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l 1923 Thompson Rifle, Model 1923 톰슨 모델 1923 소총 | |||
| |||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반자동소총 | ||
원산지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23년~1929년 | ||
개발 | 존 T. 톰슨 | ||
개발년도 | 1923년 | ||
세부사항 | |||
탄약 | .30-06 스프링필드 7.62×54mmR .276 페더슨 (모델 1929) | ||
급탄 | 5, 10, 20발 클립 및 박스 탄창 | ||
작동방식 | 인터럽티드 스크류 지연 블로우백 | ||
총열길이 | 610mm | ||
전장 | 1,274mm로 추정[1][2] | ||
중량 | 5.3kg | ||
유효사거리 | 450m | }}}}}}}}}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반자동소총.
1920년대 미국 국방부는 기존의 스프링필드 M1903을 대체하기 위해서 새로운 반자동 소총 채택계획을 수립했는데 미국 내에서는 존 C. 개런드와 존 페더슨, 그리고 존 톰슨이 참여하였고 이어서 해외인 체코와 덴마크, 프랑스, 독일 등 여러 국가가 참여하였다.
테스트 과정에서 톰슨의 소총은 지나치게 긴 총몸과 생각보다 복잡한 내부구조 때문에 테스트에서 떨어졌다.
후반 테스트에서 개런드의 개런드 소총과 페더슨의 페더슨 소총이 남았고 최종적으로는 개런드의 소총이 채택되었다.
위 Thompson Rifle, Model 1921, 아래 개런드 소총 23년 프로토타입 버전
Thompson Rifle, Model 1929 7x51mm .276 페더슨 탄 버전
2. 참조
참조1참조2
참조3
참조4
3. 둘러보기
제2차 세계대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미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M1903, M1917, M70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M1941, M3 카빈, | |||||
자동소총 | M1918A2, | |||||
기관단총 | M1928A1, M1, M1A1, | |||||
산탄총 | M97, M12, M520, M620, M37, M10, M31, M11, M720 | |||||
권총 | 자동권총 | M1903, | ||||
리볼버 | S&W M&P, M1909, M1917, M1927 | |||||
단발식 권총 | FP45, SAC-46 | |||||
조명탄 권총 | M2, AN-M8, Mk.III, M5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7/18, M1917A1, M1919A4/A6, M1941, M2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Mk I, M1, M9, M18, M20 | |||||
화염방사기 | M1, M1A1, M2 | |||||
박격포 | M1, M2 | |||||
폭발물 | 수류탄 | Mk.2, Mk.3, No.75 | ||||
총류탄 | M1, M2, M7, M8 | |||||
화학탄 | M18, M7A3, M14, M25 | |||||
지뢰 | 대인지뢰 | M2, M3 | ||||
대전차지뢰 | M1, M5 | |||||
폭약 | M1, M1, M1A1, M2A3, M37, M039 | |||||
도검 | 단검 및 총검 | M1905, M1, M1917, M1918, M3 | ||||
예도 | M1902* | |||||
※ ※ * : 몇몇 자료에서는 M1907이라고 표기함.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