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1 05:14:22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북부 중부 남부 시칠리아 사르데냐
선사
시대
네안데르탈인
호모 사피엔스의 이주와 확산
외치
초기 유럽 농경민
압인무늬토기 문화
레미델로 문화 리날도네 문화
스필람베르토 문화
가우도 문화
라테르자 문화
세라페리치오 문화 오지에리 문화
아베알주-필리고사 문화
종형 비커 문화
폴라다 문화 아펜니네 문화 카스텔루초 문화 토리아 문명
테라마레 문화
카스텔리에리 문화
누라기 문명
언필드 문화
원시 빌라노바 문화
카네그라테 문화 · 루코-멜루노 문화
빌라노바 문화
에스테 문화 · 골라세카 문화
프리첸-산체노 문화
구라티움 문화
고대 갈리아
키살피나
에트루리아 문명 라틴인
삼니움
고대 그리스
(마그나 그라이키아)
페니키아
로마 왕국 고대 카르타고
{{{#!wiki style="margin:-15px -10px -3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10px -10px -3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15px -10px -3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15px -10px -3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로마 공화국
[[이탈리아 본토(로마)|{{{#!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시칠리아(속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사르데냐-코르시카(속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로마 제국
[[이탈리아 본토(로마)|{{{#!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시칠리아(속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사르데냐-코르시카(속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서로마 제국
[[이탈리아 본토(로마)|{{{#!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시칠리아(속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사르데냐-코르시카(속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중세 오도아케르 왕국 반달 왕국
동고트 왕국
동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
[[라벤나 총독부|{{{#!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0px -10px -5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랑고바르드 왕국 }}}}}} 동로마 제국
[[시칠리아 테마|{{{#!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아프리카 총독부|{{{#!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베네치아 공화국
프랑크 왕국
[[스폴레토 공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베네벤토 공국
[[살레르노 공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중프랑크
왕국
동로마 [[바리 토후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시칠리아 아미르국 사르데냐 분열시대
중세
이탈리아
왕국
신성 로마 제국
[[교황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e2719; font-size: .8em"
혼란기
[[아풀리아-칼라브리아 백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da67d; font-size: .8em"
[[아말피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39148; font-size: .8em"
[[시칠리아 백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541D6; font-size: .8em"
[[동로마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02963; font-size: .8em"

시칠리아의 만종
{{{#!wiki style="margin:-165px -10px 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시칠리아 왕국
중세 사르데냐 왕국
나폴리
왕국
아라곤 연합왕국
스페인 제국
합스부르크 제국
근대 프랑스 제1공화국


사르데냐
왕국
프랑스 제1제국
사르데냐
왕국
오스트리아 제국



교황령 양시칠리아 왕국
중앙이탈리아 연합주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
현대 이탈리아 왕국
[[이탈리아 왕국#s-3.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nopad>
이탈리아 왕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오스트리아 제국
파일:보헤미아 왕관령 국기.svg
뵈미셴 왕관령
파일:일리리아 왕국 국기.svg
일리리엔 왕국
파일: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국기.svg
갈리치엔-로도메리엔 왕국
파일:달마티아 왕국 국기.svg
달마티엔 왕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외스터라이히 대공국
파일:포어아를베르크, 빈, 잘츠부르크의 기.svg
잘츠부르크 공국
파일:슈타이어마르크 공국 국기.svg
슈타이어마르크 공국
파일:티롤, 오버외스터라이히 기.svg
티롤 후백국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svg
웅가른 왕국
파일:크로아티아 왕국 국기.svg
크로아티엔 왕국
파일:슬라보니아 왕국 국기.svg
슬라보니엔 왕국
파일:트란실바니아 대공국 국기.svg
지벤뷔어겐 대공국
파일: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 국기.svg
롬바르도-베네치엔 왕국
파일:보이보디나 공국 국기.svg
보이보디나 공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행정 구역 }}}}}}}}}}}}

<colbgcolor=#000><colcolor=#FFDD11,#FFDD11>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
Königreich Lombardo–Venetien
Regno Lombardo–Veneto
파일: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 국기.svg 파일: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 국장.png
국기 국장
상징
국가 Inno Patriottico
애국가
[1]
위치
파일: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 위치.svg
1815년 강역
[[1815년|{{{#FFDD11,#FFDD11 1815년}}}]] ~ [[1866년|{{{#FFDD11,#FFDD11 1866년}}}]]
지리
위치 이탈리아 반도
수도 밀라노 -> 베네치아
인문 환경
인구 4,000,000명 (1867년)
언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라틴어
종교 가톨릭[국교]
민족 독일인(오스트리아인), 이탈리아인
정치
정치 체제 절대군주제 (1804~1860)
준입헌군주제 (1860~1866)
경제
통화 롬바르디아-베네치아 파운드 (1816-1860)
롬바르디아-베네치아 플로린 (1860-1866)

1. 개요2. 역사3. 하위 행정구역

1. 개요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은 1815년부터 1866년까지 이탈리아반도 북부에 존재한 오스트리아 제국의 구성국 중 하나였다. 오스트리아령 이탈리아(독일어: Österreichisches Italien)라고도 한다.

국왕은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가 겸임하되 오스트리아가 임명한 부왕이 통치하였으며, 부왕 산하에 롬바르디아 총독과 베네치아 총독이 각각 임명되었다. 롬바르디아-베네치아 부왕이 폐지된 1859년까지 총 6명의 부왕이 임명되었고 3명은 군인, 3명은 황족이 임명되었다. 프란츠 1세의 동생 라이너 대공[3]이 1818년부터 1848년까지 부왕으로 재임하였고, 1848년 혁명을 제압한 크로아티아인 장군 요제프 라데츠키가 1848년부터 1857년까지 재임하였다. 그 후 막시밀리안 대공이 1857년부터 1859년까지 부왕으로 재임한 것을 끝으로 이탈리아 통일운동에 의해 롬바르디아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에게 상실하면서 1859년에 롬바르디아-베네치아 부왕과 롬바르디아 총독이 폐지되었고, 1859년부터 왕국이 완전 멸망하는 1866년까지는 베네치아 총독이 유지되어 베네치아 총독이 왕국의 잔여 지역을 통치하였다.

2. 역사

1815년 6월 9일 빈 회의를 통해 성립되었다. 회의의 결과 오스트리아 제국은 외지오스트리아(Vorderösterreich)라 불리던 슈바벤의 월경지를 포기하는 대신 프랑스 제1제국의 관할이었던 괴뢰국 이탈리아 북부의 롬바르디아, 베네토를 차지하였고, 오스트리아 제국은 이 지역에 왕국을 수립하여 자국의 구성국으로 삼았다. 국왕은 밀라노 공작이자 만토바 공작이었던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1세가 겸하게 되었고, 이후에도 합스부르크 가문의 황제가 국왕을 겸했다.

페르디난트 1세 통치 시기인 1848년 3월 22일, 밀라노에서 5일간 봉기가 발생한 후 롬바르디아 임시 정부가 선언되었으며, 같은 해 3월 23일 베네치아에서도 반(反)오스트리아 봉기가 일어나 산마르코 공화국이 선언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7월 24일에서 25일 동안 쿠스토자에서 벌어진 오스트리아 제국군과 피에몬테군 사이의 전투가 발생, 여기서 오스트리아군이 승리하면서 8월 6일 밀라노가 오스트리아에게 재점령되었고 동시에 롬바르디아 임시 정부가 해산되었다. 이듬해인 1849년 8월 24일 베네치아도 오스트리아에게 항복하고 산마르코 공화국은 해산되었다.

페르디난트 1세의 퇴위로 즉위한 프란츠 요제프 1세는 신 절대주의 정책으로 이탈리아 민족 운동을 탄압하였으나 프랑스 제2제국과 손잡은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의 수상 카밀로 카보우르의 도발에 넘어가 제2차 이탈리아 통일 전쟁이 벌어졌다. 그러나 솔페리노 전투에서 패전하여 나폴레옹 3세와 빌라프랑카디베로나(Villafranca di Verona)에서 단독으로 강화조약을 맺고 롬바르디아를 사르데냐-피에몬테에 할양했다. 패전의 여파로 합스부르크 가문의 방계가 통치하던 토스카나 대공국, 모데나 레조 공국 등에서 반외세 민족 운동이 일어나 토스카나 대공 페르디난도 4세, 모데나 공작 프란체스코 5세 등이 폐위당해 이 지역들은 파르마 공국, 교황령볼로냐 일대 로마냐 지역과 중앙이탈리아 연합주를 구성하여 사르데냐-피에몬테에 병합되었고, 1860년 10월 양시칠리아 왕국마저 사르데냐-피에몬테에 합병되어 1861년 이탈리아 왕국이 출범했다. 그리고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과 연관된 제3차 이탈리아 통일 전쟁으로 인해 베네토마저 이탈리아 왕국에 병합되면서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은 소멸하였다.

3. 하위 행정구역

명칭 행정부
롬바르디아(Lombardo, Lombardei)
밀라노 지방 밀라노
파비아 지방 파비아
베르가모 지방 베르가모
로디-크레마 지방 로디
코모 지방 코모
손드리오 지방 손드리오
브레시아 지방 브레시아
크레모나 지방 크레모나
만토바 지방 만토바
베네치아(Veneto, Venetien)
베네치아 지방베네치아
로비고 지방 로비고
파도바 지방 파도바
베로나 지방 베로나
트레비소 지방 트레비소
프리울리 지방 우디네
비첸차 지방 비첸차
벨루노 지방 벨루노

[1] 황제 찬가의 이탈리아어 번역 버전이였다.[국교] [3] 통일 이탈리아 왕국의 초대 국왕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장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