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5 02:06:12

발루치스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b0ee 5%, #fff 5%, #fff 6%, #00b0ee 6%, #00b0ee 75%,transparent 75%), linear-gradient(to bottom, #44c92e 50%,#e8112d 5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00b0ee> 역사 <colcolor=#000,#fff>듀랜드 라인 · 2024년 이란-파키스탄 분쟁 · 발루치스탄 연쇄 폭탄 테러
지리 발루치스탄 · 시스탄(자헤단) · 이란고원 · 힌두쿠시 산맥 · 아라비아 해 · 힌골 국립공원
외교·정치 대표 없는 국가 민족 기구 · 발루치 실종자를 위한 목소리 · 발루치스탄 해방군
문화 요리 · 발루치어(발루치 표준 문자) · 브라후이어 · 얄다 · 노루즈 · 카나트
인물 삼미 딘 발루치
민족 발루치인
관련 민족 브라후이인
기타 발루치인 디아스포라 · 발루치스탄흑곰 }}}}}}}}}

{{{#!wiki style="color:#01411c;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 (Province / صوبہ)
파일:Coat_of_arms_of_Punjab.svg.png
펀자브주(Punjab / پنجاب / ਪੰਜਾਬ)
파일:Coat_of_arms_of_Sindh_Province.svg.png
신드주(Sindh / سنڌ / سندھ)
파일:Coat_of_arms_of_Balochistan.svg.png
발루치스탄주(Balochistan / بلوچستان)
파일:Coat_of_arms_of_Khyber_Pakhtunkhwa.svg.png
카이베르파크툰크와주(Khyber Pakhtunkhwa / خیبرپختونخوا)
자치 지역 (Autonomous Territory / پاکستانی کنٹرولڈ کشمیری علاقہ) 연방구역 (Federal district / دار الحکومت شہر)
파일:AzadKashmirSeal.png
아자드 카슈미르(Azad Kashmir / آزاد کشمیر)
파일:Gilgit_Baltistan_Government_Logo.svg.png
길기트 발티스탄(Gilgit-Baltistan / شمالی علاقہ جات)
이슬라마바드 수도권(Islamabad Capital Territory / وفاقی دارالحکومت) }}}}}}}}}
<colbgcolor=#004f00> نبلوچستان
발루치스탄 | Balochistan
국가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면적 347,190km²
인구 1,234만명
주도 퀘타
주지사 잔 모함마드 자말리
주총리 압둘 쿠두스 비젠조
사무총장 마테르 니아즈 라나
언어 우르두어, 발루치어
HDI 0.476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jor_ethnic_groups_of_Pakistan_in_1980.jpg
분홍색이 발루치스탄이다. 출처 파키스탄, 이란, 아프가니스탄에 걸쳐 있다.

1. 개요2. 역사3. 상세
3.1. 파키스탄의 행정구역3.2. 발루치인들 주 거주지3.3. 파키스탄의 인권 침해3.4. 이란의 차별과 박해
4. 기타5. 관련 문서

1. 개요

우르두어: نبلوچستان /صوبہ بلوچستان
발루치어: بلوچستان
영어: Balochistan/Baluchistan

발루치스탄은 발루치인이 사는 땅이라는 뜻이다. 스탄은 산스크리트어나 고대 페르시아어로 땅을 의미한다. 영어의 Stand와 같은 어원이다. 오늘날 발루치스탄은 파키스탄령 발루치스탄과 아프가니스탄령 발루치스탄과 이란 시스탄-발루체스탄 주로 나뉜다. 주요 도시로는 퀘타, 과다르 등이 있다. 주로 건조한 사막 지대이며 바다와 접해있지만 역사적으로 항만 배후지가 잘 발달하지 못한 관계로 이웃 신드, 구자라트, 오만, 호르무즈 해협 지역이 해상 무역이 활발한 것과 다르게 해상 무역이 빈약한 편이다.

2. 역사

이란의 시스탄오발루치스탄 역사는 케르만 문서 참조.

고대에는 인더스 문명의 영향권이었으며 하라파의 영향을 받았다. 이후 인더스 강의 지류가 바뀌면서 사막화가 더 심해졌다. 기원전 450년경 헤로도토스는 이 지역의 데이오케스라는 추장이 다스리는 파라이타케노이(Paraitakenoi) 부족이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에 종속되었다는 기록을 남겼다.

헬레니즘 시대 이후 이 지역에는 기원전 2~1세기 무렵 토하라인에게 밀려나 중앙아시아에서 남하해온 인도-스키타이족이 정착하였으며, 사카스탄 혹은 시스탄이라고 불렸다.

서기 9세기 무렵 이 지역은 이슬람화하고 이란계, 타지크계, 튀르크계, 파슈툰계 여러 왕조들이 이 지역의 영유권을 주장했다. 근대에는 아프가니스탄두라니 왕조의 영토였다. 근데 영국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이후 듀랜드 라인을 만들면서 이 땅을 인도 제국 소유로 넘겨버렸다. 퀘타의 역사 항목도 참고.

발루치스탄을 두고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은 지금도 역사적인 갈등이 있다.

3. 상세

국가적 관점으로 보냐 민족적 관점으로 보냐에 따라 뜻이 달라진다.

3.1. 파키스탄의 행정구역

{{{#!wiki style="color:#01411c;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 (Province / صوبہ)
파일:Coat_of_arms_of_Punjab.svg.png
펀자브주(Punjab / پنجاب / ਪੰਜਾਬ)
파일:Coat_of_arms_of_Sindh_Province.svg.png
신드주(Sindh / سنڌ / سندھ)
파일:Coat_of_arms_of_Balochistan.svg.png
발루치스탄주(Balochistan / بلوچستان)
파일:Coat_of_arms_of_Khyber_Pakhtunkhwa.svg.png
카이베르파크툰크와주(Khyber Pakhtunkhwa / خیبرپختونخوا)
자치 지역 (Autonomous Territory / پاکستانی کنٹرولڈ کشمیری علاقہ) 연방구역 (Federal district / دار الحکومت شہر)
파일:AzadKashmirSeal.png
아자드 카슈미르(Azad Kashmir / آزاد کشمیر)
파일:Gilgit_Baltistan_Government_Logo.svg.png
길기트 발티스탄(Gilgit-Baltistan / شمالی علاقہ جات)
이슬라마바드 수도권(Islamabad Capital Territory / وفاقی دارالحکومت) }}}}}}}}}

파키스탄의 주이다.

3.1.1. 여행

잘 알려져있지 않지만 아프가니스탄 접경 지역보다 여행하기에 위험한 지역이다. 실제로 한동안은 현재의 출국권고~여행금지에 준하는 특별여행경보가 발령되어 있었다. 흔히 위험한 지역으로 알려져있는 카이베르파크툰크와 등 북서부 지역은 훈자 계곡 등 관광 수요가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치안이 유지되고 있으며, 외교부에서도 출국권고(여행금지보다 한 단계 아래)지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하지만 발루치스탄은 발루치스탄 해방군을 비롯한 분리주의, 탈레반을 비롯한 이슬람 근본주의 등이 모두 모여있는 지역이다.

2017년 7월 외교부에서 특별여행경보를 발령하였다.# 무장 독립운동이 벌어지는 곳이라 2017년 5월 24일에 중국인 교사가 납치되고 고속도로를 공사하던 도중에 인부들이 무장괴한의 총격에 의해 숨지는 사건이 발생되는 등 치안이 매우 불안하기 때문.#

물론 볼거리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파키스탄은 물론 발루치스탄에서도 자연경관이 유명한 힌골 국립공원을 비롯한 마크란 지형, 신석기 시대 유적지인 메르가흐가 있으며, 칼라트에는 칼라트 칸국 시기의 궁전이 있다. 하지만 언급했듯이 현재 발루치스탄이 워낙 위험한 이유로 당분간은 가기 힘든 곳 중 하나이다.

3.2. 발루치인들 주 거주지

행정 구역 상으로는 이란의 시스탄에발루체스탄 주, 파키스탄의 발루치스탄 주, 아프가니스탄의 님루즈 주, 헬맨 주, 칸다하르 주에 걸쳐져 있다. 파키스탄에 약 820만 명, 이란에 약 150만 명, 아프가니스탄에 약 67만 명이 살고 있다. 발루치스탄 밖에 사는 발루치족은 아랍에미리트에 약 47만 명, 오만에 약 43만 명, 투르크메니스탄에 약 10만 명, 사우디아라비아에 약 1만 6천 명으로 추산된다.

발루치스탄에는 발루치족 외 다른 소수민족으로 드라비다어족 계열 브라후이족, 아프가니스탄에서 발루치스탄 퀘타로 이주 정착한 하자라족들도 거주한다.

3.3. 파키스탄의 인권 침해

국제적으로 묻혀졌지만 발루치인들에 대한 파키스탄 측의 묻지마 인권 침해가 장난 아니다. 그저 길을 지나가는데 다짜고짜 민간인을 잡아다가 구타와 고문을 벌인다. 한국에 난민 신청을 한 발루치인 무함마드라는 사람은 KBS 다큐멘터리에 나와 독립운동 참가한 적도, 지원도 안했는데 그저 삼촌을 만나러 가던 자기와 주변 사람들을 마구잡이로 끌고가 구타와 고문을 했다고 하소연했다.

무고함이 드러나서 석방되었지만 사죄도 보상금도 그 어느 것도 없었고 구타와 고문 여파로 무함마드는 팔과 머리 수술도 받았으며 당시 끌려간 몇몇 사람은 죽어서 끌려가던 걸 보고 도저히 파키스탄에 살 수 없었다고 해외로 나간 것. 한국으로 온 식구를 데리고 와 난민신청을 했고 난민으로 인정받아 한국에서 모두 살고 있다. 그는 한국에서 발루치인들에 대한 인권 침해에 대한 소식을 찾아보기 어려운 걸 아쉽고 해외에서도 마찬가지라서 안타깝다고 인터뷰했다.

3.4. 이란의 차별과 박해

이란 또한 발루치족을 차별하고 박해하며 주민등록도 거부하는 등의 탄압과 박해를 지속하고 있다. 링크

4. 기타

2021년 기준 인간개발지수는 0.463으로, 아프가니스탄[1]예멘[2] 외의 아시아 국가에 위치한 지역 중에서는 가장 낮다. 파키스탄 전체 평균이 0.544(191개국 중 161위)[3]이고 파키스탄 지역 중 인간개발지수가 가장 높은 이슬라마바드 지역이 0.659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매우 열악한 상황인 셈.

이란고원에 있는지라 높고 험준한 불모지이지만, 구리, 천연가스 등 천연자원이 매우 풍부하다. 파키스탄에서 제일 큰 파이프라인인 Sui 파이프라인이 이 곳을 통과한다.

발루치족이 파키스탄과 이란 양쪽에서 독립하여 민족국가를 세운다며 한마음으로 무장 독립운동을 펼치고 있다. 위 민족분포를 보면 알겠지만, 국경선이 민족 분포와는 다르게 멋대로 그어져 있기 때문에 파슈툰과 마찬가지로 인구가 파키스탄 서부와 이란 동남부에 갈라져있고 각 국가에서 큰 소수집단이라 분리주의를 자극하기 때문이다. 꼭 그 문제가 아니라도 풍부한 지하 자원에 대비하여 파키스탄 정부로부터 혜택을 받지 못한다는 주장을 내세우며 테러를 저지르고 있는 조직들도 있다. 탈레반 주요 거점과 가까운 이슬라마바드는 비교적 안전한 편인데, 괜히 멀리 떨어져있는 카라치의 치안이 안 좋은 것은 이로 인한 영향도 크다. 오히려 이로 인해 신드, 펀자브, 무하지르 등 파키스탄의 중심세력 어느쪽에도 속하지 않는다는 점이 어필해 중국의 일대일로 요충지로 선택되어 카라치 대신 가다르항을 중국이 집중투자하고 있다. 이것이 오히려 지역의 발루치인들의 자존심을 건드린 것이다.

그래서 친중 성향이 강한 파키스탄에서 중국인 대상 테러가 종종 일어나는데 발루치스탄 무장독립운동 세력이 벌인 경우가 많다. 파키스탄 반중의 핵심세력이 이들로 파키스탄 발루치인들은 파키스탄 정부와 우호적인 중국을 싫어하며 중국이 투자하고 있는 일대일로 계획의 일환인 CPEC(China Pakistan Economic Corridor)의 핵심 프로젝트인 과다르(Gwadar) 항구가 이란과의 국경 부근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일대일로를 반대한다.

의외로 기독교 계열의 성씨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이 곳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데, 19세기 영국 침공 당시 사용하게 된 성씨를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한다.

자연환경으로는 늪악어, 표범, 코뿔소, 액시스사슴, 가젤, 인도늑대, 발루치스탄흑곰 등이 서식하고 있다.

5. 관련 문서



[1] 평균이 0.478(180위)이고 수도 카불이 위치하면서 가장 높은 중부 지역이 0.550이고 나머지 지방들은 전부 0.5를 밑돌며, 아프가니스탄 내에서도 특히 낙후된 남부 지역은 0.407을 기록했다. 그 다음으로 낙후된 둥복부 지역(0.444)와 상당히 큰 차이인 0.037 차이가 난다.[2] 평균이 0.455(183위)이고 인간개발지수가 가장 높은 사나 지역은 0.521, 가장 낮은 동북부 지역은 0.395에 불과하여 아시아에서 가장 열악한 지역으로 보고되었다.[3] 이는 캄보디아, 미얀마, 시리아보다 열악한 수준이며, 아시아에서 파키스탄보다 인간개발지수가 낮은 국가는 아프가니스탄과 예멘이 전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