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7 16:41:42

프랑스 육군

<colbgcolor=#aaaaac><colcolor=#fff> 파일:프랑스국방참모부.png
Forces armées françaises
프랑스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aaaac, #aaaaac 20%, #aaaaac 80%, #aaaaac); color:#1E1E1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프랑스 육군 로고.svg 파일:프랑스 해군 로고.svg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로고.svg 파일:프랑스 헌병대 로고.svg
지상군
Armée de terre
국가 해군
Marine nationale
항공우주군
Armée de l'air et de l'espace
국가 헌병대
Gendarmerie nationale
}}}}}}}}}}}}
프랑스 육군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002654> 지상군
Armée de Terre
Land Army
파일:프랑스 육군 로고.svg
휘장
명예와 조국
Honneur et Patrie
창군일 1445년 5월 26일
국가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소속 프랑스군
군종 육군
역할 지상전
군무총감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
참모총장[1] ,대장, 피에르 쉴[2]
참모차장 ,중장, 에르베 고마트[3]
병력 현역 118,600명
예비역 23,000명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편제4. 병과5. 장비6.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지상군은 깊은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프랑스육군으로, 프랑스군의 그 어느 군종보다 가장 규모가 크며, 프랑스 지상군은 영국의 역사가 니얼 퍼거슨에 따르면 기원전 387년부터 기록된 세계사의 모든 전쟁 사례 중 프랑스는 168번의 전쟁에 참전하여 109번 승리하고 49번 패배하고 10번 무승부를 기록하여 전쟁 횟수와 전쟁 승리 횟수 면에서 유럽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군사 강국으로 발돋움하게 만든 주요 군종이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랑스군/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편제

4. 병과

5. 장비

파일:프랑스 국기.svg 현대 프랑스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1f2257> 현대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1f2257> 소총
<colbgcolor=#1f2257> 돌격소총 FAMAS F1/G2, G36(E/C/K/V), SG551, M16A2, HK416F, HK416(A5/D14.5RS), SCAR-L, CZ-806 브렌 2, SIG MCX
지정사수소총 G3SG/1, MSG90, HK417, SCAR-H PR
저격소총 FR-F2, PGM 에카트 II, 울티마 라시오, TRG-42, AW, AWSM
기관단총 MAT-49, MP5(A5/F), MP5SD6, UMP9, MP7A1, FN P90
산탄총 베넬리 M3 슈퍼 90, 모스버그 500, 발트로 PM5, FN TPS, Sensied S&F K1, SPAS-12, Kel-Tec KSG, 베넬리 슈퍼노바
권총 MAC 50, PA-MAS G1, MR 73, PAP F1, 글록 17, USP.SD, FN Five-seveN, M686, P11
지원화기
기관총 AA-52, FN MAG, FN 미니미, FN EVOLYS, M2HB, M134
유탄발사기 AG36, M203, APAV 40
대전차화기 APILAS, AT4 CS, MILAN, ERYX, FGM-148 재블린, LRAC F1, 아케론 MP
박격포 LGI Mle F1, LLR 81mm, MO 120 RT
맨패즈 미스트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프랑스 국기.svg 현대 프랑스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8080> 프랑스군 (1945~현재)
Forces armées françaises
중전차 6호 전차 티거G/R, ARL-44R, M4A3E2R
구축전차/대전차 자주포 야크트판터G/R, M10 GMCR, M36 GMCR, M36B2R, SD-100C/R
구난전차 M31 TRVR
중형전차 M4A1R, M4A1 (76) WR, M4A1E8R, M4A1 (CN-105-F1)M/R, M4A1 (FL10)M/R, M4A1E9R, M4A4R, M4A4TM/R, M4A4 (SA50)M/R, M4A2 (76) WR, 5호 전차 판터G/R, M26 퍼싱R, 4호 전차 G형G/R, T-34-85P/R, T-34-85CZC/R
경전차 M24 채피R, AMX-13R, AMX-13 (FL-11)R, AMX-13-90R, AMX-채피M/R, 치로R
MBT <colbgcolor=#008080> 1세대 M46 패튼R, M47 패튼R
2세대 AMX-30R
3.5세대 르클레르
장갑차 차륜장갑차 험버 피그R, 코번트리R, 페렛R,
E.B.R. (Mle.51/Mle.54/Mle.63/ETT)R, AML-90R, ERC-90 F1/F4 링스/사가이에R, VBC-90R, AMX-10 RC/RCR,
VBCI, VAB, EBRC 재규어, VBMR 그리폰
궤도장갑차 Sd.Kfz. 251G/R, 유니버설 캐리어R, T16R, LVT-4R, LVT(A)-4R, M113A1C/R, AMX-VCIR, AMX-VTTR, AMX-10P, VHM, BvS 10
차량 오토바이 폴라리스 스포츠맨 400 ATV, 야마하 XTZ660 Ténéré, 카기바 T4
소형 VBL, PVP, 푸조 P4, 랜드로버 디펜더, 포드 레인저, 포드 에베레스트, 르노 캉구 · 트래픽 III, 아라비스
트럭 포드 V3000G/R, 르노 케락스 · TRM 10000 CLD · GBC 180, VTL G290, CBH 385 막시 CLD,
ACMAT VLRA, 스카니아 R580, 시수 E-테크 480
자주포 자주곡사포 M8 스콧R, M40R, M41 고릴라R, AMX-105 Mk.61R, M4 (105)R, AMX Mk F3R, AU-F1, CAESAR
자주박격포 AML-60R, VTM-120, {그리폰 MEPAC}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LVT-4 BoforsR, AMX-13 Œil NoirR, VAB VDAA T20
단거리 대공미사일 크로탈 R-440, AMX-30 롤랑, 롤랑 CAROL
다연장로켓 LRU
페이퍼 플랜 및 프로토타입 FCM 12t, 바티뇰-샤티옹 12t, 바티뇰-샤티옹 25t, ELC 프로젝트, ERAC, MARS 15, 로르 RPX 시리즈
로르 VPX 시리즈, 벡스트라, FCM 50t, AMX-50, 소뮤아 SM, AMX M4, 로렌 40t, AMX-32, AMX-40
AMX CDC, 로렌 CA, 포슈, CDC 앙리, AMX-10M ACRA, MARS 15, AMX-13 DCA 40, AMX-30 자벨로, AMX-30 DCA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G: 2차 대전 당시 나치 독일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
※ 윗첨자C: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프랑스 육군의 전차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르클레르 주력전차 프랑스 222대 184대 - 200대는 르클레르 XLR 사양으로 개량 예정
프랑스 육군의 장갑차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VCI IFV 프랑스 520대 - -
VPC 지휘차량 프랑스 110대 - -
EBRC 재규어 정찰차량 프랑스 50대 - 250대
VBMR 그리폰 APC 프랑스 500대 - 1,372대
VAB APC 프랑스 2,500대 - -
VBL LTV 프랑스 1,418대 - -
프랑스 육군의 포병장비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LRU 다연장로켓 미국 13문 - -
CAESAR NG 자주곡사포 프랑스 - - 109문
CAESAR 자주곡사포 프랑스 58문 - 30문
AU-F1 자주곡사포 프랑스 32문 241문 -
그리폰 MEPAC 자주박격포 프랑스 - - 54문

6. 외부 링크


[1] 육군참모총장(Chef d'état-major de l'armée de terre, CEMAT)[2] Pierre Schill[3] Hervé Gomart[4]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에서도 매년마다 1명씩 수탁생도를 보낸다.[5] 휘하에 SEAA라는 코만도 부대가 있다.[6] 바다 너머 해외로 파병된다는 의미에서 Marine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유럽권에서 Marine은 해군이라는 뜻도 있지만 동시에 바다라는 뜻도 있다. 또한 프랑스는 한미 해병대 같은 부대가 육군에 있기 때문에 굳이 해병으로 번역해도 틀린 것은 아니다. 엄밀히 말해 한국과 미국 등에 있는 '해군 산하에 단일한 사령부급 이상으로 편성되어 반독립적으로 움직이는 대규모 야전부대'를 뜻하는 'Marine Corps' 개념은 영미권과 영미권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신생국 군대들을 제외하고는 찾기 힘든 개념이며, 대부분은 군의 상륙전 자체를 상정하지 않거나 해군 기지 내에 소규모로 파편화된 준특수전 독립부대들을 갖춘다. 프랑스 또한 이런 형태이며, 프랑스 해군의 소총병대 또한 이런 'Maine Corps'가 아니라 경비대 및 헌병 성격이 더 크다.[7] 서구권에서 군단(Légion, Corps)은 전술단위인 경우도 있지만 U.S.Marine Corps, Légion étrangère처럼 일정 규모의 부대를 나타내는 일반명사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 경우 해병군단이나 외인군단으로 직역하지 않고, 해병대와 외인부대로 번역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6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6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