 3

사이드 스토리 '동상(FROSTBITE)' 1부 이벤트와 함께 출시된 유탄발사기.

발사체 방식이기에 발사체가 허공으로 증발하는 경우가 잦으며, 벽이나 장애물에 부딪혀 막히는 경우도 많고, 이 게임 유탄류 무기 특성 상 좌우 공격 범위는 매우 넓은데 전후방 공격 범위가 좁아서 좀비 무리 선두에 있는 좀비에게 쏘면 뒤에 있는 좀비들은 전혀 피해를 입지 않는 모습도 자주 보인다. 그 외 단점이라면 재장전 속도가 느린 편이다.

전설 스킨으로 상자 탄약 추가 부스트가 붙는 서리 가 있다.

실제 모델은 T148E1.

8.2. MGN-6 저거노트 (E)

파일:인투 더 데드 2 MGN-6 저거노트.jpg
공격 헬기의 파괴력을 가진 납 성분의 허리케인을 손 안에. 하지만 사격 개시 시간과 긴 재장전 시간을 주의해야 합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4,606
발사율 1,200
재장전 300
매거진 250

미니건. 무기 설명을 보면 헬리콥터 거치 무장을 탈거한 것으로 보인다.

발당 피해량은 기관단총과 비교해야 할 수준으로 낮지만 이를 빠른 연사력과 막대한 장탄수로 커버하는 무기. 사실 피해량은 별 문제가 안 되고 재장전 시간도 보기보단 짧은 편이지만 사격 전 예열시간이 가장 큰 단점으로 꼽힌다. 코 앞에 튀어나온 좀비를 보고 사격 버튼 눌러봤자 예열하다가 물어뜯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선 계속해서 사격 버튼을 눌러주며 예열을 해줘야 한다.

전설 스킨으로 빠른 재장전 추가 부스트가 붙는 데몰리션 I, 데몰리션 II, 데몰리션 III가 있다.

8.3. 베인브리지 M14 (E)

파일:인투 더 데드 2 베인브리지 M14 .jpg
헛된 발명가 S.G. 베인브리지의 발명품인 이 기관총은 방아쇠를 당기는 것만으로 엄청난 공세를 펼칩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11,520
발사율 800
재장전 400
매거진 45

무난한 성능의 기관총. 최소 3점사부터 시작하기에 탄약 관리가 어려운 편이다.

실제 모델은 루이스 경기관총.

8.4. 네일바이터 (E)

파일:인투 더 데드 2 네일바이터.jpg
건설 및 파괴 모두에 완벽하게 맞춰진 이 개조 네일건은 세계 종말을 위한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6,144
발사율 750
재장전 429
매거진 90

네일건

발사체 방식의 무기인데 발사체가 유탄보다도 느려서 연사하면 적이 쓰러지기 전까지 다수의 탄환을 낭비하게 된다. 문제는 이 게임은 좀비가 떼거리로 등장하는 게임이고, 물어뜯기기 싫으면 열심히 연사를 해야 한다.

가로 인식 범위가 매우 넓은 건 장점. 연사력과 재장전 속도도 빠르다.

특수 사격 모드로 산탄 사격이 가능하다.

8.5. XM-4 타이탄 (E)

파일:인투 더 데드 2 XM-4 타이탄.jpg
차량 외에 당신을 해치려는 어리석은 것들을 파괴할 수 있는 최첨단 로켓 발사기.
최대 레벨 20
피해 69,120
발사율 158
재장전 334
매거진 4

4연장 미사일 발사기.

레이저로 목표를 타게팅하기 때문에 빗나갈 확률이 적으며, 타게팅하지 않고 쏴도 유탄처럼 일정 거리를 날아간 뒤 미사일이 자폭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정말 편하다. 재장전이 좀 느린 편이긴 한데 워낙에 절륜한 광역 공격 능력 덕분에 이거 갈기고 재장전하다 죽을 일은 드문 편.

단점은 단 4발의 장탄수. 그리고 수류탄 사용 불가. 무기가 워낙 거대해서 그런지 이 무기를 들고 있으면 수류탄을 쓸 수가 없다. 이 무기를 들고 있는 시점에서 수류탄을 쓸 일이 얼마나 있을까 싶지만. 그 외엔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부품 수가 다른 무기보다 많다.

특수 사격 모드로 현재 장전된 미사일을 전부 허공으로 쏴버린 뒤 한 발 씩 지상에 내리꽃는 폭격이 가능하다. 문제는 좀비 무리가 튀어나온 시점에서 이 능력을 쓰면 늦어서 일반 사격으로 갈기는 게 훨씬 낫다.

전설 스킨으로 빠른 재장전 추가 부스트가 붙는 블러드 문이 있다.

실제 모델은 M202 FLASH.

8.6. 애프터쇼크 (E)

파일:인투 더 데드 2 에프터쇼크.jpg
종말의 세계에서 생존하기 위해 맞춤 제작된 이 충격적인 무기는 타겟을 죽이고 주변 적을 기절시킬 수 있습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18,432
발사율 150
재장전 429
매거진 8

사이드 스토리 '폭풍(TEMPEST)' 이벤트와 함께 출시된 테이저건.

반자동 모드와 근접 공격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반자동 모드에서는 좀비 한 마리를 맞추면 주변 좀비들에게 전기 충격을 가하는 테이저를 사격하고, 근접 공격 모드에선 탄약을 계속 소모하며 근접한 좀비들을 지져버린다.

문제는 둘 다 성능이 영 시원찮다는 것. 반자동 모드는 직격 피해량은 좋은 편이지만 광역 피해량이 상당히 부족하고 근접 공격 모드는 탄약 소모량이 정말 미친듯이 빠르다. 게다가 장탄수도 적다.

8.7. M2020 하빙어 (E)

파일:인투 더 데드 2 M2020 하빙어.jpg
이 기관총의 벨트에는 적을 확실히 없애주는 운 좋은 탄약이 섞여 있습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5,376
발사율 924
재장전 200
매거진 200

저거너트의 상호호환격 기관총.

저거너트에서 예열시간이 삭제된 대신 연사력, 장탄수, 재장전 속도가 너프된 무기다. 예열이 없기 때문에 사용하기는 이쪽이 더 편한 편. 베인브리지처럼 최소 3점사부터 사격한다.

소소한 특수 능력으로 탄띠에 붉은색 탄환이 섞여 있는데, 이 탄환에 맞은 좀비는 폭죽 튀는 연출과 함께 즉사한다. 다만 이걸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니 있다는 것만 알아두자.

실제 모델은 M1919 브라우닝.

8.8. 톱니 (E)

파일:인투 더 데드 2 톱니.jpg
이 톱날 발사기는 종말을 상대하기 위해 맞춤 제작되었습니다. 그 능력은 지금까지 탁월했습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64,000
발사율 43
재장전 334
매거진 5

사이드 스토리 '동상(FROSTBITE)' 2부 이벤트와 함께 출시된 유탄발사기.

거대한 원형 톱날을 발사하는 무기로서, 톱날은 일렬로 선 좀비들을 관통하며 썰어버린다.

문제는 관통 사격 능력은 돌격소총이나 소총에 관통 탄약 부스트를 써도 되고, 기본 상태에서 관통 탄약 효과를 가진 소총만 두 개가 있는데다, 매우 끔찍하게 느린 연사력과 적은 장탄수 탓에 도저히 써먹을 구석을 찾을 수가 없다는 것.

8.9. G-8 머로더 (E)

파일:인투 더 데드 2 G-8 머로더.jpg
악명 높은 머로더는 폭발적인 입장의 주인공이었습니다. 격렬한 분노의 쉘 6개를 모두 발사하고 필요한 곳으로 가십시오.
최대 레벨 20
피해 64,000
발사율 43
재장전 240
매거진 6

6연발 유탄발사기.

전체적인 성능은 크람푸스와 대동소이하나 재장전 도중 끊고 사격이 가능해 위급상황 대처 능력은 크람푸스보다 낫다. 물론 6발을 전부 장전한다면 훨씬 느린 재장전 속도를 보여준다.

실제 모델은 밀코 MGL.

8.10. 헬파이어 (E)

파일:인투 더 데드 2 헬파이어.jpg
죽은 자들의 얼굴을 녹여 버리기 위해 특수 제작된 이 화염방사기는 한 대상에 뜨거운 죽음을 선사하거나 근처에 있는 모든 것을 태워버리는 폭염을 대방출합니다.
최대 레벨 20
피해 20,480
발사율 188
재장전 306
매거진 70

화염방사기.

별다른 특징은 없고, 화염 사격이 보이는 것과 다르게 지속적으로 피해를 주는 것이 아니라 탄환이 1발씩 줄어들 때마다 피해를 준다.

특수 사격 모드로 산탄 사격이 있는데, 여타 무기들의 특수 사격과 달리 잔탄이 남아있는 한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한 번 사격할때마다 10발의 탄환을 소모한다.

8.11. 던지는 단검 (V)

파일:인투 더 데드 2 던지는 단검.jpg
작습니다. 날카롭습니다. 조용합니다. 이 던지는 단검은 정말 치명적입니다... 다만 표적을 놓치지 마세요.
최대 레벨 20
피해 40,960
발사율 400
재장전 1,715
매거진 1

활 분류의 스피릿이나 스펙트럴의 상위호환격 무기라고 생각하면 된다. 문제는 그 둘의 상위호환이 되어 봤자 단점도 같이 계승하는데 무슨 소용이 있느냐는거다.

9. 기타

9.1. 수류탄

파일:Screenshot_2017-11-26-15-16-24.png

게임 도중 던질 수 있는 수류탄. 게임 시작 시 최대 3개를 들고 시작하며, 플레이 도중 수류탄 1개를 추가로 얻을 수도 있다.

수류탄은 무조건 좀비의 체력이나 방어력 무관하게 한 번에 사살이 가능하므로 덩치 큰 좀비나 아머 좀비를 효과적으로 쓸어버릴 수 있으며, 총으로 처리하기 곤란한 대규모 좀비 무리를 처리하는데도 효과적이다.

다만 투척 무기인 만큼 사용 타이밍이나 지형을 잘 봐야 한다. 가장 좋은 사용 시점은 좀비 무리가 시야 들어온 순간 던지는 것.

수류탄을 4개 소지한 채로 스테이지를 완료하면 수류탄 1개를 얻는다.

9.2.

파일:Screenshot_2017-11-26-10-11-08.png

좀비에게 붙잡혔을 때 탈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칼. 게임 시작 시 최대 1개를 들고 시작한다.

칼을 소지한 채로 좀비에게 붙잡힐 경우 화면 연타로 살아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며, 화면 연타로 좀비를 사살하고 살아날 경우 칼을 소모한다.

칼로 사살한 좀비도 사살로 카운트되며, 특이하게도 접촉으로 처리되지 않는다.

9.3. 전기톱

파일:Screenshot_2017-12-11-22-20-29.png
기름으로 작동되는 도구. 나무다듬기, 장작자르기, 좀비 쓰러뜨리기에 적합합니다.

특정 스테이지의 특정 위치에서 습득 가능한 근접무기.

전작과 동일하게 연료를 소모해 사용하며, 근접한 좀비를 썰어낸다.

전기톱 연료를 전부 소모하기 전까진 총기 사용이 불가능하다. 수류탄이나 칼은 사용 가능.

9.4. 스크럽 커터

파일:Screenshot_2017-12-11-22-20-35.png
앞마당은 정리하고 좀비는 엉망으로 만듭니다. 전기톱보다 연료를 더 많이 넣을 수 있고 사정거리가 더 넓습니다.

특정 스테이지의 특정 위치에서 습득 가능한 근접무기.

전기톱과 비슷하지만 일단은 상위호환이다. 다만 상위호환으로 느껴지지는 않는 편.

9.5. 중기관총

파일:Screenshot_2017-11-26-11-06-57.png

파일:Screenshot_2017-11-03-23-21-54.png

특정 스테이지의 특정 위치에서 쓸 수 있거나 스테이지 진행 상 강제로 사용하게 되는 중기관총.

특정 위치에 거치된 중기관총은 사용하지 않더라도 사용 게이지가 소모되며, 스테이지 진행 상 강제로 사용하게 되는 중기관총은 보통 차량 거치형이라 스테이지 진행 상 도중에 차량에서 내리지 않는 한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여타 게임의 거치식 기관총과 달리 과열되진 않으니 총알을 아끼지 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