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대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미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M1903, M1917, M70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M1941, M3 카빈, | |||||
자동소총 | M1918A2, | |||||
기관단총 | M1928A1, M1, M1A1, | |||||
산탄총 | M97, M12, M520, M620, M37, M10, M31, M11, M720 | |||||
권총 | 자동권총 | M1903, | ||||
리볼버 | S&W M&P, M1909, M1917, M1927 | |||||
단발식 권총 | FP45, SAC-46 | |||||
조명탄 권총 | M2, AN-M8, Mk.III, M5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7/18, M1917A1, M1919A4/A6, M1941, M2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Mk I, M1, M9, M18, M20 | |||||
화염방사기 | M1, M1A1, M2 | |||||
박격포 | M1, M2 | |||||
폭발물 | 수류탄 | Mk.2, Mk.3, No.75 | ||||
총류탄 | M1, M2, M7, M8 | |||||
화학탄 | M18, M7A3, M14, M25 | |||||
지뢰 | 대인지뢰 | M2, M3 | ||||
대전차지뢰 | M1, M5 | |||||
폭약 | M1, M1, M1A1, M2A3, M37, M039 | |||||
도검 | 단검 및 총검 | M1905, M1, M1917, M1918, M3 | ||||
예도 | M1902* | |||||
※ ※ * : 몇몇 자료에서는 M1907이라고 표기함.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세계 대전의 보병장비 둘러보기 | ||||
제1차 세계 대전 | 연합군 | 동맹군 | ||
적백내전 | 적군 | 백군 | ||
차코 전쟁 | 파라과이 | 볼리비아 | ||
스페인 내전 | 공화군 | 국민군 | ||
<colbgcolor=#3d3137> 제2차 세계 대전 | 연합군 | 추축군 | ||
미국 | 소련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영국 | 프랑스 공화국 | 이탈리아 왕국 | 헝가리 왕국 | |
중화민국 | 폴란드 공화국 | 불가리아 왕국 | 핀란드 공화국 | |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 | 캐나다 자치령 | 스웨덴 왕국 | 스위스 연방 | |
호주 | 뉴질랜드 | 루마니아 왕국 | 오스트리아 | |
남아프리카 연방 | 유고슬라비아 왕국 | 크로아티아 독립국 | 알바니아 | |
벨기에 왕국 | 그리스 왕국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
네덜란드 왕국 | 덴마크 왕국 |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 | |
노르웨이 왕국 | 이집트 왕국 | 이라크 왕국 | 이란 제국 | |
브라질 합중국 | 몽골 인민 공화국 | 몬테네그로 | 스페인국 | |
네팔 왕국 | 에티오피아 제국 | 만주국 | 몽강국 | |
멕시코 | 영국령 인도 제국 | 버마국 | 러시아 해방군 | |
튀르키예 | 폴란드 지하국 | 슬로바키아 공화국 | 필리핀 공화국 | |
체트니크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난징 국민정부 | 자유 인도 임시정부 | |
아일랜드 | 포르투갈 | 비시 프랑스 | 태국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근대(~1914),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