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21:42:05

히노-코무로 권총

Hino-Komuro Pistol
日野式自動拳銃
히노식 자동권총
<nopad> 파일:402.jpg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자동권총
원산지
[[일본 제국|]][[틀:국기|]][[틀:국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05년~1912년
개발 히노 쿠마조
코무로 유지로
생산 코무로 제작소
생산년도 1905년~1912년
생산수 1200정
사용국
[[일본 제국|]][[틀:국기|]][[틀:국기|]]
사용된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세부사항
탄약 .32 ACP
.25 ACP
8×22mm 남부
급탄 8, 15발들이 박스탄창
작동방식 블로우포워드
??[1]
총열길이 ??
전장 ??
중량 ??
탄속 ?? }}}}}}}}}
1. 개요2. 출처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Rock Island Auction의 리뷰 영상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일본에서 히노 쿠마조와 코무로 유지로가 제작한 자동권총.[2]

특이하게도 작동방식이 격발하면 총열이 전진하는 '블로우포워드'인데다[3] 방아쇠 울이 없고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소수로 운용했다.

.32 ACP를 호환하고 이외에 .25 ACP8×22mm 남부를 호환하는 파생형도 알려졌다.

2.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Hino%E2%80%93Komuro_pistol

https://ja.wikipedia.org/wiki/%E6%97%A5%E9%87%8E%E5%BC%8F%E8%87%AA%E5%8B%95%E6%8B%B3%E9%8A%83

https://guns.fandom.com/wiki/Hino-Komuro_pistol

https://www.forgottenweapons.com/early-automatic-pistols/hino-komuro-1908

https://blog.naver.com/cfgwgunworld/222858756354

https://blog.naver.com/ppsh4123/220775950178

3. 둘러보기

제1차 세계 대전기의 연합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564d44> 제1차 세계 대전
연합군보병장비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러시아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개인화기 <colbgcolor=#564d44> 소총 <colbgcolor=#564d44> 볼트액션 리-메트포드, 리-네이비, 리-엔필드, 리-스피드, P14, M1917 엔필드, 크로파첵 M1884, 르벨 M1886, 베르티에, K11, 베테를리 M1870/87, M1870/87/15, 모신나강, 베르단, 그라, 샤스포 M1866/74, 무라타, 카르카노, 크라그-에르겐센, 마우저 M1889, 마우저 M1893, 로스 소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레버액션 / 폴링ㆍ롤링ㆍ리프팅블록 / 트랩도어 스나이더 Mk.III, 콤블랭 M1870, 레밍턴 롤링블럭, 알비니-브랭들랭, 크른카 M1867, 파콰슨 M1872, 밀로나스 M1872, 스프링필드 M1873, 마티니-헨리, 윈체스터 M1886, 윈체스터 M1892, 윈체스터 M1894, 윈체스터 M1895, 새비지 M99D
반자동 레밍턴 모델 8, M1907 SL, 뫼니에 M1916, RSC M1917, RSC 1918, MAB 18, M1903 Mk 1, 브리티쉬 1918 파콰르-힐, 류장군 소총E
자동 리베롤 1918E, 윈체스터 버튼 1917E, M1907/17, 체이-리고티E, 표도로프, M1918 브라우닝
기관단총 OVP 1918, 쇼샤-리베롤 기관단총E
산탄총 M1897, M1912, 레밍턴 모델 11, 레밍턴 M10, 셰그렌 산탄총, 스티븐스 M520
권총 리볼버 콜트 M1873, 엔필드 Mk.II, 웨블리, MAS 1873, 보데오 M1889, S&W M10, 웨블리-포스베리E, 콜트 M1901, Mle 1892, 26년식 권총, 나강 M1895, S&W M3, S&W 트리플 락, 콜트 M1909, M1917
자동권총 C96, 마스E, FN M1900, FN M1903, 콜트 M1903, 히노-코무로 권총, 새비지 M1907, FN M1910, 웨블리 권총, 리센티 M1910, M1911, 루비, 스타 M1914, 베레타 M1915/17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마드센 M1902, 루이스, 호치키스 M1909, CSRG M1915, 휴오트E
중기관총 가드너, 맥심, M1895/14 콜트-브라우닝, 빅커스, 호치키스, 생테티엔 M1907, PM M1910, 38식 기관총, 3년식 기관총, 페리노 M1908, 피아트-레벨리 M1914, 빌라르-페로사 M15, M1917 브라우닝
박격포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유탄발사기 마티니 유탄발사기
유탄 No.1 수류탄, No.2 총류탄, 밀즈 수류탄, RG-14, F-1, Mk.1, Mk.2, Mk.3, 비방-베시에
경야포 빅커스 Q.F. Gun, Mk II, 37mm Mle 1916 보병포
냉병기 도검 구군도, M1902 세이버, U.S M1917 트렌치 나이프, U.S M1918 Mark I 트렌치 나이프
※ 윗첨자E: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무기체계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러시아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1] 남부 권총처럼 공이 직동식으로 추정된다.[2] 한편 이 둘은 히노 코무로 M1904도 제작했다.[3] 블로우포워드로 작동하는 또 다른 권총으로 슈바르츠로제 M1908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