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18:36:05

92식 중기관총

Type 92 Heavy Machine Gun
九二式重機関銃
92식 중기관총
파일:92식 중기관총.jpg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중기관총
원산지
[[일본 제국|]][[틀:국기|]][[틀:국기|]]
{{{#!folding 【펼치기 · 접기】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32년~1950년대
개발 난부 키지로
개발년도 1932년
생산 히타치 병기
생산년도 1932년~1941년
1941년~1945년 (1식)
생산수 45,000정
사용국
[[일본 제국|]][[틀:국기|]][[틀:국기|]]

[[중국|]][[틀:국기|]][[틀:국기|]]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북한|]][[틀:국기|]][[틀:국기|]]

[[태국|]][[틀:국기|]][[틀:국기|]]

[[베트남|]][[틀:국기|]][[틀:국기|]]
사용된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국공내전
6.25 전쟁
베트남 전쟁
기종
파생형 1식 중기관총
세부사항
탄약 7.7×58mm 아리사카
급탄 30발들이 보탄판
작동방식 가스 작동식
오픈 볼트
총열길이 721mm
589mm (1식)
전장 1,156mm
1,077mm (1식)
중량 27.6kg, 55.3kg (삼각대 포함시)
15kg, 31kg (1식. 삼각대 포함시)
발사속도 400~450RPM
탄속 800m/s
770m/s (1식)
유효사거리 800m (1식) }}}
1. 개요2. 소개3. 역사 및 특징4. 1식 중기관총5.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5.1. 게임5.2. 영화 & 드라마
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해당 기관총의 야전분해 영상[1]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실사격 영상
[ruby(九二式重機関銃, ruby=きゅうにしきじゅうきかんじゅう)] (92식 중기관총)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 사용된 일본군중기관총.

2. 소개

3년식 기관총의 개량형으로 종래의 6.5 mm탄의 위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7.7 mm로 구경을 확대한 기관총이다. 생산수는 4만 5천여문 정도로, 동시대의 서구 군대들에 비하면 적다.

3년식과 마찬가지로 벨트식 탄띠가 아니라 장탄수 30발의 딱딱한 보탄판으로 급탄되는데, 이것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프랑스군이 사용한 호치키스 기관총이나 제2차 세계 대전의 이탈리아군이 사용한 브레다 M37과 유사한 방식이다.

3. 역사 및 특징

만주 사변 등을 통해 기존에 사용하던 38식 소총3년식 기관총의 6.5 mm 아리사카탄의 위력이 실전에서 쓰기에는 너무 약하다는 사실을 깨달은 일본 군부는 더 큰 구경의 고위력 탄약을 쓰는 개량형을 모색하기 시작한다. 일본군의 소구경 화기 설계를 독점하다시피 한 난부 키지로(南部麒次郎) 중장이 개발한 3년식 기관총은 11년식 경기관총과는 달리 기계적으로는 큰 하자가 없었기 때문에, 구경의 증가에 따른 공랭식 총열의 과열 문제를 막기 위한 개량 및 발사 속도의 조정, 기타 편의 장치의 추가 등을 기본 방향으로 잡고 개발을 시작한다. 설계 자체는 비교적 빠른 시간에 완료되었지만, 신형 탄약 개발이 지지부진하여 채택이 늦어졌다.

3년식 기관총의 모체가 된 Mle 1914 호치키스 기관총은 총열 교환이 불가능한 탓에 장시간 지속사격시 총열이 과하게 과열된다는 약점이 있었다. 3년식을 통해 공랭 기관총의 운용 경험을 축적한 일본 육군은 총열에 방열핀(cooling fins)을 증설하고 발사 속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과열 문제를 해결했다.[2]

사용 탄약으로는 기존의 6.5×50mmSR에서 당시 서구 열강의 표준에 맞춰 7.7mm×58SR 규격으로 구경과 길이를 늘린 92식보통실포(九二式普通実包)를 채택함으로써 관통력과 유효 사거리를 늘렸다. 1문당 운용 및 정비 인력이 워낙 많았던 덕에 야전에서의 신뢰도도 다른 일본군 화기에 비하면 그럭저럭 높은 편이었고, 함께 지급되는 4배율의 전용 광학조준기를 사용할 경우 1 km 내외의 거리에서도 정확하게 사격할 수 있었다. 또 포물선을 그리는 탄도의 낙차가 상당히 큰 탓에 숙련된 사수라면 언덕 등의 지형지물이나 참호로 엄폐되어 있는 적을 향해 마치 박격포를 쏘듯이 매우 위협적인 간접 사격을 가하는 일조차 가능했다.

92식 중기관총은 분당 400~450발 정도의 느린 발사 속도로 인해 태평양 전선의 미군에게 '딱따구리(Woodpecker)'라는 별명을 얻었지만, 그 덕에 탄약 소비도 줄고 지속 사격 능력도 소폭 상승했다. (일본측의 문서에서는 보탄판의 특성상 잔탄이 줄어들수록 발사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딱따구리'라고 불렀다고 강변하는 경우도 가끔 볼 수 있지만, 복수의 연합군 장병들이 증언했듯이 마치 도끼로 나무를 찍는 듯한 92식 특유의 느리고 둔탁한 발사음 탓에 그런 별명이 붙었다고 보는 쪽이 훨씬 자연스럽다.)

여담이지만 일본 육군은 1차대전 이전에 이미 맥심과 호치키스 두 기관총을 모두 접했는데, 그들이 호치키스를 사용하기로 한 이유는 호치키스가 그들의 구미에 더 맞았던 부분이 있다. 일본군은 러일전쟁의 전훈으로 고정 진지에 거치된 수랭식 중기관총의 위력을 충분히 알고 있었고, 실제로도 빅커스 중기관총의 복제품을 제조해서 만주-러시아 국경의 토치카에 배치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대규모 보병 병력을 도보로 이동시키는 기동타격(?) 전술을 중시하는 일본 육군의 교리에 육중한 무게와 덩치로 인해 도수 운반이 힘든 맥심 기관총은 적합하지 않았다. 그 대신 개발자인 난부 키지로(南部麒次郎)가 주목한 것은 수랭식에 비하면 그나마 가벼운 공랭식 총열이 달려있고, 거치적거리는 긴 벨트식 탄띠 대신 금속제 막대에 20발에서 30발의 실탄을 끼운 보탄판으로 급탄하는 호치키스 계열의 기관총이었다.[3] 참고로 92식의 3각대를 보면 각각의 다리 끄트머리 부분에 도수 운반용의 전용 목제 핸들을 끼울 수 있는 구멍이 있는데, 이 핸들을 사용하면 무게가 30kg에 육박하는 3각을 부착한 상태에서도 인력에 의한 장거리 이동뿐만 아니라 전투시의 신속한 단거리 운반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92식의 낮은 발사 속도와 낙차가 큰 탄도는 1km 내외의 원거리에서는 충분히 위협적이었지만 발사 속도가 느리고 연사 능력도 30발에 불과한 탓에 근거리에서 맹렬한 제압 사격을 퍼붓는 데는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근거리와 중거리의 화력 지원에는 박스 탄창식의 96/99식 경기관총이 동원되었지만, 나쁘지 않은 조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지형을 교묘하게 이용한 진지 방어전 등의 특수한 예를 제외하면) 압도적인 화력과 물량을 보유한 미군 상대로는 열세를 면치 못했다.[4]

내부 기구는 3년식을 답습한 탓에 여전히 탄피에 기름칠을 해 줘야 했고, 오염에도 그리 강하지 않았다. 그러나 92식은 일본 육군의 가장 중요한 무기 중 하나였기 때문에 종전시까지도 예외적으로 높은 수준의 품질 관리가 이루어졌고, 그런 이유에서 같은 시기의 다른 무기들처럼 조악한 상태의 것은 거의 없다.

92식 중기관총은 보병대대에 속한 중기관총 중대에서 운용되었다. 중기관총 중대는 보통 4개소대로 편셩되고, 1개소대는 2개 기관총 분대로 나뉘어진다. 각 기관총 분대에는 사격과 정비와 수송을 맡은 20여명의 분대원 및 수송용 마필들과 함께 중기관총 1문씩이 배치된다. 따라서 1개 보병대대는 이론상으로는 총 8개분대 8문의 중기관총을 보유하며, 전투시에는 1개 소총소대당 1문 또는 1개 보병중대당 2문 꼴로 92식의 화력지원을 받는다. 1문당 지급되는 탄약수는 9600여발이다.

7.7mm 구경의 탄약 통일을 위해 신형 탄약인 99식보통실포(7.7mm×58)가 개발된 뒤에는 92식 기관총도 이 탄약을 썼지만, 탄피 테두리의 형상 탓에 오직 92식 중기관총에만 쓸 수 있는 구식 92식보통실포(7.7mm×58SR)도 재고를 소진하기 위해 여전히 쓰였다.[5]
파일:japanese2.jpg
파일:동대문경찰서 92식.png
이오지마에서 노획한 92식 중기관총을 사용하는 미 해병대 해방 이후 92식 중기관총을 거치해놓은 동대문경찰서 경찰들

4. 1식 중기관총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Japanesetype1heavymachinegun.jpg

[ruby(一式重機関銃, ruby=1식 중기관총)]

태평양 전쟁이 진행되면서 보병중대의 화력 부족을 절실히 느낀 일본 군부에 의해 개발된 기관총으로, 대대급의 둔중한 후방 지원 화기였던 92식 중기관총을 대체하기 위해 경량화하고 간략화해서 생산한 물건이다. 운용 개념상으로는 칼라시니코프 계열의 PK 기관총이 등장하기 전의 러시아군의 중(中)기관총 내지는 중대 기관총에 가깝다고 볼 수도 있는데, 보급 편의를 위해서 처음부터 99식 소총 및 99식 경기관총의 사용탄인 7.7mm×58 규격의 99식 보통실포를 쓰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보탄판 등의 기본 메커니즘은 92식을 답습했던 탓에 발사 속도나 화력 부족 문제는 여전했고, 그 결과 1식 중기관총은 전선에 극히 소수가 배치되는데 그쳤다.[6]

5.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5.1. 게임

5.2. 영화 & 드라마

파일:external/www.imfdb.org/LfIJ-Type92HMG.jpg}}} ||
파일:external/www.imfdb.org/LfIJ-Type92HMG1.jpg
||

6.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일본군 보병장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736942> 중일전쟁제2차 세계 대전
일본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736942> 소총 <colbgcolor=#736942> 볼트액션 소총 13년식 소총, 30년식 소총, 35년식 해군총,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99식 소총, 99식 저격총, 100식 소총, 1식 소총, 2식 소총, 모식 소총, 이식 소총
반자동소총 갑형 자동소총, 을형 자동소총, 병형 자동소총, 4식 자동소총
기관단총 M1927 기관단총, 1형 기관단총, 2형 기관단총, 100식 기관단총, 베식 기관단총, MAB 38
권총 26년식 권총, 남부 권총, 15년식 권총, 스기우라식 권총, 하마다식 권총, 90식 신호권총, 94식 권총, 해군 4식 더블배럴 산탄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92식 7.7mm 기총, 시제 1식/3식 경기관총
중기관총 3년식 기관총, 92/1식 중기관총, 93식 중기관총, 89/97식 고정 기관총, 98식 중기관총, 97식 중기관총, 98/1식 선회 기관총, 99식 기총
대전차화기 97식 자동포, 4식 7cm 분진포, 5식 8cm 분진포, 99식 파갑폭뢰, 갈고리 폭탄, 자돌폭뢰
화염방사기 93식 소화염발사기, 100식 화염발사기
척탄통 및 박격포 10식 척탄통, 89식 척탄통, 97식 곡사보병포, 94식 90mm 박격포, 96/97식 150mm 박격포
유탄 91식 파쇄 수류탄, 10식 파쇄 수류탄, 수류탄/일본군, 100식 총류탄발사기, 2식 총류탄발사기
냉병기 군도 일본 군도(구군도/신군도), 30년식 총검, 35년식 총검
취소선 : 실전에 투입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만주군 보병장비
파일:만주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Flag_of_Manchukuo_WarFlag_And_Naval_Ensign.svg.png 만주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88식 소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38식 기병총, 44식 기병총, 모식 소총, 13식 소총
기관단총 MP18, EMP35
권총 C96, M900, M1900, M1910, P08, 26년식 권총, 94식 권총, 남부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1
지원화기 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Vz.26, 3년식 기관총, 92식 중기관총
유탄 10식 척탄통
냉병기 군도 일본 군도(구군도/신군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몽강국군 보병장비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파일:Menjiang_Flag_(1936)_svg.png 몽강국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88식 소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기관단총 MP18, M1920
권총 26년식 권총, 마우저 C96, 남부 권총, 루거 P08
지원화기 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Vz.26, 92식 중기관총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인도 국민군 보병장비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인도 국민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리-엔필드, 38식 소총, 99식 소총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100식 기관단총
권총 웨블리 리볼버, M1911A1, 남부 권총, 94식 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빅커스 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92식 중기관총
유탄 밀즈 수류탄, 97식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제2차 세계대전기의 필리핀군 보병장비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FFFFFF> 2차 세계대전
필리핀군의 보병장비
개인화기 볼트액션 소총 M1899, M1893,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M1903, P14, M1917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M42, M3
산탄총 M1897, M1912, Auto-5
권총 26년식 권총, 남부 권총, M1911, M1917, 웨블리 리볼버
지원화기 기관총 <colbgcolor=#ff0000>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M1918
중기관총 M1895, 3년식 기관총, 92식 중기관총, M1917, M1919, M2
대전차화기 바주카
화염방사기 M1, M1A1, M2 화염방사기
유탄 91식 수류탄, 10식 수류탄, 97식 수류탄, Mk.2
박격포 M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태국군 보병장비
파일:태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태국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45식 소총, 66식 소총, 99식 소총, 리-엔필드
반자동소총 M1 카빈
기관단총 MP18, 100식 기관단총
권총 남부 권총, M1911
지원화기 경기관총 66식 경기관총, M1918 브라우닝, 브렌 경기관총
중기관총 92식 중기관총, M1917 브라우닝, 빅커스 기관총
대전차화기 97식 자동포
박격포 10식 척탄통
유탄 91식 파쇄 수류탄, 10식 파쇄 수류탄, 97식 파쇄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반영 민족해방전쟁기의 말라야 공산당 보병장비
파일:말라야 공산당기.pn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반영 민족해방전쟁
말레이시아 해방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f2023>리-엔필드, M.95,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모신나강, Gew88, Gew98, Kar98k, M1903A3
반자동소총 M1, M1A1
자동소총 AK-47
기관단총 100식 기관단총, 스텐 Mk.II, Mk.V, 스털링 기관단총, M50, M55, M1928A1, M1A1, PPSh-41
산탄총 Auto-5
권총 웨블리 리볼버,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1A1, TT-33, C96, P08, P38
지원화기 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2식 중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척탄통 10식 척탄통, 89식 척탄통
유탄 밀즈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6.25 전쟁의 북한군 및 인민지원군 보병장비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6.25 전쟁
조선인민군, 인민지원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30년식 소총,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99식 소총, 모신나강, 한양 88식C, 24식 보총C, 81식 마병총C, Kar98kC, Vz.24C. 스프링필드 M1903C. M1917 엔필드C
반자동소총 SVT-40, SKS
자동소총 AVS-36C
권총 남부 권총, 나강 M1895, C96, TT-33, 발터 P38, 루거 P08C
기관단총 PPSh-41, 49식 기관단총, 50식 기관단총, PPS-43, 봉천 2형 기관단총C, 36식 기관단총C, M1921C, M1928A1C, M1A1C, MP34C, 스텐 기관단총C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1식 경기관총, 89식 기관총, 96식 경기관총, 99식 경기관총, DP-28, DPM, Vz.26, Vz.30
중기관총 92식 중기관총, 97식 중기관총, 24식 중기관총, PM M1910, DT, DTM, DShK, SG-43, KPV, MG34C
대전차화기 PTRD-41, PTRS-41, RPG-43, 52식 무반동포C
화염방사기 ROKS-3
박격포 27년식 척탄통C, 82-PM-37, 120-PM-43
유탄 F1 수류탄, RGD-33, RG-42
지뢰 목함지뢰, POMZ-1
※ 윗첨자C: 중공군이 사용
취소선 : 사용 여부에 논란이 있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군의 운용장비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인민군(월맹군) 보병장비
파일:베트남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6e8b3d> 베트남 전쟁
베트남 인민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6e8b3d> 소총 <colbgcolor=#6e8b3d> 볼트액션 소총 M1886F, M1902F, MAS-36F, K-44, 38식 소총J, 99식 소총J, Kar98kF, 88식 소총
반자동소총 SKS, SVT-40, SVD, Vz.52, MAS-49F
자동소총 AK-47, 58식 보총, K-56, K-63L, AKM, Vz.58, StG44L, FG42L
기관단총 K-50M, PPSh-41, 50식 기관단총, PPS-43, Vz.25, M1928A1, M1A1, 마드센 M/50, M56, PM-63, Vz.61, 100식 기관단총J, MAS-38F, MAT-49F, MP40F
권총 K-54, K-59, CZ52, C96, APSL, 나강 M1895, 남부 권총J, MAB 모델 DF, MAC M1950F, P-64, 67식 권총L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호치키스 M1922F, 11년식 경기관총J, 96/99식 경기관총J, DP-28, RP-46, Vz.26/30, FM 24/29F, 브렌 경기관총, RPD, Vz.59, 67식 기관총, RPKL, PK, PKML
중기관총 호치키스 M1914F, 24식 중기관총, DTM, M1910/30, MG34, MG42, SG-43, 92식 중기관총J, DShK, KPV
대전차화기 PIATF, B-40/50, B-41, B-10, B-11, SPG-9, 54식 무반동포, 자돌폭뢰J
화염방사기 LPO-50
박격포 10식 척탄통J, 89식 척탄통J. 50-PM-40, 82-PM-41, 53식 박격포, 120-PM-43, 55식 박격포
유탄 10식 수류탄J, 91식 수류탄J, 97식 수류탄J, 1식 수류탄, RGD-33, RG-42, RPG-43, RGD-5
지뢰 POMZ-1, POMZ-2
※ 윗첨자J/F: 일본/프랑스군으로부터 노획
※ 윗첨자L: 제한적 사용
※ ''기울임체'': 소련으로부터 지원받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보병 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1] 해당 영상의 6분 경에 총열을 분리하는 장면이 나온다.[2] 설계 자체는 3년식에서 이미 완성되었던 터라, 92식은 기존 3년식 기관총의 방열판을 개량하기만 하면 됐다. 92식의 총열은 필요하다면 공구 등을 써서 야전에서도 교환 가능하지만, 사격이 불가능할 정도로 과열되는 일은 없었으므로 전투 교환이 아닌 야전 정비 개념이다.[3] 다만 호치키스는 이 당시 이미 관절식 탄띠가 있었고, 특허 문제 때문에 보탄판을 고집한 것은 아니다. 자세한 부분은 보탄판 문서 참조.[4] 태평양 전쟁 당시 미군은 이미 대구경 중기관총인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을 중대 단위로 배치했고, 소대에서도 수랭식 M1917 중기관총을 사용했으며, 분대 자동화기로는 브라우닝 자동소총을 지급했다. 일본군과 유사하게 브렌 경기관총빅커스 중기관총의 조합을 유지했던 영국군의 경우에도, 부대당 기관총의 수와 탄약의 보급량에서는 일본군을 압도했다.[5] SR은 탄피 바닥의 테두리가 탄피 직경보다 조금 더 튀어나온 세미림드(semi-rimmed) 형상임을 의마하며, 테두리가 없는 림리스(rimless) 타입의 99식 보통실포를 쓰는 99식 소총과 99식 경기관총에는 사용할 수 없다.[6] 반면 전시중에 99식 경기관총의 연장선상에서 개발된 시제 1식 경기관총의 경우, 일부 시제품이 탄창이 아닌 보탄판을 써서 화력 증대를 꾀한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1식 중기관총과 운용 사상이 겹치면서도 개념상으로는 다목적기관총(GPMG)에 접근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