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M-43 FIM-43 Redeye FIM-43 레드아이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휴대형 지대공 미사일 | ||
원산지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67년~1995년 | ||
개발 | 컨베어 제너럴 다이내믹스 | ||
개발년도 | 1959년 | ||
생산 | 제너럴 다이내믹스 | ||
생산년도 | 1962년~1971년 | ||
생산수 | 85,000정 | ||
사용국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스웨덴| ]][[틀:국기| ]][[틀:국기| ]] [[크로아티아| ]][[틀:국기| ]][[틀:국기| ]] [[튀르키예| ]][[틀:국기| ]][[틀:국기| ]] [[이스라엘| ]][[틀:국기| ]][[틀:국기| ]] [[사우디아라비아| ]][[틀:국기| ]][[틀:국기| ]] [[태국| ]][[틀:국기| ]][[틀:국기| ]] | ||
사용된 전쟁 | 베트남 전쟁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니카라과 혁명 레바논 내전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 ||
기종 | |||
파생형 | XMIM-43A XMIM-43B FIM-43C FIM-43D AIM-43D FIM-92 RBS 69 | ||
세부사항 | |||
탄약 | M222 폭발 파편형 (탄두) M814 직격 착발형 (신관) | ||
유도방식 | 1세대 적외선 추적식 | ||
전장 | 1,200mm | ||
중량 | 8.3kg | ||
탄속 | 580m/s | ||
유효사거리 | 4,500m | }}}}}}}}} |
[clearfix]
1. 개요
FIM-43 레드아이(Redeye)는 미군의 제식 휴대형 지대공 미사일이다.
2. 역사
1958년 미 육군과 미 해병대에서 함께 진행된 제트 항공기 대응 휴대무기 도입 사업에 기존의 FFAR(날개 접이형 공중발사 로켓, Folding-Fin Aerial Rocket)와 같은 2.75인치 직경으로 생산 라인 유용에 따른 예산 절감 효과까지 갖춘 컨베어(현 제너럴 다이내믹스) 사의 레드아이(Redeye) 설계안이 최종 선정되었다.
1961년에 들어서는 견착 발사가 가능할 정도의 개발 진척을 보였으나, 실험에 쓰인 MQR-16 건러너(Gunrunner) 표적 무인기도 제대로 맞추지 못하는 성능 상의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었는데도 당시의 다른 경쟁 기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적외선 추적 능력 덕분에 결국 XM41 레드아이 블록 I 제식명을 받아 소량 제작에 들어갈 수 있었다.
1963년의 미군 합동 발사체 명명법(Tri-Service missile and drone designation system)에 따라 XMIM-43A로 개명된 블록 I 단계부터 작전 운용 능력을 받게되는 블록 III 단계까지 명중률 향상을 위한 개량을 거듭하였으며, 1968년에는 보병 전용임을 나타내기 위해 한차례 더 개명됨과 동시에 FIM-43C의 정식 제식명을 받았다.
최초 실전 투입이 이루어진 베트남 전쟁 이후에도 낮은 단가 덕분에 많은 수가 생산되어 1995년까지 운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반 소비에트 연방 성향의 동맹국은 물론, 아프가니스탄의 무자헤딘이나 니카라과의 콘트라와 같은 반정부 저항 조직에 비공식적으로 무상 공여되기도 했다.
3. 특징
열잡음을 고려하지 않은 비냉각식 황화납(PbS) 소재의 초전형 센서(Pyroelectric sensor)로 약 1~3μm 대역의 근~단파장 적외선 정도만 감지하는 원시적인 1세대 적외선 유도(IRH) 방식을 따르므로 목표물의 배기구가 노출된 후방 만을 노려야 했으며, 3G 이하의 기동성에 신관 역시 직격형이라 급기동과 플레어 등의 기만체에 취약하여 보완 개량형인 FIM-92 개발을 촉진시켰다.
4. 종류
미합중국 국군 합동 발사체 제식명 명명법 United States Tri-Service missile and drone designation system | |||||||||
상태 | 위치 | 주임무 | 유형 | 하이픈 | 번호 | 계열 | 하이픈 | 구성 | 속명 |
X | M | I | M | - | 43 | A | 레드아이 | ||
X | M | I | M | - | 43 | B | |||
F | I | M | - | 43 | C | ||||
F | I | M | - | 43 | D |
- XM41(XMIM-43A): 블록 I 단계의 실험형
- XM41E1(XMIM-43B): 블록 II 단계의 실험형
- XFEM-43B: 데이터 기록용 실험형
- XM41E2(XFIM-43C) - 블록 III 단계의 실험형
- M41(FIM-43C) - 블록 III 단계의 양산형
- XFEM-43C: 데이터 기록용 실험형
- FIM-43D: 자세한 사양이 밝혀지지 않은 실험형
- AIM-43D: 발주 취소로 생산되지 않은 공대공형
- FIM-92: 전방 추적 능력과 피아식별장치(IFF) 탑재에 중점을 둔 레드아이 II(Redeye II) 기반 후계형
5. 등장매체
5.1. 영화
- 코만도 - 총포상의 비밀금고에서 등장한다. 거기서 온갖 무기를 쓸어가던 매트릭스가 이 무기를 보자마자 묘한 표정을 지으면서 집으려는 순간 경찰이 도착하고. 매트릭스는 잡혀간다.
-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 - 인류 저항군이 사용한다. #
5.2. 게임
- 메탈기어 솔리드 피스 워커 - 랭크 3 대공 미사일로 등장한다. 크리사리스전의 필수품. 구형이라 록온 시간이 엄청나게 오래걸리지만 XFIM-92의 요구 기술레벨이 꽤 높아 1주차엔 얻기가 힘들어서 어쩔 수 없이 이거라도 써야한다. 전작의 스팅어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생물이건 전차건 잘만 록온되는 괴이한 물건으로 나온다.
- 워게임: 레드 드래곤 - 블루포 국가들 대공보병의 장비로 등장한다. 해당 유닛은 적은 비용으로 다수를 불러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거리, 명중률, 제압력 등이 고루 낮아 거의 쓰이지 않는다. 그냥 스팅어나 미스트랄 같은거 쓰자.
-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2 - Rules.ini를 뜯어보면 연합군의 대공 무기 패트리어트 미사일이 쓰는 무기가 레드아이로 되어 있다...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 - 시그마 2라는 이름으로 등장. 본작에 나오는 유일한 맨패즈이다.
6. 둘러보기
냉전기의 호주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냉전기 호주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SMLE No.1 MkIII*, SMLE No.4 Mk.I, L81A1 | |||
반자동소총 | L1A1 SLR, M21 SWS, AR-7 | |||||
자동소총 | M14, M16A1, CAR-15, | |||||
기관단총 | Owen Mk.I, L2A1 SMG, F1, M1928A1 | |||||
권총 | Webley Mk IV, Webley Mk VI, S&W Victory Model, L9A1,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Bren Mk2, L4A4, L2A1 LMG, F89 | |||
다목적기관총 | MAG58, M60, MG3 | |||||
중기관총 | Vickers Mk I, Browning L3A1, M2HB-QCB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로켓발사기 | PIAT, M20, L72A9 | |||||
미사일발사기 | FIM-43, Milan | |||||
무반동총 | L6, L14A1 | |||||
화염방사기 | No.2, M2A2 | |||||
박격포 | SBML 2-inch mortar, L9A1, ML 3 Inch Mortar, L16A1 | |||||
폭발물 | 수류탄 | Mills No. 36M, M26 | ||||
화학탄 | M7A2, M18, M25A2 | |||||
지뢰 | M18A1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호주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스웨덴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냉전기 스웨덴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colbgcolor=#004b87> 볼트액션 소총 | Gevär m/96, Karbin m/94, Gevär m/38, Gevär m/41, Gevär m/41B, Karbin m/40 | ||
반자동소총 | AG m/42, AG m/42B | ||||
자동소총 | AK4, AK4B, AK5, AK5B, AK5C, | ||||
기관단총 | MP18, Kpist m/37, Kpist m/39, Kpist m/40, Kpist m/45, m/45B, m/45C | ||||
권총 | m/39, m/40, Pist 88 | ||||
지원화기 | <colbgcolor=#ffcd00> 기관총 | 경기관총 | Kg m/37, Kg m/40, Ksp 90 | ||
중기관총 | Ksp m/39, Ksp m/41, Ksp 58, Ksp 58B, Tksp 12,7 mm | ||||
유탄발사기 | M203, Grsp 40 mm | ||||
대전차화기 | Raketgevär 46, Grg m/48, Pskott m/68, Pskott m/86, Pvpj 1110, RBS 56 | ||||
박격포 | m/84 | ||||
맨패즈 | RBS 69, RBS 70 | ||||
화염방사기 | Esp m/4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웨덴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엘살바도르 내전 당시의 FMLN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엘살바도르 내전 FMLN의 보병장비 | ||||
<colbgcolor=#FF0000> 개인화기 | 소총 | 반자동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1 개런드, SKS, SVD | ||
자동소총 | FN FAL, G3, AK-47, 56식 자동소총, 58식 보총, AKM, 68식 보총, AK-63, MPi-KM-72, PM.md.63, M16A1 | ||||
기관단총 | M3A1, 포트사이드 기관단총, Vz.23, UZI, ML-60, Z62, MPi 69 | ||||
권총 | M1911A1, TT-33, PM, CZ52, PA-63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RPD, PM Md.64, M72 | ||
다목적기관총 | PKM | ||||
중기관총 | M2HB | ||||
유탄발사기 | M79 | ||||
대전차화기 | RKG-3, RPG-2, RPG-7, RPG-18, SPG-9, M67 | ||||
맨패즈 | FIM-43, 9K32, 9K34, 9K38 | ||||
유탄 | F-1, RGD-33, RG-42, RGD-5 | ||||
지뢰 | M18A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FMLN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의 무자헤딘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무자헤딘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 / 폴링 블록 | 마티니-헨리, 리-엔필드, 모신나강, 르벨 M1886, 한양 88식 | ||
반자동소총 | SKS, M1 개런드, L1A1 SLR | ||||
자동소총 | AK-47, AKM, AKMS, 56식, 63식, AK-74, AKS-74, AKS-74U, AKMSU, G3A2, G3A4, M16A1, CQ 5.56 | ||||
머스킷 | 제자일 | ||||
기관단총 | 스텐 기관단총, PPSh-41, MP5 | ||||
권총 | 웨블리 리볼버, TT-33, 54식 권총, PM, 스테츠킨 APS | ||||
지원화기 | 기관총 | Vz.26, DP-28, MG34, RPD, DShK, 54식 기관총, SG-43, KPV, PKM, 67식 기관총 | |||
대전차화기 | RPG-2, RPG-7, 69식 화전통, RPG-18, RPG-22, B-10, 65식, AT4, 56식, 밀란, BGM-71 | ||||
맨패즈 | 블로우파이프, FIM-43, FIM-92, 9K310-M,9K38, HY-5, Sakr | ||||
박격포 | 63식 박격포, 82-PM-37, M1938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국가별 운용무기 | 냉전기 보병장비 | }}} }}}}}} |
현대 덴마크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덴마크 방위군 (1945~현재) Forsvaret | ||
<colbgcolor=#A40000><colcolor=#FFF> | <colbgcolor=#A40000><colcolor=#FFF> | 스파이크-LR2 | 코브라R | |
탑재형 | 기갑차량 스파이크-LR2 | BGM-71D TOW 2 | BGM-71A TOWR | SS.11R | ||
공대지 | 회전익기 BGM-71D TOW 2R고정익기 AGM-65(D/G) 매버릭 | AGM-12B 불펍R | ||
함대함 | RGM-84L 하푼 블록 2 | RGM-84(A/D) 하푼 블록 1A/1CR | ||
지대함 | RGM-84D 하푼 블록 1CR (MOBA 체계) | ||
어뢰 | 경어뢰 | MU90 임팩트 | |
중어뢰 | Tp 617R | Tp 421R | G7eR | ||
FIM-92C 스팅어R | FIM-43 레드아이R | |||
중거리 | MIM-23(A/B/L) 호크R | ||
장거리 | MIM-14B 나이키 허큘리스R | ||
''' 개함방공 ''' | RIM-162C ESSM | RIM-7(P/M) 시스패로우R | ||
''' 함대방공 ''' | RIM-66M-2 SM-2 MR 블록 IIIA | ||
단거리 | AIM-9X 사이드와인더 | AIM-9(J/N/L)R | ||
''' 중장거리 ''' | AIM-120(B/{C-8}) AMRAAM | ||
유도폭탄 | GBU-49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38 JDAM | GBU-12 페이브웨이 II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
※둘러보기 : 덴마크군의 운용장비 | 유도무기 | }}}}}}}}} |
현대 엘살바도르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엘살바도르군 Fuerza Armada de El Salvador | ||||
개인화기 | 권총 | CZ75, 베레타 92SB, 제리코 941, 하이파워 | |||
기관단총 | 우지 / 미니 우지, MP5A1, MP5A2, MP5A3, MP5SD3, MAC-10 | ||||
소총 | 자동소총 | G3A3, G3A4, G3KA4, M14, GAU-5A / B, CAR-15, M16A1, M16A2, HK33, T65, M162, M933, M715, HK416, 갈릴 AR / ARM / SAR (339), ACE-21~23 / 52 / 53, FNC | |||
저격소총 | M24 | ||||
투척물 | M18 연막탄, M67 세열수류탄 | ||||
<colbgcolor=#0047ab> 지원화기 | <colbgcolor=#0047ab> 기관총 | <colbgcolor=#0047ab> 다목적 기관총 | HK21, M60B / C / D / E2, MAG | ||
경기관총 | C7A1, M249, 미니미 | ||||
중기관총 | M2 브라우닝 | ||||
대전차화기 | 대전차 로켓 | RPG-7, M72A2 | |||
무반동포 | M40, M67 | ||||
곡사포 | M56 / 101 / 102, M114 | ||||
박격포 | M19, M29, M74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맨패즈 | 스트렐라-2, FIM-43 레드아이 | ||||
특수전 화기 | 돌격소총 | AK-47, AKM, MPi-KM, AUG A2, AUG A3 | |||
저격소총 | SVD, M21, 바렛 M82 | ||||
권총 | 글록 17, P226, P22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엘살바도르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 | 미국 | |||
남미 | |||||
서유럽 | |||||
''' 중부유럽 ''' | 독일 | 폴란드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슬로베니아 | 크로아티아 | ||
세르비아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 | |||
동유럽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 대한민국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싱가포르 | ||||
''' 남아시아 '''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
''' 중앙아시아 ''' | |||||
서아시아 | 이란 | ||||
''' 오세아니아 ''' | |||||
아프리카 | }}}}}}}}} |
[1] 30인치 두께의 강철판도 뜷어버릴거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