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1 21:11:44

윈체스터 M1897

Model 1897
Winchester Model 1897
윈체스터 모델 1897
파일:external/www.imfdb.org/WinchesterM1897.jpg
표준 모델.
파일:external/blog.cheaperthandirt.com/M97Trench-gun.jpg
트렌치 건 모델.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산탄총
원산지
[[미국|]][[틀:국기|]][[틀:국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897년~현재
개발 존 브라우닝
개발년도 1897년
생산 윈체스터 리피팅 암즈
노린코 (복제품)
생산년도 1897년~1957년 (M1897)
1912년~1964년 (M1912)
생산수 1,024,700정 (M1897)
2,000,000정 (M1912)
사용국
[[미국|]][[틀:국기|]][[틀:국기|]]
사용된 전쟁 미국-필리핀 전쟁
멕시코 국경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베트남 전쟁
기종
원형 윈체스터 M1893
파생형 및 개량형 M1912
제원
탄약 12게이지 2¾인치 혹은 2⅝인치[1]
16게이지
20게이지 (M1912)
28게이지 (M1912)
급탄 5~6발 관형탄창[2]
작동방식 펌프액션
총열길이 510mm
전장 1,000mm
중량 3.6kg
유효사거리 20m }}}}}}}}}
1. 개요2. 상세3. 개량형4. 트렌치 건 (Trench Gun)5. 기타6. 미디어에서의 등장
6.1. 영화6.2. 게임6.3. 그 외
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hickok45의 리뷰 영상
미국의 펌프액션 산탄총. 존 브라우닝이 개발하고 윈체스터가 생산했다. 군대나 경찰, 사냥꾼까지 미국 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며 아직도 어디선가 사용되는 총. 레밍턴 M870이나 모스버그 590같은 현대 군대에서 사용하는 산탄총들에 비해 인지도는 밀리지만, 1, 2차 세계 대전, 베트남 전쟁 등지에 참전해서 인지도가 많이 쌓여있는 총기이기도 하다.

2. 상세

Forgotten Weapons의 M1893 및 M1897 리뷰 영상
지적되어 왔던 기존의 윈체스터 M1893을 개량한 것으로, 새로 추가된 것으로 슬라이드 잠금이 있다. 일종의 안전 장치로서 노리쇠가 확실하게 폐쇄되어야 공이가 뇌관을 치도록 해서 탄이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해머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슬램 파이어'라 불리는 작동 방식은 방아쇠를 당긴 채로 펌프질만 해주면 알아서 발사되어 속사가 가능하지만, 총에 무리가 갈 수 있다. 대강 이렇다.[3]

요즘의 산탄총과는 다르게 모델 1897에는 별도의 안전장치가 존재하지 않으며 모델 1912에 와서 방아쇠울에 추가되었다.

3. 개량형

파일:external/www.imfdb.org/Winchester_Model_1912.jpg
M1912
파일:external/media.liveauctiongroup.net/8787777_1.jpg
M12 트렌치 건
hickok45의 M1912 리뷰 영상
밖으로 노출된 해머를 총몸 안으로 집어넣어 오발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을 줄이고, 방아쇠울에 안전장치를 추가했다. M1897, 레밍턴 암즈사의 레밍턴 M10과 함께 참호전에 적합한 산탄총으로 지목되면서 총열 길이가 줄어들고 총열 방열판과 총검 등의 악세서리들을 부착할 수 있도록 M12 트렌치 건으로 개량되었다.

M1912의 경우 M1897보다 늦게 미군에 채용되었으나 제1차 세계대전 당시 평가를 위해 2만정 정도가 투입되는 것을 시작으로 M1897보다 오랜 기간 동안 사용되었으며, 특히 미 해병대가 주로 운용하였다.

4. 트렌치 건 (Trench Gun)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기 전에도 유명했던 산탄총이지만, 전쟁이 발발하면서 유럽으로 파병된 미 육군, 해병대원들의 손에 들려 사용됨으로서 더 많은 인기를 끌었다. 트렌치 건하면 보통 M1897이나 M1912가 떠오를 정도로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미군은 전쟁 3년 동안의 조사를 검토한 끝에, 짧은 거리에서 교전이 일어났던 참호전에서 근거리로 막강한 화력을 발휘할 수 있는 산탄총이 지목되면서 군의 요구에 따라 20인치 길이의 총열 위에 방열판을 추가하고 M1917 총검을 부착할 수 있도록 개량된, '트렌치 건' (Trench Gun)이 등장하였고, 다른 트렌치 건형 산탄총이나 반자동 산탄총인 Auto-5, 스프링필드 M1903의 소구경탄 사용 노리쇠인 페더슨 장비와 함께 기습이나 시가전, 일부 특수 작전, 전쟁 포로 관리, 기지 방어용으로 사용되는 등 미군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특히 M1897은 슬램파이어[4] 기능 덕분에 빠른 속사능력을 자랑했고 심지어는 아군 참호로 날아오는 독일군의 수류탄을 맞혀 공중 폭파해 격파시키는 사례도 있었다.[5][6]

한편, 독일군은 미군의 산탄총 사용을 무척이나 불쾌해했다. 이는 당시 산탄총에 대한 유럽인들의 부정적인 시선 때문으로, 독일을 포함한 당시 유럽인들은 산탄총을 동물 잡는 용도로만 쓰는 '사냥총' 으로 여기고 있었다. 오늘날 우리가 영화 속 살인마들이 전기톱이나 도축칼로 살인하는 것을 더욱 공포스러워 하는 것과 비슷한 이치인데, 짐승들이나 잡는 도축용 도구로 나와 내 전우들을 썰어버린다는 것에 불쾌함을 느끼는 것은 당연했을 것이다. 정작 푸줏칼이나 도축용 송곳, 도축용 뼈톱 등은 독일군이 반드시 격파해야 할 숙적으로 여긴 프랑스군에서 버젓히 근접무기로 썼다는 게 우스운 일이지만[7] 안그래도 머나먼 식민 개척지 출신의 미개인, 촌놈들이라는 시각이 존재했는데 산탄총으로 인해 미군에 대한 독일군의 인식은 더욱 나빠졌다.

어쨌든 독일이 불필요한 고통을 주는 비인도적 무기라며 외교적으로 항의하자 각국은 산탄총에 대해 다르게 해석하였다. 당시 미국 국무장관이었던 로버트 랜싱은 조심스레 관련 법률들을 검토하여 독일의 항의를 거부하였다. 당시 미군들은 "독가스나 비겁하게 처 싸지르고 화염방사기로 사람 화형시켜 죽이는 너희 훈족놈들이 그딴 개소리 씨부릴 처지가 되냐? ㅋ"[8]라는 반응이었다고 한다. 이에 열받은 독일군은 산탄총 사수를 포로로 취급하지 않고 즉결 처분을 내릴 정도[9]로 악랄한 무기로 취급했다. 영국이나 프랑스에서도 산탄총을 사용하기는 하였는데 대체로 민간에서 사용되었던 사냥용 쌍총신 엽총을 징발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5. 기타

트렌치 건의 방열판은 실은 열을 방출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단 착검 격투할 때 총신을 붙잡았다가 손이 데이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핸드가드의 역할이다. 또한 원래 총검 장착부가 없는 1897에 총검 장착부를 추가해주는 역할도 겸한다.

종전 후 총열이 짧은 모델은 폭동 진압용 단총[10]으로 판매되었고, 미국 전역의 경찰들이 이 산탄총으로 무장했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도 M1897이 소수가 사용되기는 하였지만 대부분은 개량된 윈체스터 M1912를 사용했다. 이후 6.25전쟁, 베트남전에서 사용되다가 노후화 문제로 레밍턴 M870이나 모스버그 500으로 교체되기 전까지 꽤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동사의 모델 1887과 함께 노린코에서 비허가 카피판을 제작해 생산중이며 캐나다 등 국가들에서 약 400불 정도의 가격에 판매중이다. 원가 절감을 위해서인지 총몸과 총열 분리(takedown)가 불가능한 형태로, 원본과 대부분의 부품이 호환되며 메이드 인 차이나답게 가성비가 좋다 vs 오작동이 심하다며 평가가 갈리는 중이다.

대한민국 해군 UDT가 예전에 사용한 적이 있다. 2019년경에도 해군 대형함선들에 '함내작전용'으로 몇정씩 비치되어 있으며, 공군 BAT팀도 이 산탄총을 운용하는 사진이 찍힌 적이 있었으나 현재는 베넬리와 베레타 산탄총으로 대체된 것으로 추정된다.[11]

여담으로 위의 총기제원에도 언급이 되어있지만 모 게임에서 묘사되는 것과는 달리 관형탄창에 들어가는 최대장탄은 6발로 약실에 한 발까지 합칠 경우 7발까지 장전이 가능하다. 다만 이렇게 억지로 욱여넣을 경우 튜브 내부의 스프링이 과압력 상태가 되어 펌프질 한 번에 두 발이 딸려올라가는 등[12] 급탄불량이 간혹 생겼기 때문에 일반적으론 5+1발을 장전하는게 권장된다.

튜브에 삽입된 탄이 많을수록 스프링의 복원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숙달된 사수의 경우 탄을 튜브에 꽂아넣는 순간의 저항감으로 내부에 몇 발이 있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

장전 해제 시 장전해놓은 탄약들을 일일이 빼내야하는 현대에 생산되는 산탄총들과는 다르게 한꺼번에 빼내는 기능이 있는데, 총몸 양쪽의 버튼을 누르면 튜브탄창의 스프링이 해제되어 탄약들을 밀어낸다.#

6. 미디어에서의 등장

제1차 세계 대전이나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미군이 나오고, 특히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산탄총을 사용한다면 열에 아홉은 방열판이 달린 M1897 트렌치 건 모델이 나온다.

6.1. 영화

6.2. 게임

6.3. 그 외

7. 둘러보기

미국-스페인 전쟁기의 미군 보병장비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0066a2> 미국-스페인 전쟁
미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0066a2> 볼트액션 소총 M1876, M1885, M1895, M1892, M1896, M1899
레버액션 소총 M1873, M1886, M1892, M1894, M1895
단발 소총 M1867, M1873, M1876, M1884, M1888, M1896
산탄총 M1878, M1893, M1897
권총 M1871/72, M1873, M1875, M1877, No.3, M878, .32 S&W No.2, M1889, M1890, M1892, M1898
지원화기 기관총 M1874, M1895
화포 M1875, Hotchkiss revolving cannon, M1897, Sims-Dudley Dynamite Gun
수류탄 Ketchum Grenade, Dynamite
냉병기 도검 M1860, M1872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근대 보병장비 }}}}}}}}}



제1차 세계 대전기의 연합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564d44> 제1차 세계 대전
연합군보병장비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러시아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개인화기 <colbgcolor=#564d44> 소총 <colbgcolor=#564d44> 볼트액션 리-메트포드, 리-네이비, 리-엔필드, P14, M1917 엔필드, 크로파첵 M1884, 르벨 M1886, 베르티에, K11, 베테를리 M1870/87, M1870/87/15, 모신나강, 베르단, 그라, 무라타, 카르카노, 크라그-에르겐센, 마우저 M1889, 마우저 M1893, 로스 소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레버액션 / 폴링ㆍ롤링ㆍ리프팅블록 / 트랩도어 스나이더 Mk.III, 레밍턴 롤링블럭, 크른카 M1867, 스프링필드 M1873, 마티니-헨리, 윈체스터 M1886, 윈체스터 M1892, 윈체스터 M1894, 윈체스터 M1895, 새비지 M99D
반자동 레밍턴 모델 8, M1907 SL, 뫼니에 M1916, RSC M1917, RSC 1918, M1903 Mk 1, 브리티쉬 1918 파콰르-힐, 류장군 소총E
자동 리베롤 1918E, 윈체스터 버튼 1917E, M1907/17, 체이-리고티E, 표도로프, M1918 브라우닝
기관단총 MAB 18, OVP 1918, 쇼샤-리베롤 기관단총E
산탄총 M1897, M1912, 레밍턴 모델 11, 레밍턴 M10, 셰그렌 산탄총, 스티븐스 M520
권총 리볼버 콜트 M1873, 엔필드 Mk.II, 웨블리, MAS 1873, 보데오 M1889, S&W M10, 웨블리-포스베리E, 콜트 M1901, Mle 1892, 26년식 권총, 나강 M1895, S&W M3, S&W 트리플 락, 콜트 M1909, M1917
자동권총 C96, 마스E, FN M1900, FN M1903, 콜트 M1903, 새비지 M1907, FN M1910, 웨블리 권총, 리센티 M1910, M1911, 루비, 스타 M1914, 베레타 M1915/17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마드센 M1902, 루이스, 호치키스 M1909, CSRG M1915, 휴오트E
중기관총 가드너, 맥심, M1895/14 콜트-브라우닝, 빅커스, 호치키스, 생테티엔 M1907, 38식 기관총, 3년식 기관총, 페리노 M1908, 피아트-레벨리 M1914, 빌라르-페로사 M15, M1917 브라우닝
박격포 2인치 중박격포,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유탄발사기 마티니 유탄발사기
유탄 No.1 수류탄, No.2 수류탄, 밀즈 수류탄, RG-14, F-1, Mk.1, Mk.2, Mk.3, 비방-베시에
경야포 빅커스 Q.F. Gun, Mk II, 37mm Mle 1916 보병포
냉병기 도검 구군도, M1902 세이버, U.S M1917 트렌치 나이프, U.S M1918 Mark I 트렌치 나이프
※ 윗첨자E: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무기체계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러시아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미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M1903, M1917, M70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M1941, M3 카빈, M1922, M1923, T1E3, M1940
자동소총 M1918A2, M1944, M2 카빈, M45A
기관단총 M1928A1, M1, M1A1, M2, M3, M42, M50, M55
산탄총 M97, M12, M520, M620, M37, M10, M31, M11, M720
권총 자동권총 M1903, M1907, M1911A1, HDM
리볼버 S&W M&P, M1909, M1917, M1927
단발식 권총 FP45, SAC-46
조명탄 권총 M2, AN-M8, Mk.III, M5
지원화기 기관총 M1917/18, M1917A1, M1919A4/A6, M1941, M2
대전차화기 보이스 Mk I, M1, M9, M18, M20
화염방사기 M1, M1A1, M2
박격포 M1, M2
폭발물 수류탄 Mk.2, Mk.3, No.75
총류탄 M1, M2, M7, M8
화학탄 M18, M7A3, M14, M25
지뢰 대인지뢰 M2, M3
대전차지뢰 M1, M5
폭약 M1, M1, M1A1, M2A3, M37, M039
도검 단검 및 총검 M1905, M1, M1917, M1918, M3
예도 M1902*
취소선 :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 : 몇몇 자료에서는 M1907이라고 표기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파일:미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냉전기
미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M1903A1/A4, M1917, M70, M4, MA-1, M40/M40A1, M24 SWS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M21 SWS
자동소총 M1918A2, M2, M3, M1946, AR-10B, M14, M15, 스프링필드 SPIW, AAI SPIW, 올린-윈체스터 SPIW, H&R SPIW, M16, Mk.I A, GAU-5, M16A1, AR-18, GUU-4/P, XM19, XM70, SBR, LMR, M231, M16A2, M16A2E2, 슈타이어 ACR, 아레스 ACR, AAI ACR, MDHC ACR, G11K2
기관단총 M1928A1, M1A1, M3, M3A1, M6, TRICAP
산탄총 M12, M11-48, M37, M870, M1100, M1200, M500, M520, M590, H&K CAWS, AAI CAWS, S&W CAWS, 판코르 잭해머, SPAS-16, MIWS
컴비네이션 건 M6
권총 리볼버 M10, M13, M1909, M1917, M1927, M15
자동권총 M1903, M1911A1, M9, XM10, M1971, TZ-75, 루거 P85, FN BDA
기관권총 SCAMP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249
다목적기관총 M1919A4/A6, M37, M73, M60, M134, M240, XM214
중기관총 M1917A1, M2, M2HB, EX-17, M85, GAU-19
유탄발사기 M79, X-1, XM148, M203, M75, M129, Mk.18, Mk.19, Mk.20, T148E1, XM174
로켓발사기 M20, M72 LAW, M202 FLASH, Mk.153, RAW
미사일발사기 MGM-21, MGM-32, FIM-43, M47, BGM-71, FIM-92
무반동총 M18, M20, M28, M29, M67, M40, M136
화염방사기 M2, M9A1-7
박격포 M2, M19, M29, Mk.2, Mk.4, M224, M252
특수전 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M500, RC-50, M86, M88
반자동소총 G3/SG1, M82
자동소총 CAR-15, XM177E1, XM177E2, M653, M723, M733
기관단총 M76, MAC-10, MPL, MPK, UZI, M635, MP5A3, MP5SD3, MP5-N, MP5SD-N, HK54A1, SMG I/II
권총 리볼버 M66, QSPR, M686, GS32-N
자동권총 HDM, 루거 Mk.1/Mk.2, Mk.22, PPK, P9S-N, P11, M45, P226
산탄총 마스터키, M7180, M7188
기관총 Mk.23, EX-27, HK21, HK23A1
폭발물 수류탄 Mk.2, Mk.3, M26, M67, V40
총류탄 M7
화학탄 M7A3, M14, M18, M25, M34
지뢰 M14, M15, M16, M18A1, M19
폭약 M1, M1A2, M1A3, M2A4, M3A1, M37, M039, M112, M118, M183
냉병기 총검 M6, M7, M9
단검 Gerber Mk II, Ka-Bar USMC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베트남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파일:미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베트남 전쟁
미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M1903, M40, M70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XM21, M21
자동소총 M1918A2, M2 카빈, M14, M16, XM16E1, CAR-15, GAU-5, XM177E1, XM177E2, M16A1, T223
기관단총 M1A1, M3A1, MP40, MAC-10, UZI, M/50, M76, m/45, PM12, 스텐 Mk.IIS
산탄총 M12, M37, M520, M77E, M870, Auto-5, M11-48, M1100, M1200, M7188, SOW
권총 M1903, M1907, M1911A1, M1917, M1927, PPK, 브라우닝 하이파워, HDM, 루거 Mk.1, M15, Mk.I B, QSPR, Mk.22
지원화기 기관총 M1917A1, M1919A6, M37, M73, Mk.23, M60, M134, HK21, HK23A1, M2HB
유탄발사기 M79, 차이나 레이크, X-1, XM148, XM174, M203, M75, M129, Mk.18, Mk.19, Mk.20
대전차화기 M20, M72, M18, M20, M67, M40, XM26
화염방사기 M2, M9, XM191
박격포 M2, M19, M29, M30, Mk.2, Mk.4
맨패즈 FIM-43
폭발물 수류탄 Mk.2, Mk.3, M26, M67
화학탄 M7A2, M14, M18, M25A2, M34
지뢰 M14, M16, M18A1
폭약 M1, M1A2, M2A4, M3A1, M039, M112, M118, M37, M183
냉병기 단검 Gerber Mk II, Ka-Bar USMC
총검 M6, M7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캐나다군 보병장비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캐나다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MLM Mk.II, 리-엔필드 No. III/No. 4 Mk.I, 로스 Mk.III, M1917 엔필드
반자동소총 M1 카빈
레버액션 소총 윈체스터 M1894
기관단총 톰슨 M1928A1, 톰슨 M1A1, 스텐 Mk.II/III/V, M50 레이징
산탄총 M1897, M37
권총 웨블리 Mk.VI,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1A1, S&W 빅토리 모델, 트리플 락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루이스 Mk.III/IV, 브렌 Mk.III/IV, M1918 브라우닝, M1941 존슨
중기관총 빅커스 Mk.I, 브라우닝 M1917, 브라우닝 M1919, Mk.II
대전차화기 보이스 Mk.I/II, PIAT, M9
화염방사기 2형 휴대용 화염방사기
박격포 오드넌스 SBML 2인치, 오드넌스 SBML 3인치
유탄 밀즈 No.36M, Mk.2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브라질군 보병장비
파일:브라질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009c3b> 2차 세계대전
브라질군의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009c3b> 볼트액션 소총 M1908, M1903, Vz.24, Vz.33, FN M24
반자동소총 M1 카빈
기관단총 MP18, 톰슨 기관단총, M50, M3
산탄총 M1897, Auto-5, M37
권총 P08, M1911, M1917, 브라우닝 하이파워
지원화기 기관총 <colbgcolor=#009c3b> 경기관총 마드센 경기관총, M1909, M1918
중기관총 MG08, M1914, M1917, M1919, M2
대전차화기 M1, M18
화염방사기 M2 화염방사기
유탄 Mk.2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필리핀군 보병장비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FFFFFF> 2차 세계대전
필리핀군의 보병장비
개인화기 볼트액션 소총 M1899, M1893,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M1903, P14, M1917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M42, M3
산탄총 M1897, M1912, Auto-5
권총 26년식 권총, 남부 권총, M1911, M1917, 웨블리 리볼버
지원화기 기관총 <colbgcolor=#ff0000>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M1918
중기관총 M1895, 3년식 기관총, 92식 중기관총, M1917, M1919, M2
대전차화기 바주카
화염방사기 M1, M1A1, M2 화염방사기
유탄 91식 수류탄, 10식 수류탄, 97식 수류탄, Mk.2
박격포 M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대한민국 군경의 보병장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냉전기
대한민국 군경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M1903, M1917, 대한식 소총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자동소총 M1918A2, M2 카빈, M14, M16A1, K2, MX 소총
기관단총 톰슨 M1928A1, M1A1, M3, M3A1, K1, K1A
산탄총 S&W M916TG, M1200TG, 스티븐스 67/77TG, FABARM SDASS(초기형)TG
권총 자동권총 M1911A1, K5
리볼버 M1917,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CAL-38, M10 M&PP, M19P, M36P
지원화기 기관총 M1917A1, M1919A4, M1919A6, M73, M60, M2, K6, M134C
유탄발사기 M7, M8, M79, M203, K201, 페더럴 37mm 최루탄 발사기TG
대전차화기 M9, M20, M20A1K, M18, M20, M67, M40, M72 LAW, K.LAW, BGM-71
화염방사기 M2, KM202A1
박격포 M1, M2, M29, KM29A1, KM181, KM187, M2, KM30
견인포 M101A1, M101A2, M114, M59,KH178, KH179
맨패즈 재블린 지대공미사일
유탄 MK2, MK3A2, M67, K75, K400
지뢰 M14, M15, M16, M18A1, M19
특수전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SSG 69, 마우저 SP66
반자동소총 PSG1P
자동소총 CAR-15, XM177
기관단총 UZI, Mini UZI, MAC-10, MAC-11, MP5A3, MP5SD3
권총 PPK, 베레타 92SB, 92F, P7M13P, M459
산탄총 M1897, M1912, M870
냉병기 도검류 신군도, 경찰도, 30년식 총검, KM7, KCB-77
TG: 경찰이 시위 진압을 위한 최루탄 발사용으로 사용
P: 군 이외의 경찰이나 대통령경호실 등이 사용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 대한민국 군경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현대의 대한민국 국군 / 경찰 보병장비




돌격​소총 <colbgcolor=white,#191919>M16A1, K2, K2C1, K11
저격​소총 K14, M107A1-CQ
기관단총 K1A
산탄총 M4 슈퍼 90EOD, 스트라이커EOD, M3 슈퍼 90BAT, M1200BAT, 베레타 686BAT, M1897, M1912, USAS-12

자동​권총 M1911A1, K5, KP-52P, DH-380P
리볼버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CAL-38, M10P, M64P, M15P, M67P, M19P/M66P, M60P, M36P, STRV9P
총검 KM7, M9P





경​기관총 K3, K15
다목적 기관총 M60, K16, M134, PKT
중​기관총 M2, K6, NSVT
유탄발사기 M79, M203, K201, K4
대전차화기 M72 LAW, 판처파우스트 3, 90mm 무반동총, 106mm 무반동총, BGM-71, 메티스-M, 현궁, 스파이크
박격포 KM181, KM187, KMS114, KM30
견인포 M101A1, M101A2, KH179
맨패즈 재블린, 스팅어, 이글라, 미스트랄, 신궁
수류탄 K75, K400, K413, MK3A2
지뢰 M14, M15, M16, M18A1, M19




소​총 돌격​소총 HK416, HK416A5, SCAR-L, SIG516, CAR816, M4A1P, DD Mk.18P, SR-16, KAC KS-3, M6P, ARADP, K2C, AK-47C, 56식 자동소총C, AK-74C
저격​소총 SSG 69, SSG 3000, M700 AICS, AW, AWSM, AW50, APR308, TRG M10, LRT-3, PSG1, MSG90, Mk.11 SWS, M110 SASS, G28E, DD5V1, M107A1, PSLC
기관단총 K7, K13, MP5A5, MP5SD6, MP5K, MP9, APC9K PRO, DSMG9P, X95 9mm SMG, DSAR-15PC, Vz.61C
산탄총 M870P, M870 MCS, KSG, UTS-15, M590P, M4 슈퍼 90P
권총 G17, G19, G26, 베레타 92(SB/F), P7M13P, USP9T, P2000P, P226, CZ75 P01Ω, 제리코 941FL, Px4 스톰P, M&P9P, SFP9P, TT-33C
특수화기 APS, KSPW, M32 MGL
총검 KCB-77
의장 M1 개런드, M16A1, K2C1, M14US
※ 윗첨자P: 경찰/해양경찰/대통령경호처에서만 운용
※ 윗첨자BAT: 공군 B.A.T 팀에서 일부 사용
※윗첨자EOD: 군 폭발물처리반에서 제한적으로 사용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윗첨자US: 한미연합사 의장대에서 무상대여로 운용
※ 윗첨자C: 적성화기
K1A, DSAR-15PC는 국방규격 상 기관단총으로 분류
}}}}}}}}} ||



보병 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파일:윈체스터 리피팅 암즈 로고.svg 윈체스터 리피팅 암즈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ffffff,#000> 윈체스터 리피팅 암즈 제품 라인업
소총 <colbgcolor=#ffffff,#000> 단발 M1885
레버액션 헨리 소총 · M1866 · M1873 · M1886 · M1892 · M1894 · M1895
볼트액션 리-네이비 · M1917 엔필드 · M70
반자동 / 자동 M1907 SL · M1917 · M1 카빈 · SPIW
산탄총 M1887 · M1897 (M1912) · M1911 · M1200 · 리버레이터
탄환 .223 Winchester SSM · .300 Winchester Magnum · .338 Winchester Magnum · .40 S&W
관련 인물: 올리버 윈체스터
}}}}}}}}}}}} ||


[1] 3인치 이상의 매그넘 산탄은 장전이 불가능하다. 이는 개량형인 모델 1912도 해당되는 사항이며, 억지로 장전 후 발사시 총이 폭발할 수도 있다.[2] 아래의 hickok45 할아버지의 영상에선 일반적인 2.75인치 샷쉘로 6+1발을 장전한다. 그러나 다 넣었을 때 가끔 오작동이 일어난다. 웹에선 보통 5+1을 넣는다고 통용되거 있다.[3] 아카데미 에어코킹건 중에도 슬램파이어 기능을 가진 제품들이 많다.[4] 방아쇠를 누른 상태에서 장전하면 바로 발사된다.[5] 원래 사냥용으로도 사용되는 산탄총 특성상 탄만 맞으면 나는 새도 떨어뜨린다는 걸 고려하면 불가능한 일은 아니지만, 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8발들이 벅샷으로 주먹만한 쇳덩이를 정확하게 맞춘다는 것은 정말 어지간히 어렵다. 슬램파이어 기능의 상당한 속사능력을 보여주는 사례인 셈이다.[6] 단발 사격만으로 1차 대전의 막대형 수류탄을 격추하는 영상. 처음에는 자주 놓쳤지만, 익숙해지면서 성공률이 높아지는데 슬램파이어로 연발로 했다면 이보다 더 격추하기 쉬웠을 것이다.#[7] 프랑스군은 보불전쟁의 뿌리 깊은 원한으로 옳고 그르고 따질 정신이 없었다. 가령 프랑스식 참호는 빠르게 설치해 다음 공격까지 총포탄 피하는 기능만을 고려한 단순한 형태였기에, 각 맞추고 철제 슬레이트로 보강하고 배수로 파고 이런저런 용도의 개별 공간까지 마련한 요새 형태의 독일식이나 나무 판자나 통조림/레이션 캔, 철판, 모래주머니, 함석판 등으로 보강한 영연방/미국식보다 방어력과 거주성 모두 한참 열악했으며 그냥 길쭉한 거대한 구덩이나 다름없던 제정 러시아식보다 간신히 나은 수준이었다. 다만 이는 1915년에 한정된 것으로 전쟁이 길고 지루해지고, 서로의 참호를 뺏고 빼앗기면서 참호 파는 방식은 수렴진화하게 된다. 거기에 동부전선은 참호 파기에는 너무 넓어서 대충 지은 점도 있다.[8] 1899년 헤이그 육전 조약에 따라 포탄에 독가스를 실어 사용하는 것은 금지되었다. 하지만 독일은 드럼통에 독가스를 넣고 풍향에 맞춰 연소시키는 방식으로 살포하였고, 협상국도 독가스를 사용하자 얼마 안 가서는 다시 독가스가 담긴 가스드럼을 포탄으로 쏘게 되었다. 살상용 독가스를 편법으로 사용했으니 상식이 있는 사람이면 저렇게 반응할 만하다.[9] 그러나 미국도 이에 대해서 반발하였고 '산탄총 사수를 즉결 처분할시 보복함'을 독일 외교부에 공식 문서로 전달하였고, 당시 유럽 전선 총사령관이었던 존 퍼싱 장군도 보복 조치로 화염방사기 사수와 기관단총 사수를 즉결 처형하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그래서 실제 즉결 처형 사례는 없었다.[10] 군용 트렌치 건과는 차이점이 있다. 총열 방열판과 총검 부착 기능이 사라지고 이 중 몇몇은 끈 고정대가 있었다.[11] 방열판과 총검 장착대가 달려 있는 트렌치 건 사양이었다.[12] 더블 피드라고도 하며, 탄창 속 스프링의 문제 등으로 인해 자동권총 및 소총, 산탄총 등 탄창을 사용하는 화기류에서 일어날 수 있는 대표적인 급탄불량이었다.[13] 실제로 이 영화가 흥행할 당시 많은 사람들이 이 산탄총을 이사카 M37이나 레밍턴 M870으로 혼동하곤 했다.[14] 배우는 톰 시즈모어[15] 대략 중장거리에서 헤드샷을 쏘면 한방에 보낼 정도다![16] 웬만한 소총 장전시간만큼 빠르다.[17] 방열판과 총검 부착대가 없는 일반형 모델이다.[18] 조약 자체는 준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