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0 03:36:53

H&K HK41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상징 · 역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color=#ffd400><colbgcolor=#000> 상징 국가(동독 국가) · 국기 · 국장 · 국호(도이칠란트 · 게르마니아) · 검독수리
역사 역사 전반 · 프랑크 왕국 · 독일 왕국 · 신성 로마 제국 · 프로이센 · 독일 통일 · 독일 제국 · 라이히 · 독일국 · 바이마르 공화국 · 융커 · 나치 독일(퓌러 · 안슐루스 · 과거사 청산 문제 · 하켄크로이츠 · 나치식 경례 · 전범기업 · 나치 독일-이탈리아 왕국 관계 · 나치 독일-일본 제국 관계 · 삼국 동맹 조약(추축국) · 영국-나치 독일 관계 · 프랑스-나치 독일 관계 · 나치 독일-폴란드 관계(독소 폴란드 점령) · 나치 독일-소련 관계(독소 불가침조약 · 독소전(대조국전쟁)) · 미국-나치 독일 관계) · 서독-동독 관계(서독 · 독일민주공화국 · 슈타지) · 바더 마인호프 · 독일 재통일
}}}
}}}
}}}
[ 사회 · 경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 지리 ||지역 구분()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하위지역) · 니더작센(하위지역) · 라인란트팔츠(하위지역)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하위지역) · 바덴뷔르템베르크(하위지역) · 바이에른(하위지역) · 베를린 · 브란덴부르크(하위지역) · 브레멘(하위지역) · 슐레스비히홀슈타인(하위지역) · 자를란트(하위지역) · 작센(하위지역) · 작센안할트(하위지역) · 튀링겐(하위지역) · 함부르크 · 헤센(하위지역) · 도시/목록/독일 · 프랑켄 · 슈바벤 · 라인란트 · 베스트팔렌 · 슈바르츠발트 · 브로켄 · 알프스산맥 · 라인강 · 엘베강 · 도나우강 · 모젤강 · 네카어강 · 슈프레강 · 보덴 호||
사회 인구 · 게르만족 · 독일인
교통 교통 · 아우토반 · 철도 환경(역사 · 노선 · 도이체반 · ICE) · 독일의 공항(틀) · 프랑크푸르트 공항 · 뮌헨 공항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 · 뒤셀도르프 공항 · 함부르크 공항
교육 교육 전반 · 우수대학육성정책 · TU9 · 독일 대학교 목록 · 김나지움 · 아비투어
경제 경제 전반 · 산업 전반 · 독일제 · 대기업 · 도이체 뵈르제 · 라인강의 기적 ·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 루르 공업 지대 · 유로 (독일연방은행 · 유럽중앙은행) · 한자동맹 · 에어버스 · 폭스바겐 비틀 · 트라반트 601 · 슈파카세
[ 정치 · 군사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000> 정치 ||연방총리청 · 독일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기본법) · 독일 정부 · 행정조직 · 대통령 · 총리 · 연방의회 · 연방상원 · 연립정부· 대연정· 소연정 ||
선거 유럽의회 선거 · 연방의회 선거 · 주의회 선거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독일어권(독일-오스트리아 관계) · G4 · G7 · G20 · 영프독 · 유럽연합(제4제국) · 냉전 · 신냉전 · 독미관계 · 독일-프랑스 관계 · 독일-폴란드 관계 · 독러관계(독소관계) · 비자 · 독빠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폴란드 영토 논란 · 오데르-나이세 선 · 할슈타인 원칙 · 동방 정책
군사 독일군 · 역사 · 프로이센군 · 독일 제국군 (카이저마리네) · 독일 국방군 (육군 · 해군 · 공군) · 독일 연방군(육군 · 해군 · 공군) · KSK · 국가인민군(바르샤바 조약 기구) · 징병제(중단) · NATO
계급 · 군가 · 군복 · 군장 · 전투식량 · MG34 · MG42 · MG3 · StG44 · H&K G3 · H&K HK416 (M4A1 vs HK416) · H&K HK417 · MP18 · MP40 · H&K MP5 · 판처파우스트 · 판처파우스트 44 란체 · 판처파우스트 3 · 암브루스트 무반동포 · 티거 1 · 레오파르트 1 · 레오파르트 2 · PzH2000 · Bf 109 · Ju 87 · Me 262 · U-Boot
전격전 · 장교의 4가지 유형 · 독일의 전쟁범죄 (나치 친위대) · 국방군 무오설 · NATO군 vs 러시아군
치안·사법 사법 전반 · 독일 연방경찰청(GSG 9 · SEK) · 독일 연방의회경찰대 · 독일 연방헌법수호청 · 연방일반법원 · 연방헌법재판소 · 독일 형법
[ 문화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 문화 ||문화 전반 · 가톨릭 · 루터교회 · 독일 영화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옥토버페스트 · 독일 민요 · 요들 · 메르헨 · 그림 동화 · 보탄 · 니벨룽의 노래 · 디트리히 전설 · 브로켄의 요괴 · 발푸르기스의 밤 · 디른들 ·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바그네리안 · 크라우트록 · 표현주의 · 바우하우스 · 다리파 · 청기사파 · 슈투름 운트 드랑 · 은물 · ARD(산하 방송국) · ZDF ||
관광 관광 · 세계유산 · 브란덴부르크 문 · 베를린 TV타워 · 체크포인트 찰리 · 노이슈반슈타인 성 · 엘츠 성
독일어 표준 독일어(문법 · 발음) · 저지 독일어 · 오스트로바이에른어 · 알레만어 · 스위스 독일어 · 오스트리아 독일어 · 펜실베이니아 독일어 · 중세 고지 독일어 · ß · 움라우트 · 라틴 문자 · 독일어 위키백과 · Goethe-Zertifikat · TestDaF · 독일어권 · 독어독문학과 · 독일어교사
음식 독일 요리(지역별 독일 요리) · 지리적 표시제 · 맥주/독일 · 부어스트 · 프레첼 · 자우어크라우트 · 바움쿠헨 · 환타 · 구미 베어
스포츠 독일 축구 연맹 · 축구 대회(축구 리그)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서브컬처 독일인 캐릭터 · Krautchan(폴란드볼 · Wojak · Remove Kebab) · 독일초딩 · Fichtl's Lied
[ 기타 ]
}}} ||
HK416
Heckler & Koch 416
헤클러 운트 코흐 416
파일:2-HK416-14.5-LEFT1.jpg
기본형[1] / HK416
파일:HK416A5-14.5in-Left.jpg
개량형 / HK416A5
파일:MR556A1-Left-2021-2-Web.jpg
민수용 / MR556A1[2]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카빈
돌격소총
원산지
[[독일|]][[틀:국기|]][[틀:국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2004년~현재
개발 헤클러 운트 코흐
생산
사용국
[[독일|]][[틀:국기|]][[틀:국기|]]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미국|]][[틀:국기|]][[틀:국기|]]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일본|]][[틀:국기|]][[틀:국기|]]

[[호주|]][[틀:국기|]][[틀:국기|]]

[[브라질|]][[틀:국기|]][[틀:국기|]]

[[헝가리|]][[틀:국기|]][[틀:국기|]]

[[아일랜드|]][[틀:국기|]][[틀:국기|]]
이외의 사용국은 아래 문단 참조
기종
원형 HKM4
파생형 HK416C
HK416D
M27 IAR
M38 SDMR
HK416N
HK416A5
HK416F
HK416A7
HK416A8
MR556(민수용)
MR556A1(민수용)
HK416 .22 LR Rifle(민수용)
제원
탄약 5.56×45mm NATO
급탄 30발들이 STANAG 탄창
50발들이 Beta C-Mag
작동방식 쇼트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회전 노리쇠 방식
총열길이 228mm(HK416C, 9인치)
267mm(10.4인치)
279mm(HK416A5 11인치 모델)
368mm(기본형, 14.5인치)
420mm(16.5인치, M27 IAR, HK416N)
508mm(20인치)
전장 368mm 총열 기준
901mm(개머리판 연장)
797mm(개머리판 수축)
전고 240mm
전폭 78mm
중량 3.31kg(267mm 총열)
3.5kg(368mm 총열)
강선 7인치에 1회전
발사속도 700~900RPM
850RPM(HK416A5)
탄속 730~917m/s
유효사거리 300m(HK416C)
400m
550m(M27 IAR)
}}}}}}}}}
1. 개요2. 역사
2.1. 개발2.2. 세계 특수부대 표준이 되다
3. 특징4. 종류
4.1. HKM4
4.1.1. 초기형4.1.2. HKM4D, HKM4C
4.2. HK416
4.2.1. HK416A1~4
4.2.1.1. HK416D4.2.1.2. HK416C4.2.1.3. HK416N/K4.2.1.4. HK416Bw4.2.1.5. HK416 IC4.2.1.6. M27 IAR
4.2.2. HK416A5~6
4.2.2.1. HK416F4.2.2.2. HK3374.2.2.3. G38
4.2.3. HK416A74.2.4. HK416A8
4.3. HK416D SF4.4. MR5564.5. MR223
5. 유사품
5.1. Coharie Arms CA-4155.2. SIG5165.3. CAR8165.4. DSAR-15P5.5. POF P4165.6. HAENEL MK556
6. 사용 국가7. 기타8.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8.1. 게임8.2. 영화8.3. 만화 및 애니메이션8.4. 예능8.5. 드라마
9. 에어소프트건
9.1. 에어코킹9.2. 전동건9.3. 가스건9.4. 크리스탈 건9.5. 기타
10. 스케일 모형11.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NISI20201021_0016803784_web.jpg
2020년 10월 21일 제75주년 경찰의 날 기념식에서 HK416A5를 들고 테러 진압 시범을 보이는 경찰특공대
Garand Thumb의 HK416 리뷰 영상.
독일H&K 사에서 제작한 카빈형 돌격소총. 현재 미합중국 해병대프랑스 육군제식 소총이며, 델타포스, 스페츠나츠, GIGN 등 세계 각국의 특수부대와 한국군 특수부대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H&K의 명품 소총이다. 외형적으로는 M4 카빈과 유사하나, 작동방식이 가스 직동식인 M4와 달리 쇼트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3]

2. 역사

2.1. 개발

파일:cqbr-1_2003.webp
델타 포스 대원의 Arms tech사의 Compak 16[4]

1994년 제1차 특수작전용 소화기 개조 사업 이후 쿡 오프 같이 크고 작은 사고로 밝혀진 M4A1의 결함[5] 문제에 고심하던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에서는 제대로 된 근접전용 카빈을 바라는 특수임무부대의 수요를 받아들여 2000년에 PMOD(플랫폼 개조, Platform Modifications) 사업을 시행했다.
파일:hkm4(2003)_ernst&larry.jpg
개조형 윗총몸이 결합된 M4A1을 든 에른스트 마우흐래리 빅커스

훨씬 이전부터 M16 계열의 개량을 미군에게 제시해오던 헤클러 운트 코흐 미국 지사의 제임스 섀츠는 이를 절호의 기회로 포착하여 2001년에 델타 포스 소속의 화기 개발 담당 부사관 래리 빅커스를 만나 대화를 나누면서 영국군L85A2처럼 신뢰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자금 지원 없이도 진행이 가능하다는 조건 속에 협력을 약속받고 M4A1의 자동 발사 영상을 이용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미합중국 육군 발주의 목적군 보병 전투용 소총(OICW) 사업 참여로 분주했을 H&K 독일 본사의 에른스트 마우흐(Ernst Mauch)가 직접 참여하여 자사의 G36에 쓰였던 쇼트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으로의 전환과 총열, 노리쇠, 탄창 등을 포함 주요 부품들이 교체된 윗총몸이 2003년에 15,000발의 연속 발사를 동반한 내구성 시험을 통과하면서 높은[6] 평가를 받아 채택되었다.
파일:hkm4d_jim-ernst-larry.webp
HKM4를 보이는 제임스 섀츠, 에른스트 마우흐, 래리 빅커스

개발이 완료된 직후인 2004년 SHOT Show에 HKM4라는 이름으로 미합중국 육군의 새로운 제식 소총이 될 XM8과 함께 모습을 드러내어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았으나, 당시 M4 카빈의 설계 소유권을 가지고 있었던 콜트 사가 H&K부시마스터[7] 사에 상표권 침해, 허위 광고 등을 이유로 들어 소송을 걸면서 순탄하던 PMOD 사업에 적신호가 걸리고 말았다.

2005년 미국 메인주 법원에서의 기각으로 부시마스터 사와 마찰이 일단락되긴 했지만, 불필요한 법적 분쟁을 피하고자 했던 H&K 사는 명칭을 HK416(M4 + M16)으로 바꾸고 가스블럭과 총열덮개 등의 여러[8] 부품의 설계를 변경하는 식으로 합의가 이루어지고 난 다음에서야 시장에 정식 출시할 수 있었다.

2.2. 세계 특수부대 표준이 되다

파일:dc60domra.jpg
DEVGRU 대원의 HK416D

델타 포스가 개발에 깊숙히 관여한 만큼 델타포스의 제식소총으로 채택되었고, 이어 해군의 DEVGRU, 공군의 24th STS을 비롯한 미국의 특수부대는 물론 세계 각국의 특수부대에서 채용하기 시작하면서 특수부대를 상징하는 소총이 되었다. DEVGRU가 오사마 빈 라덴사살할 때 사용한 HK416은 매니아들 사이에서 "그 총(That/The gun)"으로 불리며 거의 전설이 됐을 정도다.[9] H&K 사의 입장에선 XM8의 도입이 실패했을 때의 보험이나 마찬가지였던 총이 어느새 H&K를 살려먹일 새싹이 되었다.
파일:hk416d(tan-anodized)_cag(possibly).jpg
델타 포스 대원의 HK416D[10]

2010년대 중후반에도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의 전세계에 걸친 준동으로 대테러 및 토벌 관련 작전에 활발히 쓰였으며, M27이라는[11] 새로운 이름까지 붙여준 미합중국 해병대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도 이를 제식 소총 또는 특수전용 소총으로 들일 정도로 높은 인기를 구가했다.

2020년대에 들어서는 SIG MCX, KAC SR-15, Noveske N4# 등 경쟁력 있는 대체자들의 등장으로 어느 정도 지분을 빼앗긴 상태이지만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명맥을 계속 이어 나가고 있다.

3. 특징

파일:hv-barrel_m4a1(sopmod1).jpg
M4A1 전용 14.5인치 중총열과 가스활대
파일:hv-barrel_hk416.jpg
HK416 전용 중총열과 가스 피스톤

먼저 고온의 연소 가스가 약실 안으로 유입되지 않는 쇼트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으로 바뀌어 바탕이 된 M4 카빈에 비해 작동에 관여하는 부품들의 수명이 늘어나게 되었으며, 총열덮개에 고정되지 않는 유동총열로 명중률 향상이 꾀해진 동시에 가혹할 정도로 연속되는 특수작전 환경에서의 자동 발사를 견딜 수 있게 두껍고 무거워졌다.[12] 그리고 가스 피스톤 지지대(Operating Rod)공이치기 안전장치의 공간 확보와 총열덮개의 결합을 위해 평평한 피카티니 레일이 있는 윗총몸 상단이 높아지기도 했다.

외관만 따지고 보았을 때 M4와 별다를 것 없는 특징 때문에 비약적인 성능 향상이 없다는 비판을 듣기도 한다. 당연히 사용탄약이 바뀐 것도 아니고 작동방식만 바뀌었지 근본적인 구조를 뜯어고친 것도 아니기 때문에 최대사거리나 위력이 바뀔 리도 없다. 하지만 애초에 HK416의 개발 의도가 M4의 가스 직동식 구조가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주장에 가스 피스톤을 달아서 해결하려 했던 시도일 뿐이기 때문에 즉 '가스 피스톤을 사용하는 M4'가 HK416이며 그러니 별 차이가 없는 게 당연한 것이다.

M4를 포함한 AR-10/AR-15 계열의 가스 직동식은 노리쇠에 장약의 연소 가스를 직접 뿜어 후퇴시키는 것인데, AR-10/15 계열을 제외하면 이 방식을 사용하는 총기는 스웨덴Ag m/42나 한국군의 K1 기관단총 정도밖에 없다. 움직이는 부품이 적어 무게가 가벼운데다 반동도 낮고 명중률도 좋지만, 뜨거운 화약 연소 가스를 노리쇠에 직접 뿜어대는 것은 아무래도 불안한 게 사실이었다. 또 후술하겠지만 가스 직동식 총기는 물에 완전히 넣은 뒤 사격하면 폭발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하여 H&K 사는 다른 화기처럼 내부 구조를 연소 가스가 피스톤을 밀고 그 피스톤이 다시 노리쇠를 미는 가스 피스톤, 그 중에서도 움직이는 거리가 짧은 쇼트 스트로크 방식을 선택한다.
H&K 사 특허의 배수(OTB) 기능 시연 영상

H&K 측에서는 직접 분사가 아닌 가스 피스톤 방식이라서 노리쇠에 쌓이는 탄매가 줄어들었고 물이나 진흙에 푹 넣고 빼낸 직후에도 무리없이 발사될 정도고, 20,000발 이상을 쏴도 잔고장이 발생하지 않아 AK-47에 못지않은 신뢰성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위 영상에서 M4와 비교하는 게 유명하다.[13][14]

다만 이런 건 광고 멘트이기 때문에 완전히 신뢰하기는 무리가 있다. 자동차 광고에 나오는 연비를 그대로 믿어서는 곤란하듯이 말이다. 일단 2007년 미국의 차기 카빈 계획에서 XM8, SCAR-L(Mk.16)M4A1과 경쟁했을 때의 시험 결과는 SCAR-L과 동급, M4 카빈보다 우세, XM8보다 부족하다는 결과가 나왔으나, 신뢰성 차이는 크게 신경 쓸 만큼은 아니었다. 그리고 여기서 언급한 M4A1, XM8, Mk.16, HK416의 모래먼지 비교 테스트는 매우 극단적인 조건과 M4의 윤활유 문제 때문에 그런 것이지,[15] 1년 후 비슷한 조건에서 윤활유를 바른 후 M4를 테스트했을 때의 결과는 HK416에 근접할 정도였다. M4에서 주로 문제를 일으키는 부분은 탄창과 노리쇠[16][17] 쪽이며 미군의 군납용 M4/M4A1은 3~4만 발까지 내구성이 보장된다. 이는 충분한 수준이다.

덧붙여 HK416의 최대 특징인 가스 피스톤식 AR은 이미 오래 전부터 나온 물건이다. 대만군의 M16A1 기반인 T65는 이미 1976년에 제식 소총으로 채택되어 쓰이고 있었고 콜트에서도 1980년대부터 간간이 만들어왔던 것이고[18], 국군의 K2 소총이나 LR-300 역시 피스톤식 AR로 간주할 수도 있다. 그런데 HK416이 제법 인기를 끌자 너도나도 가스 피스톤을 장착한 AR들을 만들어 본격적으로 팔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예시로 레밍턴 사의 R5 RGP가 있다. 결국 M4의 원조 콜트 사마저 가스 피스톤식 M4를 내놨다.
민수용 MR556의 신뢰성 테스트 영상 베트남 전쟁 시기의 M16을 재현한 AR-15의 신뢰성 테스트
먼지덮개를 연 채 진흙에 담가도 문제없이 작동하는 가스 직동식 AR과는 달리 두 번째 격발부터 기능고장을 일으킨다. 가스 직동식 AR의 경우 노리쇠로 들어간 가스가 뿜어져 나오면서 탄피배출구에 들러붙은 이물질을 날려버리는 반면 가스 피스톤식의 경우 노리쇠가 피스톤에 의해 움직이기 때문에 이물질이 그대로 들어가 버려 기능고장이 발생한다는 의견이 있다.

여기서 HK416을 포함해 이런 가스 피스톤식 AR이 원래의 가스 직동식 AR보다 얼마나 더 좋은가는 확실히 말하기 힘든 부분이다. 일단 상식적으로는 구조상 노리쇠에 탄매가 덜 끼기 때문에 신뢰성이 더 좋은 게 당연하지만, 기존의 가스 직동식 AR도 수십 년간 전 세계 실전에서 검증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신뢰성을 자랑하기 때문이다. 아무리 급박한 전시상황이라고 해도 탄매가 심각하게 쌓일 때까지 총을 닦아주지 못하는 경우는 드물다. AR 자체가 가스 직동식이라는 전용 구조에 맞춰서 설계된 물건인데 상술했듯 가스 피스톤식으로 바꾼다고 뭐 나아지는 게 있느냐는 주장도 있다.

게다가 쇼트 스트로크 특성 상 추운 곳에서는 가스 피스톤이 얼어버려서 작동불량이 일어나는 단점[19]이 있고 HK416은 결국 그 단점을 해결하지 못했다. 실제로 노르웨이군이 HK416을 채용했지만 실내에서 밖으로 나오면 가스 피스톤이 얼어서 오작동을 일으킨다고 평가가 좋지 않다.

장전손잡이를 몇 번 잡아 당기니 바로 정상 작동(...)하는 AK-200(롱 스트로크 방식), 뜨거운 물 조금 부어서 녹여주니까 정상 작동하는 부시마스터 XM-15(가스 직동식)에 비해서 HK416(쇼트 스트로크 방식)은 물을 몇번이나 부어서 녹이고 탄창 바꿔주고 하는 행동을 몇 번을 반복해야 겨우 동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한 번에 모두 얼려놓고 테스트는 한 정씩 순차적으로 하는 오류를 범했기 때문에, 나중에 테스트한 총은 더 오래 방치되어 얼음이 단단히 얼었을 수 있으므로, 영상의 테스트가 정확한 지표는 될 수 없다.

실제로 미군이 SOCOM 티어1 특수부대들을 제외하면 여전히 Mk.18 Mod.1과 M4/M4A1의 SOPMOD 블록 I/II을 붙잡고 있고 가스 직동식 AR들도 여전히 꽤 팔리고 있는 것으로 보아, 낫기는 하겠지만 기존에 쓰던 것을 버리고 바꿀 정도까지는 아니라는 의견이 대세인 듯하다.

그렇다고 HK416이 안 팔리는 것은 아니다. 그닥 메리트가 없는 다른 AR 클론들에 비하자면 HK416은 H&K의 이름값과 신뢰성이라는 확실한 장점이 있기 때문. 다만 역시 독일제답게 더 비싸서 가격이 미화로 대략 1,500~1,800달러 이상이므로[20][21] (특히 비싸 봤자 700달러 정도에 그치는 M4A1보다) 경쟁력이 떨어지는 면도 있다. 하지만 어차피 AR 계열이므로 상부 리시버만 구입해서 기존의 M16이나 M4에 장착하는 식으로 업그레이드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상부 리시버 발매는 민수시장을 노리는 경향이 강하지만, HK416의 상부 리시버는 민수용으로는 판매하지 않고 업계 종사자(경찰, 군, 액션슈터 등)에게만 판매되고 있다. 미국 이외 나라(유럽, 호주 등)의 민수용 버전인 MR223은 기존의 AR-15용 하부 리시버를 이용할 수 없도록 해서 가루가 되도록 까였으나, 열심히 까이자 미국 민수용 버전인 MR556A1에서는 개선되었다. 그런데 MR223/MR556A1은 콘셉트가 정밀 사격이라서, 총열 내구도에 큰 영향을 주는 크롬 도금을 하지도 않은 주제에[22] 무거운 HK416보다 더 무겁다.
파일:hrm_catalogue 0.jpg
고신뢰성 강철제 탄창

헤클러 운트 코흐 특유의 독자 규격에 대한 집착 탓에 부품 대다수가 독자 규격이다. 노리쇠 뭉치가 H&K의 독자적인 설계로 만들어져서 타사의 AR-15와는 호환되지 않고, M855A1 EPR 같은 탄종을 사용할 경우 내구성 문제가 생기는 등의 결점도 있다.[23] 게다가 탄창 삽입구 각도가 다른 AR-15들과 미묘하게 달라 초기형 HK416(2008년 이전 생산분)들의 경우 H&K제 철제 탄창이 아닐 경우 급탄에 문제가 생긴다고 한다. 반대로 이 철제 탄창 역시 HK416 이외의 다른 STANAG 탄창을 사용하는 총에 쓸 경우 급탄 불량이 일어난다고 한다.

이 철제 탄창을 쉽게 소화하는 총이 있는데, 바로 L85A2. L85A2가 사용하는 탄창과 HK416의 탄창은 동일하기 때문이다.[24][25] 당연하지만 민간슈터 및 JSOC 내에서도 왜 STANAG 탄창을 장전 못 하게 만들었냐며 욕 한참 먹고 나서 탄창 삽입구 각도를 수정한 HK416A5로 가면서 해결되었으며, 맥풀 사의 PMAG도 GEN M3 버전 이후 호환성 문제가 나아져 HK416과 호환이 가능하다.

HK416 IC 시기에 제안된 투명 탄창을 거쳐 맥풀PMAG처럼 세대에 따른 폴리머 탄창이 쓰이고 있는데, 이는 HK417의 탄창을 5.56mm 탄약에 맞게 컨버전한 듯한 플라스틱 STANAG의 형태를 따르고 있어 구형 계열에도 적용되도록 디자인되었다.
파일:rahg-rail 0.jpg
레밍턴 디펜스 사의 RAHG[26] 총열덮개

무겁고 두꺼워진 총열로 인한 무게 중심 쏠림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 중 하나로 순정 프리플로팅 레일 시스템(FFRS) 총열덮개가 RAHG나 SMR 같은 다른 회사의 제품으로 교체되는 사례가 다수 있다. 주요 소비자인 델타포스는 아예 신규 발주하는 HK416은 총열덮개를 빼고 주문한다고 전해지며, 이러한 옵션 총열덮개들은 길이와 확장성과 무게 부분에서 개선이 된 것들로 델타포스의 경우 가이슬리 오토매틱스 사의 모듈화 총열덮개를 장착하고, DEVGRU의 경우 대니얼 디펜스제 모듈러 핸드가드를 쓰다가 요즘은 미드웨스트 인더스트리제 핸드가드를 장착하는 모습이 주로 보인다. 그 외에는 루이스 머신 & 툴즈(LMT) 사에서 내놓은 컨버전 키트도 있다. LMT 사의 컨버전 키트는 기존 AR-15의 노리쇠와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어서 호환성도 좋다.

4. 종류

제품명 HKM4 HK416
HK416A1
HK416A2
HK416A3
HK416A4
HK416A5
HK416A6
HK416A7 HK416A8
사진
파일:hkm4_sheet 1.jpg
파일:hk416_sheet 1.jpg
파일:hk416a3_sheet 0.jpg
파일:hk416a5_sheet 0.jpg
파일:Hk417a_A7_2.jpg
파일:hk416a8_sheet 0.webp
연도 2004년~2005년 2005년~현재 2007년~현재 2012년~현재 2017년~현재 2021년~현재
윗총몸 M4
HK1
HK1 HK1 HK2
F
HK2 HK2
아랫총몸 HK1 HK1 HK1 HK2 HK2A HK2A
총열 10.4“
14.5“
16.5“
20“
10.4″
14.5″
16.5″
20″
9″
10.4″
11″
14.5″
16.5″
20″
11″
14.5″
16.5″
20″
11″
14.5″
16.5″
11″
14.5″
16.5″
총열덮개 M4
M16
RAS
R0
9″ R1
11″ R1
7″ R1
9″ R1
9″ R1A
11″ R1
11″ R1A
9.5″ R1S
9.5″ R2
9.5″ RF
11″ R1S
15″ R2
9.5″ HKey
14.5″ HKey
9.5″ LW
개머리판 M4
A2
IMOD
M4
E1
E2
SOPMOD
E1
E2
SL
PDWC
SL SL AS
권총손잡이 A2 16 16
V3
V4
16
V7
V7
V7A
433
주석 펼치기 · 접기
* 윗총몸
  • M4 - M4 계열 설계가 그대로 쓰인 2003년의 극초기형 전용.
  • HK1 - 가스 피스톤 고정대의 공간 확보를 위해 전고가 높아지고 노리쇠 캠 핀이 확장되는 좌측면 돌출부의 모양이 작은 원통 형태로 바뀜. 장전손잡이 위의 꼬리 부분에 곡선 가공 처리가 되어 레일이 없음.
  • HK2 - 노리쇠 멈치 보호둑이 추가되고 장전손잡이 위의 꼬리 부분에 레일이 연장됨.
  • F - HK2 기반이면서도 HK1처럼 장전손잡이 위의 꼬리 부분에 레일이 없는 HK416F 전용.
  • 아랫총몸
    • HK1 - 조정간 표시가 영문 음각에서 시인성 높은 총알 모양으로 변경되었으며, 탄창 삽입구가 3.5도로 낮아지고 후방에 반동완충기의 이탈을 막는 고정용 핀이 추가됨.
    • HK2 - 양방향 노리쇠 멈치 설치 공간과 탄창 삽입구가 10도로 높아져 PMAG 등의 사용이 가능해짐.
    • HK2A(가칭) - 조정간의 가동 범위가 G3 계열처럼 변경된 HK2.
  • 총열덮개
    • M4 - 갈빗대가 있는 원통 모양의 보급형.
    • M16 - 가는 원통 모양의 자체 설계형.
    • RAS - KAC 사의 M4 RAS.
    • R0 - FFRS 초기형. 윗총몸과 분리되어 있음.
    • R1 - FFRS 1세대형. 윗총몸 연결 부위에는 레일이 없음.
    • R1A - 가스 조절용 구멍이 오른쪽 측면 끝에 추가된 R1이며, HK416N/K 전용.
    • R2 - FFRS 2세대형. 상단의 레일 규격이 STANAG 4694(NAR)이며, 윗총몸 연결 부위의 형태가 완전해짐.
    • R2S - 접이식 보조 가늠쇠가 포함된 R2.
    • RF - 가스 조절기가 필요없는 구형 R1 설계가 하단에만 적용된 HK416F 전용.
    • HKey - 측면의 총기 액세서리 규격이 KeyMod와 유사한 HKey로 바뀌고 두께가 얇아짐.
    • LW - 원활한 열 배출 및 경량화 목적으로 구멍의 크기와 갯수가 늘어나고 왼쪽 측면 후방에 빠른 분해 조립용 버튼이 추가됨.
  • 개머리판
    • M4 - M4 계열4세대형 신축식.
    • A2 - M16 계열의 고정식.
    • IMOD - 울토르(VLTOR) 사의 배터리 수납형 신축식.
    • SOPMOD - LMT 사의 배터리 수납형 신축식. 개발 주체인 크레인(Crane) 별칭으로도 불림.
    • E1 - 상술된 SOPMOD 설계를 발전시킨 신축식. 견착용 패드가 두꺼워 볼록함.
    • E2 - 상술된 SOPMOD 설계를 발전시킨 신축식. 견착용 패드가 얇아 오목함.
    • PDWC - HK416C 전용의 뼈대형 인입식.
    • SL - 멜빵 삽입구가 하나로 줄어들고 전체적인 두께가 얇아짐.
    • AS - G28처럼 조정 가능한 뺨받이가 추가됨.
  • 권총손잡이
    • A2 - M16A2 전용의 보급형(USGI) 설계와 동일함.
    • 16 - 탱고 다운 사의 BG-16.
    • V3 - 파지 각도가 비좁게 수정된 보조 기계식 조준기(BUIS) 수납용 배틀 그립.
    • V4 - 파지 각도가 비좁게 수정된 배터리 수납용 배틀 그립.
    • V6 - 전방의 요철이 사라져 매끄럽게 바뀐 HK416 IC 전용의 배틀 그립.
    • V7 - 파지감 향상을 위해 끝부분이 연장된 비버 테일(Beavertail)이 추가된 배틀 그립.
    • V7A(가칭) - 사용자의 손 형태에 맞추어 뒷부분 교체가 가능해진 배틀 그립.
    • 433(가칭) - HK433 후기형의 것과 동일한 배틀 그립.

4.1. HKM4

파일:hkm4_sheet 1.jpg
HKM4

4.1.1. 초기형

파일:hkm4(prototype)_vickers 0.jpg
개조된 M4A1을 사격 중인 래리 빅커스

2003년 미합중국 육군 유마 성능 시험장에서 쓰인 쇼트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식 윗총몸. M16 계열의 가늠쇠와 유사한 가스마개의 외형으로 쉽게 구분된다.

4.1.2. HKM4D, HKM4C

파일:hkm4d_civilian 0.webp
2004년 SHOT Show 사격 체험 행사에서의 HKM4D

2004년 SHOT Show에 공개된 양산 라인업. M4 명칭과 설계가 그대로 쓰인 점에 상표권 침해를 주장하는 콜트 사의 소송 때문에 민수용 반자동 파생형인 HKM4C과 함께 시판이 무산되어 10정 제작에 그치고 말았다. 그중 일부 수량은 미국 버지니아주 애쉬번에 소재한 H&K 미국 지사의 전시실(Gray Room)에 보관 중에 있다.

4.2. HK416

4.2.1. HK416A1~4

파일:hk416_sheet 1.jpg
HK416, HK416A1/2
파일:hk416a3_sheet 0.jpg
HK416A3/4

콜트 사와의 합의가 끝난 2005년부터 미합중국 육군보병용 카빈 사업에 참여한 2011년까지의 양산 라인업. 개량 차수에 따른 변경 사항들이 공식적으로 밝혀지지 않아 중국어 위키백과HKPro 쓰레드 등과 각 연도별 사양들을 통해 짐작하는 정도로만 남겨졌다.

주된 공통점으로는 1세대형 총몸과 1세대형 FFRS(프리플로팅 레일 시스템, Free Floating Rail System) 총열덮개를 들 수 있으며, 2023년에도 H&K 미국 지사 홈페이지에서는 계속 홍보되고 있다.
4.2.1.1. HK416D
파일:hk416d_awg 1.jpg
2007년 HK416D를 소지한 비대칭전단 전술고문

H&K 미국 지사의 방산 부문(H&K Defense)에서 생산되는 미군미국 법집행기관 납품용으로, 테러와의 전쟁 등에서의 피드백을 받아 크고 작은 개량이 거듭되어왔으며 총열 길이에 따른 10.4인치 단축형(10RS), 14.5인치 기본형(14.5RS), 16.5인치 연장형(16.5RS), 20인치 최연장형(20RS)으로 나뉜다.
파일:hk416d_lapd 0.jpg
2015년 HK416D를 사격 중인 로스앤젤레스 경찰국 SWAT

이를 운용하는 대표적인 조직으로 미합중국 육군 델타 포스, 미합중국 해군 특수전개발단, 미합중국 공군 제24특수전술대대, 미국 마약단속국, FBI-HRT, 뉴욕 경찰국 ESU, 로스앤젤레스 경찰국 SWAT 등이 있다.
4.2.1.2. HK416C
파일:67433020_427701921285988_6498867221053501337_n.jpg
HK416C를 소지한 미합중국 공군 파라레스큐

SHOT Show 2011에 출품된 9인치 총열과 인입식 개머리판이 적용된 최단축형(Compact)이다. 최대 전장이 690mm밖에 되지 않아 주로 근접전용호신용으로 쓰이며, 미합중국 공군 파라레스큐, 독일 연방경찰청 GSG-9, 영국 무장경찰, 폴란드 경찰, 말레이시아 술탄 경호대에서 운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 파생형은 반동완충기(버퍼 튜브)의 길이를 줄였는데도 연사속도가 유지되었다.[28]
4.2.1.3. HK416N/K
파일:hk416n_norwegian 0.jpg
노르웨이 여군HK416N

2007년에 8,000정 계약이 맺어진 노르웨이군제식 소총. 총류탄소음기 사용을 고려하여 가스마개에 조절 기능이 추가되면서 FFRS 총열덮개의 우측면 끝부분이 드러난 2008년식 전기형과 HK416A3 및 HK416A5 사양의 2012년식 후기형으로 나뉜다.
파일:hk416k_norwegian 0.png
사격 중의 HK416K

11인치 총열 단축형에는 HK416K라는 별도의 명칭이 붙여져 쓰이고 있으며, 기본형과 마찬가지로 2012년식 사양이 따로 추가 도입되거나 그에 준하는 개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4.2.1.4. HK416Bw
파일:hk416bw(g26)_displayed.jpg
전시 중의 HK416Bw

미합중국 해병대보병자동소총(IAR) 사업을 벤치마킹한 독일 연방군(Bundeswehr)의 분대지원용 파생형. 2011년에는 독일 니더작센 메펜에 소재한 성능 시험장(WTD 91)에 인도되어 MG36과의 총열 내구성 비교에 쓰였을 뿐만 아니라 G26이라는 제식명이 주어져 독일 육군 KSK와 군사경찰(Feldjäger)에서 소수 운용되었다.
4.2.1.5. HK416 IC
파일:hk416ic_left 0.jpg
전시 중의 HK416 IC

2011년 미합중국 육군보병용 카빈 사업 초기의 제1차 심사 제출품. 당시의 테러와의 전쟁에서의 운용을 고려한 사막색 및 진흙색(FDE) 도색, 가스마개 전면부의 가스 조절기, 투명 탄창 등으로 갱신된 유력 후보 중 하나였지만, M4 카빈성능 개선(PIP)으로 돌려지면서 채택되지 못했다.
4.2.1.6. M27 IAR
파일:m27-vcog_usmc 0.jpg
2023년 사격 훈련 중의 M27

2011년 미합중국 해병대에 도입된 분대지원화기 파생형. 두꺼운 16.5인치 총열, 11인치 FFRS 총열덮개, OKC-3S 총검돌기 등으로 바뀐 정도로 M249 경기관총을 대신할 수 있을지에 대해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29] 2017년에는 M16A4M4 카빈을 모두 대체하는 제식 소총으로 변모하였다.
파일:m38sdmr_usmc 2.jpg
2020년 M38을 사격 중인 정찰 저격수

루폴드 사의 TS-30A2 Mk.4 MR/T 2.5-8×36mm 망원조준경KAC 사의 NT4-QDSS 사막색 소음기가 새로 적용된 지정사수소총 파생형에 M38이라는[30] 새로운 제식명이 붙여졌으며, 노후화된 SAM-RMk.12 Mod.1을 대체하였다.

4.2.2. HK416A5~6

파일:hk416a5_sou(daegu) 0.jpg
대구경찰특공대HK416A5

미합중국 육군보병용 카빈 사업에서의 제2차 심사에 제출된 2012년 이후의 양산 라인업. 다음과 같은 사항들로 다듬어진 정식 제품은 2013년 SHOT Show에 공개되었다.
파일:hk416a5_lthsof.jpg
2022년 리투아니아군 특수부대의 HK416A5

실사용자들의 피드백이 적극 반영되면서 주로 편의성과 호환성의 개선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만, 정작 그동안의 주요 소비자였던 델타 포스DEVGRU를 비롯한 기존 운용처에서 외면당해버린 대신에[33] 독일, 대한민국, 프랑스, 리투아니아 등의 세계 각국을 향한 군경시장에서 많은 실적을 거두었다.

2014년 H&K 본사 웹사이트 관계자와의 인터뷰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중총열로 바뀐 HK416A5가 HK416A6이며, 독일 연방군G38 계약건에 포함되었으나 소수 구매에 그친 특수부대용이기 때문에 실제 모습은 확인되지 않는다.
4.2.2.1. HK416F
파일:hk416f-hk269_french 0.jpg
HK269F가 달린 HK416F-C

2016년 8월 프랑스군의 AIF(Arme Individuelle Future, 미래개인화기) 사업에서 채택된 제식 소총. HK416A5 기반이면서도 구형 HK416A3/4의 윗총몸과 E1/2 개머리판 등이 그대로 쓰였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전용 부가장비로는 동사의 HK269F 유탄발사기아이크혼 사의 SG2000WC-F 총검이 있다.
파일:hk416f-felin_french 0.jpg
FÉLIN 조준경이 달린 HK416F-S

총열 길이에 따라 14.5인치 기본형 HK416F-S(Standard)와 11인치 단축형 HK416F-C(Courte)[34]으로 나뉘며, 총 38,505정의 HK416F-S 중 14,915정에는 전방 적외선 감시 기능을 갖춘 FÉLIN 미래보병체계 조준경이 적용되기도 했다.
4.2.2.2. HK337
파일:hk337_enforcetac2017.jpg
2017년 Enforce Tac에 출품된 HK337

2017년의 Enforce Tac[35]에 공개된 8.9인치형 단축형이며, 동사의 HK237처럼 .300 AAC Blackout(7.62×35mm) 탄약을 사용한다. 2023년 기준으로 시판 또는 운용에 관련된 정보가 없는 것으로 보아 2018년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SURG 사업에서 탈락하자마자 단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4.2.2.3. G38
파일:g38_hessischen-polizei 1.jpg
Gen3 탄창이 적용된 헤센주 경찰의 G38

2014년 독일 연방경찰 GSG 9, 독일 육군 KSK에 각각 G38(16.5인치), G38K(14.5인치), G38C(11인치) 제식명으로 도입된 특수부대용 파생형. 초기의 총열덮개는 FFRS 2세대형이었지만 실제 운용에는 양측면이 Hkey 규격으로 바뀌고 두께가 얇아진 슬림 라인으로 변경되어 식별이 용이해졌다.

4.2.3. HK416A7

파일:hk416a7_german 0.webp
2018년 미국 유마 성능 시험장에서의 G95

2017년 KSKKSM 등의 독일 연방군 특수부대 전용의 G95 그 자체이며, 동년의 Sys StG Bw(독일 연방군용 돌격소총, System Sturmgewehr Bundeswehr) 사업에 제시되었다가 헤넬 사의 MK556에게 패배하면서 단종 절차를 밟은 것으로 보인다.

본체가 세라코트(Cerakote)로 마감된 동시에 조정간의 가동범위가 G3 계열해군형 아랫총몸처럼 바뀌고 2018년의 Enforce Tac 전시 후에는 권총손잡이 뒷부분이 교체 가능한 형태로 한번 더 개량되기도 했다.

4.2.4. HK416A8

파일:hk416a8_enforce-tac2023.jpg
2023년 Enforce Tac에 출품된 HK416A8
국방TV의 HK416A8 분석

2022년에 G95A1 제식명으로 최종 선정된[36] 독일 연방군의 새로운 제식 소총.

주된 변경점으로는 HK433 후기형에 쓰인 설계와 동일한 파지 각도의 권총손잡이, G28의 뺨받이 조정형 슬림 라인 개머리판, 보다 가벼워지고 좌측면 후방에 신속 분해 결합용 레버가 추가된 슬림 라인 총열덮개, RTX 사의 엘칸 스펙터 DR 가변배율조준경 등이 있다.

4.3. HK416D SF

HK416D SF(Select Fire)는 미국에서 반자동 사격만 가능한 민수용 HK416D이다. HK416D SF가 수입되어 법 집행 기관 및 민간인이 사용한다. 알려진 모든 HK416D SF는 14.5인치 또는 10.4인치 배럴로 수입되었다.출처

4.4. MR556


2009년에 정식 출시된 북미 민간시장용 파생형. 2011년부터 MR556A1 명칭으로 바뀌어 계속 시판되고 있다.

4.5. MR223


2007년에 출시된 북미 이외의 민간시장용 파생형. 특이하게도 러시아 알파 그룹에서 민수용 HK417인 MR308과 함께 운용되고 있다.

5. 유사품

유명하고 인기가 많은 총기이니만큼 당연히 유사품도 존재한다.

5.1. Coharie Arms CA-415

파일:CA415.jpg

미국산 HK416 카피 버전. 416을 갖고는 싶은데 비싸서 못사는 민간 사격 애호가들에게 제법 팔리고 있다. 영화 존 윅에서 존 윅이 사용한 것으로 더욱 유명세를 얻었다.[38]

5.2. SIG516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IG516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Sig-516.jpg

스위스 SIG/SAUER 사에서 HK416과 같은 개념으로 만든 쇼트 스트로크 피스톤식 AR-15 계열 소총. HK416을 만든 주임 설계자 로베르트 히르트(Robert Hirt)를 영입해서 만들었다.

5.3. CAR816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AR816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ar816.jpg

UAE카라칼 사에서 당시 SIG에 있던 HK416, SIG516 주임 설계자 로베르트 히르트를 영입해서 만든 소총.

5.4. DSAR-15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SAR-15PC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5234234234.jpg

다산기공에서 기존에 위탁 생산하던 카라칼 사의 CAR816을 개량하여 만들었다. 돌격소총답지 않게 1.3 MOA를 달성했다.[39] 카빈 버전은 차기 특수작전용 기관단총 사업에서 SNT모티브STC-16를 꺾고 채택되었으나 ROC 사전 유출 논란으로 인하여 개발 중단되었다.[40]

5.5. POF P416

파일:P416.jpg
미국의 패트리어트 오드넌스 팩토리(Patriot Ordnance Factory)[41] 사에서 개발 및 생산 중인 소총.

사실 P416은 HK416의 복제품이라기보다는 HK416을 강하게 참고하고 개발한 AR-15 계통의 소총으로, 내부구조, 특히 P416의 가스피스톤 구조는 HK416과 전혀 상관없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물건이다. HK416 못지 않게 성능과 내구성이 대단히 좋은데다가, 가성비도 괜찮아서 H&K가 북미 민수용시장에 크게 관심없어서 민수용 모델이 발매되지 않았던 동안 유명세를 얻었다.

자동발사 기능이 삭제된 민수용 P416은 P415라는 이름으로 판매된다.

유비소프트의 게임에 자주 등장한다. 대우는 HK416의 대타거나 하위총 정도.

5.6. HAENEL MK556

파일:Haenel-Mk556.jpg
독일 해넬 사의 쇼트 스트로크 가스피스톤 AR-15로, 해넬 사의 모기업인 카라칼이 만드는 CAR 816의 개량형이다. 2020년 9월에 열변형 문제로 퇴역이 결정된 G36 소총의 뒤를 이을 차기 독일연방군 제식소총으로 선정되었다. #

그러나 H&K의 특허 침해에 대한 이의제기로 2020년 10월 9일, 독일군의 헤넬 MK556 구매 계획이 취소되어버렸다.#

6. 사용 국가

모두들 HK416을 사는군요.
Forgotten Weapons의 이안 맥컬럼이 래리 빅커스와 인터뷰에서 러시아 스페츠나츠도 HK416을 쓰더라는 말을 듣고 고개를 저으며 한 말.#[42]
아무튼, 결국 HK416 도입을 전면 취소하고 콜트 캐나다 사의 C8A2를 도입하고 있다는 소문이 돌았지만, 2015년에도 노르웨이군에서 HK416N을 사용하는 등 실 사용례 자료가 지속적으로 올라오고 있으며, 기존 도입 총기에 대한 개량을 요청했다는 말도 나오고 있기 때문에 제식소총 직위를 박탈당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파일:/image/421/2016/08/26/2101188_article_99_20160826181704.jpg}}} ||
2016년 8월에 공개된 사진인데, 노르웨이군 여군이 HK416을 사용하여 훈련을 받고 있다.
파일:external/i64.tinypic.com/t65oi8.jpg}}} ||
2016년 1월 부르키나파소 인질극 당시 프랑스 특수부대를 지원하던 미군 특수부대원. 기존의 핸드가드 대신 가이슬리 오토매틱스제 핸드가드를 부착한 HK416을 들고 있는데 HK416A5가 아니다. 이들 두 대원 사진을 델타포스라고 추정하고 있다.
택티컬 포럼의 종군기자 태상호 기자가 DEVGRU 대원과 인터뷰를 했는데, 이 DEVGRU 대원은 당시 빈 라덴 제거 작전이었던 넵튠 스피어 작전에 참가했으며 빈 라덴을 사살한 2명의 DEVGRU 대원의 주무장이 HK416이었다고 진술했다. 전직 DEVGRU 출신의 매튜 비소넷(필명 마크 오웬)이 쓴, 넵튠 스피어 작전을 다룬 책 No Easy Day에는 비소넷 자신이 사용하던 HK416 등의 여러 장비를 찍은 사진이 실려있다.
파일:BxR7R3n.jpg}}} ||
오사마 빈 라덴을 사살했다는 HK416(래리 빅커스 FB에서 최초공개). 부가 장비로 레밍턴 사의 RAHG[46] 총열덮개, 인사이트 테크놀로지 사의 LA-5/PEQ[47] 표적지시기, 호그 사의 AR-15 고무 권총손잡이, 맥풀 사의 RVG 수직손잡이와 CTR 개머리판, AAC 사의 M4-2000 소음기와 윈도우브레이커, 슈어파이어 사의 스카웃라이트[48], 이오텍 사의 551 홀로그래픽 사이트와 G33 3배율 매그니파이어[49], 바이킹 택틱스 사의 Mk2 패딩 슬링이 장착되어 있다.[50]
하지만 노후화로 인해 2020년경부터 DEVGRU는 제식 병기를 미국 Noveske사의 가스직동식 AR-15인 N4로 교체를 시작하고 있다.

미 공군 파라레스큐는 약간 특이한데 대부분은 M4A1을 사용하지만 제24특수전술대대에 배속된 PJ는 일반 HK416을 운용하며, 그 외의 몇몇이 단축형인 HK416C를 운용한다.

예전엔 미 육군 비대칭전연구단(Asymmetric Warfare Group, 약칭 AWG)[51]에서 잠시 HK416을 쓰다가 M4A1으로 교체됐다.[52]
파일:external/farm3.staticflickr.com/9066150248_d2b8b02620_b.jpg}}} ||
파일:HK416.png
||
해군 특수전전단 대원이 HK416으로 훈련하고 있는 모습. 아덴만 여명 작전 당시 투입된 대원들이 HK416을 쓰는 모습, 공개된 영상 속에서는 대원들이 들고 계단을 오르는걸 볼 수 있다.
2011년 초부터 소말리아 해역 호송전대의 일부 대원들이 HK416을 사용하는 모습이 공개되었다. 2016년경부터 수리부속 공급이 제대로 안되어 운용에 지장이 많다는 소문이 있었으나[53], 2018년 현재까지 여전히 운용 중이다. 해군 특수전전단에서 사용하는 HK416은 전부 10.5인치 총열 버전이며, 가늠쇠가 초기 모델에서 보이는 가스블록 고정형이라 소염기 쪽으로 눕힌 상태로 운용하는데 소음기 장착 시에는 가늠쇠가 소음기와 간섭을 일으키므로 가늠쇠를 반만 눕혀 사용한다.[54] 2018년엔 청해부대 외의 일반부대에서 HK416과 SIG516을 도입한 모습도 사진으로 나왔다.

현재 HK416을 쓰는 국군 특수부대는 해군 특수전전단이 유일하다. 2011년 아덴만 여명 작전 영상에서 해군 특수전전단 대원들이 HK416을 들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요즘도 간간히 노출되거나 훈련하는 사진속에서 HK416을 들고 있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2021년 MADEX에서 HK416A5 상부리시버를 기존 HK416 하부리시버와 결합하여 운용중인 것으로 확인되어 UDT/SEAL에서 HK416A5를 도입한 것이 확인됐으며, 2023년에는 특수전전단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의 사진을 통해 HK416A5가 도입 됐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현재 해군 특수전전단에는 HK416과 SIG516, CAR816을 병행해 사용 중이다.

정부기관에선 경찰특공대대통령경호처 전술팀에서 HK416A5를 사용한다. 2018년 평창 올림픽 경비임무에 투입된 경기북부 경찰특공대 대원들이 신형인 HK416A5로 무장한 모습이 공개되었고#, 2017년 경찰의 날 행사에서 대통령경호처 전술팀 요원[55]이 무장한 HK416A5가 목격되었다.#
파일:경특416.jpg}}} ||
2021년 2월 25일 YTN 뉴스 보도에서도 HK416A5로 모의작전중인 경찰특공대의 모습이 공개되었다.
대한민국 정부기관에서 사용하는 HK416A5는 금색 RAL8000 도료를 적용하지 않고 HK416 기본형과 같은 검은색 외장을 한 것이 특징이다.
파일:external/si.wsj.net/BN-MD383_0117bu_J_20160116090753.jpg}}} ||
2016년 1월 부르키나파소 인질극 당시 부르키나파소 정부군을 도와 진압에 나선 프랑스군 특수부대 제1해양보병공수연대 소속 대원들. 대부분의 대원이 HK416으로 무장하고 있다. 사진에서 기둥 쪽 미군 특수부대 2명을 제외한 헬멧에 프랑스 국기를 붙이고 HK416A5를 사용하는 대원들이 프랑스 제1해양보병공수연대 대원들이다.
2016년 8월에 FAMAS를 대체할 차기 제식소총으로 FN SCAR와의 경합 끝에 HK416A5가 선정되었다고 한다.# HK416A5는 약간의 변형을 거쳐 HK416F로 프랑스군에 납품 중이다.
대테러부대 GIGN에서도 H&K G36과 함께 사용하나, 5.56mm의 저지력 보완을 위해 체코제 CZ-806 브렌 2 카빈 7.62×39 mm M43 탄(AK-47과 같은 탄환) 사용 버전을 주무장으로 병행해 사용하고 있다.

7. 기타

기본 Heckler & Koch GmbH
Made in Germany
D Heckler & Koch
Defense Inc
Sterling VA (2008년 이전)
Ashburn VA (2008년 이후)
Columbus GA(2016년이나 2017년 이후 추정)
N
K
노르웨이군 문장

아랫총몸의 우측면에는 H&K 독일 본사명과 생산지를 알리는 레이저 프린트 각인이 새겨지는데, 미군법집행기관 전용의 HK416D에는 미국 지사명과 총 세번에 걸친 공장 주소지 변경이 적용되면서 가장 행이 길고 변화가 많다. 노르웨이군 발주의 HK416N에는 간략화된 노르웨이 국방부의 문장이 들어가기도 한다.

8.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M4 계열보다 조금은 희귀한 특성과 좀 더 현대적인 생김새 때문에 창작물에서는 좀 잘나가는 집단이 쓴다. 액션 매체에서는 행동이 자유로운 권총이 액션 연출에 더 편해서인지, 총이 더럽게 비싸서인지 주인공이 쓰는 모습은 거의 못 본다. 미군 특수부대원 중에도 HK416을 지급받더라도 M4나 Mk.18을 그대로 사용하는 사람도 꽤 된다고 한다.

한국 온라인 FPS 게임에서는 "M4A1보다 정밀성 높은 무기"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어떤 게임에서는 기본무기로 여길 정도로 뭔가 어정쩡한 스펙인가 하면, 어떤 게임에서는 M4보다 데미지, 정밀성, 사거리 면에서는 우수하나 안정성과 연사력이 부족하게 등장하기도 한다. AVA는 현실과 잘 들어맞는 스펙을 구현했다.

대중매체에서는 유비소프트가 자사의 게임에 P416을 거의 사골국처럼 우려먹으면서 등장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는 북미나 유럽등에선 총기 소유가 합법화된 곳이 많은데, 이곳에서 출시되는 게임들은 실제 총기의 이름을 사용하기 위해선 해당 총기 회사에게 라이선스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그런데 H&K는 라이선스 사용비가 비싸기로 악명 높아서 나오더라도 이름만 교묘히 바꾸는데,[57] 유비소프트 측에선 좀 다른 방법으로 접근한 셈.[58] POF 역시 소규모 기업이다 보니 이를 자사의 홍보용으로도 쓰기도 한다.[59]

일반적으로 게임상에서는 HK416을 흥국이로 친숙하게 부르고 있다. 2010년대 초 AVA에서 시작된 별명.

8.1. 게임

HK416 P416
라이센스비 비싸기로 유명한 H&K제 총기다보니 대다수 게임들에서는 이름이 바뀌어 나오는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배틀필드 시리즈에서 처음 사용한 명칭인 M416으로 나오는경우가 많다. 일단 총기 조작과 디자인이 M4A1과 동일한지라 그 등장빈도수는 계속 늘고 있는 추세다.

8.2. 영화

8.3. 만화 및 애니메이션

8.4. 예능

8.5. 드라마

9. 에어소프트건

에어소프트건을 즐기는 사람들에게는 폼나는 외양과 무엇보다 H&K의 브랜드 네임으로 인기가 많은 편이다. 특히 배틀그라운드와 무사트, 레드셀등 HK416을 주력으로 쓰는 UDT 출신 유튜버들의 컨텐츠의 인기에 힘입어 2019년 들어서는 이름 좀 들어봤다하는 에어소프트건 회사들은 전부 한번씩 건드려보기 시작할 정도로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는 총이기도 하다.[75]

9.1. 에어코킹

9.2. 전동건

9.3. 가스건

9.4. 크리스탈 건

9.5. 기타

10. 스케일 모형

11. 둘러보기

파일:독일 국기.svg 현대의 독일 연방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808080,#7f7f7f> 현대의 독일 연방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808080,#7f7f7f> 소총 <colbgcolor=#808080,#7f7f7f> 돌격소총 G3, G8, G36, G37, G38, G95, MCX, G39
지정사수소총 MSG3, G28
저격소총 G22, G24, G25, G82, G29
기관단총 MP2, MP3, MP4, MP5, UMP, MP7A1
산탄총 M870, FP6
권총 P52, P1, P4, P5, P6, P7, P8, P9, P10, P11, P12, P14, P21, P30
조명총 P2
지원화기 기관총 MG3, MG4, MG5, MG6, HK23, MG50
유탄발사기 AG40-1, AG40-2, HK79, GMW 40mm
대전차화기 PzF-3, Leuchtbüchse 84 mm, RGW90, MILAN, EUROSPIKE
박격포 RSG60, Soltam K6
맨패즈 Fliegerfaust 2
유탄 DM41, DM51
지뢰 PARM 2
냉병기 총검 Arbeitsmesser, KCB-77
의장용 화기 Kar98k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현대 오스트리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오스트리아 연방군 (1951~현재)
Österreichisches Bundesheer
<colbgcolor=#FFF>


<colbgcolor=#FFF>
<colbgcolor=#FFF> 돌격소총 StG 77 (A1/KPE)
저격소총 SSG 69, HS.50
기관단총 MPi-69, MPi-81S, TMP
권총 P80 Gen 3
냉병기 총검 KCB-77





다목적 기관총 MG 74, MG MAG
중기관총 üsMG M2
유탄발사기 ML40




무반동총 PAR 66/79
대전차
미사일
PAL 4000(TOW) | PAL 2000 "BILL"
맨패즈 lFAL Mistral
박격포 M6C-210, mGrW82, sGrW86





돌격소총 StG 77 A2, HK416
지정사수 소총 HK417P
저격소총 SSG M1, mSSG 08A2, sSSG M82A1, M95, M107
기관단총 P90 (TR)
산탄총 M870, SPAS-12
권총 G17, G18, G21, G26
의장용 화기 StG 58
※ 윗첨자S: 비축장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 미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현대의 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fefefe,#191919>M4, M4A1, XM7, M16A2, M16A3, M16A4, M27, M231, GUU-5/P, XM8, XM29, LSAT
지정사수소총 M14, M21, M21A5, M38, M39, M110, M110A1, M110A2, Mk.11, Mk.12, Mk.14, SAM-R, SDM-R, MSG90, SIG716
저격소총 M24, M40, M82A1, M82A1M, M82A3, M107, M2010, Mk.13, Mk.22, RC-50, XM109
산탄총 M26, M500, M590, M870, M870 MCS, M1014, M1200, AA-12
기관단총 M3A1, MP5A3, MP5A5, MP5K, MP5SD3, M635, APC9K, MPX, P90 TR
권총 리볼버 M15, GS32N
자동권총 M9, M9A1, M11, M17, M18, M007, P229R DAK, KP95D, SP2022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249, XM250, LSAT
다목적기관총 M60, M134, M240
중기관총 M2HB, M2A1, M85, GAU-19, XM312, XM806
유탄발사기 M32, M203, M320, Mk.19, EX-41, XM25, XM307
로켓발사기 M72, M141, M202, Mk.153, Mk.777, RAW
미사일발사기 BGM-71, FGM-77, FGM-148, FGM-172, FIM-43, FIM-92, SB LMAMS
무반동총 M3, M3A1, M67, M136
박격포 M120, M224, M252, M327, Mk.2, Mk.4, XM905
곡사포 M102, M119, M198, M777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M4A1 URG-I, N4, M723, M727, M733, Mk.16, Mk.17, Mk.18, HK416, MCX, SG552, SR-47
지정사수소총 M14 DMR, Mk.1, Mk.20, HK417, OBR, RECCE, SR-25
저격소총 M25, M91, Mk.15, Mk.21, TAC-338, LRP-07, RPR
기관단총 MP5-N, MP7A1, UMP45
권총 M1911, M45, M45A1, M66, M686, Mk.2, Mk.23, Mk.24, Mk.25, Mk.27, G22, HDM, P9S-N, P11, P239, PPK/S, OHWS, USP45CT
기관총 Mk.43, Mk.44, Mk.46, Mk.48, HK21, HK23E, LAMG, Ultimax 100, MG338
유탄발사기 M79, Mk.13, Mk.14, Mk.47, XM148
폭발물 수류탄 살상탄 M67, M111, Mk.3, Mk.21, ET-MP
섬광탄 M84, M7290, Mk.13, Mk.20, Mk.141
화학탄 M7A3, M8, M14, M18, M25A2, M34, M83
총류탄 M100
지뢰 M4A1, M7, M15, M18A1, M19, M86, MM-1
폭약 M1, M1A2, M1A3, M2A4, M3A1, M039, M112, M118, M183, M303, Mk.7, TNT
냉병기 총검 M1, M6, M7, M9, M1905, OKC-3S
단검 M11, Mk.3 Mod.0, AFSK, ASEK, KA-BAR, Mark II, MPK-Ti, SEAL-2000, SMF
예도 M1840, M1852, M1859, M1860, M1902
도끼 R&D Hawk, Shrike, VTAC
비치사성무기 M5, M37, M39, M104, M234, FN 303, X26, 532P-M, LA-9/P
의장용 화기 M1903, M1917, M1, M14, M16A1, M16A2, M16A3, M16A4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 대한민국 군경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현대의 대한민국 국군 / 경찰 보병장비




돌격​소총 <colbgcolor=white,#191919>M16A1, K2, K2C1, K11
저격​소총 K14, M107A1-CQ
기관단총 K1A
산탄총 M4 슈퍼 90EOD, 스트라이커EOD, M3 슈퍼 90BAT, M1200BAT, 베레타 686BAT, M1897, M1912, USAS-12

자동​권총 M1911A1, K5, KP-52P, DH-380P
리볼버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CAL-38, M10P, M64P, M15P/M67P, M19P/M66P, M60P, M36P, STRV9P
총검 KM7, M9P





경​기관총 K3, K15
다목적 기관총 M60, K16, M134, PKT
중​기관총 M2, K6, NSVT
유탄발사기 M79, M203, K201, K4
대전차화기 M72 LAW, 판처파우스트 3, 90mm 무반동총, 106mm 무반동총, BGM-71, 메티스-M, 현궁, 스파이크
박격포 KM181, KM187, KMS114, KM30
견인포 M101A1, M101A2, KH179
맨패즈 재블린, 스팅어, 이글라, 미스트랄, 신궁
수류탄 K75/K400, K413, MK3A2
지뢰 M14, M15, M16, M18A1, M19




소​총 돌격​소총 HK416, HK416A5, SCAR-L, SIG516, CAR816, M4A1P, DD Mk.18P, SR-16, KAC KS-3, M6P, ARADP, K2C, AK-47C, 56식 자동소총C, AK-74C
저격​소총 SSG 69, SSG 3000, M700 AICS, AW, AWSM, AW50, APR308, TRG M10, LRT-3, PSG1, MSG90, Mk.11 SWS, M110 SASS, G28E, DD5V1, MRAD, M107A1, PSLC
기관단총 K7, K13, MP5A5, MP5SD6, MP5K, MP9, APC9K PRO, DSMG9P, X95 9mm SMG, DSAR-15PC, Vz.61C
산탄총 M870P, M870 MCS, KSG, UTS-15, M590P, M4 슈퍼 90P
권총 G17, G19, G26, 베레타 92(SB/F), P7M13P, USP9T, P2000P, P226, CZ75 P01Ω, 제리코 941FL, Px4 스톰P, M&P9P, SFP9P, TT-33C
특수화기 APS, KSPW, M32 MGL
총검 KCB-77, 6X5C
의장 M1 개런드, M16A1, K2C1, M14US
※ 윗첨자P: 경찰/해양경찰/대통령경호처에서만 운용
※ 윗첨자BAT: 공군에서 조류퇴치용으로 일부 사용
※윗첨자EOD: 군 폭발물처리반에서 제한적으로 사용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윗첨자US: 한미연합사 의장대에서 무상대여로 운용
※ 윗첨자C: 적성화기
K1A, DSAR-15PC는 국방규격 상 기관단총으로 분류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용 대한민국 해양경찰 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wiki-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65deg, #FFF 10%, #E00030 10% 14%, #FECD17 14% 18%, #0A154B 18% 20%, transparent 20% 99%)"
{{{#0A154B [[파일:해양경찰청 OI.svg|height=30]] '''{{{+1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br] {{{-2 Korea Coast Guard | 大韓民國 海洋警察廳}}}}}}
<colbgcolor=#FFF><colcolor=#0A154B> '''

'''
<colbgcolor=#FFF><colcolor=#0A154B> '''
경비함
'''
<colbgcolor=#FFF><colcolor=#0A154B> '''
대형
'''
삼봉급 | 태평양급 | 제민급 | 한강급
'''
중형
'''
태극급 | 해우리급
'''
경비정
'''
'''
소형
'''
해누리급 | P-정
'''
초소형
'''
연안구조정 | 고속순시정
'''
특수
'''
고속방탄정 | 형사기동정
'''
지원함정
'''
잠수지원함 | 방제정 | 소방정 | 예인정
공기부양정 그리폰 호버워크 8000TD


'''
헬기
'''
'''
중형
'''
KUH-1CG 흰수리 | AS565 MB 팬서 | AW139
'''
대형
'''
S-92A | Ka-32S
고정익기 CL600-2B16 챌린저 604 | CN-235-220M |  C-212-400MP
'''

'''
'''
순찰차
'''
'''
세단
'''
아반떼 | 쏘나타
'''
SUV
'''
아이오닉 5 | 코나 EV
'''
픽업트럭
'''
렉스턴 스포츠 | 코란도 스포츠
'''
승합차
'''
스타렉스
'''
버스
'''
'''
소형
'''
쏠라티
'''
작전
'''
카운티
'''
트럭
'''
'''
다목적
'''
노부스 | 마이티
'''
방제차
'''
포터
'''
EOD
'''
메가트럭 | 마이티
'''




'''
소총 '''
돌격소총
'''
LWRC M6 | CAR816 | KS-3 | SG556 | G36C | M4A3
'''
지정사수 소총
'''
LMT MARS-H
'''
저격소총
'''
AW.308 | 바렛 MRAD
기관단총 DSAR-15PC | 커스텀 9mm AR | MP7A1 | UMP45 | MP5A5
산탄총 KSG-9
자동권총 P229 | USP9
비치사성 무기 X26 테이저
'''



'''
리볼버
방호장비
비치사성 무기
}}}}}}}}}


파일:일본 국기.svg 현대 자위대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현대의 자위대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white,#191919>64식 소총, 89식 소총, 20식 소총, M4A1, HK416
저격소총 64식 소총, 대인저격총, M24A2, TRG-42
기관단총 미네베아 PM-9, MP5F/A5, 4.6mm 기관단총(B) MP7
산탄총 H&K FP6, 레밍턴 870 윌슨 컴뱃, 베넬리 M3T
권총 미네베아 9mm 권총, 9mm 권총 SFP9, USP, P226, 53식 신호권총
수류탄 M67, Mk3A2, AN-M14/TH3 소이 수류탄, MK-1 조명수류탄, 최루탄 2형, 섬관발음탄, 연막 수류탄
지원화기 기관총 62식 기관총/74식 차재 기관총, M240B, 5.56mm 기관총 MINIMI, 12.7mm 중기관총 M2
총류탄 M31 대전차소총척탄, 06식 소총척탄
유탄발사기 M203A2, GLX-160, 96식 자동척탄총, Mk.19 고속유탄기관총
대전차탄 휴대형 84mm 무반동포, 84mm 무반동포(B), 110mm 개인휴대용대전차탄, 01식 경대전차유도탄
설치형 64식 대전차유도탄, 79식 대전차유도탄, 87식 대전차유도탄
박격포 60mm 박격포(B), 81mm 박격포 L16, 120mm 박격포 RT
견인포 155mm 유탄포 FH70, 105mm 유탄포 M2A2 / 58식
맨패즈 91식 지대공유도탄
지뢰 92식 대전차 지뢰, FFV-013
의장용 화기 신 의장소총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일본 국기.svg 자위대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현대 싱가포르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싱가포르군 (1965~현재)
Singapore Armed Forces | Angkatan Bersenjata Singapura
<colbgcolor=#EE2536>



<colbgcolor=#EE2536> '''[[소총|
소총
]]'''
<colbgcolor=#EE2536> '''[[돌격소총|
돌격소총
]]'''
SAR-21 | M16S1 | SR 88R | L1A1 SLRR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M110 SASS
'''[[저격소총|
저격소총
]]'''
TRG-22
권총 P30L | P226
수류탄 SFG 87 | SFG 82R | SFG 75R



'''[[기관총|
기관총
]]'''
'''[[기관총#s-5.2|
경기관총
]]'''
울티맥스 100 | 콜트 IAR 6940E-SG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FN MAG
'''[[기관총#s-5.1|
중기관총
]]'''
STK 50MG | M2 브라우닝R
유탄발사기 STK 40 GL | M203 | STK 40 AGL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무반동총|
무반동포
]]'''
칼 구스타프 M2R | M40A1R
로켓 MATADOR
미사일 참고: 틀:현대전/싱가포르 유도무기
맨패즈
박격포 쏠탐 M-65
'''[[특수부대|




]]'''
'''[[소총|
소총
]]'''
'''[[돌격소총|
돌격소총
]]'''
SIG MCX | HK416 | SCAR-L | M653 | M723 | M4A1 SOPMOD 블록 1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PSG1
'''[[저격소총|
저격소총
]]'''
SSG 69 | APR308 | PGM 338 미니 에카트 | AW | AWM | AX50
기관단총 SIG MPX | MP7A1 | P90 TR | MP5K-N | MP5K | MP5SD3 | MP5A3
산탄총 레밍턴 870 MCS
권총 Five-seveN 택티컬 | P226 E2 | 글록 19 | 글록 17 Gen.3
유탄발사기 밀코 MGL | M320 GLM
※ 윗첨자R: 퇴역 화기
}}}}}}}}}



파일:프랑스 국기.svg 현대 프랑스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1f2257> 현대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1f2257> 소총
<colbgcolor=#1f2257> 돌격소총 FAMAS F1/G2, G36(E/C/K/V), SG551, M16A2, HK416F, HK416(A5/D14.5RS), SCAR-L, CZ-806 브렌 2, SIG MCX
지정사수소총 G3SG/1, MSG90, HK417, SCAR-H PR
저격소총 FR-F2, PGM 에카트 II, 울티마 라시오, TRG-42, AW, AWSM
기관단총 MAT-49, MP5(A5/F), MP5SD6, UMP9, MP7A1, FN P90
산탄총 베넬리 M3 슈퍼 90, 모스버그 500, 발트로 PM5, FN TPS, Sensied S&F K1, SPAS-12, Kel-Tec KSG, 베넬리 슈퍼노바
권총 MAC 50, PA-MAS G1, MR 73, PAP F1, 글록 17, USP.SD, FN Five-seveN, M686, P11
지원화기
기관총 AA-52, FN MAG, FN 미니미, FN EVOLYS, M2HB, M134
유탄발사기 AG36, M203, APAV 40
대전차화기 APILAS, AT4 CS, MILAN, ERYX, FGM-148 재블린, LRAC F1, 아케론 MP
박격포 LGI Mle F1, LLR 81mm, MO 120 RT
맨패즈 미스트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현대의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fefefe,#393b42>AR70/90, ARX-160A1/A2/A3
저격소총 AW, 사코 TRG-42
기관단총 베레타 Mx4 Storm, UMP40
산탄총 FP6, SPAS-12, SPAS-15, STF-12
권총 베레타 92
지원화기 기관총 FN 미니미, 베레타 MG42/59, M2 중기관총, M134 미니건
유탄발사기 프랑키 GLF-40, GLX-160
대전차화기 MILAN 2T, TOW II, 판처파우스트 3, 스파이크, 브레다 폴고레
박격포 120mm F1, M62 81mm 박격포
맨패즈 FIM-92A 스팅어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M4, G36, HK416, SCAR
저격소총 AWM, M82A1, M107, 샤이택 M200, M110 SASS
기관단총 스펙터 M4, MP5, MP7, P90, 슈타이어 TMP, PMX
산탄총 베레타 RS202, 베넬리 M4 슈퍼 90
권총 베레타 93R, 글록 17/19, FN Five-seveN, P11
유탄발사기 M203, Mk.19, Mk.47
대전차화기 M72A5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현대 슬로바키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슬로바키아 공화국군 (1993~현재)
Ozbrojené sily Slovenskej Republiky



'''[[소총|
소총
]]'''
'''[[돌격소총|
돌격소총
]]'''
CZ 805 브렌 | vz.58 (P/V)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SVDN
'''[[저격소총|
저격소총
]]'''
TRG-42 A1 | SSG 3000
기관단총 vz. 61 스콜피온
권총 CZ P-09 | vz. 82
수류탄 RG-4 | F1
'''[[냉병기|
냉병기
]]'''
'''[[총검|
총검
]]'''
vz.58 총검
<colbgcolor=#034DA3><colcolor=#FFF>



<colbgcolor=#034DA3><colcolor=#FFF> '''[[기관총|
기관총
]]'''
<colbgcolor=#034DA3><colcolor=#FFF> '''[[기관총#s-5.2|
경기관총
]]'''
미니미 Para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FN MAG | MG3 | UK vz. 59
'''[[기관총#s-5.1|
중기관총
]]'''
M2 브라우닝 | vz. 38/46M DŠKM
유탄발사기 CZ 805 G1 | AGS-17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로켓 MATADOR | RPG-7V
무반동총 RPG-75
미사일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참고: 틀:현대전/슬로바키아 유도무기
맨패즈
박격포 vz.98 | vz. 97 | vz. 82 PRAM-L
견인포 D-30S
'''[[특수부대|




]]'''
'''[[소총|
소총
]]'''
'''[[돌격소총|
돌격소총
]]'''
HK416 | M4A1 | G36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HK417
'''[[저격소총|
저격소총
]]'''
AW50 Mk.2 | M82A1
기관단총 UMP9 | MP5
권총 글록 17
유탄발사기 M320 GLM
대전차화기 칼 구스타프 M4
※ 윗첨자S: 비축장비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현대 크로아티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크로아티아 공화국군 (1991~현재)
Oružane snage Republike Hrvatske
<colbgcolor=#FF0000>



<colbgcolor=#FF0000> '''[[소총|
소총
]]'''
<colbgcolor=#FF0000> '''[[돌격소총|
돌격소총
]]'''
VHS-2 | VHS | 자스타바 M70 | FN FAL · FALOR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HK417 | 자스타바 M76R
'''[[저격소총|
저격소총
]]'''
TRG-42 | RT-20 | MACS M3
기관단총 아르마 ERO | MAC-10R | Vz.61R | 쇼카치 기관단총R
권총 HS2000



'''[[기관총|
기관총
]]'''
'''[[기관총#s-5.2|
경기관총
]]'''
M249 | 울티맥스 100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MG4X | FN MAG | HK21 | 자스타바 M84R
'''[[기관총#s-5.1|
중기관총
]]'''
M2 브라우닝
유탄발사기 Mk.19 Mod 3 | RBG-6 | VHS BG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무반동총|
무반동포
]]'''
AT4
로켓 RGW90 | M79 오사 | M80 졸야R | RPG-22R | RPG-7R
미사일 참고: 틀:현대전/크로아티아 유도무기
맨패즈
박격포 M57 | M96 | M75
'''[[특수부대|




]]'''
'''[[소총|
소총
]]'''
'''[[돌격소총|
돌격소총
]]'''
HK416 | SCAR-L | M4 | G36 | F2000 | 자스타바 M85R
'''[[저격소총|
저격소총
]]'''
M40A5 | 바렛 M82
기관단총 MP7 | UMP9 | MP5SD3
권총 XDM
기관총 미니미
유탄발사기 AG36
※ 윗첨자R: 퇴역 화기
※ 윗첨자X: 연구/실험용 화기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현대 세르비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세르비아군 (2006~현재)
Bojcка Србије
<colbgcolor=#C7363D><colcolor=#FFF>



<colcolor=#FFF><colbgcolor=#C7363D> '''[[소총|
소총
]]'''
<colcolor=#000,#e5e5e5><colbgcolor=#C7363D> '''[[돌격소총|
돌격소총
]]'''
M19 | M21 | M05E | M70AB2 | M70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SRX20 | M91 | M76
'''[[저격소총|
저격소총
]]'''
M93 | M12M | M07 | 샤라치 99
기관단총 M05C | M84 스콜피온
권총 M88 | CZ99 | PPZX
수류탄 M75 | M84 | BRD M83 | LRB M3/93 | RŠB P98 | BRK



'''[[기관총|
기관총
]]'''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M72 | M77 | M84
'''[[기관총#s-5.1|
중기관총
]]'''
M02 코요테 | M87 | M2 브라우닝
유탄발사기 M93 AGL | M11 RBG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로켓 M90 스트렐셴 | M80 졸야 | M-79 오사 | RPG-7
미사일 참고: 틀:현대전/세르비아 유도무기
맨패즈
박격포 M57 | M69 | M74
견인포 D-30J | NORA M-84
'''[[특수부대|




]]'''
'''[[소총|
소총
]]'''
'''[[돌격소총|
돌격소총
]]'''
M92 | M21S | M4 | SG552 | AR-M1 | SCAR-L | SCAR-H | G36(C/KV) | HK416 | AUG | AK-101
'''[[저격소총|
저격소총
]]'''
TRG-22 | TRG-42 | 바렛 M95
'''
특수소총
'''
APS
기관단총 MP5SD3 | UMP9 | MP7A1 | UZI | CZ 스콜피온 EVO 3
산탄총 SPAS-15 | 베넬리 M4 | 모스버그 500
권총 SPP-1 | USP | CZ75 SP-01 섀도 | 글록 17 | 제리코 941
기관총 미니미
의장용 화기 M59/66
※ 윗첨자R: 퇴역 장비
}}}}}}}}}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현대 슬로베니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word-break: keep-all"
슬로베니아군 (1991~현재)
Slovenska Vojska
<colbgcolor=#FFF> '''



'''
<colbgcolor=#FFF> '''[[소총|
소총
]]'''
<colbgcolor=#FFF> '''[[돌격소총|
돌격​소총
]]'''
F2000S | 자스타바 M70 | SAR-80R | SR-88R
'''[[저격소총|
저격소총
]]'''
SSG 69 | L96A1R
기관단총 MP5A2
산탄총 베넬리 M4
권총 베레타 92FS
'''



'''
'''[[기관총|
기관총
]]'''
'''[[경기관총|
경기관총
]]'''
미니미 Para
'''[[다목적 기관총|
다목적 기관총
]]'''
FN MAG
'''[[중기관총|
중​기관총
]]'''
M2HB-QCB
유탄발사기 GMG | GL-1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무반동총|
무반동포
]]'''
칼 구스타프 M4
로켓 RGW 90 | M-80 졸야R | M-79 오사R
미사일 참고: 틀:현대전/슬로베니아 유도무기
맨패즈
박격포 쏠탐 K6 | M74S | M69S| M57S
견인포 쏠탐 M839 | M2A1S
'''[[특수부대|




]]'''
'''[[소총|
소​총
]]'''
'''[[돌격소총|
돌격​소총
]]'''
SCAR-H | HK416
'''[[저격소총|
저격​소총
]]'''
울티마 라시오 코만도 I | PGM 에카트 II | PGM 미니 에카트
기관단총 MP7
권총 P226 | ReX Zero-1S FDE
의장용 화기 자스타바 M59/66 PAP
※ 윗첨자R: 퇴역 장비
※ 윗첨자S: 비축 장비
}}}}}}}}} ||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현대 몬테네그로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0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30613> 몬테네그로군
Vojska Crne Gore | Војска Црне Горе
'''



'''
<colbgcolor=#E30613> '''[[소총|
소총
]]'''
<colbgcolor=#E30613> '''[[돌격소총|
돌격소총
]]'''
타라 TM4 | G36 | MPT-76 | 자스타바 M70S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MSG90 | PSG1 | 자스타바 M91S | 자스타바 M76S
'''[[저격소총|
저격소총
]]'''
자스타바 M93 블랙 애로우
권총 글록 17 | 자스타바 CZ99 | 타라 TM9
'''



'''
'''[[기관총|
기관총
]]'''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자스타바 M84 | 자스타바 M72S
유탄발사기 BGA M93 | AG36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로켓 M80 졸야 | M79 오사
미사일 9K14 말륫카
맨패즈 9K32 스트렐라-2M
박격포 M57 | M69 | PPT M74
'''[[특수부대|




]]'''
'''[[소총|
소총
]]'''
'''[[돌격소총|
돌격소총
]]'''
HK416A5 | AUG
기관단총 MP5
의장용 화기 자스타바 M59/66 PAP
※ 윗첨자S: 비축장비
}}}}}}}}}


파일:폴란드 국기.svg 현대 폴란드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폴란드군 (1990~현재)
Wojsko Polskie
<colbgcolor=#FFF>



<colbgcolor=#FFF> '''[[소총|
소총
]]'''
<colbgcolor=#FFF> '''[[돌격소총|
돌격소총
]]'''
MSBS 그로트 | Kbs wz. 96 베릴 | Kbs wz. 96 미니-베릴 | Kbk (AKM/AKMŁ/AKMS) | Kbk wz. 88 탄탈R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MSBS-7,62N | SWD(-M)
'''[[저격소총|
저격소총
]]'''
TRG-22 | TRG M10 | KBW 보르 | WKW 빌크
기관단총 PM-98 글라우베리트 | PM-84P
산탄총 모스버그 590
권총 VIS 100 | P99 QA | P-83 바나트 | WIST-94 | P-64R
'''[[냉병기|
냉병기
]]'''
총검 wz. 98(A/Z) | wz. 92 | 6H4



'''[[기관총|
기관총
]]'''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MG3A1 | M240C | M134G | UKM-2000(C/D/P) | PK | PKB | PKM | PKMS | PKT
'''[[기관총#s-5.1|
중기관총
]]'''
M2HB-QCB | NSV | NSVT | WKM-B | DSzKM
유탄발사기 RGP-40 | GPBO-40 | GSBO-40 | wz. 74 / wz. 83 팔라트 | Mk.19 Mod 3 | K4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무반동총|
무반동포
]]'''
SPG-9(D/N)
로켓 M72 EC Mk.1 | RPG-76 코마르 | RPG-7(N/W/WN/D/DN1)
미사일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참고: 틀:현대전/폴란드 유도무기
맨패즈
박격포 LMP-2017 | LRM vz. 99 ANTOS | LM-60(C/D/K) | M-98 | 2B11 | wz. 38/43
'''[[특수부대|




]]'''
'''[[소총|
소총
]]'''
'''[[돌격소총|
돌격소총
]]'''
SIG MCX | HK416D | M4A1 | M4A3 | G36(C/KV3) | F2000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PSG1 | SR-25 | Mk.14 EBR
'''[[저격소총|
저격소총
]]'''
SSG 69 | 레밍턴 M700 | AWM-F | M200 인터벤션 | TRG-21 | 마우저 86SR | 마우저 SP66 | PGM 에카트 II | M107
'''
특수소총
'''
APS
기관단총 스콜피온 EVO 3 | P90 TR | MP5K | MP5N | 우지 | MP5(A3~A5) | MP5(SD3/SD6)
산탄총 레밍턴 M870
권총 데저트 이글 | Mk.23 | Five-seveN | 글록 17 | P226 | USP9 SD
기관총 미니미 Para
유탄발사기 M320 GLM | AG36 | M203 | HK69A1 | GMG
대전차 화기 칼 구스타프 M3 | AT4 | RPG-75TB
'''[[폭발물|


]]'''
'''[[수류탄|
수류탄
]]'''
살상탄 RGZ-89 | RGO-88 | RG F1
화학탄 UGD-200
연막탄 RGD-2(B/CZ)
연습탄 CGR-42A
총류탄 NGZ-93 | NGD-93 | GNPO | NGOS
지뢰 '''
대전차
'''
MPP-B | TM-62(M/P)
의장용 화기 MSBS 그로트-R | SKSR
※ 윗첨자R: 퇴역 화기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현대 리투아니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리투아니아군 (1990~현재)
Lietuvos Ginkluotosios Pajėgos
<colbgcolor=#FDB913>



<colbgcolor=#FDB913> '''[[소총|
소총
]]'''
<colbgcolor=#FDB913> '''[[돌격소총|
돌격소총
]]'''
G36(C/KV1/KA4) | M16A2 | Ak 4R | AK-74MR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SCAR-H PR | M14 MDV | M14L1
'''[[저격소총|
저격소총
]]'''
SRS-A1 | TRG-22 | GOL 저격소총 | SSG 69 | PGM 에카트 II | FR F2
기관단총 MP7A2 | MP5A3 | 미니 우지
권총 SFP9-SF | 글록 17 Gen.4 | M1911A1 | 브라우닝 하이파워R
수류탄 SWSG | RGD-5 | M18 | Shgr 56 | HG-85



'''[[기관총|
기관총
]]'''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미니미 7.62 Mk.3 | Ksp 58B | MG3
'''[[기관총#s-5.1|
중기관총
]]'''
M2HB-QCB
유탄발사기 AG36 | HK269 | GMG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무반동총|
무반동포
]]'''
칼 구스타프 (M2/M3/M4) | AT4 | Pvpj 1110
로켓 M72(A2/A7/E10) LAW
미사일 참고: 틀:현대전/리투아니아 유도무기
맨패즈
박격포 M6 | LM-60 | M60 | M19 | 120-MX2-SM | m/41D | M1982 | M38/43 | 2B11 포드노스
'''[[특수부대|




]]'''
'''[[소총|
소총
]]'''
'''[[돌격소총|
돌격소총
]]'''
HK416A5 | wz.1996AR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M14 EBR SOP
'''[[저격소총|
저격소총
]]'''
AXMC | M82A1 | M107A1 | HTI
기관단총 UMP45 | MP5SD3
산탄총 베넬리 M4
권총 USP9
기관총 미니미 Para
※ 윗첨자R: 퇴역 화기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현대 에스토니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에스토니아 방위군 (1991~현재)
Eesti Kaitsevägi
<colbgcolor=#0072CE><colcolor=#FFF>



<colcolor=#FFF><colbgcolor=#0072CE> '''[[소총|
소총
]]'''
<colcolor=#000,#e5e5e5><colbgcolor=#0072CE> '''[[돌격소총|
돌격소총
]]'''
Ak 4 | G3A4 | AG-3F2 | LMT R20 RAHE | 갈릴 (AR/ARM/SAR)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LMT MARS-H | 갈라츠 | M14-TP2 | G3A3ZF
'''[[저격소총|
저격소총
]]'''
FR F2 | NM149-F1 | PGM 에카트 II
기관단총 MP5A2 | 미니 우지 | m/45B
산탄총 베넬리 M3T
권총 USP | M1911A1R | 마카로프 PMR
수류탄 DM61 | SplHGr 85 A2 | OffHGr 85 A2 | m/56 | RGD-5 | F1R



'''[[기관총|
기관총
]]'''
'''[[기관총#s-5.2|
경기관총
]]'''
네게브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네게브 NG-7 | Ksp 58B | MG3
'''[[기관총#s-5.1|
중기관총
]]'''
M2 브라우닝
유탄발사기 GL06 | GLM | HK79N | M203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무반동총|
무반동포
]]'''
칼 구스타프 (M2/M3/M4) | AT4 | M40A1 | C90-CR | Pvpj 1110R
로켓 B-300 | M-69R
미사일 참고: 틀:현대전/에스토니아 유도무기
맨패즈
박격포 L16A1 | M252 MERM | 2B11 포드노스R | m/41D
견인포 FH70 | D-30R
'''[[특수부대|




]]'''
'''[[소총|
소총
]]'''
'''[[돌격소총|
돌격소총
]]'''
HK416 | G36K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HK417
'''[[저격소총|
저격소총
]]'''
TRG-42 | TRG M10
기관단총 MP7
권총 글록 19
기관총 MG4
유탄발사기 밀코 MGL
의장용 화기 M14
※ 윗첨자R: 퇴역 장비
}}}}}}}}}



파일:러시아 국기.svg 현대 러시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ffff,#191919> 현대의 러시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ffffff,#191919> 소총 <colbgcolor=#ffffff,#191919> 볼트액션 모신나강
반자동소총 SKS
돌격소총 AKM, AKMS, AK-74, AK-74M, AK-74MR, AKS-74U, AK-12, AK-15, A-545, A-762, AN-94, MalyukC, C7A1C
저격소총 SVD, SVDM, SV-98, T-5000, T-5000M, Tochnost, OSV-96, M95C, M98C
권총 MP-443, MP-446, PL-15, GSh-18, PM, PMM, Fort-12C, Fort-17C
지원화기 기관총 RPK-74, RPK-74M, RPK-16, PKM, PKP, PKP-SP, NSV, Kord, KPV, 73식 대대기관총
유탄발사기 GP-30, GP-34, DP-64, RG-6, AGS-30, AGS-40
대전차화기 대전차 로켓 RPG-7V2/V1/D, RPG-26, RPG-27, RPG-28, RPG-29, RPG-30, RPG-32, RPG-76C, RPO, M72 LAWC, PSRL-1C, PzF-3C, M141 BDMC, MATADORC
대전차 미사일 9K111, 9M113, 9K115(115-1), 9K135, FGM-148C, MBT LAWC, MILANC
무반동총 SPG-9, AT4C, 칼 구스타프 M4C
박격포 2B9, 2B14, 2B25
맨패즈 9K38 Igla, 9K338 Igla-S, 9K333, FIM-92C, PPZR GromC
수류탄 RGD-5, RGO, RGN, M67C
지뢰 PFM-1, POMZ, PTKM-1R
휴대용 무인기 Orlan-10, KUB-BLA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AS Val, OTs-14, AK-103, AK-104, AK-105, AK-107, MR556, M4A3, AS-15, ASh-12.7, SR-3, A-91, 9A-91, OTs-12, AM-17
저격소총 VSS, SSG 08, HK417, G28, AWSM, VSSK, MTs-558, DVL-10, SVDK, SVLK-14S, KSVK, MTs-572, HS.50, AI AXC
특수소총 ADS, APS
기관단총 AEK-919K, SR-2, PP-93, PP-2000, PP-19, PP-19-01, PP-90M1, OTs-02, PP-91, MP5, MP7A1, MP9
산탄총 KS-23M, KS-23K, 18,5 KS-K, Vepr-12
권총 PB, PSS, Glock 17, SR-1, APS, OTs-23, OTs-33, OTs-38, SPP-1
기관총 AEK-999, GShG-7.62, PM M1910
유탄발사기 GM-94, RGS-50, GPR-20, GP-46
냉병기 도검 6Kh2, 6Kh3, 6Kh4, 6Kh5, 6Kh9(9-1), NRS-2
C: 노획 장비}}}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현대 네덜란드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네덜란드군 보병장비
<colbgcolor=#ffffff,#191919> 개인화기 <colbgcolor=#ffffff,#191919> 소총 <colbgcolor=#ffffff,#191919> 돌격소총 C7NLD, C8NLD
지정사수소총 HK417
저격소총 AWM, TRG-41, SR93, SSG 69, M82A1
기관단총 MP9
권총 글록 17M
산탄총 모스버그 590A1
지원화기 기관총 LOAWNLD, FN 미니미, FN MAG, M2HB-QCB
유탄발사기 H&K UGL, H&K AGW
대전차화기 M72A2, Pzf-3, TLV 84mm, 유로스파이크
박격포 MO-60-CA, L16A2, MO-120 RT
맨패즈 FIM-92 스팅어
유탄 NR20 C-1
특수전 화기 돌격소총 HK416, MCX*
저격소총 MSG90, AWSM-F*
기관단총 P90, MP5, MP7, MPX
권총 글록 18, P226, P11
기관총 콜트 캐나다 LOAWNLD
박격포 브란트 MO-60 V*
치장/의장/예비용 화기 FN FAL, FN FALO, M47 드래곤, AT4
*: 왕립 네덜란드 해병대가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현대 포르투갈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6600>



<colbgcolor=#006600> '''[[소총|
소총
]]'''
<colbgcolor=#006600> '''[[돌격소총|
돌격소총
]]'''
SCAR-L STD | SCAR-H STD | 갈릴 (AR/ARM)R | m/962R | m/961 | m/963R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SCAR-H PR | PSG1G
'''[[저격소총|
저격소총
]]'''
마우저 86SR
기관단총 MP5(A3/A5) | FBP m/948R | 우지 m/961R | 비뉴롱 m/961R
산탄총 베넬리 M4 | 베넬리 슈퍼노바 | 모스버그 590 | 레밍턴 M870
권총 글록 17 Gen.5 FS | 베레타 92R | P228R | USP9R | 발터 m/961R



'''[[기관총|
기관총
]]'''
'''[[기관총#s-5.2|
경기관총
]]'''
미니미 Mk.3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미니미 7.62 | FN MAG | M60(D/E3) | MG3 | HK21R
'''[[기관총#s-5.1|
중기관총
]]'''
M2HB 브라우닝
유탄발사기 FN40GL | GMG | Mk.19 Mod 3 | LAG SB M1 | HK79A1R | M79R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무반동총|
무반동포
]]'''
칼 구스타프 M3
로켓 M72A3 LAW
미사일 참고: 틀:현대전/포르투갈 유도무기
맨패즈
박격포 FBP m/68 | L16A2 | m/84 탐펠라 B
견인포 L119 LG | M101A1 | M114A1
'''[[특수부대|




]]'''
'''[[소총|
소총
]]'''
'''[[돌격소총|
돌격소총
]]'''
MCX | HK416(A5/A7) | G36(C/K/KE) | M16A2 | SG543R | AR-10 m/961R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HK417A2 | G28E | MSG90
'''[[저격소총|
저격소총
]]'''
AW | AWM | AWSF | AWSM | AXMC | AW50 | 바렛 M95 | 바렛 M107A1
기관단총 MP9 | P90 | UMP45 | MP5SD6 | MP5KA4
산탄총 STF-12 | SDASS 택티컬 | SPAS-12 | SPAS-15
권총 P30 | 데저트 이글 | SIG SP2022 | SIG GSR | 글록 19 | P226R
기관총 MG4
유탄발사기 MGL Mk.1 | HK269 | M203 | HK69
'''[[폭발물|


]]'''
'''[[수류탄|
수류탄
]]'''
살상탄 m/321 | m/963
연막탄 m/979
화학탄 m/968 CM | CS/MOD M7 | 트리플렉스 CS
폭약 PE4E 플라스틱 폭탄
※ 윗첨자R: 퇴역 화기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현대 아일랜드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169B62>



<colbgcolor=#169B62> '''[[소총|
소총
]]'''
<colbgcolor=#169B62> '''[[돌격소총|
돌격소총
]]'''
AUG Mod 14 | FN FAL
'''[[저격소총|
저격소총
]]'''
AI 92 | AWM
권총 USP | 브라우닝 하이파워R
수류탄 M72



'''[[기관총|
기관총
]]'''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FN MAG
'''[[기관총#s-5.1|
중기관총
]]'''
M2HB 브라우닝
유탄발사기 M203 | GMG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무반동총|
무반동포
]]'''
AT4 SRAAW | 칼 구스타프 84mm AAW | Pvpj 1110R
미사일 FGM-148 재블린 | 밀란 F2R
맨패즈 RBS 70
박격포 벡터 M1 | 호치키스-브란트 LLR | RUAG M87
견인포 L119 LG | L118 LG
'''[[특수부대|




]]'''
'''[[소총|
소총
]]'''
'''[[돌격소총|
돌격소총
]]'''
HK416A5 | AUG (A2/A3)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HK417
'''[[저격소총|
저격소총
]]'''
AW50
기관단총 P90 | MP5(A3/F) | MP5SD6 | MP5K
산탄총 베넬리 M4 | 베넬리 M3T | SPAS-12 | 레밍턴 M870
권총 P228 | P226
기관총 미니미 Para
의장용 화기 오드넌스 QF 25 파운더 예포
※ 윗첨자R: 퇴역 화기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현대의 튀르키예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튀르키예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fefefe,#393b42>G3A7, HK33E, M4A1, MPT-76, AK-47, AKM
저격소총 SVD, Mk.11 Mod 0, MSG90, JNG-90, KNT-308, TRG-42
기관단총 MP5
산탄총 M204, M212
권총 야부즈 16, 클른치 2000, SAR9
지원화기 기관총 MG3, PKM, FN MAG 60.20, M60E3, M134 미니건, M2 중기관총, GAU-19 중기관총
유탄발사기 T-40/M203, M79, MGL, Mk.19
수류탄 M67
대전차화기 휴대형 M72 LAW, RPG-7, PSRL-1, M40 무반동포, 칼 구스타프 M/85
설치형 9M113, 9M133, ERYX, MILAN, BGM-71 TOW, 지리트, UMTAS
박격포 M19, M29, M30, M65, HY-12, K6
맨패즈 FIM-92A 스팅어, 9K38 이글라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AUG A2, HK416, M16A1/A2/A4, SCAR-H, TAR-21
저격소총 G28, AWM, 샤이택 M310, 이스티클랄, 바렛 M82A1
기관단총 FN P90, UZI
산탄총 MKA 1919
권총 M1911A1, P226, P229R
기관총 HK23E, FN 미니미
유탄발사기 AG36
치장/의장/예비용 화기 M1 개런드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요르단 국기.svg 현대의 요르단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007A3D> 현대의 요르단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007A3D> 소총 <colbgcolor=#007A3D> 돌격소총 M16A4, T86, M4A1, G36C, HK416
저격소총 LR308, TRG-22, TRG-42, SSG 69, Tac-50, M82, M95
기관단총 MP5, MP7, UMP9
산탄총 M4
권총 카라칼 시리즈, 바이퍼 JAWS, 브라우닝 하이파워, 베레타 92, G17, G19, P226, USP9
지원화기 기관총 FN MAG, M240, HK21A1, M60, M2HB
유탄발사기 M203, MGL, Mk.19
대전차화기 L4, RPG-26, RPG-27, RPG-32, 9M133, RGW-90, BGM-71, FGM-148
박격포 PPT89, WW-90, M29, M252, W-86
맨패즈 9K338, 9K34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현대의 인도네시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인도네시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colbgcolor=#ff0000> 돌격소총 SS1, SS2, SAR-21, AK-47, 56식 자동소총, Vz.58, AK-101, BM59, M16A1, M16A2, M16A4, M4A1, K2, 갈릴, G36C, FAMAS F1, AUG, SS552, G3, HK416
지정사수소총 갈라츠, MSG90, HK417
저격소총 M24, SPR-1, SPR-2, SPR-3, SSG 69, M93, PGM 헤카테 II, NTW-20, L96A1, AW, AWM, M82A1
특수소총 APS
기관단총 PM1, PM1A1, PM2, K7, 마이크로 우지, Vz.61, P90, MP9, MP5, MP5SD, MP7A1, CZ 스콜피온 EVO 3, K1
산탄총 M3T, SPAS-12
권총 P1, P2, G2, HS2000, Mk.23, M1911A1, P226, 92SB, 92F, Five-seven, G17, G19, K5, PPK
지원화기 <colbgcolor=#ffffff,#191919> 기관총 울티맥스 100, SM2, K3, SPM2, M60, M134D, SMB-QCB, DShKM, M2HB
유탄발사기 SPG3, AG36, M79, M203, SPG1, M32
대전차화기 RPG-7, M2CG, C90-CR (M3), M80 Zolja, NLAW, AT4, FGM-148, AT-13, PF-89, PF-98
박격포 W87, 81 KRH 71 Y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현대 말레이시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066><colcolor=#FFCC00>



<colbgcolor=#000066> '''[[소총|
소총
]]'''
<colbgcolor=#000066> '''[[돌격소총|
돌격소총
]]'''
M4(A1) | M16A1 | CM901
'''[[저격소총|
저격소총
]]'''
M107 LRSR | HGW M-96
기관단총 MPX-K | MP5A3
권총 지가나 PX-9 | 글록 18C | 글록 17 | 하이파워 Mk.III
'''[[냉병기|
냉병기
]]'''
총검 M7 | M9



'''[[기관총|
기관총
]]'''
'''[[기관총#s-5.2|
경기관총
]]'''
미니미 Mk.(2/3)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MAG 58 | M60E1 | M134D | HK11
'''[[기관총#s-5.1|
중기관총
]]'''
M2HB-QCB
유탄발사기 밀코 MGL | M203(A2) | Mk.19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무반동총|
무반동포
]]'''
칼 구스타프 (M2/M3/M4) | M40A1 | L4 MoBAT | C90-CR
로켓 RPG-7 | RBR-7
미사일 참고: 틀:현대전/말레이시아 유도무기
맨패즈
박격포 M70 | 히르텐베르거 M6 | 벡터 M8 | EXPAL M86 | L16 | 2B14 포드노스
견인포 LG1 Mk.III | 오토멜라라 Mod 56 | 데넬 G5
'''[[특수부대|




]]'''
'''[[소총|
소총
]]'''
'''[[돌격소총|
돌격소총
]]'''
HK416 | XM8 | AUG A1 | G36(C/E/KE) | M16A4 | M653 | SG553 (LB/SB) | HK33A2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HK417 | 바렛 REC-10 | PSG-1A1 | MSG90A1
'''[[저격소총|
저격소총
]]'''
AW | AX308 | AW50 | M40 | TRG-22 | 블라저 R93 | DSR-1 | DSR-50 | RC-50 | AR-50 | M95 | NTW-20
기관단총 베레타 PMX | FN P90 | MP9 | UMP45 | MP7 | MP5SD3 | MP5KA4
산탄총 M1014 | 베넬리 M4 슈퍼 90 | SPAS-12 | 레밍턴 M1100 | 레밍턴 M870 | M590A1 | FP6
권총 스핑크스 3000 | 글록 34 | HS2000 | HK45CT | Mk.23 Mod 0 | P30 | P226 | 베레타 92FS | 벡터 SP-1 | P11 | P9S
기관총 MG4 | M249 | 벡터 SS-77 | CETME 아멜리 | RPK-74
유탄발사기 M320 GLM | SIG GL5040 | AG36 | M79 | H&K GMG
대전차 화기 AT4 | M72 LAW
'''[[폭발물|


]]'''
'''[[수류탄|
수류탄
]]'''
살상탄 M67 | M14
연막탄 M18
섬광탄 Mk.141 Mod 0 | M84
지뢰 M18A1
※ 윗첨자R: 퇴역 화기
}}}}}}}}}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현대 엘살바도르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엘살바도르군
Fuerza Armada de El Salvador
개인화기 권총 CZ75, 베레타 92SB, 제리코 941, 하이파워
기관단총 우지 / 미니 우지, MP5A1, MP5A2, MP5A3, MP5SD3, MAC-10
소총 자동소총 G3A3, G3A4, G3KA4, M14, GAU-5A / B, CAR-15, M16A1, M16A2, HK33, T65, M162, M933, M715, HK416, 갈릴 AR / ARM / SAR (339), ACE-21~23 / 52 / 53, FNC
저격소총 M24
투척물 M18 연막탄, M67 세열수류탄
<colbgcolor=#0047ab> 지원화기 <colbgcolor=#0047ab> 기관총 <colbgcolor=#0047ab> 다목적 기관총 HK21, M60B / C / D / E2, MAG
경기관총 C7A1, M249, 미니미
중기관총 M2 브라우닝
대전차화기 대전차 로켓 RPG-7, M72A2
무반동포 M40, M67
곡사포 M56 / 101 / 102, M114
박격포 M19, M29, M74
유탄발사기 M79, M203
맨패즈 스트렐라-2, FIM-43 레드아이
특수전 화기 돌격소총 AK-47, AKM, MPi-KM, AUG A2, AUG A3
저격소총 SVD, M21, 바렛 M82
권총 글록 17, P226, P227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파일:호주 국기.svg 현대 호주 국방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folding [ 펼치기 · 감추기 ]<colbgcolor=#ffdead,#513100> 현대의 호주 국방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ffdead,#513100> 소총 <colbgcolor=#ffdead,#513100> 돌격소총 Austeyr F88, F90
지정사수소총 SR-25, HK417
저격소총 SR-98/AW50F
권총 Browning Hi-Power Mk.III, P320 X carry PRO
지원화기 기관총 M60, F89 Minimi/Maximi, MAG 58, M2HB QCB, M134
유탄발사기 M203, Mk.19, Mk.47
수류탄 M67
대전차화기 L6, M72A6, L14A1, Carl Gustaf M3, FGM-148
박격포 F2
맨패즈 RBS 70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M4A5, HK416, MCX Virtus
지정사수소총 Mk.14 EBR
저격소총 Blaser R93 Tactical 2, AX-SR, M82, M107/M107A1
기관단총 MP5
산탄총 M870, M3A1
권총 USP
치장/의장/예비용 화기 L1A1 SLR, M16A1, SMLE No. 1 Mk III, No. 5 Mk I }}}



파일:필리핀 국기.svg 현대 필리핀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F>



<colbgcolor=#FFF> '''[[소총|
소총
]]'''
<colbgcolor=#FFF> '''[[돌격소총|
돌격소총
]]'''
R4A3 | SIG M400 | 타우러스 T4 | M733 | M653P | GA 16" MLC | M16A1 | M16A2 | GA SOCOM-16 | SR 88A/D | AKMD | M-311-1, CQ-A5D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SIG716 G2 | MSSR Gen.(4/5) | M14 EBR | M14 DMR | M21 SWS | 85식D
'''[[저격소총|
저격소총
]]'''
CS/LR4AD | M40(A3/A5)
기관단총 퍼프랜스 SCW 7 | MP5(A3/A5) | 우지
권총 글록17 Gen.4 | BUL 체로키 FS | M1911A1 | RIA TAC 울트라 FS HC



'''[[기관총|
기관총
]]'''
'''[[기관총#s-5.2|
경기관총
]]'''
K3 | FN 미니미 | {MFR56}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M240(B/L) | M134D | MG-M2 | M60(E3/E4) | M1919(A1/A4/A6)
'''[[기관총#s-5.1|
중기관총
]]'''
M2(A1) 브라우닝
유탄발사기 STK 40 AGL | XRGL-40 | M32A1 | LMP300L360 | M203 EXPIC | M203(A1) | M79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무반동총|
무반동포
]]'''
암브루스트 AT | M67 | M40
로켓 RPG-7V2 | 69식 화전통D | ATGL-L2
미사일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참고: 틀:현대전/필리핀 유도무기
박격포 M224 | M60MA | M75 | M81MA | M69B | M29 | EXPAL M-98
견인포 쏠탐 M-71 | M114A1 | Mod 56 | M102 | M101
'''[[특수부대|




]]'''
'''[[소총|
소총
]]'''
'''[[돌격소총|
돌격소총
]]'''
HK416 | LMT CQB | LMT Mk.18 Mod.0 | M4A1 | F88D | AR-M52F | PVAR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Mk.11 Mod.0 | SDMR-16 | NFWS
'''[[저격소총|
저격소총
]]'''
해리스 M-87R | M107 | M95 | M82A1 | 자스타바 M93 | M24 SWS
산탄총 레밍턴 870 TAC-14
권총 글록 21SF
기관총 M60E6
유탄발사기 M320 GLM
대전차 화기 M72 LAW
박격포 M60CMA
의장용 화기 M1(C/D) 개런드 | M3 105mm 예포
※ 윗첨자D: 공여받은 화기
※ {중괄호}: 도입 예정 화기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병대), 표기 없을 시 육군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현대 노르웨이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노르웨이군 (1945~현재)
Forsvaret
<colbgcolor=#BA0C2F><colcolor=#00205B>



<colcolor=#00205B><colbgcolor=#BA0C2F> '''[[소총|
소총
]]'''
<colcolor=#00205B><colbgcolor=#BA0C2F> '''[[돌격소총|
돌격소총
]]'''
HK416(K/N/S) | AG-3R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HK417
'''[[저격소총|
저격소총
]]'''
M107A1 | M82A1 NG | NM149R
기관단총 MP7
권총 글록 P80 Gen.4



'''[[기관총|
기관총
]]'''
'''[[기관총#s-5.2|
경기관총
]]'''
미니미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미니미 Mk.3 | MG3 | FN MAG | MG34F2R
'''[[기관총#s-5.1|
중기관총
]]'''
M2HB
유탄발사기 HK 79 | M320 | GMG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무반동총|
무반동포
]]'''
칼 구스타프 M2
로켓 NM72F1 · M72A5 LAW
미사일 참고: 틀:현대전/노르웨이 유도무기
맨패즈
박격포 NM95
'''[[특수부대|




]]'''
'''[[소총|
소총
]]'''
'''[[돌격소총|
돌격소총
]]'''
C8 SFWㆍC8 CQB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MSG90 A1
'''[[저격소총|
저격소총
]]'''
AWM | 바렛 MRAD
기관단총 MP5(A2N/A3N)
산탄총 베넬리 M4 | 베넬리 M1 슈퍼 90 | 레밍턴 M870
권총 USP 택티컬 | P11R
의장용 화기 M1 개런드
※ 윗첨자R: 퇴역 장비
}}}}}}}}}



파일:스웨덴 국기.svg 현대의 스웨덴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000080> 현대의 스웨덴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000080> 소총 <colbgcolor=#000080> 돌격소총 Ak 4, Ak 5, Diemaco C8SFW, G36K/36C, LWRC M6IC, Ak 416, Ak 24
지정사수소총 Ak 5B, Ak 417
저격소총 Psg 90, Psg 08(TRG-42), Ag 90
기관단총 Kpist m/45, MP5, Kpist MP 7
산탄총 Förstärkningsvapen 870
권총 Pistol 88/88B, P229
지원화기 기관총 Ksp 58, Ksp 90, Tksp 12,7 mm
유탄발사기 M203, Grsp 40 mm
대전차화기 Grg m/48, Grg m/86, Pskott m/86, Rb 57, RBS 55, RBS 56, Pvpj 1110
박격포 m/84, m/41D, Pansarsprängvinggranat m/94
맨패즈 RBS 70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브라질 국기.svg 현대 브라질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228b22> 현대의 브라질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228b22> 소총 <colbgcolor=#228b22> 돌격소총 M964 FAL, MD-97, IA2, M16A2
저격소총 M40, M85, M24 SWS, AGLC
기관단총 M972
산탄총 모스버그 M590, 펌프 CBC 칼리버, 레밍턴 모델 870
권총 M973/GC, M975
지원화기 기관총 M971 MAG, FN 미니미, MG3, M2HB "브라우닝", M134 미니건
유탄발사기 M79, M203, MGL Mk.1
대전차화기 M40, 칼 구스타프 M3, AT4, ALAC, MILAN, ERYX, MSS-1.2
박격포 M949 AGR, 브란트 LR 60mm 박격포, M936 AGR, L16 81mm 박격포, M30 107mm 박격포, M2 RAIADO 120mm 박격포
맨패즈 미스트랄, 9K38/338 이글라(-S), RBS 70
유탄 M26 수류탄, F1, Mk.2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M964 FAL Para, CAR-15, M16A2 코만도, M4A1, G36C, HK416, TAR-21
저격소총 M24 SWS, PSG-1, 바렛 M82, SIG SSG 3000, 레밍턴 MSR, PGM 338/울티마 라시오
기관단총 MP5, MAC-11, UMP, SMT-9
산탄총 SPAS-15, 베넬리 M4
권총 글록 19, USP
대전차화기 AT4 CS
박격포 코만도 60mm 박격포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현대 우크라이나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우크라이나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2478ff> 소총 <colbgcolor=#2478ff> 볼트액션 <colbgcolor=#FFFFFF,#191919>모신나강, PTRD-41
반자동소총 SVT-40, SKS, SUB-2000D, Springfield Saint, NEA-15, POF P415, 루거 AR556, Adams Arms P1D MSR-15, POF 레볼루션, KMR-A, PTRS-41, 루거 SFAR
돌격소총 StG44, AKM, AKMS, AK-63D, 56식 자동소총C, PM md. 63.D, AR-M9D, MPi-KM-72, AK-74*, PM md. 90.D, AKS-74U, Vepr*, AK-74MC, KM-AKC, AK-103C, AK-12C, FNCD, Vz.58D, M70D, M14D, M16A2D/M16A4D, G3D, FN FALD, M4A1D, G36KD, SCAR(L/H)D, F2000D, Wz.88D, C7(A1/A2/NLD)D, MSBS GrotD, SIG516, H&K HK416D, QBZ-97, DDM4, ARX-200, M5 카빈D, MDRX, ACARD, CETME LD, FAMASD, XCR, IWI Zion-15, 부시마스터 XM-15
저격소총 Fort-301*, Z-008, VPR-308*, Z-10, SVD, SVDMC, 85식 저격소총, PSL, M82*, M99, M107A1, ZVI 팔콘D, AW308D, AXD, 레밍턴 M700D, FR-F2D, M98D, SV-98C, T-5000C, OSV-96C, KSVKC, WKW WilkD, HLR 338D, Snipex T-Rex, Snipex Rhino Hunter, Snipex Alligator, Snipex 모노마흐, Snipex M100, Savage 10, Savage 110, M21 SWSD, M24 SWSD, SIG SSG-3000*, SRS-A1, HTI, TAC-50, C14D, LRT-3D, CADEX CDXD, RPR*, RAR*, SIG100*, SIG CROSS, R93*, 부시마스터 BA50, BFG-50, PGM 헤카트 II, FA-50T, TASCO 7ET3
기관단총 PPSh-41, PPS-43, 톰슨 기관단총, MP40, 칼 구스타프 m/45, Vz.23, MP5*, Vz.61D,KRISS VectorD, UZID, Z-84 Corto, 루거 MP9*, Fort-230, 보르즈 기관단총, PM-63D, SP9, Aselsan SA-9
권총 PM, Makarych*, TT-33,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4, M1911A1, PPK, 발터 P22, P08, VIS Wz.35, PSM*, Fort-12*, Fort-14TP, MP-443C, GSh-18C,CZ75D, CZ P-07D, P-10CD, M9D, R7 MakoD, SFP9D, SIG P320, Canik TP9, PL-15C
지원화기 기관총 DP-27, DP-28, 마드센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SGMT, RPK, RPK-74, 자스타바 M72, PK, PKM, 자스타바 M84D, MG-1MD, Mayak K(T/M/TM), PKPC, KordC, KPVC, DShK, DShKM, NSV, PM M1910, RPD, Vz.59D, MG34, M53D, CETME AmeliD, MG3, MG42/59D, M60, Ksp 58D, C6D, M240D, FN 미니미D, C9D, C9A2D, M2(A1)D, AN/M3D, M249D, M249E3D, W85, UKM-2000PD, AAT-52D, PZD 556D, MG5D, Laska K2, Ares Shrike, M134D, MMG556D
유탄발사기 UAG-40*, 댜코노프 총류탄, AGS-17, AGS-30C, RGM-40, RG-6C, GP-25, GP-34C, Fort-600, GM-94C, Mk.19 Mod.3D, M32D, RGP-40D, AG36D, M320(A1)D, M203D, UGL-40, GMGD, FN40GLD, RDS40D, 팔라트D, M11 RGDD, RG-1
대전차화기 대전차로켓 RPG-7, RPG-7V, RPG-7D, 69식 화전통, ATGL-L, LGL-7D, PSRL-1, PzF 3D, RPG-16, RPG-18, RPG-22, BULSPIKE-AT, DRTG-73D, M80 Zolja, M72A5, NM72F1, M72 ECD, RPG-26, RPG-27, RShG-1, RPG-29, RPG-30C, RPG-32, RPG-76D, SMAWD, M141 BDMD, RGW-90D, APILASD
대전차 미사일 Corsar, 스키프, 쉐르쉔, 아뮬렛, 9K115-2, 9M113, 9K111, 9K135C, NLAW, FGM-148, 밀란 대전차 미사일D, TOWD, RBS 56D, 아케론 MPD
무반동총 SPG-9 "Spis", AT4D, 칼 구스타프 M4D, C90D, Pvpj 1110D, Alcotán-100D, RPO-A, RPV-16, RPG-75(M)D
박격포 82-BM-37, KBA-118, KTH1, LMR-2017D, m/68D, GrW 36, M224 LWCMSD, 63식D, MP-60, M60-16, UB-81, UPIK-82, M60CMAD, KBA-48M, M69A, 20N5D, 2B9, 2B14, M252 MERMD, HM-16, HM-19, M84D, 2B16, Vz.82, М120-15, 2S12, 120-PM-43, MP-120, M74D, 120 KRH 92D, Mod.63D, MO-120-HBD, M120 BMSD, M240
견인포 122mm 2A18 D-30, 85mm D-44, 85mm D-48, BS-3, 100mm 2A19 MT-12, 152mm M1955 D-20, M-46, 150mm 2A65, 152mm 2A36, M2A1D, M101D, {M114}D, M119D, L119D, M777D, FH70D, TRF1D, Mod.56D
대공포 보포스 40mm 포D, 57mm S-60, KS-19, L/70D, ZU-23, 자스타바 M55D, 자스타바 M75D, 72-K, 오리콘 GDF, {MANTIS}
맨패즈 9K310, 9K38, PiorunD, 9K32, 9K34, FIM-92, Starstreak HVM, 미스트랄D, LWM 마틀렛D, SungurD, RBS 70D, Anza 2D
자폭 무인기 스위치블레이드 300/600D, 피닉스 고스트D, UJ-32 Lastivka, 라텔-S
지뢰 TM-57, TM-62M, PTM-1, PTM-3, MON, OZM-72, AT2D, DM12 PARM-2D, PTKM-1RC, DM-31D, M18A1D, Mini HailstormD, POMZ, PFM-1, HPD-2A2D, M/47D, M/56D, Mi AC AH F1D, FFV-028D, M/52D, PMN, RAAMD, PK-14D, PT Mi-BaD, C-3-BD, M86 PDMD, YaRM, L9A1D, M15D, M21D
폭약 M112D, M/97D, KZ-6, C4D, PENOD, M1 관형폭약D, M2A4D, UR-83P, Minröjningsorm 1D, AO-1Sch, UYA-95-1.5
수류탄 F1 수류탄, RG-42, RGD-2, RGD-5, RKG-3, M67, OF 37, DM41D, DM51D, DM61D, M/54D, L109D, RGR, RG-60TB, Sirpalekäsikranaatti M50D, F1D/N, GHO-1D, Mecar M72D, M50 P3D, NR20C1D, PGN-60
비치사성무기 M18D, DG-01, L83A2, L84A3, Zarya-3, UDSh, M4A2
<colbgcolor=#ffe400>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Fort-221, Fort-223, Fort-224*, MCX, ACR, AS Val, ASM ValC, Malyuk, WAC-47, Z-15, Fort-227, Fort-228, Fort-229, CZ 브렌 2D, AUG HBARD, AK-105C, C8D, 헤넬 MK556, CR 308D. DD Mk.18D,SIG716, 콜트 M933, HK433
저격소총 VSS, TRG-22, T3, TS.M.308, TS.M.338, HS.50, M110 SASS, CheyTac Intervention, Horizon's Lord, 베레타 Victrix Corvus*, 바렛 MRAD, SAN 511*, Mk.14 EBRD, HK417D, VSSKC, M1500
특수소총 APS
기관단총 스콜피온 EVO 3, P90, PP-91C, MPX, APC9 PRO*, B&T MP9*
산탄총 Saiga-12*, Fort-500, Fort-500T, Fort-500M*, KS-23, 모스버그 500D, 베넬리 M4D, TOZ-87, BTS12*, RS S1, CZ1012, Target X7, M26 MASS, Sierra 12, KSG, SPAS-15
권총 스테츠킨 APS, SPP-1, Fort-17, Fort-20, Fort-21, PB, 글록 17/19/45D, Fort-15, 나강 M1895, CZ82D
기관총 Fort-401
수류탄 RGO, RGN, Mk.14 Mod 0 ASMD, RGT-27S, RGT-27S2
*: 우크라이나 내무부 예하 및 준군사조직에서 사용
C: 노획 장비
D: 여러 국가들에서 지원물자로 기증
{중괄호}: 도입 예정 장비
N: F1 수류탄과 이름만 같은 현대적인 호주산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스토너 계열 총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2a4e> AR-10 SR-25, Mk.11, M110, MARS-H, RSASS, HK417, OBR, MRGG, G28, M110A1, LR-308, FD338, ULR 338, ALR-338, SIG716, Mk.18 Mjolnir, DRD Kivaari, BT-6, Mk.47, MPT-76, REC10, M23
AR-15 <colbgcolor=#002a4e> 미군 <colbgcolor=#002a4e> 돌격소총 M16, M16A1, M16A2, M16A3, M16A4, M4, M27, M231, Mk.18, CAR-15, XM177, GAU-5, M733, Noveske N4
지정사수소총 M655/656, Mk.12, SAM-R, SDM-R, RECCE
미국 돌격소총 M6, 허니뱃저, M16A2E2, LR-300, CM901, IAR, MARS, REC7, ACR, SR-47, XM-15, SIG M400, SIG516, KAC PDW, KAC SR-15, KAC KS-1, FAXON ARAK, BCM RECCE, STR-15S, URG-I, Radian Model 1, MARS-L, M&P15, MOE Carbine
기관단총 M635, AR-57, Mk.57, CMMG FourSix, UDP-9
권총 OA-93
기관총 CMG-1, 아레스 슈라이크 5.56 시스템
캐나다군 돌격소총 C7, C8, IUR
지정사수소총 C7CT, C8CT, C20
캐나다 돌격소총 SA20, SA15.7
기관총 C7 LSW
유럽 HK416, NARP, STM556, WAC-47, STM-9, ADAR 2-15
동아시아 K13, DSAR-15PC, T65, T86, T91, CQ 5.56, CAR816, T112
그 외 G5, KH-2002, UTAS XTR-12, Safir Arms T-14, Gilboa DBR Snake
AR-16 AR-18, M17S, T2, 89식 소총, SA80, SAR-80, SR-88, SAR-21
기타 AR-1, AR-3, AR-5, AR-7, 스토너 63, KAC ChainSAW, 아레스 FMG
}}}}}}}}} ||

파일:h&k-logo 0.png 헤클러 운트 코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fff,#000> 헤클러 운트 코흐 제품 라인업
권총 <colbgcolor=#fff,#000> 자동권총 HK4 · P9 · VP70 · P7 · USP · Mk.23 · P2000 · UCP · HK45 · P30 · VP9
기타 P2 · P11
기관단총 MP5 (MP5-N) · UMP · MP7
산탄총 CAWS · HK512 · FP6
소총 반자동 PSG1 (MSG90) · WSG2000 · SL8 · SLB2000 · G28 (M110A1)
자동 G3 (HK32 · HK33 · HK53 · G41) · G11 · HK36 · G36 · XM29 (XM8) · SA80A2 · HK416 (M27) · HK417 · HK433
기관총 HK21 (HK23) · MG4 · MG5 · HK421
유탄발사기 HK69 · HK79 · GMG · AG36 (M320) · XM25
탄약 4.6×30mm
}}}}}}}}}}}} ||


[1] 14.5인치(368mm) 총열이 장착된 모델.[2] 민수용이니만큼 반자동 사격만 가능하고, 16.5인치 총열이 장착되었다. 기존 RAS 대신 M-LOK 시스템을 장착했다.[3] 여담으로 대한민국 방위산업체 SNT모티브가 2019년에 ADEX에서 공개한 신형 기관단총인 STC-16도 이 쇼트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이 사용되었다[4] 갱스터 그립이라는 별칭을 가진 KAC 사의 전술조명 통합형 전방 손잡이와 존 마센(John Masen) 사의 개머리판 패드가 달려 있다.[5] 이는 윤활유강중유의 도포, 총열 및 노리쇠 뭉치 쪽에 남은 탄매 제거 등의 유지 관리 작업이 행해지지 않거나 권장 분당발사율이 준수되지 않을 때 일어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6] 상술된 SOPMOD 사업 총책임자를 맡은 크레인 미합중국 해군해상전연구지부(NSWC Crane)거스 테일러Mk.12 SPR6.8mm SPC의 아버지 스티브 홀랜드가 관여하였다.[7] 부시마스터 사 역시 M4란 이름을 자사의 새 소총에 사용했었다.[8] 시제품이었던 HKM4에는 탄피 배출구의 먼지덮개가 없었으나 이후 명칭 변경 이후 M4처럼 추가되었다.[9] 그러나 미합중국 합동특수작전사령부 예하 외의 특수부대들은 예산 문제인지 여전히 M4, 혹은 Mk.18을 사용하고 있다. M4Mk.18 계열에 심각한 결함이 없기 때문에 HK416을 더 비싼 비용으로 운용할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선의 요구사항에 맞춰 기존의 M4A1의 총열을 10인치로 줄인 총기인 Mk.18 CQBR이 있기 때문에 굳이 다른 카빈을 도입할 이유도 없다.[10] 가이슬리 오토매틱스 사의 14.5인치 슈퍼 모듈러 레일(SMR) 레일 통합형 총열덮개와 별도의 사막색 아노다이징(Tan-anodized) 처리된 총몸으로 식별이 가능하다.[11] 해당 일련 번호는 1999년에 첫 보병용 자동소총(IAR) 심사가 진행된 제1해병사단 제7연대 2대대(2/7)에서 비롯되었다.[12] SOCOM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Mk.18 CQBR과 같은 10.3인치 총열 버전과 비교하면, HK416이 약 600g 정도 더 무거운데(Mk.18은 2.72kg, HK416은 3.31kg) 별 것 아닌 듯이 보이지만 SOPMOD 블록 2 악세사리인 EOTech 사의 553 홀로그래픽 사이트, 인사이트 사의 M3X 전술조명과 동사의 AN/PEQ-15를 다 합하면 600g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13] 사실 이건 HK416의 장점이라기 보다는 가스 직동식을 채용한 AR-10/15계열 소총 전체의 단점에 가깝다. 가스 직동식 소총들은 물 속에 완전히 넣어버리면 가스 튜브에 들어있는 물 때문에 튜브 내 압력 상승으로 이어져 폭발해버릴 수 있다.[14] 다만 아래의 영상이 과장 내지 왜곡되었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후술하겠지만 이는 광고 영상이므로 적절히 걸러 받아들이자. 사실 AK-74M이나 갈릴 항목에서 비교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AR-15 계열은 업계 탑인 만큼 경쟁사들에게 가장 많이 두들겨 맞는 총기이기도 하다.[15] 참고로 테스트가 시작될 당시의 각 총기의 상태를 설명해보자면 M4는 3년 동안 미군에서 쓰이던 걸 무작위로 차출하여 HK 416은 절반은 미군 부대에서 절반은 신품을 받았으며 나머지는 아예 업체의 신품이었다. 회사가 최고의 상태를 만들어서 줬을 수도 있다는 의심도 가능하단 뜻이다.[16] 노리쇠는 평균 12,000발 정도 버텨준다. PDF 다운로드.[17] 애초에 주로 문제가 생긴 부분이 노리쇠 자체의 문제라는 것을 볼 때 인터넷을 떠들석하게 한 가스 직동식의 문제는 의외로 심각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가스 직동식 그 자체의 문제라면 노리쇠가 작동중 걸리긴 할지언정 깨지지는 않는다. 노리쇠가 깨졌다는 것은 명백한 노리쇠 자체의 재질 문제.)[18] 물론 여기에 링크된 콜트 M703은 롱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이다. HK416과는 다르다.[19] 미군이 한국전쟁에서 겪은 m1, m2카빈의 쇼트 스트로크의 추위에 대한 약점이 M14 소총 을 선택한 주요 이유 중 하나였다.[20] 미 육군 TACOM 기록을 참고하면 HK416의 군용 판매 가격은 2007~2008년도 기준으로 대략 $1,500~1,600, 한화로 대략 160~180만원 안쪽이다.(출처)[21] 과거 한 기사에 따르면 2016년 9월 22일 프랑스 국방부가 HK416F 10만 2천 정을 1억 6800만 유로(1억 8600만 달러)에 구매하는 계약에 서명했다고 한다. 여기에서 환산하면 HK416F는 한 정에 약 $1823.53, 약 €1,000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이전에는 4,000달러 정도 한다는 잘못된 말이 있는데 이쪽은 전체 소총이 아니라 민수용(MR556)의 상부 리시버 가격이다. H&K는 예로부터 민수용 총기 가격이 터무니없이 비쌌고, HK416 역시 그렇다.[22] 총열에 크롬도금을 할 경우 수명은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지만 도금층이 균일하게 발린다는 보장이 없기에 정밀성은 오히려 떨어지는 편이다. 그렇다 보니 민수용 라이플은 밀스펙에 비해 크롬도금층이 얇거나 심지어 집탄성을 위해 크롬도금을 포기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는 정밀 사격을 중시한 '하이엔드 밀스펙'라이플을 표방하면서 크롬도금에 돈을 쓰지 않았다는 것이 문제가 되는것이다.[23] 이 때문에 M27 IAR을 도입한 미 해병대에서 말이 좀 많았다. 이 문제는 미 해병대에서 M855A1과 함께 Mk.318을 채택함으로써 해결되었다.[24] 사실 이 철제 탄창은 G41 개발 과정에서 생겨난 탄창이다. G41을 개발하면서 당시 독일에 없었던 STANAG 탄창을 새로 만들었던 것. 이 탄창이 L85/L86/L22 개량 과정에서 쓰였던 것이고, HK416 개발에 다시 쓰였던 것이다.[25] 근데 영국군은 L85A2에 사용하던 이 철제 탄창이 문제를 일으켜서 맥풀 사의 EMAG로 대체하여 대량으로 지급하고 있다.[26] 2011년의 넵튠 스피어 작전에 쓰인 HK416에 적용된 것으로 유명하다.[27] 중국어 위키백과에서는 20인치 총열형이라고 표기되어 있으나, 다른 출처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정보이다.[28] 통상적으로 AR-15는 반동완충기를 짧게 하면 연사속도가 높아지고 이에 따라 반동도 높아진다. M231 FPW 등의 파생형이 대표적인 예시.[29] M27 IAR이 제식 채용된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일단 IAR 사업의 의도를 알아야 한다. 기존의 M249는 탄약을 쏟아줏는 제압사격 방식으로 운용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낭비하는 탄약이 많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모든 해병은 소총수다(Every marine is a rifleman)"라는 말이 나올만큼 분대원 개개인의 명중률을 중시하는 미 해병대의 방침과 맞지 않았다. 이 때문에 미 해병대에서는 탄환을 적게 쓰고 정확하게 명중시켜 적을 제압하는 새로운 개념(엄밀히 말하자면 분대 지정사수와 비슷한 개념)의 분대지원화기를 채택하고자 했고, 그것이 M27 IAR이다.[30] 해당 일련번호는 성능 시험을 맡았던 제8연대 제3대대(3/8)에서 비롯되었다.[31] 소음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소닉붐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아음속탄을 써야 하는데, 아음속탄을 쓸 경우 장약이 적어서 노리쇠를 미는 데 필요한 가스 압력이 낮아진다.[32] 기존 접이식 가늠쇠는 10.5인치 총열에 소음기를 부착하면 못 접는다. UDT/SEAL 특수임무대대의 HK416 운용 사진 중에 이런 세팅으로 운용하느라 도트사이트를 부착하고 가늠쇠를 반만 접어 쓰는 희한한 모습이 담긴 장면도 있다.[33] 2023년 미군을 기준으로는 미합중국 해병수색대근접전투용 M27HK416A5의 윗총몸이 쓰이는 정도가 전부이다.[34] 프랑스어로 짧다(Short)는 의미.[35]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열리는 법 집행기관, 군경 대상의 방산업체 박람회이다.[36] 2021년에는 H&K 사의 신속 배수(OTB) 특허를 침해한 헤넬(C.G. Haenel) 사와의 마찰로 인한 도입 지연을 겪었다.[37] 군용 HK416처럼 크롬 라인 베럴을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닌데 이 정도 가격인 점을 고려하면 그야말로 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AR-15계의 명품이라 불릴만 하다.[38] 2편에서 소믈리에와의 대화에서 나오듯 본래 존 윅은 독일제를 선호한다는 설정인데, 1편 영화 제작 당시에는 저예산이었기에 HK416은 너무 비싸서 해당 총기를 대신 등장시킨 것이라고 한다.[39] 지정사수소총인 G28이 약 1.5 MOA이다. 돌격소총이 지정사수소총보다 좋은 명중률을 보여준다는 것이 놀라울 따름.[40] 결국 탈락되었던 STC-16이 다시 특수작전용 기관단총으로 재선정되었다.[41] 2002년에 설립된 미국 애리조나 주 피닉스에 본사를 두고 있는 총기 제조 회사.[42] HK416을 특별히 싫어해서 나온 반응은 아니고, 총기 역사가이자 애호가인 이안 맥컬럼이 점점 총이 소수 종류로 획일화되는 게 안타까워 그런 것 같다.[43] 불법 카피라는 증거로 H&K의 공식 사이트에는 튀르키예의 Mehmetcik-1 채용에 대한 어떤 언급도 없었다![44] 튀르키예는 1990년대 후반부터 제식소총 교체를 시도하였지만 계속 좌절된 바 있다. 웹상에서 별로 얘기되지 않다보니 아직까지도 HK416이 튀르키예에서 채용되었다는 잘못된 정보가 많이 나돌고 있다(위키백과에서도). 플래툰에서도 한 번은 '튀르키예는 아직도 다량의 G3를 운용하며, HK416의 채용은 상당히 느리게 이루어지고 있다'라는 잘못된 정보가 올라가기도 했다.[45] MPT-76이 가스 직동식이라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사실과 다르다.[46] 초기형 모델로 로고가 없다. 또 하단에 전면 슬링 고리가 있다.[47] SEAL, SFG 등 특수부대의 요청에 따라 기존 AN/PEQ-15 대비 출력을 3배 높인 모델.[48] M600B 제논 헤드 모델, S&S 어댑터가 아닌 본체에 나사와 와셔로 직결속.[49] 사진의 G33 확대경은 1세대(Gen 1) 모델이다.[50] 그 외에 내부 트리거 커스텀이 되어있다고 한다. HK416의 트리거 커스텀은 보통 가이슬리 오토매틱스제 트리거를 쓰기 때문에 가이슬리제 트리거로 추정된다.[51] AWG는 육군의 특수부대가 아니다. AWG는 2003년 이라크의 IED(급조폭발물) 담당 태스크 포스에서 기인했으며 그 임무 역시 직접타격이나 적 후방에 대한 침투/정찰이 아니라, 육군의 정규부대가 IED, 저격수, 게릴라전 등의 비정규전 분야에 익숙해지도록 훈련을 돕고 조언해주는 소임을 맡고 있다. 그러나 정규부대가 비정규전에 익숙해지려면 파병현장에서의 활동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AWG 대원들의 대부분 역시 현지의 미군과 함께 활동을 하고 있다. 특히 파견지역의 현지 군/경찰을 훈련하는 임무도 함께 하고 있어 그린베레와 유사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52] 이 때 HK416을 쓰던 AWG의 베테랑 부사관들의 불만이 상당했다고 한다. 그러나 AWG의 임무는 일반 정규군이 비정규전 분야에 익숙해지도록 전술 및 훈련과정을 지원하는 것이기에 정규군과 같이 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규부대가 쓰는 표준 제식총기인 M4A1로 교체당한 것이다. HK416이 AR-15 계통의 총이기는 하나 M4 카빈을 비롯한 다른 AR-15들과 부품이 서로 호환되는 것은 아니다. 미 육군의 제식소총은 엄연히 M4/M4A1이고 육군 내 일반 소총수들도 M4A1을 지급받으며(M4는 AH-64 조종사 등에게 지급) 실전에서도 제식 화기인 M4A1을 사용할텐데 보병 훈련 지원에 제식소총인 M4A1 놔두고 HK416을 쓴다는 건 말이 되지 않는다.[53] 미국 생산의 HK416D 모델이 아니라 H&K 본사에서 직접 제작한 것이다.[54] 2018년에 경찰특공대와 마찬가지로 HK416A5를 추가도입했다는 설이 있었으나 이것은 A5용 개머리판을 기존의 총기에 끼운 사진을 잘못 판독한 것이고 2021년 MADEX에서 최초로 해군 특수전전단이 A5를 도입한 것이 공개되었다.[55] 사진을 자세히 보면 가슴에 경호처 마크와 왼쪽 팔 상단 주머니에 경호처배지가 있다.[56] 보통 구식 장비는 잘 쓰이지 않는데, 아마도 구식 총기를 선호하는 베테랑 부대원들이거나 HK33E가 HK416보다 더 손에 익는 대원인 듯 하다.[57] 예를 들어 배틀필드 배드 컴퍼니부터 이어져 온 M416이란 이름.[58] 다만 레인보우 식스 시즈에서는 P416 대신 HK416C가 416-C CARBINE 이라는 명칭으로 등장한다.[59] 그런데 고스트 리콘: 퓨처 솔져 시절만 하더라도 'Goblin'이라는 가명으로 불렸다. 뭔가 사정이 있었던 모양. 이후 후속작인 와일드랜드부터 P416이란 제대로 된 이름으로 나온다.[60] 해당 PC판의 최초 출시가 2007년 7월 17일인데, 해당 명칭 사용으로 유명한 다른 사례인 배틀필드 배드 컴퍼니는 2008년 6월 26일, PUBG는 2017년 3월 24일 최초 출시이다.[61] K1 기관단총은 단축형 돌격소총이긴 하지만 기관단총으로 분류되었고 성능또한 돌격소총이다. 반면 콜트 9mm 기관단총은 성능과 이름 모두 기관단총이지만 돌격소총으로 나왔다.[62] 사실 이건 표면상 이유고 진짜 이유는 라이선스 때문에 그런 것이다. 이는 배틀필드 3 개발 당시에 밝혀진다.[63] 정확히는 피카티니 레일에 장착하는 M203-2003. 참고로 이건 덴마크군 제식이다.[64] Q: 궁금한 게 있는데 왜 HK416 대신에 M416이라는 명칭을 쓰죠? Demize99: "상표(트레이드마크)"라는 것이 골칫거리다. #, Q: HK416은 그대로 M416으로 나오는가? Demize99: 법적인 문제가 있다. # 마찬가지의 이유로 H&K의 기관단총인 MP5K가 2번째 DLC 근접전에서 M5K라는 이름으로 나왔다.[65] 배틀필드 3는 다음 작인 배틀필드 4에 비해 같은 카테고리 내에서 총 간 스텟이 차이가 많이 나지 않는다. 이때는 같은 카테고리 내에서 차이가 나는 스텟은 연사속도, 다른 탄약을 쓴다면 데미지, 몇몇 오버 밸런스 염려가 있는 총기에 대해 초탄 명중률, 반동 정도밖에 없다.[66] 이렇게 된 이유는 러시아군 기본 총기들이 다 발사속도와 장전 속도가 느리기 때문이다. 대척점에 있는 미군 기본 총기들은 죄다 발사속도와 장전속도가 빠르다. 누굴 고를건지는 말할 것도 없다. 예외로 정찰병 기본 저격소총인 Mk.11 Mod.0와 SVD는 자동발사가 안되고 발사속도(정확히는 광클 시 나갈 수 있는 최대 발사속도)가 같지만 장전속도는 Mk.11이 훨씬 빨라서 여전히 SVD는 버림받는다.[67] 초탄 반동을 줄이는 방법, 반동 수치 자체를 낮추는 방법.[68] 왜냐하면 M16은 3점사의 타이밍을 정확히 맞춰야 하기 때문에 높은 숙련도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전작 M16A3와 성능이 거의 같아도 점사 타이밍을 놓치면 뭐...[69] 인게임에서 M27의 16.5인치 총열이 아니라 HK416 기본형의 14.5인치 총열을 달고 나온다. 게다가 게임 파일을 뜯어보면 HK416이라고 되어있다.[70] 기본 장착품 겸 전용 탄창이다.[71] 3점사형 M4인지, 자동사격형 M4A1인지는 불분명하다.[72] 언뜻 보면 MK18. Mod.1 으로 보이지만 주도자가 속한 분대가 2층 계단으로 올라가는 씬에서 스쳐 지나가는 장면을 보면 총몸의 형태가 HK416D의 형태임을 알 수 있다.[73] 실제로 경기도 지역 일부 경찰특공대에는 HK416이 지급되나, 드라마처럼 HK416D가 아닌 HK416A5를 사용한다.[74] 마지막 화에서 살아남은 학생들이 다가오자 군인들이 전방경계를 하며 학생들을 겨누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때 HK416을 자세히 보면 열린 먼지덮개 안에 조금 후퇴한 노리쇠와 함께 하얀 홉업 조절 장치가 조금 보인다.[75] 국내 회사로는 토이스타, 아카데미 등의 회사가 2019년에 출시한 바 있다.[76] 청소년용 전동건으로 보이즈 시리즈와는 달리 이쪽은 1:1사이즈이다. 실루엣이 뛰어나서 장식용으로 구매하는 현지의 성인층도 많다.[77] 아카데미 STANAG 메탈 탄창을 가지고 있다면 그걸 사용해도 된다. 단 급탄 불량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음.[78] 탄피배출 버전도 전동화는 가능하나 기존의 양방향 셀렉터나 챔버 등 내부 파츠교체가 기존 에어코킹 버전보다 복잡하다.[79] 2000년대 초기에 많이 사용하던 크레인스톡 / 탱고다운 피스톨 그립 / KAC BUIS 장착 사양. AAC 타입 소음기/소염기가 포함되어 있긴 하지만, M4-2000 소음기가 아니라는 문제가 있다.[80] 가이슬리제 핸드가드, 슈어파이어제 소염기 등 상기한 델타포스 사양을 재현.[81] 초기형은 실총 도면대로 만든 것이 아니라서 상부 리시버가 높고, 레일 결합부의 형상이 다르며, 이에 따른 탄피배출구 커버의 높이도 다르다. 이 문제는 나중에 D보이와 Prime제 WA 기반 컨버전도 답습한다... 부착된 버튼들이 스틸제라고 아직도 쳐주는 유저가 많은 편. 현재는 후기형으로 바디 형상이 실총과 비슷해져 RS 레일과도 호환되며 바디 강도가 초기형에 비해 쳐진다고하나 큰 문제점은 없다-일부 바렐넛을 조이다가 상부 리시버 앞쪽이 깨졌다는 이야기도 있다. 초기형과 후기형도 초반에 수입된 제품은 각인 등이 리얼하였으나 2014~2015년 버전과 2016년 버전의 수출형들은 각인이 에어소프트 각인으로 리얼리티가 꽝이다.[82] 사소한 곳에 긁혔는데도 칠이 벗겨졌다는 이야기도 있다.[83] 이게 국내에선 70만원대로 뻥튀기 되니 주의.[84] 대만의 파파고암즈(PA)에서 C.A.T 상부용 HK416 하부와 스틸 볼트를 발매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