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28 21:37:36

RE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원소 기호에 대한 내용은 레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상대효율의 약어에 대한 내용은 상대효율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유체역학의 무차원 수에 대한 내용은 레이놀즈 수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도이치반 로고.svg 독일/오스트리아 열차 등급 파일:오스트리아 연방 철도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color=#fff> 장거리 열차
Fernverkehr
🚄 고속열차 🚅 특급열차(D-zug)
파일:ICE 로고.svg 파일:Railjet 로고.svg 파일:인터시티(유럽) 로고.svg EN 파일:ÖBB_Nightjet_logo.svg
중단거리 열차
Nahverkehr
🚈 급행열차 🚃 보통열차 🚃 광역철도
<colbgcolor=#fff,#191919> RE RB&RZ S-bahn
}}}}}} ||
파일:BR445_비율수정.jpg
최신 차량인 독일철도 445형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Bpbzf_763.5_Remagen.jpg
레마겐 역에 들어선 에머리히-코블렌츠 간 열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b-bimdzf269xxx-00.jpg
90년대 도색의 인터레기오 열차
1. 개요2. 지역별 RE
2.1. 베를린브란덴부르크
2.1.1. 공항 급행열차 (Flughafen Express)2.1.2. RE (Regional-Express)
2.2.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2.3.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3. 관련 문서

1. 개요

Regional-Express

독일, 오스트리아, 룩셈부르크의 열차 등급명.

이름에서 보이듯이 지역 내(Regional) 급행 운전(Express)을 실시하는 열차로, 한국의 무궁화호, 누리로와 비교하기엔 더 고속열차이고 일본의 특급열차에 해당하는 등급이다. 운행 시격은 대체로 1시간이고, S반 등 하위 등급과의 간섭이나 선로 용량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웬만해서는 배차 간격이 30분 밑으로 내려가지 않는다. 대체로 파리RER, 트랑지리엥과 매우 비슷하다.

그야말로 온갖 차량을 다 긁어모아서 돌리기 때문에, 6량짜리 구형 인터시티 객차에서부터 2층 열차, 4량짜리 전동차, 디젤동차, 폐차가 오늘내일하는 구닥다리 객차까지 도대체 이 나라에는 왜 이렇게 많은 종류의 차량이 있는 것인가가 궁금할 정도로 다양한 차량이 투입된다. 심지어 독일에서는 구형 인터시티 객차에 장거리용 기관차를 매달고 고속선에서 200 km/h까지 땡기는 주제에 등급이 RE라서 기본 운임만 수수하는 뮌헨-뉘른베르크간 RE도 있다. 운영사도 국철 뿐만 아니라 제3섹터까지 다양하게 포진해 있다.

정차역은 그 지역의 중심역과 추가적으로 공항 등으로만 한정되어 있다. IC서울역영등포역만 서고 바로 수원역으로 간다면 RE는 중간에 안양역에도 서 주는 식. 운행 거리는 보통 100~200 km 정도 되는데 국경 지역에서 운행하는 RE는 선로 상황이 좋을 때 국경을 넘어 다니기도 한다. 그러나 단선 구간이나 수요가 적은 구간이라면 RE가 해당 우선을 운행하는 최저 등급이 될 때도 있다.

독일에서는 RE가 가장 싼 표로 탈 수 있는 가장 빠른 열차이고, 중거리 이동 시에는 몸은 좀 피곤할 수도 있지만 가성비가 매우 좋다. IC는 너무 비싼데다가 대도시 근처로 갈수록 소요 시간 차이가 적어지고, S반이나 RB는 같은 표로 탈 수 있지만 너무 느리기 때문. 물론 유레일 패스나 반카드 100 같은거 들고 있으면 그런거 없지만. 각 지역별 패스는 여기까지만 사용할 수 있다.

U반이나 S반의 차량과는 달리 RE 차량에는 화장실이 존재하는 관계로, 철도 회사 직원의 탑승권 불심검문시에 화장실에 숨어서 검문을 피해가는 경우도 있다.

한편 스페인Renfe도 동일한 등급을 운용한다. 항목 참조.

2. 지역별 RE

ICEIC는 도이체반의 장거리 사업부(DB Fernverkehr)에서 맡지만 RE 이하는 지역별 입찰로 노선별 운영권이 분배된다. 도이체반이 입찰할 때에는 S반처럼 자회사인 DB Regio의 각 광역권 지사가 한다. 대부분은 해당 광역권 내에서 운행하지만 아래의 베를린 수도권이나 슈투트가르트가 있는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등 일부 지역에서는 장거리 RE인 InterRegio Express(줄여서 IRE) 라는 열차를 편성하는데, 이런 편성은 한국의 서울-부산, 용산-목포, 용산-여수엑스포, 청량리-부전 간 장거리 무궁화호와 같은 포지션으로 생각하면 된다.

2.1. 베를린브란덴부르크

파일:베를린 주장.svg 베를린대중교통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attachment/베를린교통공사/BVG-small.png BVG · 파일:도이치반 로고.svg DB · VBB
도시 교통 파일:U반 로고.svg U-Bahn · 파일:attachment/베를린교통공사/BVG-Bus-small.png 파일:attachment/베를린교통공사/BVG-X-Bus-small.png 파일:attachment/베를린교통공사/BVG-Metrobus-small.png Bus · 파일:attachment/베를린교통공사/BVG-Metrotram-small.png Tram · 파일:attachment/베를린교통공사/BVG-Fähre-small.png Ferry
근교 교통 파일:S반 로고.svg S-Bahn · 파일:도이치반 로고.svg RegionalExpress · 파일:도이치반 로고.svg RegionalBahn
장거리 철도역 중앙역 · 동역 · 게준트브루넨역 · 쥐트크로이츠역 · 오스트크로이츠역 · 슈판다우역
장거리 버스 터미널 ZOB · 알렉산더플라츠
공항 베를린-브란덴부르크
}}}}}}}}} ||


베를린브란덴부르크에서는 도이체반 레기오 동북지사(DB Regio Nordost)에서 운영하고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교통조합(VBB)에 가입되어 있다. 많은 노선이 베를린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나가는 형태이며, 베를린을 경유하지 않는 주 내 이동은 RB 노선이 담당한다. RE 및 RB 노선이 병행하는 구간은 많지 않지만, 병행 노선에서는 RE/RB 간 정차역 수에 차이를 두고는 있다. 베를린 S반의 존재 때문에 베를린 시내에서는 손에 꼽을 수 있을 정도의 역에만 정차한다.[1] 일부 RE 노선은 인접한 주인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작센, 작센-안할트 주로도 운행한다.

2.1.1. 공항 급행열차 (Flughafen Express)

노선 정차역
FEX (Flughafen Express) BER 국제공항[2] - 오스트크로이츠 - 게준트브루넨 - 베를린 중앙역

2.1.2. RE (Regional-Express)

노선 정차역
RE 1 (마그데부르크 - ) 브란덴부르크 - 베르더 - 포츠담 중앙역 - 반제 - 샤를로텐부르크 - 동물원 - 베를린 중앙역 - 프리드리히슈트라세 - 알렉산더플라츠 - 베를린 동역 - 오스트크로이츠 - 에르크너 - 팡슐로이제 - 퓌르스텐발데 - 프랑크푸르트 (오데르) (- 아이젠휘텐슈타트 - 코트부스)
RE2 나우엔 - 팔켄제 - 슈판다우 - 동물원 - 베를린 중앙역 - 프리드리히슈트라세 - 알렉산더플라츠 - 오스트크로이츠 - 쾨니히스 부스터하우젠 - 브란트/트로피칼아일랜드 - 뤼벤 - 뤼베나우 - 코트부스
RE3 (비텐베르크 중앙역 - ) 위터보크 - 루트비히스펠데 - 리히터펠데 동 - 쥐트크로이츠 - 포츠다머플라츠 - 베를린 중앙역 - 게준트브루넨 - 베르나우 - 에버스발데 - 앙어뮌데 - (프렌츨라우 - 안클람 - 그라이프스발트 - 슈트랄준트 중앙역)/(슈베트)
RE4 라테노 - 부스터마크 - 베를린 슈타켄 - 슈판다우 - 융페른하이데 - 베를린 중앙역 - 포츠다머플라츠 - 쥐트크로이츠 - 리히터펠데 동 - 텔토 - 루트비히스펠데 - (위터보크)/(팔켄베르크)
RE5 베를린 쥐트크로이츠 - 포츠다머플라츠 - 베를린 중앙역 - 게준트브루넨 - 오라니엔부르크 - 뢰벤베르크 - 퓌르스텐베르크 - 노이슈트렐리츠 중앙역 - (로스토크 중앙역)(슈트랄준트 중앙역)
RE6 비텐베르게 - 프리츠발크 - 비트슈톡 - 노이루핀 라인스베르거 토어 - 크레멘 - 펠텐 - 헤니히스도르프 - 슈판다우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RE7 데사우 중앙역 - 바드 벨치히 - 제딘 - 미헨도르프 - 포츠담 메디엔슈타트-바벨스베르크 - 반제 - 샤를로텐부르크 - 동물원 - 베를린 중앙역 - 프리드리히슈트라세 - 알렉산더플라츠 - 동역 - 오스트크로이츠 - 쾨니히스 부스터하우젠 - 브란트/트로피칼아일랜드 - 뤼벤 - 뤼베나우 - 젠프텐베르크
RE8 북 비스마어 - 슈베린 - 루트비히스루스트 - 비텐베르게 - 나우엔 - 베를린 슈판다우 - 동물원 - 베를린 중앙역 - 프리드리히슈트라세 - 알렉산더플라츠 - 동역 - 오스트크로이츠 - BER 국제공항
RE8 남 베를린 중앙역 - 쥐트크로이츠 - 리히터펠데 동 - 블랑켄펠데 - 뷘스도르프-발트슈타트 - 바루트 - (엘스터베르다)/(핀스터발데)
RE10 라이프치히 중앙역 - 엘렌부르크 - 팔켄베르크 - 핀스터발데 - 코트부스 - 프랑크푸르트 (오데르)역
RE11 라이프치히 중앙역 - 팔켄베르크 - 룰란트 - 호이어스베르다
RE13 코트부스 중앙역 - 젠프텐베르크 - 룰란트 - 엘스터베르다
RE14 데사우 중앙역 - 비텐베르크 중앙역 - 팔켄베르크
RE15 호이어스베르다 - 룰란트 - 프리스테비츠 - 코스비히 - 드레스덴 중앙역
RE18 코트부스 중앙역 - 젠프텐베르크 - 룰란트 - 프리스테비츠 - 코스비히 - 드레스덴 노이슈타트 - 드레스덴 중앙역

2.2.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 전체적으로 S반 노선이 로스토크 한 곳에만 있고, 복선 구간이 드물기 때문에 노선을 운행하는 최저 등급 열차가 RE인 곳이 많다. 당연히 그러한 구간을 달리는 RE 노선은 Express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전역 정차를 하는 등 RE의 탈을 쓴 RB이다. 주요 도시인 로스토크, 슈트랄준트, 슈베린 방면 노선은 그나마 RE 통과역이 조금씩 있다. 남쪽으로 3개 노선이 베를린브란덴부르크와 연결되고, 서쪽으로는 함부르크뤼벡 쪽으로 각각 1개씩 노선이 있다. 폴란드 방면으로도 RE가 있긴 한데... 이건 확실히 RE의 탈을 쓴 RB다.

이렇게 선로 사정이 열악한 편이긴 하지만, 발트 해 해수욕장을 끼고 있다는 특징 때문에 RE보다 상위 등급인 IC, ICE도 여기로 들어온다.

2.3.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전체에서 도이체반 레기오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지사(DB Regio NRW)가 운영한다. 각 지역 교통조합에 가입되어 있으며 주 전체 승차권으로도 탑승할 수 있다. 특히 이 주에 속한 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들의 경우 매학기 마다 학생용 정기권인 제메스터티켓(Semesterticket)을 저렴한 가격에 구입하여 이 주에 속한 모든 지역의 근거리 대중교통편(버스, 트람, 지하철)을 대부분 이용할 수 있는데, 철도편의 경우엔 S반, RB와 RE 등급까지 이용 가능하며, 장거리 고속열차편인 ICICE는 이용이 불가능하다. NRW의 제메스터 티켓으로는 니더작센주의 오스나브뤼크와 네덜란드의 엔스헤데, 벤로(VRR-NRW), 아른헴(VRR-NRW)까지 갈 수 있다. 최근들어 칙칙한 빨간기차 대신 Abellio(RE 19)나 RRX(RE 1, 5, 6, 11)[3]라는 최신형차량이 속속 들어오고 있다. RE 2, 4, 3, 7도 속속 바뀌고 있으며 몇몇 RB에도 RRX차량이 도입 중이다.
노선 정차역
RE 1 (RRX) 함 중앙역 - 도르트문트 - 에센 - 뒤스부르크 - 뒤셀도르프 국제공항 - 뒤셀도르프 중앙역 - 쾰른 - 뒤렌 - 아헨 중앙역
RE 2 오스나브뤼크 중앙역 - 뮌스터 - 겔젠키르헨 - 에센 - 뒤스부르크 - 뒤셀도르프 국제공항 - 뒤셀도르프 중앙역
RE 3 함 중앙역 - 도르트문트 - 겔젠키르헨 - 에센 - 오버하우젠 - 뒤스부르크 - 뒤셀도르프 국제공항 - 뒤셀도르프 중앙역
RE 4 도르트문트 중앙역 - 하겐 - 부퍼탈 - 뒤셀도르프 중앙역 - 묀헨글라트바흐 - 아헨 중앙역
RE 5 (RRX) 베젤 - 오버하우젠 - 뒤스부르크 - 뒤셀도르프 국제공항 - 뒤셀도르프 중앙역 - 쾰른 - - 코블렌츠
RE 6 (RRX) 민덴 - 빌레펠트 - - 도르트문트 - 에센 - 뒤스부르크 - 뒤셀도르프 국제공항 - 뒤셀도르프 중앙역 - 도르마겐 - 쾰른 중앙역 - 쾰른-본 국제공항
RE 7 라이네 - 뮌스터 - - 하겐 - 부퍼탈 - 쾰른 - 크레펠트 중앙역
RE 8 묀헨글라트바흐 중앙역 - 쾰른 - 보이엘 - 린츠 - 코블렌츠
RE 9 아헨 중앙역 - 뒤렌 - 쾰른 - 지크부르크/본 - 지겐
RE 10 뒤셀도르프 중앙역 - 크레펠트 중앙역 - 클레베
RE 11 (RRX) 뒤셀도르프 중앙역 - 뒤셀도르프 국제공항 - 뒤스부르크 - 에센 - 우나 - 파더보른 - 바부르크 - 카셀 빌헬름스회에
RE 12 쾰른 중앙역 - 오이스키르헨 - 게롤슈타인 - 트리어 중앙역[4]
RE 13 벤로 - 피어젠 - 묀헨글라트바흐 - 뒤셀도르프 중앙역 - 부퍼탈 - 하겐 - 함 중앙역
RE 14 에센 슈텔레 - 에센 중앙역 - 보트로프 - 도르스텐 - (보르켄)/(코스펠트)
RE 15 뮌스터 중앙역 - 라이네 - 링엔 - 엠덴 - 엠덴 아우서하펜
RE 16 에센 중앙역 - 보훔 - 비텐 - 하겐 - 이절론
RE 17 하겐 중앙역 - 슈베르테 - 아른스베르크 - 바부르크
RE 18 아헨 중앙역 - 유겔스호벤 - 헤를렌 - 마스트리흐트
RE 19 뒤셀도르프 중앙역 - 뒤셀도르프 국제공항 - 뒤스부르크 - 오버하우젠 - 베젤 - (에메리히 - 아른헴)/(하민켈른 - 보홀트)
RE 22 쾰른 메세/도이츠 - 쾰른 중앙역 - 오이스키르헨 - 칼 - 게롤슈타인[5]
RE 29 아헨 중앙역 - 벨켄라트 - 베르비어스 - 페핀스터 - 리에주 생랑베르
RE 42 뮌스터 중앙역 - 레클링하우젠 - 겔젠키르헨 - 에센 - 뮐하임 - 뒤스부르크 - 크레펠트 - 묀헨글라트바흐 중앙역
RE 44 보트로프 - 오버하우젠 - 뒤스부르크 - 뫼르스
RE 47 뒤셀도르프 - 졸링엔 - 렘샤이트 중앙역 - 렘샤이트 레네프
RE 49 부퍼탈 중앙역 - 에센 - 뮐하임 - 오버하우젠 - 베젤
RE 57 도르트문트 중앙역 - 프뢴덴베르크 - 아른스베르크 - 베스트비히 - (빈터베르크)/(브릴론 슈타트)
RE 60 라이네 - 오스나브뤼크 - 민덴 - 하노버 - 브라운슈바이크 중앙역
RE 70 빌레펠트 중앙역 - 헤르포트 - 민덴 - 하노버 - 브라운슈바이크 중앙역
RE 78 빌레펠트 중앙역 - 헤르포트 - 뢰네 - 민덴 - 니엔부르크
RE 82 빌레펠트 중앙역 - 외를링하우젠 - 데트몰트 - 알텐베켄
RE 97 브릴론 슈타트 - 빌링엔 - 코르바흐 - 프랑켄베르크 - 마르부르크
RE 99 지겐 - 하이거 - 딜렌부르크 - 베츨라 - 기센 - 프리드베르크 -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3. 관련 문서



[1] 동역, 게준트브루넨, 쥐트크로이츠[2] RB24 또는 RB32로 계속 운행[3] 라인-루르 익스프레스(Rhein-Ruhr Express)의 축약어다. 지역 내 교통서비스 개선을 위해 독일 정부에서 추진한 열차로, 열차 운행을 위해 선로를 추가로 건설하고 고속화하는 등 많은 공을 들였다.[4] 2021년 독일·베네룩스 폭우 사태로 인해 운행 중단[5] 2021년 독일·베네룩스 폭우 사태로 인해 운행 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