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3 00:08:32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15~16세기에 존재하던 합스부르크 가문의 네덜란드}}}에 대한 내용은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합스부르크 네덜란드#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15~16세기에 존재하던 합스부르크 가문의 네덜란드: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합스부르크 네덜란드#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저지대 국가의 역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000> ~ 959년 벨가이 왕국
로마 공화국
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
로트링겐 공국
프랑크 왕국
독일 왕국
신성 로마 제국
959년 ~ 1815년 리에주 주교령 나뮈르 백국 에노 백국 플란데런 백국 룩셈부르크 공국 림뷔르흐 공국 브뤼셀 백국
브라반트 공국
부르고뉴령 네덜란드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스페인령 네덜란드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벨기에 합중국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프랑스 제1공화국
프랑스 제1제국
연합 네덜란드 주권공국
1815년 ~ 네덜란드 연합왕국 중립 모레스네
벨기에 식민제국 벨기에 왕국
독일 제국
벨기에 총독부
벨기에 왕국
나치 독일
벨기에-북프랑스 국가판무관부
벨기에 왕국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000000> 고대 프리시 왕국
로마 공화국
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
중세 로트링겐 공국
프랑크 왕국
독일 왕국
신성 로마 제국
위트레흐트 주교 후국 헬러 공국 홀란트 백국
프리슬란트 군주국
근세 부르고뉴령 네덜란드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스페인령 네덜란드
네덜란드 공화국
근대 네덜란드 식민제국 바타비아 공화국
바타비아 연방
홀란트 왕국
프랑스 제1제국
연합 네덜란드 주권공국
네덜란드 연합왕국
네덜란드 왕국
나치 독일
네덜란드 국가판무관부
네덜란드 망명 정부
현대 네덜란드 왕국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959년 트레베리 왕국
로마 공화국
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
로트링겐 공국
프랑크 왕국
독일 왕국
신성 로마 제국
룩셈부르크 백국
959년 ~ 1815년 룩셈부르크 공국
부르고뉴령 네덜란드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스페인령 네덜란드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프랑스 제1공화국
프랑스 제1제국
연합 네덜란드 주권공국
네덜란드 연합왕국
1815년 ~ 독일 연방
룩셈부르크 대공국
룩셈부르크 대공국
나치 독일
룩셈부르크 군정청, 룩셈부르크 민정청, 모젤란트 대관구
룩셈부르크 대공국
}}}}}}}}}}}} ||

네덜란드 17주
Zeventien Provinciën • Dix-Sept Provinces
[ 지도 보기 ]
파일:부르고뉴령 네덜란드(1477).png
{{{#!folding [ 목록 보기 ] 1. 아르투아 백국 2. 플란데런 백국 3. 메헬렌 영주령 4. 나뮈르 백국 5. 에노 백국 6. 제일란트 백국*
7. 홀란트 백국* 8. 브라반트 공국 9. 림뷔르흐 공국과 오베르마스 10. 룩셈부르크 공국 11. 위트레흐트
주교후령*
12. 프리슬란트
영주령*
13. 헬러 공국 14. 흐로닝언
영주령*
15. 링겐, 베더, 베스테르볼더, 드렌터 영주령* 16. 오버레이설
영주령*
17. 쥣펀 백국 -
*: 스페인령 네덜란드로부터 독립, ※: 일부만 독립
관련문서
신성 로마 제국 부르고뉴국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스페인령 네덜란드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벨기에 합중국 네덜란드 공화국
네덜란드 연합왕국
}}} ||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Oostenrijkse Nederlanden
Pays-Bas autrichiens

Belgium Austriacum

(1714 ~ 1795)
파일: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기.svg
국기
위치 벨기에, 룩셈부르크
수도 브뤼셀
정치 체제 군주제
국가 원수 총독
공용어 네덜란드어, 프랑스어[1], 라틴어
제1차 성립 이전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스페인령 네덜란드
제1차 해체 이후 파일:브라반트 혁명기.svg벨기에 합중국
제2차 성립 이전 파일:브라반트 혁명기.svg벨기에 합중국
제2차 해체 이후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프랑스 제1공화국

1. 개요2. 역사3. 행정 구역4. 역대 총독

1. 개요


벨기에, 룩셈부르크에 있던 합스부르크 제국의 영토. 카를 5세 퇴위 이후 합스부르크 네덜란드같은 가문이 통치하는 스페인의 영토인 스페인령 네덜란드가 되었다가, 스페인이 프랑스부르봉 왕조로 넘어가면서 스페인령 네덜란드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을 끝낸 라슈타트 조약에 의해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가 되었다.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 제1공화국의 공격으로 멸망했으며, 중간에 브라반트 혁명으로 벨기에 합중국이 생겨나기도 했지만 바로 다시 점령당했다. 나폴레옹의 몰락 이후 빈 회의오스트리아 제국은 이 지역을 네덜란드 왕국에게 넘겨주었고 대신 이탈리아 북부를 합병하였다.

2. 역사

1384년부터 1477년까지 부르고뉴 공작들이 여러 지방을 통합해 ‘17주(Seventeen Provinces)’를 형성했고, 용담공 샤를의 사망 후 그의 후손인 합스부르크 가문이 이를 계승했다. 카를 5세는 이 지역을 신성로마제국 내 ‘부르고뉴 권역’으로 통합하고, 사실상 자치적 지위를 부여했다. 1555년 그가 퇴위하면서 아들 필리프 2세가 네덜란드와 스페인을 함께 다스리게 되었고, 이후 네덜란드는 스페인 왕권에 속하게 된다.

하지만 필리프 2세의 통치에 대한 불만으로 1568년 80년 전쟁이 발발했고, 북부의 여러 주가 반란을 일으켜 1581년 필리프 2세를 폐위하고 독립을 선언했다. 남부 지역은 스페인령으로 남았으며,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에서 북부 네덜란드 공화국의 독립이 공식 인정되었다.

이후 남부의 스페인령 네덜란드는 브라반트, 플랑드르, 헬더, 룩셈부르크 등 여러 공국과 백국으로 구성된 불연속적인 영토로 남았다. 1714년 라슈타트 조약을 통해 이 지역은 스페인 합스부르크에서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로 넘어가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가 되었다.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는 합스부르크 제국의 일부이자 신성로마제국의 영토로, 1764년 즉위한 요제프 2세 황제는 계몽전제주의적 개혁을 추진했다. 그의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는 딸 마리아 크리스티나와 남편 알베르 카지미르를 1780년 공동 총독으로 임명했다. 요제프 2세는 ‘철학자 황제’라 불리며, 교황권에 충성하는 초교황주의적 가톨릭 교회를 낡은 제도로 보고 황제 중심의 효율적 통치를 추구했다. 그는 1781년 네덜란드를 시찰한 뒤 대대적인 개혁이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이 지역은 중세 이래 자치권을 지닌 여러 주들로 구성되어 있었고, 브라반트와 플랑드르가 가장 강력했다. 총독은 이들의 동의 없이 함부로 통치할 수 없었고, 플랑드르 지식인 얀-바프티스트 베를루아 같은 인물은 플라망어 통일성을 민족 정체성의 근거로 주장하기도 했다. 요제프 2세는 계몽사상에 입각해 경제·정치·종교 분야의 광범위한 개혁을 시도했다. 1781~1782년 발표된 ‘관용 칙령’으로 가톨릭의 특권이 폐지되었고, 순수 수도생활만 하는 수도원 162곳이 해산되었으며, 1784년 결혼이 종교 의식이 아닌 시민 제도로 바뀌었다. 1786년에는 모든 신학교를 폐지하고 루뱅에 국가 통제 하의 ‘일반 신학교’를 설립했다. 이후 요제프는 자치주들의 행정 구조를 없애고 중앙집권적 체계를 도입하려 했으며, 브뤼셀에 ‘정부 일반평의회’를 설치하고 9개 행정구역(cercle)을 신설했다. 사법 제도도 통합해 브뤼셀에 ‘최고사법평의회’를 세웠다. 그러나 이러한 개혁은 귀족과 교회, 각 주의 자치권을 침해하며 이들을 반오스트리아 세력으로 결집시켰다. 계몽주의가 거의 스며들지 않은 이 지역에서 요제프의 개혁은 외래적이고 위험한 시도로 여겨졌고, 교회 영향 아래 있던 대다수 시민은 이를 전통과 종교에 대한 위협으로 보았다. 브라반트, 플랑드르, 에노 등 주요 주에서는 반발이 거세졌고, 헨리 판데르노트 같은 변호사는 1356년 ‘즐거운 입성’의 전통적 권리가 침해되었다고 주장하며 반대운동을 이끌었다. 이러한 반발은 1787년 ‘소혁명’으로 폭발했지만, 민병대의 진압으로 실패했다. 그러나 총독들은 사태를 심각히 받아들여 일시적으로 개혁을 중단했으며, 황제는 분노했지만 결국 행정·사법 개혁을 철회하고 종교 개혁만 유지했다. 이후 1788~1789년 개혁을 강행하려 하자 브라반트와 에노 주의회는 세금 납부를 거부했고, 황제는 ‘즐거운 입성’을 공식 폐지하며 주의회를 해산했다. 이로 인해 조직적 저항이 성장했으며, 판데르노트는 망명해 네덜란드 브레다에서 반오스트리아 운동을 주도했다. 그는 네덜란드 총독 빌럼 5세에게 지원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한편, 국내에서는 얀 프란스 폰크와 베를루아가 1789년 ‘프로 아리스 에트 포키스’라는 비밀결사를 결성해 무장 봉기를 준비했다. 이 단체는 성직자들의 지원을 받았으며, 외세 개입 없이 자주적인 해방을 추구했다. 이후 모든 반대 세력이 ‘브라반트 애국위원회’로 통합되었고, 1789년 8월 장-앙드레 반데르메르슈가 망명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위원회는 같은 해 10월 봉기를 개시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는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의 몰락과 ‘브라반트 혁명’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1789년 프랑스 혁명으로 촉발된 자유와 평등의 사상이 리에주의 주민들에게도 영향을 미쳐, 그들은 폭력 없이 주교를 축출하고 공화국을 선포했다. 같은 해 10월 24일, 반 오어 메르슈가 이끄는 망명 애국군이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로 진입하며 브라반트 혁명이 시작되었다. 반란군은 투른회우트 전투에서 승리하고 플랑드르몽스를 차례로 점령했으며, 12월에는 오스트리아군이 룩셈부르크로 퇴각했다. 혁명 세력은 프랑스와 미국의 독립선언에 영향을 받아 1789년 12월 20일 오스트리아의 통치 종식과 독립을 선언했고, 1790년 1월 11일 플랑드르와 브라반트가 연합해 ‘벨기에 합중국’을 수립했다. 그러나 혁명 내부는 자유주의자 폰키스트와 보수적인 귀족·성직자 중심의 스타티스트로 분열되었고, 스타티스트가 권력을 장악하면서 폰키스트를 박해하는 ‘스타티스트 공포정치’가 일어났다. 한편 오스트리아의 요제프 2세가 사망하고 그의 동생 레오폴트 2세가 즉위하자, 그는 터키 전쟁을 종결하고 병력을 돌려 반란 진압에 나섰다. 프러시아와 영국의 압박으로 외부 지원이 끊긴 혁명 세력은 고립되었고, 1790년 9월 팔마뉴 전투에서 패배한 뒤 빠르게 무너졌다. 12월 3일 오스트리아군이 브뤼셀을 재점령하며 혁명은 종식되었다

3. 행정 구역

파일: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지도(1789)_nl 2000px.png
1789년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지도
파일:저지대 국가(1514~1715)Alexis-Marie Gochet.png
저지대 국가(1514~1715년)[3]

4. 역대 총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01818, #a01e1e 20%, #a01e1e 80%, #801818);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나사우의 엥겔베르트 2세 빌럼 드 크로이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rowcolor=#fff> 스페인령 네덜란드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디 사보이아 파르마의 마르가레테 페르난도 알바레스 데톨레도 루이스 데레케센스 이 수니가
<rowcolor=#fff>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돈 후안 데아우스트리아 파르마-피아첸차의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페테르 에른스트 1세 폰만스펠트포어데로르트 오스트리아의 에른스트
<rowcolor=#fff>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페드로 엔리케스 데아세베도 오스트리아의 알브레히트 7세[A]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A] 페르난도 데 아우스트리아
<rowcolor=#fff>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프란시스코 데멜로 마누엘 드모라 오스트리아의 레오폴트 빌헬름 돈 후안 호세 데 아우스트리아
<rowcolor=#fff>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루이스 데베나비데스 카리요 프란시스쿠 드모라 이니고 멜코르 데벨라스코 후안 도밍고 데수니가 이 폰세카
<rowcolor=#fff>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카를로스 데아라곤 데구레아 파르마의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오토네 엔리코 델카레토 프란시스코 안토니오 데아구르토
<rowcolor=#fff> 제29대 제30대
막시밀리안 폰 바이에른 이시도로 데라쿠에바 이 베나비데스
<rowcolor=#fff>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rowcolor=#fff>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에우제니오 디 사보이아 비리히 필리프 폰 다운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엘리자베트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하라흐로라우
<rowcolor=#fff> 제35대 제36대 제37대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안나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크리스티나 오스트리아의 카를 루트비히
로렌의 샤를 알렉상드르 작센의 알베르트 카지미어
[A]: 1598년 5월 6일에서 1621년 7월 13일까지 일시적으로 총독이 아니라 주권자였다.
}}}}}}}}}



[1] 당시 프랑스어 사용지역에서는 주로 프랑스어와 가까운 지방어를 주로 썼다.[2] Derek Beales, Joseph II I In the Shadow of Maria Theresa 1741-178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p. 5[3] 오퍼헬러에 색칠이 안된 것은 저자의 실수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