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em; letter-spacing: -0.5px" | <colbgcolor=#eee,#2d2f34> | 서부·북부 | 중부 | 대서양 | |||||
원주민 | 캐나다 원주민 (퍼스트 네이션 · 이누이트 · 메티스) | ||||||||
프랑스령 | 캐나다 원주민 | 루퍼츠랜드 | 누벨프랑스 (아카디아) | 뉴펀들랜드 식민지 | |||||
영국령 | 영국령 북아메리카 | 퀘벡 | 노바스코샤 |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 |||||
어퍼캐나다 | 로어캐나다 | 뉴브런즈윅 | 노바스코샤 | ||||||
브리티시컬럼비아 식민지 | 캐나다 | ||||||||
자치령 | 캐나다 자치령 | ||||||||
캐나다 자치령 | 뉴펀들랜드 자치령 | ||||||||
캐나다 자치령 | |||||||||
현대 | 캐나다 |
캐나다 자치령 Dominion of Canada Dominion du Canada | ||||
[[틀:깃발|대영제국의 자치령 ]][[틀:깃발| ]][[대영제국| ]] | ||||
| | |||
<rowcolor=#fff> 국기 (1957-1965)[1] | 국장 (1957-1982)[2] | |||
A mari usque ad mare 바다에서 바다로 | ||||
1867년 7월 1일~1931년 12월 11일 / 1982년 4월 17일 | ||||
<rowcolor=#fff> 성립 이전 | 캐나다법 발효 이후 | |||
영국령 캐나다 | 캐나다 | |||
상징 | ||||
국가 | The Maple Leaf Forever (단풍잎이여 영원하라)[3] | |||
O Canada | Ô Canada (오 캐나다)[4] | ||||
왕실 찬가 | God Save the King/Queen (하느님, 국왕/여왕 폐하를 지켜주소서)[5] | |||
역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자치령 선포[6] 1867년 7월 1일 매니토바주 가입, 노스웨스트 준주 창설[7] 1870년 7월 15일 브리티시컬럼비아주[8] 가입 1871년 7월 20일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 가입 1873년 7월 1일 북극 제도 노스웨스트 준주 편입 1880년 7월 31일 유콘 준주 창설[A] 1898년 6월 13일 서스캐처원주, 앨버타주 가입[A] 1905년 9월 1일 웨스트민스터 헌장 비준[11] 1931년 12월 11일 뉴펀들랜드주[12] 가입 1949년 3월 31일 캐나다법 발효[13] 1982년 4월 17일 | }}}}}}}}} | ||
지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ff><colcolor=#da291c> 위치 | 북아메리카 | ||
수도 | 오타와 | |||
최대 도시 | 토론토 | |||
접경국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덴마크| ]][[틀:국기| ]][[틀:국기| ]](그린란드) | }}}}}}}}} | ||
인문 환경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ff><colcolor=#da291c> 민족 | 캐나다인, 영국인, 프랑스인, 아메리카 원주민 | ||
공용 언어 | 영어, 프랑스어[14] | |||
공용 문자 | 로마자 | |||
종교 | 가톨릭, 개신교 등 | }}}}}}}}} | ||
정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ff><colcolor=#da291c> 정치체제 |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영연방 왕국 | ||
국가원수 | 국왕 (명목상) 총독 (사실상) | |||
정부수반 | 총리 | }}}}}}}}} | ||
경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ff><colcolor=#da291c> 경제체제 |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
통화 | 캐나다 달러(CA$) | }}}}}}}}} | ||
외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ff><colcolor=#da291c> 대한 수교 | 대한민국: 1963년 1월 14일 북한: 미수교 | ||
유엔 가입 | 1945년 11월 9일 | }}}}}}}}} |
위치 |
|
[clearfix]
1. 개요
캐나다 자치령은 1867년 3월 29일 영국 의회에서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British North America Act)이 통과됨에 따라 온타리오, 퀘벡, 뉴브런즈윅, 노바스코샤가 연합해 캐나다 연방 회의(Canadian Confederation)를 거쳐 캐나다 자치령(Dominion of Canada)으로 출범한 것이 시작이며, 1949년에 마지막으로 뉴펀들랜드 자치령이 가입하여 현재의 영토가 완성되었다.1982년에는 캐나다 법(Canada Act)이 통과되어, 영국 의회의 간섭 없이 헌법을 수정할 수 있는 고도의 주권이 성문법적으로도 보장되었다. 최종적으로 캐나다는 1982년 독립하여 완전한 주권국이 된다. 다만, 'Dominion of Canada'라는 국호를 폐기하는 법령이 제정된 적은 없기에, 형식적으로 현재의 캐나다와 캐나다 자치령은 사실상 같은 국가이다.
2. 역사
1800년대 들어 미국이 발전하면서 영국은 캐나다 지역이 미국에 합병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식민지의 행정, 정치, 경제적 통합에 나섰다. 이에 따라 퀘벡, 온타리오, 뉴브런즈윅, 노바스코샤의 4개 주로 이루어진 캐나다 자치령이 1867년 형성되었다.
영국 정부가 희망했던 것은 영국령 북아메리카(캐나다 전역) 전체가 하나로 통합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서로 다른 경위로 구성된 캐나다주(온타리오, 퀘벡)와 뉴브런즈윅, 노바스코샤,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 뉴펀들랜드는 서로 다른 이해관계를 보여 제대로 된 통합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나 캐나다의 식민지인들은 미국이 미국-멕시코 전쟁을 벌이고 명백한 운명 등의 주장을 하는 걸 보고 점차 위협을 느끼기 시작했다. 미국이 엄연한 주권국 멕시코도 찍어누르고 땅을 뺏고 그것을 명백한 운명으로 정당화하는 것을 보면서 자신들도 멕시코와 똑같은 신세가 되리라는 생각을 한 것이다. 더군다나 남북 전쟁이 일어나면서 일부 북군의 아일랜드인 병사들이 영국령 캐나다에 침입해 난동을 피운 것을 계기로 영국령 북아메리카 식민지 통합이 급물살을 타기 시작한다. 1864년에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 정부가 있는 샬럿타운에서 영국령 북아메리카 식민지 정부 대표들이 모여 통합을 논의했고 마침내 캐나다주, 뉴브런즈윅, 노바스코샤는 통합에 합의를 보았다.
1867년에 영국 의회에서 영국령 북아메리카법 (British North America Act of 1867)이 통과해 대영제국 최초의 자치령인 캐나다 자치령(Dominion of Canada)이 설립되었다. 상류와 하류 캐나다가 각각 온타리오와 퀘벡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고, 온타리오, 퀘벡, 뉴브런즈윅, 그리고 노바스코샤 식민지들을 통합해 캐나다라는 이름의 체계적인 대영제국의 자치령으로 승격해 영국 정부의 허가 아래 헌법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통합된 각 식민지 정부는 자치령 휘하의 주 정부가 되어 상당한 자치권을 가졌다. 캐나다는 이때부터 실질적인 국가가 되었으며 법안이 통과된 7월 1일이 현재 캐나다의 건국을 기념하는 국가 공휴일인 캐나다의 날(Canada Day)로 지정되어 있다. 캐나다 자치령은 1870년에 허드슨 만 회사가 동인도회사처럼 통치하고 있던 서부 내륙 루퍼츠랜드를 허드슨 만 회사에게서 사들였고,[15] 1871년에는 브리티시컬럼비아, 1873년에는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가 연방에 가입하였다. 캐나다는 서부 개척을 시도하여 영토와 인구를 늘리면서 독자적인 발전을 시도했다. 메티스인들과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매니토바주가 창설되고, 서부 내륙의 인구가 늘어나면서 서스캐처원, 앨버타주가 창설되었다. 영국령 북아메리카 식민지 중 하나였던 뉴펀들랜드 자치령은 캐나다와의 통합을 거부하고 별도의 자치령으로 승격했다가 이런저런 과정을 통해 1949년에 가입하여 현재의 캐나다 영토가 완성되었다.
한편 미영전쟁 이후 캐나다와 미국의 관계는 다시 회복되기 시작하였으며 1800년대 초반에는 캐나다 서부에서도 골드러시가 일어나 많은 미국인들이 캐나다로 건너왔었다. 1800년대 후반 부터는 미국의 캐나다보다 훨씬 빠른 산업화로 인해 더욱 더 많은 캐나다 사람들이 미국으로 이주하기 시작하였으며, 1870년대에는 캐나다 인구의 약 1/6이 미국으로 이주한 적도 있다. 또한 캐나다에서는 라디오를 통한 미류 열풍이 불어 대부분의 캐나다 라디오 방송 시간을 미국 노래들이 차지하게 되었으며 이 현상이 얼마나 심했던지 캐나다 정부는 캐나다의 예술문화 발전 대책 마련을 위한 여러 협회들과 위원회들을 만들고 캐나다 최초의 방송국을 개국하였는데 이것이 현재 캐나다의 유명한 공영방송인 CBC의 시초이다. 그와 더불어 이때부터 여러 미국 기업들이 캐나다에 진출하여 캐나다 시장에서 점유율을 넓혀가기 시작했다.
한편 캐나다는 1867년 자치령 출범 이후 지속해서 자치권을 얻어왔다. 특히 1931년에 영국 의회에서 웨스트민스터 헌장이 체결됐는데, 캐나다는 당해 헌장을 비준하여 군사권과 외교권까지 완전히 얻게 되었고, 이후 영국과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하여 1982년에 캐나다법(Canada Act 1982)이 공포되어 영국에게서 완전히 독립하게 되었다.
3. 둘러보기
[[틀:대영제국의 식민지| 대영제국의 식민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왕령 식민지 Crown Colonie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버지니아 · 뉴욕 · 매사추세츠만 · 뉴햄프셔 · 뉴저지 · 노스캐롤라이나 · 사우스캐롤라이나 · 조지아 · 동플로리다 · 서플로리다 · 뉴아일랜드 · 퀘벡 · 하 캐나다 · 상 캐나다 · 밴쿠버 섬 · 노바스코샤 · 캐나다 연합 · 브리티시컬럼비아 · 뉴펀들랜드 · 바하마 · 버뮤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사이프러스 · 지브롤터 · 몰타 · 헬리골란드 · 아크로티리 데켈리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해협식민지 · 아덴 식민지 · 싱가포르 · 말라카 · 홍콩 · 거문도 · 라부안 · 딘딩 · 피낭 · 북 보르네오 · 사라왁 · 실론 · 버마 · 인도양 지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뉴사우스웨일스 · 빅토리아 · 태즈메이니아 · 퀸즐랜드 ·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 뉴질랜드 · 노퍽 섬 · 코코스 제도 · 크리스마스 섬 · 피지 · 길버트 엘리스 제도 · 투발루 · 길버트 제도 · 핏케언 제도 · 뉴 헤브리디스 공동통치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케이프 · 나탈 · 트란스발 · 오렌지 강 · 시에라리온 · 골드코스트 · 아샨티 · 나이지리아 · 남나이지리아 · 라고스 · 바수톨란드 · 베추아날란드 · 케냐 · 감비아 · 모리셔스 · 세이셸 · 세인트헬레나 · 남로디지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포클랜드 · 자메이카 · 영국령 온두라스 · 케이맨 제도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세인트 크리스토퍼 네비스 및 앵귈라 · 몬트세랫 · 바베이도스 · 영국령 기아나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앤티가 · 도미니카 · 그레나다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 빈센트 · 트리니다드 토바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영국령 남극 지역 · 호주령 남극 지역 · 로스 속령 | }}} | |
※ 왕령 식민지 Crown Colony는 1982년 법령 개정에 따라 영국 속령 British Dependent Territory으로 명칭이 바뀌었고, 이후 2002년 다시 명칭을 영국 해외 영토 British Overseas Territories로 개정하여 현재에 이른다. | |||||||||||||||||||||
보호령 Protectorate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바베이도스 · 모스키토해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사이프러스 · 몰타 · 이오니아 제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아덴 보호령 · 남아라비아 보호령 · 남아라비아 토후국 연방 · 남아라비아 연방 · 몰디브 · 시킴 · 시스-수틀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토켈라우 · 파푸아 · 쿡 제도 · 길버트 엘리스 제도 · 영국령 솔로몬 제도 · 니우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영국령 소말릴란드 · 스와질란드 · 베추아날란드 · 니아살란드 · 감비아 · 우간다 · 동아프리카 · 케냐 · 시에라리온 · 앵글로-이집트 수단 · 북로디지아 · 바로첼란드 · 북나이지리아 · 남나이지리아 · 나이지리아 · 골드코스트 북쪽 영토 · 이집트 헤디브국 · 이집트 술탄국 · 월비스베이 · 잔지바르 | }}} | |||||||
보호국 Protected State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네팔 · 부탄 · 티베트 · 아프가니스탄 · 페르시아 · 몰디브 · 북보르네오 · 브루나이 · 사라왁 · 무스카트-오만 · 말레이 연합주 (파항 · 스름반 · 페락 · 슬랑오르) · 말레이 비연합주 (조호르 · 크다 · 클란탄 · 프를리스 · 트렝가누) · 말라야 연방 · 바레인 · 쿠웨이트 · 카타르 · 트루셜 스테이트 · 네지드-하사 · 네지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통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스와질란드 · 이집트 왕국 | }}} | |||||||||||||
Indian Empire | |||||||||||||||||||||
British India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마드라스 · 벵갈 · 코로만델 및 벵갈 · 봄베이 · 서부(수라트) · 아그라 · 해협식민지 · 페르시아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나그푸르 · 델리 · 동벵갈 및 아삼 · 아그라 · 아삼 · 벵갈 · 버마 · 상부 버마 · 하부 버마 · 비하르 오리사 · 비하르 · 오리사 · 중부주 · 중부 및 베라르주 · 베라르 · 연합주 · 영국령 인도 연합주 · 아그라-아우드 연합주 · 마드라스 · 신드 · 아주머-멀와라 · 안다만니코바르 제도 · 영국령 발루치스탄 · 코그 · 판트-피플로다 · 펀자브 · 서북변경주 · 서북주 · 아덴 · 소말릴란드 | }}} | ||||||||||||||||
Princely State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네팔 왕국* · 하이데라바드 번왕국 · 잠무-카슈미르 번왕국 · 마이소르 왕국 · 베나레스국 · 트라방코르 왕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괄리오르의 2개 번왕국 · 라지푸타나의 23개 번왕국 · 발루치스탄의 3개 번왕국 · 벵갈의 30개 번왕국 · 중부 인도의 148개 번왕국 · 동부 인도의 42개 번왕국 · 마드라스의 5개 번왕국 · 펀자브의 45개 번왕국 · 아삼의 26개 번왕국 · 연합주의 2개 번왕국 · 중부주의 15개 번왕국 · 봄베이의 354개 번왕국 · 서북변경주의 5개 번왕국 · 길기트의 2개 번왕국 · 콜라푸르와 데칸의 18개 번왕국 · 구자라트와 바로다의 43개 번왕국 · 서부 인도의 263개 번왕국 · 버마의 52개 번왕국 | }}} | ||||||||||||||||
* 네팔 왕국은 1923년까지 영국령 인도 제국 정부에게 외교권을 통제당하여 외무는 오로지 영국 통감(British resident)에 의해 행사되었지만, 다른 토후국들과는 달리 내부 행정에 대해서는 완전한 독립을 유지하였던 보호국이었다. 그러나 완전히 독립한 1923년 이전까지는 간혹 인도 제국의 토후국 목록에 이름을 올리기도 하였다. Imperial Gazetteer of India(1909) | |||||||||||||||||||||
자치령 Dominions | |||||||||||||||||||||
캐나다 · 호주 · 뉴질랜드 · 뉴펀들랜드 · 남아프리카 · 아일랜드 · 인도 · 파키스탄 · 실론 · 피지 · 가나 | |||||||||||||||||||||
* 로디지아는 일방적으로 식민지 남로디지아가 자치령을 선포한 것으로, 영국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 |||||||||||||||||||||
조차지 Concessions | |||||||||||||||||||||
홍콩 · 신까이 · 상하이 · 톈진 · 웨이하이웨이 · 한커우 · 광저우 · 전장 · 샤먼 · 텅충 | |||||||||||||||||||||
국제연맹 위임통치령 League of Nations Mandates | |||||||||||||||||||||
팔레스타인 (트란스요르단) · 메소포타미아 · 탕가니카 · 서카메룬 · 토골란드 · 뉴기니 · 나우루 · 사모아 · 남서아프리카 | |||||||||||||||||||||
괴뢰국 Puppet States | |||||||||||||||||||||
이라크 왕국 · 이란 제국* | |||||||||||||||||||||
* 이란 제국은 1941년 대영제국과 소련의 페르시아 침공 협공으로 점령되어, 영소군 각각이 각 점령지에 주둔하였고 또한 각각의 점령지를 통치하는 분할 통치가 이뤄졌다. | |||||||||||||||||||||
군정 Military Administrations | |||||||||||||||||||||
오가덴 · 에리트레아 · 소말릴란드 · 리비아 |
<colbgcolor=#536349>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국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관련 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국 | |
<colbgcolor=#002664> 협상국 | ||
유럽 | | |
아시아 | | |
북아메리카 | | |
남아메리카 | | |
아프리카 | | |
오세아니아 | | |
동맹국 | ||
유럽 | | |
아시아 | | |
아프리카 | | |
주요 국가 + 괴뢰국 · 종속국 | }}}}}}}}} |
[1] 영국의 민간 상선기인 Red ensign에 국장에 있는 방패를 추가하여 국기로 사용했다. 1965년 2월 15일 이후로는 현재 캐나다의 국기를 사용했다.[2] 1957년부터 1994년까지 사용한 국장이다.[3] 주로 영국계 캐나다인들이 국가처럼 사용했다.[4] 1939년부터 사실상 국가로 사용되었으며, 1980년 7월 1일 공식 국가로 지정되었다.[5] 1867년에서 1901년, 1952년에서 1982년까지는 "Queen(여왕)"으로 불렀고 1901년에서 1952년까지는 "King(국왕)"으로 불렀다.[6] 명목상 독립. 캐나다주(온타리오주, 퀘벡주), 노바스코샤주, 뉴브런즈윅주 가입.[7] 허드슨 베이 회사로부터 루퍼츠랜드 및 노스웨스턴 지역 구입.[8] 구 브리티시컬럼비아 식민지.[A] 노스웨스트 준주에서 분리.[A] 노스웨스트 준주에서 분리.[11] 실질적 독립. 사실상 자치령 체제 종료.[12] 구 뉴펀들랜드 자치령.[13] 캐나다의 완전한 독립. 명목상 자치령 체제 종료.[14] 본래 퀘벡 및 대서양 지역을 먼저 식민지화한 것은 영국이 아니라 프랑스였다. 그러나 위트레흐트 조약을 기점으로 대부분의 땅을 영국에 내주면서 캐나다에서의 영향력이 축소된 것.[15] 허드슨 만 회사는 영토를 포기한 후 유통기업으로 변화하여 현재도 캐나다의 대기업으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