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두문자어가 Intercity Train Express로 비슷한 한국의 열차 등급에 대한 내용은 ITX 문서 참고하십시오.
🚄 세계의 고속철도 브랜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아프리카 |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
| [ruby(新幹線, ruby=しんかんせん)] | 홍콩 | ||||||||||||||||||||||||||||||||||||||||||||||||||||||||||||||||||||||||||||||||||||||||||||||||
인도 | 대만 | 우즈베키스탄 | ||||||||||||||||||||||||||||||||||||||||||||||||||||||||||||||||||||||||||||||||||||||||||||||||
사우디아라비아 | 모로코 | 인도네시아 | ||||||||||||||||||||||||||||||||||||||||||||||||||||||||||||||||||||||||||||||||||||||||||||||||
유럽 · 북미 | ||||||||||||||||||||||||||||||||||||||||||||||||||||||||||||||||||||||||||||||||||||||||||||||||||
프랑스 | 스페인 | 프랑스·스위스 | ||||||||||||||||||||||||||||||||||||||||||||||||||||||||||||||||||||||||||||||||||||||||||||||||
| ||||||||||||||||||||||||||||||||||||||||||||||||||||||||||||||||||||||||||||||||||||||||||||||||||
이탈리아 | 영국 | 튀르키예 | ||||||||||||||||||||||||||||||||||||||||||||||||||||||||||||||||||||||||||||||||||||||||||||||||
| | |||||||||||||||||||||||||||||||||||||||||||||||||||||||||||||||||||||||||||||||||||||||||||||||||
독일 (네덜란드·벨기에·오스트리아·스위스) | 스웨덴 (노르웨이·덴마크) | 러시아 | ||||||||||||||||||||||||||||||||||||||||||||||||||||||||||||||||||||||||||||||||||||||||||||||||
체코 | 오스트리아·체코 | 러시아·핀란드 | ||||||||||||||||||||||||||||||||||||||||||||||||||||||||||||||||||||||||||||||||||||||||||||||||
(영업중단) | ||||||||||||||||||||||||||||||||||||||||||||||||||||||||||||||||||||||||||||||||||||||||||||||||||
프랑스·영국·벨기에·독일·네덜란드 | 벨기에·네덜란드 | 포르투갈 | ||||||||||||||||||||||||||||||||||||||||||||||||||||||||||||||||||||||||||||||||||||||||||||||||
(폐지) Intercity Direct | ||||||||||||||||||||||||||||||||||||||||||||||||||||||||||||||||||||||||||||||||||||||||||||||||||
미국 | 폴란드 | 발트3국(폴란드) | ||||||||||||||||||||||||||||||||||||||||||||||||||||||||||||||||||||||||||||||||||||||||||||||||
EIP | ||||||||||||||||||||||||||||||||||||||||||||||||||||||||||||||||||||||||||||||||||||||||||||||||||
* | ||||||||||||||||||||||||||||||||||||||||||||||||||||||||||||||||||||||||||||||||||||||||||||||||||
브라질 | ||||||||||||||||||||||||||||||||||||||||||||||||||||||||||||||||||||||||||||||||||||||||||||||||||
음영 : 건설 중 · 예정. 그 외의 로고 미정 목록은 해당 목록 참조. | }}}}}}}}} |
ICE의 B.I.(Brand Identity) |
ICE의 주력차량인 ICE 3 |
[clearfix]
1. 개요
InterCity Express (ICE)인터시티익스프레스 (이체에)는 독일 도이체반의 고속철도 브랜드이자 최고 등급의 열차이다. 우리나라로 치면 KTX, SRT의 포지션을 맡고 있는 열차.
2. 상세
독일 장거리 철도망의 대동맥같은 역할을 하는 등급으로, 1991년에 개통되었다. 전 세계 고속철도 중 최초로 우측통행을 실시한 시스템이기도 한데, 선발주자인 신칸센과 TGV가 모두 좌측통행이라 생긴 재밌는 타이틀이다. 한편 독일 외에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와 네덜란드 철도에서도 독일철도의 차량을 구입해 같은 이름으로 서비스하고 서로 직통운행을 하며, 그 외 벨기에, 스위스, 프랑스, 오스트리아로도 직통운행한다. 특히 네덜란드, 벨기에 등에서는 탈리스와 함께 각 국가의 국내 고속열차 서비스도 담당한다.주요 간선에서의 고속 주행을 목적으로 1991년에 첫 운행을 시작하였다. 선발 주자인 일본의 신칸센과 프랑스의 TGV에 비하면 개발 자체가 한참 늦었지만, 끝내주는 기술력으로 어떻게든 개통은 하게 되었다. 하지만 고속 주행 중 이중차륜이 분리되면서 탈선, 객차가 교각을 들이받고 고속철도 사상 최다 사상자를 낸 에세데 사고가 발생하면서 체면을 구기게 되었다. 이후 에세데 사고를 반면교사삼아 기술검증을 철저히 한 결과 현재까지 큰 사고 없이 안전하게 운행 중인 고속철도 시스템이다. 지금은 오히려 안전보단 모기업 도이체반의 재정 문제로 인한 운영상의 난점이 골칫거리다.
ICE 1과 ICE 2는 유체역학 따위는 집어치운 각진 디자인의 차량이었으나, ICE 3 이후부터 신칸센 500계를 연상시키는 뱀장어 같은 늘씬한 디자인으로 바뀌었다.[1] 한편 도색은 새빨간 도장이 인상적인 레 프레체나 다양한 래핑을 시도하는 TGV와 달리, 흰 바탕에 빨간 치트라인[2] 도이체반 로고, 그리고 ICE 세 글자가 전부다. 자세히 보면 열차 애칭[3]도 회색으로 적혀 있긴 하다. 2020년경부터 일부 편성에 환경친화 홍보용 도색을 도입했고, 이에 전두부 부분 치트라인이 녹색으로 변경되었다.[4]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체", 혹은 "아이스"라고 잘못 발음하고 있다. "이체"라고 하면 간선급행열차인 인터시티(IC)가 되기 때문에 고속열차 타려다 기존선 열차 타고 빌빌거리며 기어가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다. ICE의 독일어 발음은 일단 이체에다. 엄밀히 따지자면 독일어의 모음 e는 대략 ㅓ와 ㅔ의 사이 발음이지만, ㅔ에 더 가깝고, 실제로도 편하게 ㅔ로 발음하면 통용된다. 독일어에 자신이 없으면 차라리 영어식으로 "아이씨이" 라 하거나 약자고 뭐고 없이 "인터시티익스프레스"라고 풀어 말하는 게 속 편하며, 역무원들도 "아, 이 사람 외국인이구나"하고 알아서 처리해준다. 그렇다고 "아이스(ice)"라고 발음 했다간 아이스크림(독일어 Eis)로 알아듣거나 뜬금 없이 뭔말이라며 못 알아들을 확률이 높고, 설령 알아듣는다 해도 후에 매표소 직원들의 개그 소재이자 비웃음거리가 될 수 있으니 주의하자.
3. 이용
주요 노선에서는 한시간 간격으로 다니지만 복합열차로 다니는 구간에서는 배차 간격이 두 시간 이상으로 벌어질 수도 있으니 시간표 확인은 필수이다. 요금은 KTX의 2배 정도로 책정돼 있지만, 그만큼 할인도 화끈하게 해 준다. 표는 비행기 티켓마냥 정직하게 할인권부터 팔기 때문에, 미리미리 예매를 해 두면 제법 싸게 탈 수 있다. KTX의 서울-동대구 구간과 비슷한 거리인 베를린-하노버 구간의 요금은 24,90유로(약 35,000원)에서 97,80유로(약 138,000원)[5]로 책정돼 있다. 부지런하게 예약만 잘 하면 43,500원인 서울-동대구 KTX보다 싸게 탈 수 있는 셈이다.[6]유레일 패스나 인터레일 패스, 반카드100이 있으면 그냥 타면 된다. 단, 정차역이 엄청나게 적은 편성인 ICE-Sprinter는 제외.[7] 다행히도 ICE-Sprinter는 매우 드물게 있는 편성이라 그리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자주 만석이 뜨는 열차는 시각표에 꼭 좌석 지정하라고 표시가 되어 있다. 참고로 ICE는 기본적으로 좌석지정이 되지 않으며, 좌석을 지정할 경우 표값과 별도로 지불해야 한다. 저먼패스의 경우, 독일 내에서의 사용 시에는 좌석 예매는 필수가 아니다.
1등석의 경우 2-1 좌석배치로 좌석의 폭과 앞뒤 간격이 넓고 재질도 2등석과 다르다. 기종에 따라 개인 LCD가 설치되어있는 곳도 있지만 비행기의 그것을 생각하면 안된다.[8] 1등석은 작은 스낵 등과 신문, 잡지를 무료로 제공하고, 음식을 주문(유료)하면 좌석까지 가져다 준다. 확실히 1등석은 2등석보다 많이 널널하고 사람도 적어서 조용하고 쾌적한 편이다.[9] 허나 2등석 좌석도 나름 편하므로 굳이 특실을 이용하지 않아도 좋다. 한편 콘센트의 경우 객차 연식에 따라 다르나 대부분 좌석마다, 혹은 2좌석마다 하나씩 있다.
식당차도 있지만 음식의 양이나 질을 고려하면 좀 비싼 편이다. 2016년부터 2등석을 포함한 전 좌석에서 통신사와 관계없이 와이파이 무료이용이 가능하다. 다만 해당 기차가 있는 곳이 너무 외곽이라던가 터널 내라던가 하여튼 원래 통신이 안되는 지역에서는 와이파이도 안된다. 또한 외국으로 가는 차량 역시 외국으로 나가면 와이파이가 안 된다.
독일의 대도시 중앙역 및 주요 역에 라운지가 설치되어 있어,[10] 1등석 승객들은 DB라운지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라운지는 커피와 차, 맥주를 포함한 탄산음료(무한리필), 신문 등이 무료다.
특이하게도 고속열차임에도 불구하고 입석/자유석[11]을 자유롭게 받는데, 잘못 걸리면 장거리 여행을 내내 서서 가야 하는 불상사를 맞을 수도 있다. ICE의 이용객 수가 워낙 많다보니, 인기노선이면 몇 시간 내내 서서 가야 할 수도 있다. 성수기라면 그냥 돈 내고 편하게 좌석을 예약하자. 자유석을 이용하는 경우, 좌석마다 디스플레이에 Dortmund - Hannover와 같은 식으로 예약구간이 표기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면서 자신이 타는 구간에서 예약되지 않은 자리를 고르면 된다.[12]
4. 운행계통
ICE 노선 정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ICE-1 ICE-2 ICE-4 ICE-8 ICE-9 ICE-15 ICE-29 ICE-82 ICE-10 ICE-11 ICE-12 ICE-13 ICE-14 ICE-15 ICE-18 ICE-19 ICE-20 ICE-22 ICE-24 ICE-25 ICE-26 ICE-27 ICE-28 ICE-29 ICE-32 ICE-39 ICE-41 ICE-42 ICE-43 ICE-45 ICE-47 ICE-49 ICE-50 ICE-60 ICE-62 ICE-77 ICE-78 ICE-79 ICE-82 ICE-82 ICE-83 ICE-84 ICE-85 ICE-88 ICE-89 ICE-90 ICE-91 | ||||
괄호 표시는 대표 경유지 굵은 글자로 표기된 노선은 ICE-Sprinter | }}}}}}}}} |
인구가 전 국토에 걸쳐 고루 퍼져 있는 독일답게, 노선도 어느 한 곳에 몰려 있는 형태가 아니라 거미줄처럼 산재해 있다. 따라서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처럼 노선별로 분류를 하는 한국과 달리 운행계통별로 번호가 매겨진다. 재차 강조하지만 열차번호가 아니라 운행계통이기 때문에 번호가 같아도 열차에 따라 목적지와 중간 경유노선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리 동역행 ICE82번은 중간에 스트라스부르를 경유하는 열차와 자르브뤼켄을 경유하는 열차로 나뉜다. 또한 일부 목적지는 왕편 혹은 복편만 경유하는데, 이쪽은 방향에 따라 화살표로 구분해놓았으니 참고.
일부 정차역은 생략되었다.
4.1. ICE-Sprinter
일반 ICE의 급행 버전으로, 정차역이 적고 좀 더 빠르다. 한국의 서대동부 KTX와 비슷한 위치의 열차이다.[13] 본래 추가 요금이 필요했으나 2015년 12월부터 Sparpreis에 포함되어 가격 부담이 줄어들었다. 주로 고수요 노선에서의 서비스 향상을 위해 운행하며, 국제선 열차는 없다.<colcolor=#db0000><rowcolor=#db0000> 번호 | 정차역 | 비고 |
1-9 ICE-Sprinter | ||
ICE 1 | 함부르크 알토나역 - 함부르크 중앙역 - 뒤스부르크 중앙역 - 뒤셀도르프 중앙역 - 쾰른 중앙역 | [14] |
ICE 2 | 뒤셀도르프 중앙역 - 쾰른 메세/도이츠 - 프랑크푸르트 공항 - 뉘른베르크 중앙역 - 뮌헨 중앙역 | [15] |
ICE 4 |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 하노버 중앙역 - 함부르크 중앙역 | [16] |
ICE 8 | 베를린 중앙역 - 뉘른베르크 중앙역 - 뮌헨 중앙역 | [17] |
ICE 9 | 베를린 중앙역 - 베를린 슈판다우역 - 쾰른 중앙역 ( - 본 중앙역) | [18] |
ICE 15 | 베를린 게준트브루넨 - 베를린 - 베를린 쥐트크로이츠 - 할레 - 에어푸르트 - 프랑크푸르트 | [19] |
ICE 29 | ( 함부르크 알토나 - 함부르크 - ) 베를린 - 베를린 쥐트크로이츠 - ( 할레 - 에어푸르트 - ) 뉘른베르크 - 뮌헨 | [20] |
ICE 82 | 파리 동역 - 스트라스부르 - 카를스루에 - 만하임 - 프랑크푸르트 | [21] |
4.2. ICE
4.2.1. 국내선[22]
4.2.2. 국제선
<colcolor=#db0000><rowcolor=#db0000> 번호 | 정차역 | 비고 |
77-79 네덜란드, 벨기에 방면 | ||
ICE 77 | ( 뮌스터 / 브레멘 ) - 하노버 - 베를린 슈판다우 - 베를린 - 베를린 동역 | [23] |
ICE 78 | 암스테르담 - 위트레흐트 - 오버하우젠 - 뒤셀도르프 - 쾰른 메세/도이츠 -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 ( - 프랑크푸르트 ) / ( - 만하임 - 슈투트가르트 - 울름 - 뮌헨 ) | - |
ICE 79 | 브뤼셀 남역 - 브뤼셀 북역 - 리에주 - 아헨 - 쾰른 -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 - 프랑크푸르트 | - |
82-84 프랑스 방면 | ||
ICE 82 | 파리 동역 ( - 포르바크 - 자르브뤼켄 - 카이저슬라우테른) / ( - 스트라스부르 - 카를스루에) - 만하임 - 프랑크푸르트 | [24] |
ICE 83 | 파리 동역 - 스트라스부르 - 카를스루에 - 슈투트가르트 ( - 울름 - 뮌헨) | - |
ICE 84 | 프랑크푸르트 - 카를스루에 - 스트라스부르 - 뮐루즈 - 리옹 - 아비뇽 - 마르세유 | - |
85-91 이탈리아, 스위스, 오스트리아 방면 | ||
ICE 85 | 프랑크푸르트 - 카를스루에 - 프라이부르크 - 바젤 - 루체른 - 루가노 - 밀라노 | - |
ICE 88 | 뮌헨 - 린다우 - 브리겐츠 - 빈터투어 - 취리히 | - |
ICE 89 | 뮌헨 - 로젠하임 - 뵈르글 - 인스브루크 | - |
ICE 90 | 부다페스트 - 죄르 - 모숀머저로바르 - 빈 - 린츠 - 잘츠부르크 - 뮌헨 | - |
ICE 91 | 빈 - 린츠 - 파사우 - 뉘른베르크 - 뷔르츠부르크 ( - 프랑크푸르트 -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 - 마인츠 - 코블렌츠 - 쾰른 ( - 부퍼탈 - ) / ( - 뒤셀도르프 - 에센 - ) 도르트문트 중앙역) / ( - 풀다 - 하노버 - 함부르크 - 함부르크 알토나) | - |
5. 고속선
<rowcolor=#fff> 적색은 300km/h급 고속선, 황색은 250~299km/h급 고속선, 청색은 200~249 km/h급 기존선, 회색은 200km/h 미만의 기존선 |
독일 고속선의 역사는 1991년 하노버-뷔르츠부르크 구간 개통과 함께 시작되었다. 인구가 많은 라인-루르나 베를린 일대를 두고 왜 저 노선부터 개통했는지 의문이 들 수 있는데, 노선 착공 당시만 해도 독일 통일 전이었기 때문이다. 당시 함부르크를 비롯한 서독 북부 지역과 뮌헨을 위시한 남부 지역을 연결하는 신규 고속철도 노선을 계획한 뒤 공사를 진행했으나, 완공을 앞두고 독일이 통일되어버린 것. 한편 독일 정부는 통일과 함께 단시간 내에 수도 베를린의 인프라를 확충하려는 계획을 세웠고, 부랴부랴 베를린-하노버 고속선 공사에 착수해 1998년 노선을 완공한다.
독일의 고속철도 신선은 특이하게도 일반열차 및 화물철도와 공유하는 구간이 꽤 많다. 독일은 한국이나 일본과 달리 주요 축선이 없어서 고속철도 인프라가 비교적 한적한 편으로, 이걸 가만 놀리긴 좀 그렇고 마침 기존선 선로용량도 부족하니 남는 공간에 열차를 투입하는 것. 그 예로 에어푸르트-라이프치히/할레 고속선, 뉘른베르크-에어푸르트 고속선, 뉘른베르크-잉골슈타트 고속선 등이 있는데, 구간마다 대피신호장을 설치해 놓고 일부 터널은 교행시 열차풍을 막기 위해 단선 쌍굴 터널을 짓기도 했다. 어차피 고속철도 배차를 늘리고 싶어도 주요 철도역의 수용량이 한계에 달한 지 오래라 열차를 넣을 자리가 없다. 다만 쾰른-프랑크푸르트 고속선처럼 30퍼밀 이상의 급구배가 있는 노선은 화물철도가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고속열차 및 일반열차만 운행한다. 사실상 강릉선과 중앙선 계통을 운행하는 KTX-이음의 원조격인 셈
5.1. 운영 중인 노선
<colbgcolor=#db0000><colcolor=#fff><rowcolor=#fff> 최고 속도 | 노선명 | 기종점 | 연장 | 개통년도 |
300 km/h | 쾰른 - 라인 / 마인 고속선 (SFS Köln–Rhein/Main) | 쾰른 -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 | 180km | 2002 |
뉘른베르크 - 잉골슈타트 고속선 (SFS Nürnberg–Ingolstadt) | 뉘른베르크 - 잉골슈타트 | 77.6km | 2006 | |
에어푸르트 - 라이프치히 / 할레 고속선 (SFS Erfurt–Leipzig/Halle) | 에어푸르트-라이프치히 / 할레 | 120.8km 86.9km[26] | 2015 | |
뉘른베르크 - 에어푸르트 고속선 (SFS Nürnberg–Erfurt) | 뉘른베르크 - 에벤스펠트(160km/h) 에벤스펠트 - 에어푸르트(300km/h) | 191km | 2017 | |
280 km/h | 하노버 - 뷔르츠부르크 고속선 (SFS Hannover–Würzburg) | 하노버 - 풀다 - 뷔르츠부르크 | 327km | 1991 |
만하임-슈투트가르트 고속선 (SFS Mannheim–Stuttgart) | 만하임 - 슈투트가르트 | 98.8km | 1991 | |
250 km/h | 하노버 - 베를린 고속선 (SFS Hannover–Berlin) | 하노버 - 볼프스부르크(200km/h) 볼프스부르크 - 베를린(250km/h) | 256.2km | 1998 |
쾰른 - 아헨 고속선 (SFS Köln–Aachen) | 쾰른 - 아헨 | 77km | 2003 | |
벤들링엔 - 울름 고속선 (SFS Wendlingen–Ulm) | 벤들링엔 - 울름 | 59.6km | 2022 | |
카를스루에 - 바젤 개량선·신선 (ABS·NBS Karlsruhe–Basel) | 카를스루에 - 프라이부르크 - 바젤 | 186.5km | 2004[27] 2012[28] 2041[29] |
5.2. 공사 중인 노선
<colbgcolor=#db0000><colcolor=#fff><rowcolor=#fff> 최고 속도 | 노선명 | 기종점 | 연장 | 개통년도 |
250 km/h | 슈투트가르트 - 벤들링엔 고속선 (SFS Stuttgart–Wendlingen) | 슈투트가르트 - 벤들링엔 | 25.2km | 2025 |
===# 계획 중인 노선 #===
<colbgcolor=#db0000><colcolor=#fff><rowcolor=#fff> 최고 속도 | 노선명 | 기종점 | 연장 | 개통년도 |
300 km/h | 프랑크푸르트 - 만하임 신선 (NBS Frankfurt–Mannheim) |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 - 만하임 | 57.8km | - |
빌레펠트 - 하노버 신선 (NBS Bielefeld–Hannover) | 빌레펠트 - 하노버 | - km | - | |
250 km/h | 울름 - 아우쿠스부르크 프로젝트 (Bahnprojekt Ulm–Augsburg) | 울름 - 아우쿠스부르크 | - km | - |
230 km/h | 브레너 북부 진입선[TEN-T] (Brenner-Nordzulauf) | 그라핑[31] - 로젠하임 - 라트펠트(220km/h) 라트펠트 - 바움키르헨[32](230km/h) | ~129.9km | 2040 |
하나우 - 뷔르츠부르크 / 풀다 - 에어푸르트 개량선·신선 (ABS·NBS Hanau–Würzburg/Fulda–Erfurt) | 하나우 - 난텐바흐, 하나우 - 겔른하우젠[33](200km/h) 겔른하우젠 - 풀다, 풀다 - 게르스퉁엔(230km/h) | 41km[34] | - | |
드레스덴 - 프라하 고속선 (SFS Dresden–Prag) | 드레스덴 - 우스티나드라뱀 | ~62.5km | - | |
- | 뉘른베르크 - 뷔르츠부르크 신선 (NBS Nürnberg–Würzburg) | 뉘른베르크 - 뷔르츠부르크 | - km | - |
6. 해외 진출
2000년대 들어 활발. ICE 3의 개량형인 지멘스 벨라로가 러시아, 스페인에 삽산, Renfe S-103으로 팔리면서 해외 진출에 성공했고, 세인트 판크라스역에 ICE 3이 등장하더니 차세대 유로스타 차량에 지멘스 벨라로가 선정되어 영국철도 374형으로 투입되었다. 또한 튀르키예의 고속철 YHT 앙카라- 콘야 구간에도 같은 차량을 기반으로 한 열차를 수출했다.KTX 차량 선정 때에도 응모를 하긴 했지만, 제안 차량은 ICE 2의 개발형이었고 그나마도 프랑스처럼 파격적인 차관 지원 약속이 없어서 떨어졌다. 에세데 사고 때문에 탈락된 것이란 루머도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며 차량도입 계약은 1994년에 체결됐고 에세데 사고는 1998년에 일어났다. 물론 ICE 차량으로 결정이 났다면 차량도입이 늦어졌을수는 있다.
중국에 지멘스 벨라로를 기반으로 한 CRH3를 수출하였다, 그런데 CRH는 중국이 고속철도 기술을 도입하려는 목적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수출에 큰 의미가 없다.
1990년대 암트랙은 Northeast Corridor(북동 간선)에서 운행할 고속 열차를 찾고 있었는데 이때 독일제 ICE와 스웨덴제 SJ 2000 틸팅 열차가 미국으로 수출되었다. 한동안 북동 간선에서 시험하더니[35] 갑자기 사라졌다. 그런데 암트랙은 알스톰과 손잡더니 TGV를 베이스로 한 아셀라 익스프레스를 도입했다.
7. 문제점
도이체반의 고질적인 지연 문제는 문서 참고. 여기서는 ICE 시스템 자체의 문제점 위주로 다룬다.독일은 세계적인 수준의 철도 기술에 비해 고속전용선의 비중이 적어 준고속선과 기존선 직결의 비중이 상당히 높다 보니 고속철도 기준인 200km/h로 운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 원인은 크게 재정문제와 독일의 지리적 특성으로 나뉘는데 먼저 재정문제의 경우, 독일 정부의 도로교통 위주 개발과 함께 부실한 공공부문 투자가 주요 원인이다. 그나마 ICE는 핵심 교통수단이라 지속적인 개발을 목표로 꾸준히 투자가 들어오지만 이마저도 국토 전역에 300km/h급 고속선을 짓기엔 역부족이다.
다음으로 독일의 인구구조이다. 독일은 지역의 균형발전으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인구 격차가 적다. 즉 교통량이 집중되는 주요 간선이 없다. 따라서 고속전용선을 마구잡이로 짓기보다 기존선 개량을 통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36]
8. 차량
모델은 다음과 같다. 별도로 독일철도 소유의 탈리스 차량이 409번대를 받고 있다.- ICE-V: 410형 0번대. ICE 1 개발을 위한 시험차. 2000년에 동력차와 중간차 1량씩만 남기고 폐차되었다.
- ICE 1: 401/801형. 최초의 ICE 차량. TGV처럼 앞 뒤에 기관차가 있고 중간에 무동력 객차가 있는 Push-Pull방식의 동력집중식 차량이다.
- ICE 2: 402/802형. ICE 1에 비해 차량 편성당 량수가 짧아졌고 출력도 개선되었다. 기관차는 한쪽에만 있으며 다른 한쪽 끝에는 운전실이 달린 객차가 붙는다. 이런 구성은 오스트리아의 열차인 레일젯과 독일 내의 ICE Ex-Metropolitan이 이어받게 된다.
- ICE S: 410형 1, 2번대. ICE 3 개발용 시험차. 5량 1편성으로 제작되었으며 ICE 3 개발 프로젝트 종료 이후 4량으로 재조성되었다. 현재는 차세대 벨라로인 벨라로 NOVO의 시제차량이 1량 끼어서 다시 5량으로 운행되고 있다. 당연하게도 영업운전에는 투입되지 않는다. 풀네임은 InterCityExpress Schnellfahrt로, ICE 2의 기관차를 앞뒤로 구성한 후 프랑스 TGV의 3차 최고속도 실험에 사용된 차량처럼 중간 객차에도 전동기를 달아서 AWD를 구성했다.
- ICE T: 411(7량)/417(5량)형. 알스톰 펜돌리노의 틸팅 기술을 가져다가 만든 틸팅열차. 다만 ICE T 의 T는 Triebzug, 즉, 동력분산식이란 뜻의 머릿글자다. 여기서 알 수 있듯 ICE 라인업 최초의 동력분산식 열차다. 오스트리아 철도 소유 차량은 ÖBB 4011형이고 7량 1편성. 이 쪽은 사실 IC의 노후화를 앞두고 만들어진 동차형 IC였으나, 모종의 이유로 ICE로 프로젝트가 승격되어 결국 뮌헨(오스트리아)착발 열차로 운행 중. 자세한 이유는 문서 참조.
- ICE TD: 605형. 디젤 동차 버전의 ICE T. ICE 1이 아직도 살아 있는데 이 열차는 더 빨리 퇴역했다. 퇴역하고 나서는 Advanced Trainlab에 1편성이 이적하여 독일 전국을 돌아다니고 있다. 독일 ICE TD덕들은 축배를 드는 중이다.
- ICE Ex-Metropolitan: 유일한 객차형 차량이자 가장 안 알려진 차량. 인터시티 객차와 외형이 유사해 개조된 차량처럼 보일 수도 있다. 구별법은 운전객차의 운전실 창문 주변이 흰색으로 칠해져 있고 측면창이 ICE 시리즈처럼 통짜이면 ICE Ex-Met, 운전실 창문 주변이 회색이고 측면창이 분할형이면 그냥 IC다. 하지만 개조 차량은 아니고 본래 메트로폴리탄이라는 등급으로 운행하기 위해 1990년대 후반 도입된 차량이다. 전용 독일철도 101형 기관차도 세트로 도입되었다. 이들은 현재 일반 도색으로 변경되어 잘 운행 중이다. 이 때는 차량 전체가 은색인 도장을 하고 있었으나 2004년 메트로폴리탄이 폐지되며 ICE로 편입, 여타 ICE 차량들과 동일한 도색으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운행 중이다. 영업최고속도는 220km/h이다. 이름이 너무 길다 보니 보통 Ex-Met으로 줄여서 부른다. 단 2편성만이 존재하며, ICE T와 동일한 노선에 투입되고 있다. 객차지만 레일젯과 같이 고정편성이다. 상술했듯 최고속도가 ICE T와 비슷한 220km/h이다.
- ICE 3: 403형. ICE 1,2의 후계가 되는 주력 고속형 차량으로, ICE T에서 정립된 컨셉을 이어받으며 ICE 1,2와 다른 동력분산식으로 변경되고 디자인도 훨씬 유선형으로 만들어졌다.
- ICE 3M(=Multisystem): 406형. ICE 3 기반의 국제 직통열차 운행용 차량.
- 지멘스 벨라로 D: 407형. 채널 터널과 High Speed 1에 입선 가능한 차량. 영국에서 영국철도 374형으로 도입을 결정했다. ICE 3으로 분류되지만 기반부터 완전히 다른 신형 차량이다.
- 지멘스 벨라로 Neo: 408형. 벨라로 D의 후속 모델.
- 지멘스 벨라로 E: 스페인 렌페에서 운영하는 AVE에서 도입하였으며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 사이를 운행 중. Renfe S-103 참조.
- 지멘스 벨라로 CN: 중국철로고속 CRH3
- ICE 4: ICE 1/2와 노후된 인터시티 차량 대차분으로 2023년까지 도입 예정이다. ICx 프로젝트로 시작해서 2015년에 ICE 4로 명명되었다. 2016년 1월 베를린에서 시제차 출고식이 열렸다. 모든 ICE 4의 차체는 폴란드 브로츠와프에서, 바퀴는 오스트리아 그라츠에서, 운전 컨트롤 장치는 독일 헤니히스도르프에서 제작되고, 전체 조립은 독일 크레펠트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완성된 차량들은 독일 빌덴라트에 모여서 차량 순서대로 줄을 선 다음 시험운행을 거친 후 실제 노선에 투입된다.
- ICE L: Ex-met의 뒤를 잇는 객차형 차량. 본래 ECx 프로젝트로 시작하여 인터시티 등급으로 투입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ICE 등급으로 상향되었다. 스페인 Talgo사가 제작에 참여하여 1축 연접대차와 매우 짧은 1량당 길이, 전 차량 저상 구조와 같은 해당 제조사 특유의 요소들이 그대로 들어갔다.
8.1. 특별 도장
독일이 속한 단체 혹은 정책을 기념하기 위해 기존의 빨간색 계열 도장을 다양한 색상들로 바꾼 차량들이 돌아다닌다.8.1.1. 친환경 도장
선두차 부분의 적색 띠 도장 색상이 연녹색으로 새롭게 칠해졌고 적색 띠와 연녹색 띠 사이에 독일철도 로고 대신 플러그를 새롭게 그렸다. 재수선한 ICE 열차들과 ICE4에 일부 적용되었다. 연녹색 띠가 편성 전체에 적용된 편성도 극소수 존재한다.8.1.2. 독일국기 도장
독일통일 30주년을 기념하는 도장으로써 ICE 4의 일부 편성에만 적용되었다. 독일국기로 띠가 편성 전체, 혹은 운전 객차 일부에 그려졌고, 운전 객차의 출입문 옆 상단에 위치한 지역을 나타내는 도장도 독일국기로 그려졌다.8.1.3. 유럽연합 도장
ICE 3M Europe-Europa 로 도장된 406형 01편성 |
독일철도가 같은 유럽연합의 회원국들인 네덜란드, 벨기에를 연결한다는 것을 기념하는 도장이다. 독일 서부와 네덜란드, 벨기에를 연결해주는 ICE-3M 일부 편성에만 적용된 도장으로 유럽 연합 국기의 바탕색인 진한 청색계열 색 띠가 편성 전체에 그려졌다. 운전 객차의 출입문 옆 상단에 붙는 지역 도장도 유럽 연합 국기와 Europa/Europe으로 새롭게 그려졌다.
8.1.4. 무지개 도장
성 소수자들의 인권과 다양성을 존중한다는 의미에서 무지개색 띠를 열차 전체에 입혔다. 일명 "레일보우." 403형 04편성을 비롯한 일부 ICE 3에만 적용되었다.9.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상징 · 역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 <colcolor=#ffd400><colbgcolor=#000> 상징 | 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프랑크 왕국 · 독일 왕국 · 신성 로마 제국 · 프로이센 · 독일 통일 · 독일 제국 · 라이히 · 독일국 · 바이마르 공화국 · 융커 · 나치 독일(퓌러 · 안슐루스 · 과거사 청산 문제 · 하켄크로이츠 · 나치식 경례 · 전범기업 · 나치 독일-이탈리아 왕국 관계 · 나치 독일-일본 제국 관계 · 삼국 동맹 조약(추축국) · 영국-나치 독일 관계 · 프랑스-나치 독일 관계 · 나치 독일-폴란드 관계(독소 폴란드 점령) · 나치 독일-소련 관계(독소 불가침조약 · 독소전(대조국전쟁)) · 미국-나치 독일 관계) · 서독-동독 관계(서독 · 독일민주공화국 · 슈타지) · 바더 마인호프 · 독일 재통일 |
}}}
}}}
- [ 사회 · 경제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 지리 ||지역 구분(틀)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하위지역) · 니더작센(하위지역) · 라인란트팔츠(하위지역)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하위지역) · 바덴뷔르템베르크(하위지역) · 바이에른(하위지역) · 베를린 · 브란덴부르크(하위지역) · 브레멘(하위지역) · 슐레스비히홀슈타인(하위지역) · 자를란트(하위지역) · 작센(하위지역) · 작센안할트(하위지역) · 튀링겐(하위지역) · 함부르크 · 헤센(하위지역) · 도시/목록/독일 · 프랑켄 · 슈바벤 · 라인란트 · 베스트팔렌 · 슈바르츠발트 · 브로켄 · 알프스산맥 · 라인강 · 엘베강 · 도나우강 · 모젤강 · 네카어강 · 슈프레강 · 보덴 호||
사회 인구 · 게르만족 · 독일인 교통 교통 · 아우토반 · 철도 환경(역사 · 노선 · 도이체반 · ICE) · 독일의 공항(틀) · 프랑크푸르트 공항 · 뮌헨 공항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 · 뒤셀도르프 공항 · 함부르크 공항 교육 교육 전반 · 우수대학육성정책 · TU9 · 독일 대학교 목록 · 김나지움 · 아비투어 경제 경제 전반 · 산업 전반 · 독일제 · 대기업 · 도이체 뵈르제 · DAX · 라인강의 기적 ·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 루르 공업 지대 · 유로 (독일연방은행 · 유럽중앙은행) · 한자동맹 · 에어버스 · 폭스바겐 비틀 · 트라반트 601 · 슈파카세
- [ 정치 · 군사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000> 정치 ||연방총리청 · 독일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기본법) · 독일 정부 · 행정조직 · 대통령 · 총리 · 연방의회 · 연방상원 · 연립정부· 대연정· 소연정 ||
선거 유럽의회 선거 · 연방의회 선거 · 주의회 선거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독일어권(독일-오스트리아 관계) · G4 · G7 · G20 · 영프독 · 유럽연합(제4제국) · 냉전 · 신냉전 · 독미관계 · 독일-프랑스 관계 · 독일-폴란드 관계 · 독러관계(독소관계) · 비자 · 독빠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폴란드 영토 논란 · 오데르-나이세 선 · 할슈타인 원칙 · 동방 정책 군사 독일군 · 역사 · 프로이센군 · 독일 제국군 (카이저마리네) · 독일 국방군 (육군 · 해군 · 공군) · 독일 연방군(육군 · 해군 · 공군) · KSK · 국가인민군(바르샤바 조약 기구) · 징병제(중단) · NATO 계급 · 군가 · 군복 · 군장 · 전투식량 · MG34 · MG42 · MG3 · StG44 · H&K G3 · H&K HK416 (M4A1 vs HK416) · H&K HK417 · MP18 · MP40 · H&K MP5 · 판처파우스트 · 판처파우스트 44 란체 · 판처파우스트 3 · 암브루스트 무반동포 · 티거 1 · 레오파르트 1 · 레오파르트 2 · PzH2000 · Bf 109 · Ju 87 · Me 262 · U-Boot 전격전 · 장교의 4가지 유형 · 독일의 전쟁범죄 (나치 친위대) · 국방군 무오설 · NATO군 vs 러시아군 치안·사법 사법 전반 · 독일 연방경찰청(GSG 9 · SEK) · 독일 연방의회경찰대 · 독일 연방헌법수호청 · 연방일반법원 · 연방헌법재판소 · 독일 형법
- [ 문화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 문화 ||문화 전반 · 가톨릭 · 루터교회 · 독일 영화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옥토버페스트 · 독일 민요 · 요들 · 메르헨 · 그림 동화 · 보탄 · 니벨룽의 노래 · 디트리히 전설 · 브로켄의 요괴 · 발푸르기스의 밤 · 디른들 ·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바그네리안 · 크라우트록 · 표현주의 · 바우하우스 · 다리파 · 청기사파 · 슈투름 운트 드랑 · 은물 · ARD(산하 방송국) · ZDF ||
관광 관광 · 세계유산 · 브란덴부르크 문 · 베를린 TV타워 · 체크포인트 찰리 · 노이슈반슈타인 성 · 엘츠 성 독일어 표준 독일어(문법 · 발음) · 저지 독일어 · 오스트로바이에른어 · 알레만어 · 스위스 독일어 · 오스트리아 독일어 · 펜실베이니아 독일어 · 중세 고지 독일어 · ß · 움라우트 · 라틴 문자 · 독일어 위키백과 · Goethe-Zertifikat · TestDaF · 독일어권 · 독어독문학과 · 독일어교사 음식 독일 요리(지역별 독일 요리) · 지리적 표시제 · 맥주/독일 · 부어스트 · 프레첼 · 자우어크라우트 · 바움쿠헨 · 환타 · 구미 베어 스포츠 독일 축구 연맹 · 축구 대회(축구 리그)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서브컬처 독일인 캐릭터 · Krautchan(폴란드볼 · Wojak · Remove Kebab) · 독일초딩 · Fichtl's Lied
- [ 기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 독일계 ||독일계 미국인 · 독일계 러시아인 · 독일계 폴란드인 · 독일계 아르헨티나인 · 독일계 캐나다인 · 독일계 브라질인 · 독일계 루마니아인 · 독일계 호주인 · 독일계 멕시코인 · 독일계 나미비아인 · 독일계 영국인 · 독일계 우크라이나인 · 독일계 벨라루스인 · 독일계 리투아니아인 ||
기타 막스 플랑크 협회 · 저마늄 · 과학기술정책/독일 · 공휴일/독일 · 서독-동독 관계 · 베를린 장벽 · 동서독 국경 · 그뤼네스반트
10. 둘러보기
독일철도의 전동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bottom: -15px;" | 고속열차 | |
일반열차 | 445형 • 446형 | |
광역전철 | 480형 • 481형 • 483형 • 423형 • 430형 420형 • 422형 • 1440형 425형 • 463형 423형 • 428형 474형 • 490형 424형 • 425형 442형 •1440형 420형 • 423형 425형 | |
취소선 : 전 편성이 퇴역 | ||
}}}}}}}}} |
<colbgcolor=#fff,#191919> · 415형 | ||
사건 사고 에세데 사고 |
독일/오스트리아 열차 등급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olcolor=#fff> 장거리 열차 Fernverkehr | |||||
🚄 고속열차 | 🚅 특급열차(D-zug) | |||||
EN | ||||||
중단거리 열차 Nahverkehr | ||||||
🚈 급행열차 | 🚃 보통열차 | 🚃 광역철도 | ||||
<colbgcolor=#fff,#191919> RE | RB&RZ | S-bahn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상징 · 역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 <colcolor=#ffd400><colbgcolor=#000> 상징 | 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프랑크 왕국 · 독일 왕국 · 신성 로마 제국 · 프로이센 · 독일 통일 · 독일 제국 · 라이히 · 독일국 · 바이마르 공화국 · 융커 · 나치 독일(퓌러 · 안슐루스 · 과거사 청산 문제 · 하켄크로이츠 · 나치식 경례 · 전범기업 · 나치 독일-이탈리아 왕국 관계 · 나치 독일-일본 제국 관계 · 삼국 동맹 조약(추축국) · 영국-나치 독일 관계 · 프랑스-나치 독일 관계 · 나치 독일-폴란드 관계(독소 폴란드 점령) · 나치 독일-소련 관계(독소 불가침조약 · 독소전(대조국전쟁)) · 미국-나치 독일 관계) · 서독-동독 관계(서독 · 독일민주공화국 · 슈타지) · 바더 마인호프 · 독일 재통일 |
}}}
}}}
- [ 사회 · 경제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 지리 ||지역 구분(틀)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하위지역) · 니더작센(하위지역) · 라인란트팔츠(하위지역)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하위지역) · 바덴뷔르템베르크(하위지역) · 바이에른(하위지역) · 베를린 · 브란덴부르크(하위지역) · 브레멘(하위지역) · 슐레스비히홀슈타인(하위지역) · 자를란트(하위지역) · 작센(하위지역) · 작센안할트(하위지역) · 튀링겐(하위지역) · 함부르크 · 헤센(하위지역) · 도시/목록/독일 · 프랑켄 · 슈바벤 · 라인란트 · 베스트팔렌 · 슈바르츠발트 · 브로켄 · 알프스산맥 · 라인강 · 엘베강 · 도나우강 · 모젤강 · 네카어강 · 슈프레강 · 보덴 호||
사회 인구 · 게르만족 · 독일인 교통 교통 · 아우토반 · 철도 환경(역사 · 노선 · 도이체반 · ICE) · 독일의 공항(틀) · 프랑크푸르트 공항 · 뮌헨 공항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 · 뒤셀도르프 공항 · 함부르크 공항 교육 교육 전반 · 우수대학육성정책 · TU9 · 독일 대학교 목록 · 김나지움 · 아비투어 경제 경제 전반 · 산업 전반 · 독일제 · 대기업 · 도이체 뵈르제 · DAX · 라인강의 기적 ·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 루르 공업 지대 · 유로 (독일연방은행 · 유럽중앙은행) · 한자동맹 · 에어버스 · 폭스바겐 비틀 · 트라반트 601 · 슈파카세
- [ 정치 · 군사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000> 정치 ||연방총리청 · 독일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기본법) · 독일 정부 · 행정조직 · 대통령 · 총리 · 연방의회 · 연방상원 · 연립정부· 대연정· 소연정 ||
선거 유럽의회 선거 · 연방의회 선거 · 주의회 선거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독일어권(독일-오스트리아 관계) · G4 · G7 · G20 · 영프독 · 유럽연합(제4제국) · 냉전 · 신냉전 · 독미관계 · 독일-프랑스 관계 · 독일-폴란드 관계 · 독러관계(독소관계) · 비자 · 독빠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폴란드 영토 논란 · 오데르-나이세 선 · 할슈타인 원칙 · 동방 정책 군사 독일군 · 역사 · 프로이센군 · 독일 제국군 (카이저마리네) · 독일 국방군 (육군 · 해군 · 공군) · 독일 연방군(육군 · 해군 · 공군) · KSK · 국가인민군(바르샤바 조약 기구) · 징병제(중단) · NATO 계급 · 군가 · 군복 · 군장 · 전투식량 · MG34 · MG42 · MG3 · StG44 · H&K G3 · H&K HK416 (M4A1 vs HK416) · H&K HK417 · MP18 · MP40 · H&K MP5 · 판처파우스트 · 판처파우스트 44 란체 · 판처파우스트 3 · 암브루스트 무반동포 · 티거 1 · 레오파르트 1 · 레오파르트 2 · PzH2000 · Bf 109 · Ju 87 · Me 262 · U-Boot 전격전 · 장교의 4가지 유형 · 독일의 전쟁범죄 (나치 친위대) · 국방군 무오설 · NATO군 vs 러시아군 치안·사법 사법 전반 · 독일 연방경찰청(GSG 9 · SEK) · 독일 연방의회경찰대 · 독일 연방헌법수호청 · 연방일반법원 · 연방헌법재판소 · 독일 형법
- [ 문화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 문화 ||문화 전반 · 가톨릭 · 루터교회 · 독일 영화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옥토버페스트 · 독일 민요 · 요들 · 메르헨 · 그림 동화 · 보탄 · 니벨룽의 노래 · 디트리히 전설 · 브로켄의 요괴 · 발푸르기스의 밤 · 디른들 ·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바그네리안 · 크라우트록 · 표현주의 · 바우하우스 · 다리파 · 청기사파 · 슈투름 운트 드랑 · 은물 · ARD(산하 방송국) · ZDF ||
관광 관광 · 세계유산 · 브란덴부르크 문 · 베를린 TV타워 · 체크포인트 찰리 · 노이슈반슈타인 성 · 엘츠 성 독일어 표준 독일어(문법 · 발음) · 저지 독일어 · 오스트로바이에른어 · 알레만어 · 스위스 독일어 · 오스트리아 독일어 · 펜실베이니아 독일어 · 중세 고지 독일어 · ß · 움라우트 · 라틴 문자 · 독일어 위키백과 · Goethe-Zertifikat · TestDaF · 독일어권 · 독어독문학과 · 독일어교사 음식 독일 요리(지역별 독일 요리) · 지리적 표시제 · 맥주/독일 · 부어스트 · 프레첼 · 자우어크라우트 · 바움쿠헨 · 환타 · 구미 베어 스포츠 독일 축구 연맹 · 축구 대회(축구 리그)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서브컬처 독일인 캐릭터 · Krautchan(폴란드볼 · Wojak · Remove Kebab) · 독일초딩 · Fichtl's Lied
- [ 기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 독일계 ||독일계 미국인 · 독일계 러시아인 · 독일계 폴란드인 · 독일계 아르헨티나인 · 독일계 캐나다인 · 독일계 브라질인 · 독일계 루마니아인 · 독일계 호주인 · 독일계 멕시코인 · 독일계 나미비아인 · 독일계 영국인 · 독일계 우크라이나인 · 독일계 벨라루스인 · 독일계 리투아니아인 ||
기타 막스 플랑크 협회 · 저마늄 · 과학기술정책/독일 · 공휴일/독일 · 서독-동독 관계 · 베를린 장벽 · 동서독 국경 · 그뤼네스반트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C8102E>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 끊임없이 축복받으세 · 황제 찬가 |
역사 | 역사 전반 · 신성 로마 제국 · 오스트리아 공국 · 오스트리아 대공국 · 합스부르크 제국 · 오스트리아 제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독일계 오스트리아 공화국 ·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 · 오스트리아 연방국 · 연합군 점령하 오스트리아 | |
사회 | 오스트리아/인구 | |
정치 | 정치 전반 · 오스트리아/행정구역 · 오스트리아 대통령 · 오스트리아 총리 · 오스트리아 의회(오스트리아 연방의회 · 오스트리아 국민의회) | |
지리 | 알프스산맥 · 보덴 호 · 도나우강 | |
외교 | 외교 전반 · 독일어권 · 유럽연합 | |
경제 | 경제 전반 · | |
교통 | 오스트리아의 공항(틀) · 철도 환경(오스트리아 연방 철도 · ICE · Railjet · Nightjet) · 아우토반 | |
국방 | 오스트리아 연방군 · 황제군 · 오스트리아 제국군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 페르디난트 만리허 | |
치안·사법 | 사법 전반 · 오스트리아 연방경찰청 · 오스트리아 헌법재판소 | |
문화 | 문화 전반 · 관광 · 요들 · 요리 · 슈트루델 · 슈니첼 · 자허토르테 ·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 오스트로바이에른어 · 오스트리아 독일어 | |
민족 | 오스트리아인(러시아계) · 오스트리아계 미국인 · 오스트리아계 러시아인 · 오스트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
기타 | 오스트리아빠 · 대오스트리아 합중국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da291c> 상징 | <colcolor=#000,#fff>국호 · 국가 · 국기 |
역사 | 역사 전반 | |
정치 | 정치 전반 · 의회 원내 구성 · 스위스 대통령 | |
외교 | 외교 전반 · 스위스 연방 여권 · EFTA · JUSCANZ | |
경제 | 경제 전반 · 스위스 프랑 | |
교통 | 철도 환경(스위스 연방철도 · ICE · TGV 리리아) | |
국방 | 스위스군 · 육군 · 공군 · 스위스군 특수부대사령부 · 스위스 군사경찰 · 스위스 군사정보국/예방보호국 | |
치안·사법 | 스위스 연방경찰실 | |
문화 | 요리 · 관광 · 언어(독일어(스위스 독일어) · 프랑스어 · 이탈리아어 · 로망슈어) ·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 | |
지리 | 주 목록(틀) · 베른 · 취리히 · 알프스산맥 · 보덴 호 | |
디아스포라 | 스위스계 미국인 · 스위스계 아르헨티나인 · 스위스계 캐나다인 · 스위스계 러시아인 | |
기타 | 스위스인(러시아계 · 한국계) · 스위스 근위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21468b> 상징 | <colcolor=#000,#fff>국기 · 국가 · 국호 · 주황색 |
역사 | 역사 전반 · 네덜란드 공화국 · 바타비아 공화국 · 연합 네덜란드 주권공국 · 네덜란드 연합왕국 | |
사회 | 사회 전반 · 인구 · 행정구역 | |
정치 | 정치 전반 · 국왕 · 행정구역 · 국가의회(상원 · 하원) · 총리 | |
선거 | 유럽의회 선거 | |
외교 | 외교 전반 · 베네룩스 ·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유럽연합 | |
경제 | 경제 전반 · | |
교통 | 교통 전반 · 철도 환경(유로스타 · Thalys · ICE) · 암스테르담 메트로 · 스키폴 공항 · KLM 네덜란드 항공 | |
교육 | 교육 전반 · 대학 틀 | |
국방 | 네덜란드군 · 육군 · 해군 · 공군 · NATO | |
문화 | 문화 전반 · 관광 · 영화 · 요리 · 보렌반트 | |
언어 | 네덜란드어 · 네덜란드어 연합 | |
인물 | 빌럼 1세 · 에라스뮈스 · 안토니 판 레이우엔훅 · 빈센트 반 고흐 · 안네 프랑크· 요한 크루이프 · 핌 포르튀인 | |
스포츠 | 축구 국가대표팀 · 풋살 국가대표팀 · 네덜란드 왕립 축구 협회 · 에레디비시 · 에레디비시 프라우언 · 네덜란드 그랑프리 | |
민족 | 네덜란드인(인도네시아계 · 수리남계 · 러시아계 · 중국계 · 튀르키예계 · 한국계 · 폴란드계 · 그리스계 · 아르메니아계) · 네덜란드계 미국인 · 네덜란드계 러시아인 · 네덜란드계 캐나다인 · 네덜란드계 브라질인 · 네덜란드계 아르헨티나인 · 네덜란드계 호주인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ae042><colbgcolor=#ed2939> 상징 | 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부르고뉴령 네덜란드 ·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 벨기에 합중국 · 네덜란드 연합왕국 · 연합 네덜란드 주권공국 · 벨기에 왕국 · 벨기에 식민제국 | |
사회 | 사회 전반 · 인구 · 행정구역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국왕 · 행정구역 · 벨기에 왕조 · 벨기에 연방의회 | |
선거 | 유럽의회 선거 | |
외교 | 외교 전반 · 베네룩스 ·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유럽연합 | |
경제 | 경제 전반 · | |
교육 | 교육 전반 | |
국방 | 벨기에군 · NATO | |
교통 | 철도 환경(벨기에 국철 · 유로스타 · Thalys · ICE) | |
문화 | 문화 전반 · 영화 · 요리 · 보렌반트 · 관광 | |
언어 | 벨기에/언어(벨기에 플람스 공동체 · 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 ·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 · 프랑코포니 · 네덜란드어 연합 | |
스포츠 | 축구 국가대표팀 · 풋살 국가대표팀 · 벨기에 그랑프리 | |
기타 | 벨기에인(한국계) · 벨기에계 미국인 · 벨기에계 멕시코인 |
[[독일|]] 독일-오스트리아 관계 관련 문서 [[오스트리아|]]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0><colcolor=#fff> 역사 | 게르만족 · 신성 로마 제국 · 대독일주의 · 소독일주의 ·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 독일 통일 · 3제 동맹 · 삼국 동맹 · 비스마르크 체제 · 올뮈츠 협약 · 독일계 오스트리아 공화국 · 오스트리아 병합 |
사회·문화 | 독일어 · 독일어권 · 오스트로바이에른어 · 중부유럽 · 가톨릭 · 유럽연합 · 유로 · ICE · Railjet | |
기타 | 독일-이탈리아-오스트리아 관계 · 히혼의 수치 · 알프스 | }}}}}}}}} |
[1] 재미있게도, ICE-1, ICE 3와 신칸센 500계는 같은 업체에서 디자인했다.[2] ICE뿐만 아니라 새마을호급인 IC도 동일한 도색을 하고 다닌다. 사실 이 도색은 ICE만의 것이 아닌 독일철도공사의 장거리 사업부의 공통 도색이기 때문이다.[3] 루프트한자처럼 ICE 열차가 다니는 도시들의 이름을 세례명처럼 선두차에 붙이고 다닌다. 도시 수를 넘어선 이후 ICE 4부터는 마르틴 루터와 같은 인명이 붙기도 하고 아예 세례명이 없는 경우도 있다.[4] 다만 초기에 재도색된 극소수의 편성들은 라인 전체가 녹색이다.[5] 2023년 12월 기준[6] 인터넷이나 DB 자판기에서 Sparpreis를 검색하면 편도 요금은 독일 전구간(뮌헨 - 함부르크 알토나 구간(약 650km) 등) 최저 19유로도 있으니 잘 찾아보도록 하자. 다만 19유로는 드물고 29유로 정도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 DB 네비게이터 앱을 사용하면 더욱 편리하다.[7] 유레일패스가 있으면 이것도 4,50유로 내고 좌석지정만 하면 된다.[8] 그냥 독일철도청에서 보내는 TV같은 것이다.[9] 물론 반카드가 있다면 보너스를 적립해서 탈 수도 있다. 자세한 건 도이체반 문서 참고.[10] 베를린, 뮌헨, 하노버, 함부르크, 쾰른,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역 등이 있다.[11] 독일 철도 홈페이지에 좌석 선택 항목에서 해당 없음을 선택하고 그냥 넘어가면 비지정석, 즉 입석/자유석이 된다.[12] 열차 기종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위치가 다른데, 좌석 옆면에 붙어있는 기종이 있는가 하면 벽면 위쪽의 좌석 번호 옆에 붙어있는 경우도 있다.[13] 차이점은 서대동부 편성은 시간표 개정에 따라 추가됐다가 사라졌다가 하는 비정기 편성인 반면, 스프린터는 시간표에 관계 없이 하루에 몇 회가 무조건 편성되는 고정 편성이다.[14] 1031 순방향 / 1038 역방향[15] 1120, 1122 순방향 / 1121, 1123 역방향[16] 1094 순방향 -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까지 운행 / 1097 역방향 - 다름슈타트 중앙역까지 운행[17] 1103, 1105, 1107, 1109, 1111, 1113, 1115 순방향 / 1102, 1104, 1106, 1108, 1110, 1112, 1114 역방향[18] 1154, 1156, 1158 순방향 / 1155, 1157, 1159 역방향[19] 833, 835, 837, 839, 933, 935, 939 순방향 / 832, 834, 836, 838, 930, 934, 938 역방향[20] 1001, 1003, 1005, 1007, 1009, 1019 순방향 / 1000, 1002, 1004, 1006, 1008, 1018 역방향[21] 9563 순방향 / 9568 역방향[22] 오스트리아 및 네덜란드행 노선을 일부 포함한다. 대개 기존 열차의 연장운영으로, 국제선 전용 열차는 별도 문단에 서술.[23] ICE L 도입 및 기존선 고속화가 끝나면 암스테르담 중앙역까지 연장할 계획이다.[24] 동 노선의 연장판인 파리-베를린 직통 열차편은 ICE9590/9591편으로 운행. 경유지는 파리 동역 - 스트라스부르 - 카를스루에 - 프랑크푸르트 남 - 베를린 슈판다우 - 베를린 ( - 베를린 동역(파리발 베를린행 ICE9591편 한정))[25] 건설 형태나 목적에 따라 '신선'이란 뜻의 노이바우슈트레커(Neubaustrecke, NBS)나 '개량선'이란 뜻의 아우스바우슈트레커(Ausbaustrecke, ABS)로 부르기도 한다. 고속선인지, 기존선 개량인지도 모르는 구상 단계면 그냥 반프로젝트(Bahnprojekt)로 부른다.[26] 에어푸르트 - 할레. 할레 지선 단독 3.6km.[27] 라트슈타트-오펜부르크 구간(44km).[28] 슐링엔-할팅엔 구간(22km).[29] 바스하이더 - 라트슈타트 구간(117km).[TEN-T] TEN-T 프로젝트의 일부다.[31] 뮌헨 동남쪽의 마을이다.[32] 인스브루크 동쪽의 마을로, 여기서 브레너 베이스 터널(Brenner Base Tunnel)을 통해 이탈리아로 넘어간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33] 하나우 - 겔른하우젠 구간은 기존선 복복선화.[34] 풀다-게르스퉁엔.[35] 유튜브에서 Amtrak ICE 라고 치면 영상들을 볼 수 있다.[36] 다만 이마저도 어지간한 TGV나 AVE의 고속선보다 높은 인구밀도를 보여준다. 가령 파리를 빼면 연선에 인구 100만이 넘는 도시가 셋뿐인 동남선과 달리 쾰른-뮌헨은 거리가 훨씬 짧은데도 다섯 개다. 결국 한 두 축선에 몰려있는 국가들과는 달리 고속선을 여러 군데에 설치해야 한다는 점이 난점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