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l 50 Reising Model 50 레이징 모델 50 | |||
<nopad> | |||
M50 | |||
<nopad> | |||
M55 | |||
<nopad> | |||
M60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기관단총 반자동소총 (M60, M65, MC-58) | ||
원산지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41년~1975년 | ||
개발 | 유진 레이징 | ||
개발년도 | 1940년 | ||
생산 | 해링턴 & 리처드슨 | ||
생산년도 | 1941년~1945년 | ||
생산수 | 약 120,000정 | ||
단가 | 50$ (1941년) | ||
사용국 |
| ||
사용된 전쟁 | 제2차 세계 대전 후크발라합 반란 말라야 비상사태 코스타리카 내전 베트남 전쟁 도미니카 내전 | ||
기종 | |||
파생형 | M55 M60 M65 MC-58 | ||
세부사항 | |||
탄약 | .45 ACP .22 Long Rifle(M65, MC-58) | ||
급탄 | 12/20발 들이 박스 탄창[1] 10발 들이 박스 탄창(M65, MC-58) | ||
작동방식 | 지연 블로우백 폐쇄형 노리쇠 | ||
총열길이 | 279mm(M50) | ||
전장 | 895.35mm 565.15mm(M55 개머리판 접었을 때) | ||
중량 | 3.1kg(M50) 2.8kg(M55) | ||
발사속도 | 550RPM(M50) 500RPM(M55) | ||
탄속 | 280m/s | ||
유효사거리 | 50m | ||
최대사거리 | 274m | }}}}}}}}} |
1. 개요
Forgotten Weapons의 레이징 M50 리뷰 및 사격 영상 | |
Forgotten Weapons의 M55(좌) / M60(우) 리뷰 영상 |
2. 상세
제2차 세계 대전이 한창이던 무렵이라 당시 미군에서 널리 쓰이던 톰슨 기관단총과 경쟁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톰슨에 비하자면 훨씬 더 저렴하고 단순한 구조로, 클로즈드 볼트식이었으므로 단발 명중율도 좋았다. 또 무게는 요즘의 H&K MP5에 비견할 정도로 톰슨에 비해 훨씬 가볍고 크기도 작아 다루기도 쉽다는 장점 역시 있었다.형태를 보자면 흡사 소드 오프 샷건처럼 만든 M1 카빈 같아 보이기도 하는데 실제로도 애초에는 경량화된 반자동소총으로 만들었다가 기관단총 형태로 개조된 물건이다.
1941년에 미국 육군이 전쟁을 앞두고 도입을 위해 시험해봤지만, 하필 테스트용으로 받은 물건이 불량품이라 문제가 발생한 터라 사지 않았다. 좀 무겁긴 해도 톰슨이란 이미 걸출한 물건이 있는지라 아쉬울 것도 없었고... 대신 전시상황이라 무기가 부족한 탓에 상대적으로 보급이 열악한 미국 해군과 미국 해병대에서 아쉽게나마 대용품으로 채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
M55를 들고 있는 병사 |
결국 1943년경쯤 되면 대부분이 M1 카빈과 톰슨 등으로 대체되었으나 총 한 자루가 귀한 전시상황인지라 제조는 1945년까지 계속되어 약 10만 정 넘게 생산되었다. 대다수가 2차 대전 때 쓰였으며 남는 물건들은 주로 렌드리스로 소련 등 다른 나라에 가거나 경찰용으로 쓰였다.
Forgotten Weapons의 MC-58 리뷰 영상. 한글 자막 있음. |
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메달 오브 아너: 퍼시픽 어썰트 - M55가 등장한다.
- 인리스티드 - M50과 M55가 등장한다.
- Days Gone - M50이 등장한다.
- Marauders - M50이 등장한다.
- Men of War - M50이 등장한다.
- Squad 44 - M50과 M55가 등장한다.
- U-571 - M55가 등장한다.
4. 둘러보기
제2차 세계대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미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M1903, M1917, M70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M1941, M3 카빈, | |||||
자동소총 | M1918A2, | |||||
기관단총 | 톰슨 M1928A1, M1, M1A1, | |||||
산탄총 | M97, M12, M520. M620, M37, M10, M31, M11, M720 | |||||
권총 | 자동권총 | M1903, | ||||
리볼버 | S&W M&P, M1909, M1917, M1927 | |||||
단발식 권총 | FP45, SAC-46 | |||||
조명탄 권총 | M2, M8, Mk.III, M5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7/18, M1917A1, M1919A4, M1919A6, M1941, M2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Mk I, M1, M9, M18, M20 | |||||
화염방사기 | M1, M1A1, M2 | |||||
박격포 | M1, M2 | |||||
폭발물 | 수류탄 | Mk.2, Mk.3, No.75 | ||||
총류탄 | M1, M2, M7, M8 | |||||
화학탄 | M18, M7A3, M8, M14, M25 | |||||
지뢰 | 대인지뢰 | M2, M3 | ||||
대전차지뢰 | M1, M5 | |||||
폭약 | M1, M1, M1A1, M2A3, M37, M039 | |||||
도검 | 단검 및 총검 | M1905, M1, M1917, M1918, M3 | ||||
예도 | M1902* | |||||
※ ※ * : 몇몇 자료에서는 M1907이라고 표기함.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캐나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캐나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LM Mk.II, 리-엔필드 No. III/No. 4 Mk.I, 로스 Mk.III, M1917 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카빈 | ||||
레버액션 소총 | 윈체스터 M1894 | ||||
기관단총 | 톰슨 M1928A1, 톰슨 M1A1, 스텐 Mk.II/III/V, M50 레이징 | ||||
산탄총 | M1897, M37 | ||||
권총 | 웨블리 Mk.VI,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1A1, S&W 빅토리 모델, 트리플 락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루이스 Mk.III/IV, 브렌 Mk.III/IV, M1918 브라우닝, M1941 존슨 | ||
중기관총 | 빅커스 Mk.I, 브라우닝 M1917, 브라우닝 M1919, Mk.II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Mk.I/II, PIAT, M9 | ||||
화염방사기 | 2형 휴대용 화염방사기 | ||||
박격포 | 오드넌스 SBML 2인치, 오드넌스 SBML 3인치 | ||||
유탄 | 밀즈 No.36M, Mk.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브라질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009c3b> 2차 세계대전 브라질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009c3b> 볼트액션 소총 | M1908, M1903, Vz.24, Vz.33, FN M24 | |||
반자동소총 | M1 카빈 | ||||
기관단총 | MP18, 톰슨 기관단총, M50, M3 | ||||
산탄총 | M1897, Auto-5, M37 | ||||
권총 | P08, M1911, M1917, 브라우닝 하이파워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009c3b> 경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M1909, M1918 | ||
중기관총 | MG08, M1914, M1917, M1919, M2 | ||||
대전차화기 | M1, M18 | ||||
화염방사기 | M2 화염방사기 | ||||
유탄 | Mk.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소련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겨울전쟁 및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1891/30, M1938, М1944 | |||
레버액션 소총 | M1895 | |||||
반자동소총 | SVT-38, SVT-40, | |||||
자동소총 | 표도로프 자동소총, AVS-36, AVT-40, | |||||
기관단총 | ||||||
권총 | M1895, M1921, TK, TT-30, TT-33, M1911L | |||||
지원화기 | 기관총 | PM M1910/30, 맥심-토카레프, DP-28, DPM, DT, DTM, ShKAS, DShK, DS-39, | ||||
대전차화기 | RPG-40, PTRD-41, PTRS-41, VPGS-41, RPG-43, RPG-6, | |||||
화염방사기 | ROKS-2, ROKS-3 | |||||
박격포 | 37mm VM-37, 50mm RM-38/40, 82-BM/PM-36/37/41/43 | |||||
유탄 | RG-14/30, RGD-33, F-1, 댜코노프 총류탄, RG-42 | |||||
지뢰 | PMD-6M, PMD-7, PMD-57, POMZ-1 | |||||
냉병기 | M1927, M1942 | |||||
※ 윗첨자L : 무기대여법으로 지원받음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냉전기의 파나마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파나마 방위군(1952~1989) Fuerzas de Defensa de Panamá | ||||
개인화기 | 권총 | M10-2, 콜트 오피셜 폴리스, M1911A1, 하이파워, TEC-9 | |||
기관단총 | M1928A1, M3A1, M50, UZI, MAC-10 | ||||
산탄총 | M870 | ||||
소총 | 자동소총 | M2 카빈, AK-47, AKM, M16A1, T65, FAL, MPi-KMS-72 | |||
반자동소총 | 브레다 PG, M1 개런드, M1 카빈, M21 SWS, SVD | ||||
볼트액션 소총 | M1893, M1903, M1917 엔필드, M24 | ||||
지원화기 | <colbgcolor=#072357> 기관총 | <colbgcolor=#072357> 경기관총 | M1918A2, MG42, MAG, M60 | ||
중기관총 | M1917A1, M1919A4, M2 브라우닝, ZB-53 | ||||
유탄 발사기 | M79, M203, HK69 | ||||
대전차 화기 | 무반동포 | 52식 무반동포, M67 | |||
대전차 로켓 | RPG-2, RPG-7, RPG-18, M20A1B1, LRAC F1 | ||||
박격포 | M2, M29, M30, MO-120-RT | ||||
유탄 | Mk.2, RGD-5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당시의 영연방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영연방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SMLE No.1 Mk.III, No.4 Mk.I, No.5 Mk. I, 드 라일 카빈, 스프링필드 M1903A3 | |||
반자동소총 | M1 카빈, M1A1, L1A1 | ||||
기관단총 | 톰슨 M1928A1, M1A1, 스텐 Mk.II, Mk.V, L2A1, 오웬 Mk.I, M50, M55, M3, M3A1, M/50 | ||||
산탄총 | L32A1 | ||||
권총 | 웨블리 Mk.IV, S&W M&P,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03,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루이스 경기관총, 브렌, 빅커스 Mk.I, 브라우닝 M1917A1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Mk.II | ||||
유탄 | 밀즈 No.36M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반영 민족해방전쟁기의 말라야 공산당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반영 민족해방전쟁 말레이시아 해방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f2023>리-엔필드, M.95,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모신나강, Gew88, Gew98, Kar98k, M1903A3 | ||
반자동소총 | M1, M1A1 | ||||
자동소총 | AK-47 | ||||
기관단총 | 100식 기관단총, 스텐 Mk.II, Mk.V, 스털링 기관단총, M50, M55, M1928A1, M1A1, PPSh-41 | ||||
산탄총 | Auto-5 | ||||
권총 | 웨블리 리볼버,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1A1, TT-33, C96, P08, P38 | ||||
지원화기 | 기관총 | 11년식 경기관총, 92식 중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 |||
척탄통 | 10식 척탄통, 89식 척탄통 | ||||
유탄 | 밀즈 수류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