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의 리히텐슈타인 군주}}}에 대한 내용은 [[프란츠 요제프 1세(리히텐슈타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프란츠 요제프 1세(리히텐슈타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프란츠 요제프 1세(리히텐슈타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의 리히텐슈타인 군주: }}}[[프란츠 요제프 1세(리히텐슈타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프란츠 요제프 1세(리히텐슈타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프란츠 요제프 1세(리히텐슈타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11423 50%, #337D45 5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 프란츠 요제프 1세 | 카를 1세 | }}} }}}}}} |
| 프란츠 요제프 1세 관련 틀 | ||||||||||||||||||||||||||||||||||||||||||||||||||||||||||||||||||||||||||||||||||||||||||||||||||||||||||||||||||||||||||||||||||||||||||||||||||||||||||||||||||||||||||||||||||||||||||||||||||||||||||||||||||||||||||||||||||||||||||||||||||||||||||||||||||||||||||||||||||||||||||||||||||||||||||||||||||||||||||||||||||||
| ||||||||||||||||||||||||||||||||||||||||||||||||||||||||||||||||||||||||||||||||||||||||||||||||||||||||||||||||||||||||||||||||||||||||||||||||||||||||||||||||||||||||||||||||||||||||||||||||||||||||||||||||||||||||||||||||||||||||||||||||||||||||||||||||||||||||||||||||||||||||||||||||||||||||||||||||||||||||||||||||||||
| <colbgcolor=#E11423><colcolor=#fff> 오스트리아 제국 제3대 황제 | |||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초대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 Franz Joseph I | |||
| | |||
| 출생 | 1830년 8월 18일 | ||
| 오스트리아 제국 빈 쇤브룬 궁전 | |||
| 사망 | 1916년 11월 21일 (향년 86세) | ||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빈 쇤브룬 궁전 | |||
| 재위기간 | 오스트리아 황제 | ||
| 1848년 12월 2일 ~ 1867년 5월 29일 | |||
|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주국 황제 | |||
| 1867년 5월 29일 ~ 1916년 11월 21일 | |||
| 재임기간 | 독일 연방 의장 | ||
| 1850년 5월 1일 ~ 1866년 8월 24일 | |||
| 서명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37D45><colcolor=#fff> 가문 |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 | |
| 이름 | 프란츠 요제프 카를 (Franz Joseph Karl) | ||
| 아버지 |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카를 대공 | ||
| 어머니 | 바이에른의 조피 공주 | ||
| 형제자매 | 첫째 남동생 막시밀리아노 1세, 둘째 남동생 카를 루트비히, 여동생 마리아 안나, 막내 남동생 루트비히 빅토어 | ||
| 배우자 | 바이에른의 엘리자베트 여공작 (1854년 결혼 / 1898년 사망) | ||
| 자녀 | 장녀 조피, 차녀 기젤라, 장남 루돌프, 삼녀 마리 발레리 | ||
| 종교 | 가톨릭 | ||
| 신체 | 171cm[1] | }}}}}}}}} | |
| |
| 공식 어진 |
1. 개요
오스트리아 제국의 제3대 황제이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초대 황제.1866년 호엔촐레른 왕가에 주도권을 뺏길 때까지 범독일권 군주국들의 수장 격인 독일 연방 의장이기도 했으며 동시에 합스부르크 가문 내에서 범독일권의 수장을 역임한 마지막 인물이기도 했다.
신성 로마 제국 마지막 황제이자 오스트리아 제국 초대 황제인 프란츠 2세와 마리아 테레지아 황후의 친손자이자 바이에른 왕국 국왕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의 외손자, 프랑스 제국 나폴레옹 2세, 포르투갈 왕국 마리아 2세, 브라질 제국 페드루 2세, 바이에른 왕국 막시밀리안 2세와 그 동생인 오톤, 스웨덴의 왕비 요세피나, 작센의 국왕 알베르트 및 게오르크와 모두 사촌간이다.[4]
2. 언어별 표기
| 독일어 | Franz Joseph I. (프란츠 요제프 1세) |
| 헝가리어 | I. Ferenc József (페렌츠 요제프 1세) |
| 체코어 | František Josef I. (프란티셰크 요제프 1세) |
| 슬로바키아어 | František Jozef I. (프란티셰크 요제프 1세) |
| 폴란드어 | Franciszek Józef I (프란치셰크 유제프 1세) |
| 우크라이나어 | Франц Йосиф I (프란츠 요시프 1세) |
| 루마니아어 | Francisc Iosif I (프란치스크 이오시프 1세) |
| 세르비아어 | Франц Јозеф I (프란츠 요제프 1세) |
| 크로아티아어 | Franjo Josip I. (프라뇨 요시프 1세) |
| 슬로베니아어 | Franc Jožef I. (프란츠 요제프 1세) |
| 이탈리아어 | Francesco Giuseppe I (프란체스코 주세페 1세) |
| 라틴어 | Franciscus Iosephus I (프란키스쿠스 요세푸스 1세) |
3. 칭호
| <colbgcolor=#FFF><colcolor=#000> |
| 문장 |
프란츠 요제프 1세가 1848년 오스트리아 황제로 즉위했을 때의 공식적인 칭호는 다음과 같았다.
하느님의 은총으로 오스트리아의 황제, 헝가리의 왕, 보헤미아의 왕, 롬바르디아-베네치아의 왕, 달마티아의 왕,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의 왕, 갈리치아-로도메리아의 왕, 일리리아의 왕, 예루살렘의 왕, 오스트리아 대공, 토스카나 대공, 크라쿠프의 대공, 로트링겐의 공작, 잘츠부르크의 공작, 슈타이어마르크의 공작, 케른텐의 공작, 카르니올라의 공작, 부코비나의 공작, 지벤뷔어겐 대공, 모라비아의 변경백, 상하 슐레지엔의 공작, 모데나, 파르마, 피아첸차 및 구아스탈라, 오시비엥침, 자토르 및 테셴, 프리울리, 두브로브니크 및 자다르의 공작, 합스부르크 및 티롤의 후백작, 키부르크, 고리치아 그라디스카의 후백작, 트렌토 및 브릭센 공, 상하 라우지츠 및 이스트리아의 변경백, 호에넴스, 펠트키르히, 브레겐츠, 존넨베르크의 백작, 트리에스트, 코토르, 빈트마쉬의 영주, 독일 연방의 의장이신 프란츠 요제프 1세 폐하
Seine kaiserliche und königliche apostolische Majestät, Franz Joseph I., durch die Gnade Gottes Kaiser von Österreich, König von Ungarn, Böhmen, König von Lombardei und Venedig, von Dalmatien, Kroatien, Slawonien, Galizien, Lodomerien und Illyrien; König von Jerusalem usw., Erzherzog von Österreich; Großherzog der Toskana und Krakau, Herzog von Lothringen, von Salzburg, der Steiermark, Kärnten, Krain und der Bukowina; Großfürst von Siebenbürgen; Markgraf von Mähren; Herzog von Oberschlesien und Niederschlesien, von Modena, Parma, Piacenza und Guastalla, von Auschwitz, Zator und Teschen, Friaul, Dubrovnik und Zadar ;. Fürstlicher Graf von Habsburg und Tirol, von Kyburg, Görz und Gradisca; Prinz von Trient und Brixen; Markgraf der Ober- und Niederlausitz sowie in Istrien; Graf von Hohenems, Feldkirch, Bregenz, Sonnenberg usw .; Herr von Triest, von Kotor und über den Windmarsch; Präsident des Deutschen Bundes.
Seine kaiserliche und königliche apostolische Majestät, Franz Joseph I., durch die Gnade Gottes Kaiser von Österreich, König von Ungarn, Böhmen, König von Lombardei und Venedig, von Dalmatien, Kroatien, Slawonien, Galizien, Lodomerien und Illyrien; König von Jerusalem usw., Erzherzog von Österreich; Großherzog der Toskana und Krakau, Herzog von Lothringen, von Salzburg, der Steiermark, Kärnten, Krain und der Bukowina; Großfürst von Siebenbürgen; Markgraf von Mähren; Herzog von Oberschlesien und Niederschlesien, von Modena, Parma, Piacenza und Guastalla, von Auschwitz, Zator und Teschen, Friaul, Dubrovnik und Zadar ;. Fürstlicher Graf von Habsburg und Tirol, von Kyburg, Görz und Gradisca; Prinz von Trient und Brixen; Markgraf der Ober- und Niederlausitz sowie in Istrien; Graf von Hohenems, Feldkirch, Bregenz, Sonnenberg usw .; Herr von Triest, von Kotor und über den Windmarsch; Präsident des Deutschen Bundes.
이후 이탈리아 통일 전쟁으로 롬바르디아를 잃고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으로 베네치아까지 잃으며 독일 연방에서 쫓겨난 뒤 1867년 대타협으로 이중제국 창설을 통해 헝가리의 사도왕을 겸임하면서 공식적인 칭호는 아래와 같이 변경되었다.
하느님의 은총으로 오스트리아의 황제, 헝가리의 사도왕, 보헤미아, 달마티아,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갈리치아, 로도메리아, 일리리아의 왕, 예루살렘의 왕, 오스트리아 대공, 토스카나 대공, 크라쿠프 대공, 로트링겐, 잘츠부르크, 슈타이어마르크, 케른텐, 카르니올라, 부코비나의 공작, 지벤뷔어겐 대공, 모라비아의 변경백, 상하 슐레지엔, 모데나, 파르마, 피아첸차, 구아스탈라, 오시비엥침, 자토르 및 테셴, 프리울리, 라구사 및 차라의 공작, 합스부르크 및 티롤, 키부르크, 고리치아 및 그라디스카의 백작, 트렌토 및 브릭센 공, 상하 라우지츠 및 이스트리아의 변경백, 호에넴스, 펠트키르히, 브레겐츠, 존넨베르크의 백작, 트리에스트, 코토르, 빈트마쉬의 영주, 세르비아의 군주이신 프란츠 요제프 1세 폐하
Seine kaiserliche und königliche apostolische Majestät Franz Joseph I. durch die Gnade Gottes, des Kaisers von Österreich; Apostolischer König von Ungarn, König von Böhmen, Dalmatien, Kroatien, Slawonien, Galizien, Lodomerien, Illyrien; König von Jerusalem usw .; Erzherzog von Österreich; Großherzog der Toskana, Krakau; Herzog von Lothringen, Salzburg, Steiermark, Kärnten, Krain, Bukowina; Großfürst von Siebenbürgen; Markgraf von Mähren; Herzog von Oberschlesien und Niederschlesien, Modena, Parma, Piacenza, Guastalla, Oswiecin, Zator, Cieszyn, Friaul, Ragusa, Zara; Fürstlicher Graf von Habsburg, Tirol, Kyburg, Görz, Gradisca; Prinz von Trient, Brixen; Markgraf der Ober- und Niederlausitz in Istrien; Graf von Hohenems, Feldkirch, Bregenz, Sonnenberg usw .; Herr von Triest, von Kotor und über den Windmarsch; Großer Woiwode der Woiwodschaft Serbien usw. usw.
Seine kaiserliche und königliche apostolische Majestät Franz Joseph I. durch die Gnade Gottes, des Kaisers von Österreich; Apostolischer König von Ungarn, König von Böhmen, Dalmatien, Kroatien, Slawonien, Galizien, Lodomerien, Illyrien; König von Jerusalem usw .; Erzherzog von Österreich; Großherzog der Toskana, Krakau; Herzog von Lothringen, Salzburg, Steiermark, Kärnten, Krain, Bukowina; Großfürst von Siebenbürgen; Markgraf von Mähren; Herzog von Oberschlesien und Niederschlesien, Modena, Parma, Piacenza, Guastalla, Oswiecin, Zator, Cieszyn, Friaul, Ragusa, Zara; Fürstlicher Graf von Habsburg, Tirol, Kyburg, Görz, Gradisca; Prinz von Trient, Brixen; Markgraf der Ober- und Niederlausitz in Istrien; Graf von Hohenems, Feldkirch, Bregenz, Sonnenberg usw .; Herr von Triest, von Kotor und über den Windmarsch; Großer Woiwode der Woiwodschaft Serbien usw. usw.
4. 생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란츠 요제프 1세/생애#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란츠 요제프 1세/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1.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상징
| | | |
| 《황제의 감사(Kaisers Dank)》 종군 화가인 루트비히 코흐의 1915년 작품이다. 제국의 신민들과 군인들이 프란츠 요제프 1세를 우러러보고 있다. | 러일전쟁을 바라보는 각국을 풍자한 그림에서 오스트리아의 의인화로 그려졌다. 왼쪽에 앉은 독일(빌헬름 2세)처럼 실제 인물이 그려진 걸 보면 외국인들에게도 제국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프란츠 요제프 1세와 가족들. |
프란츠 요제프 1세는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5]처럼 60년이 넘는 재위 기간 동안 매일 새벽 5시에 어김 없이 일어나서 10시간 이상 집무하는 등 근면성실한 국정 수행과 엄격함, 그리고 가족사의 수많은 비극으로 인해 생전과 사망 이후 모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전 국민의 사랑과 존경, 그리고 두려움을 받았다. 그야말로 백발의 노황제 이미지에 딱 맞는 인물. 당대 남자들은 대부분이 황제의 수염과 구레나룻을 모방했다. 오스트리아에서 제정이 폐지되고 공화정으로 넘어간 시절에도 빈 시내 곳곳과 가장 호화로운 호텔인 자허 호텔[6]에 초상화가 걸려 있었으며, 제국 호텔에는 아직까지도 황제의 초상화가 걸려 있다. 제정 붕괴 이후에 들어선 공화정 정부가 어떻게든 황실의 흔적을 지우고 합스부르크 가문에 대한 불이익과 제한 조건을 늘린 방침을 시행하고 있음을 생각하면 황제의 죽음과 제정 폐지로부터 100년이 넘은 현재도 황제의 존재감이 대단하다고 볼 수 있다. 프란츠 요제프 1세에 대한 반감이 심했던 체코에서조차도 그의 카리스마는 좋게 평가되었는지 프란츠 요제프 카이저라는 통조림 브랜드가 있을 정도다.
이렇듯 프란츠 요제프 1세는 당대 대영제국의 빅토리아 여왕과 후대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처럼 존재 자체가 국가의 상징이었다. 하지만 이런 체제가 으레 그렇듯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프란츠 요제프'라는 인물 자체의 카리스마와 그에 의한 결집력에 의해 유지되는 불안한 상태였고 프란츠 요제프가 죽자마자 제국은 정체성을 잃고 급속도로 약화되어 뿔뿔이 해체되는 결과를 맞이했다.[7] 그나마 같이 언급된 빅토리아 여왕과 엘리자베스 2세는 한참 선대 때부터 영국에 정착된 입헌군주제 시스템을 철저히 따르며 본연의 공무 활동에 집중했고 그래서 둘의 죽음으로 영국 정부와 영국 사회가 잠깐 충격을 받긴 했어도 국가 시스템이 무난하게 유지될 수 있었다.
사실 본인 사후 카리스마의 부재와 관련된 문제는 후대인 카를 1세가 명군스러운 행적과 별개로 프란츠 요제프에 비해 좀 부족했던 감도 없잖아 있다. 그러나 후대의 카리스마를 양성하는 것 역시 후계자를 양성하는 데 있어서 본인에게도 어느 정도 책임이 돌아가는 것은 사실이다. 본인에게 돌아가던 이 카리스마를 재위 초중반이면 몰라도 재위 말기에는 본인 사후의 후대를 위해 어느 정도 구축을 시켜두고 갔어야 했는데 재위 기간 내내 민중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한 끝없는 권력욕으로 황위 계승자에게 조금의 권력이나 발언권도 주지 않고 죽을 때까지 다 혼자 짊어지고 간 탓에 이조차도 결론적으로는 비판을 받는다.
5. 가족 관계
5.1. 비극으로 얼룩진 가정사
사적으로는 매우 불행했다. 당대 유럽 군주들은 숱한 염문을 뿌리며 추문을 달고 살았던 것과는 달리 프란츠 요제프는 그런 면에서는 깨끗했던 축에 속했다. 그러나 주변 사람들을 불행하게 하는 초능력이 있는 것 아닌가 싶을 정도로 그의 가정은 콩가루 집안이라는 말도 모자랄 만큼 막장 드라마로 굴러갔다. 얼마나 드라마 같은 인생이면 이 사람 본인도 아니고 집안 가족들 이야기로만 뮤지컬이 두 편이나 나왔을 정도이다. 딸, 아들, 동생, 사촌, 아내, 조카들 등등 주변 사람들이 하나같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하여 엄청난 심적 고통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꿋꿋이 산 걸 보면 정말 대단한 인물. 하지만 장수한 덕분에 그는 온갖 못 볼 꼴까지 다 보게 되었다.[8] 오죽했으면 '황제가 혁명 때 사형시킨 헝가리 민족주의자의 어머니가 그에게 저주를 내렸다'는 소문까지 있었을 정도였다.[9]
황제의 가족 관계는 정말로 꼬일 대로 꼬여있었다. 젊은 시절부터 프란츠 요제프는 여장부인 어머니 조피 대공비의 기세에 눌려 지냈고 결혼 후에는 아내 엘리자베트와 조피 사이의 갈등이 더해졌다. 자유롭고 발랄한 가풍의 바이에른에서 자란 엘리자베트는 엄격한 호프부르크 궁정에 적응하지 못했다. 엘리자베트가 약혼 직후 시어머니 조피에게서 가장 처음 받은 건 예물이나 편지 같은 게 아니라 6페이지에 걸친 궁중예법이었다. 결혼 후에도 조피는 며느리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며 간섭했고, 첫 손녀가 태어나자마자 자기 이름을 따다 붙이고 손녀를 아예 자신의 거처에 데려가서 직접 키웠다.[10] 때문에 고부 간에 아이들의 양육을 두고 싸움이 벌어졌는데 엘리자베트가 데려간 헝가리에서 첫 딸이 죽는 바람에 조피 대공비가 이긴 모양이 되었다. 결국 엘리자베트는 둘째딸 기젤라와 황태자 루돌프를 둘 다 시어머니에게 넘기고 손을 뗐다.
이런 상황에서 일 중독자인 프란츠 요제프는 격무에 시달리느라 아내와 어머니 사이에서 아무 것도 하지 못했다. 황제는 아내의 부탁으로 어머니에게 자식들을 돌려주라고 부탁했지만, 엘리자베트는 입으로는 자신을 사랑한다지만 실제론 이도 저도 못해주는 남편을 원망했고, 결국 현실에서 도피해 평생을 고독 속에 살며 여기저기로 여행만 다닐 뿐이었다. 프란츠 요제프도 마찬가지로 이런 아내의 행동으로 크게 상처받았지만 그녀를 차마 비난하지 못했다.
황제의 자식들 역시 불행했다. 아버지는 일만 하느라 제대로 만날 수 없었고 어머니는 일년에 한두 번 얼굴이나 보는 정도, 할머니 조피가 키웠다. 이런 상황에서 자식들은 부모의 사랑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자라지만 막내딸 마리 발레리만은 예외였다. 엘리자베트는 직접 기르게 된 마리 발레리에겐 자기 손으로 못 키웠던 위의 세 아이 몫까지 몰아주며 편애했지만, 대신 발레리는 엘리자베트에게 끌려다니면서 가족들과 떨어져 지내야했고 어머니의 우울증을 달래는 역할을 해야 했다. 발레리는 '엄마가 나 때문에 못 죽고 이 세상에 살아있다'고 느꼈다고 하며[11] 엘리자베트는 정작 그렇게 아끼는 발레리가 결혼해서 낳은 외손주들한테는 아예 무심했다고 하니 엘리자베트 역시 정상은 아니다. 특히 루돌프 황태자는 차기 황제라는 이유로 도가 지나치게 엄격한 교육을 받아서 군사교관에게 7세부터 군대식 교육을 받았다. 겨울 새벽 눈 속을 행진시킨다든지, 냉수목욕이라든지, 숲 속에 혼자 내버려두고 온다든지. 심지어 루돌프를 깨울 때에는 옆에서 권총을 쏴서 그 소리로 일어나게 했다고 한다.[12]
이것이 황제의 자식들이 부모의 사랑을 가장 절실히 필요로 할 나이에 받았던 것들로, 황태자인 루돌프는 양친을 원망하는 반항적인 청년으로 자랐다. 프란츠 요제프도 의무를 등한시하는 것처럼 보이는 아들을 이해하지 못해 부자 관계도 막장이었다. 이처럼 황제의 가정에는 행복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았다. 그야말로 막장 드라마.
21세기 들어 아내와의 불화에 대해 새로운 연구가 진행되었다. Family Tree DNA라는 집단의 DNA 연구에 의하면 오스트리아 출신 미국인 찰스 홀트(Charles Holt, 1865~1947)가 프란츠 요제프의 사생아일 확률이 매우 높으며, 그렇지 않더라도 합스부르크로렌 가문의 부계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것이 확실하다. 찰스 홀트가 태어난 1865년 이후로 엘리자베트 황후는 헝가리 독립을 지지하고(1867년), 막내인 마리 발레리를 출산(1868년)한다. 엘리자베트는 딸 둘을 낳은 뒤에야 후계자가 될 루돌프를 낳았고 프란츠 요제프는 후계 구도를 든든히 하기 위해 아들을 더 낳으려 했으나, 아이들과 교육권을 모두 시어머니 조피 대공비에게 빼앗기고 인내심과 분노가 극에 달한 엘리자베트는 더 이상 임신하지 않겠다고 사실상의 파업을 선언하며 그 직후부터 궁정을 떠나 여행하며 살았다. 그리고 10여 년 후 막내를 낳고 본격적으로 유랑하기 시작하는데 이 시기가 묘하게 맞아떨어지기 때문에, 엘리자베트가 다른 여자와 관계하여 사생아를 낳은 프란츠 요제프를 전보다도 더 경멸하게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된다.
1889년에는 아들 루돌프 황태자가 자살했고, 1898년에는 아내 엘리자베트 폰 비텔스바흐가 이탈리아인 아나키스트 루이지 루케니에게 암살당했다.[13][14] 아내의 죽음을 들은 황제는 잠시 정신을 잃었고, 깨어난 후 한 말은 "짐이 그녀를 얼마나 사랑했는지는 아무도 모를 것이다. 짐에게는 이제 아무 것도 남은 것이 없구나."였다. 그나마 그에게 위안이 된 것은 돌봐주지 못한 아들의 사후 자책하며 늘 상복만 입고 다닐 정도로 우울하게 살던 아내가 자살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었다.
이렇게 수많은 비극을 겪으면서 극심한 우울증에 빠졌지만, 특유의 성실함과 의무감으로 사망할 때까지 제국을 위해 일했다. 마지막 순간까지 할 일이 있다며 부득부득 일어나고 집무실 책상에 앉아 있었다는 묘사도 있을 정도다. 그 스스로도 당대에 조신에게 "나는 운이 없는 놈이야."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출판된 참고할 만한 자료로 <황태자의 마지막 키스>와 <석양녘의 왈츠>가 읽을 만하다.
그 외에 엘리자베트 황후가 암살로 사망하자 합스부르크 황실에서 프란츠 요제프 1세의 재혼 후보를 찾아다니기도 했는데, 그 중에는 황제의 제수이자 마찬가지로 과부가 된 마리아 테레사 대공비도 있었다. 하지만 프란츠 요제프 본인이 고령인데다가 루돌프 황태자가 죽어서 황통이 직계가 아닌 방계로 넘어갈 판이었다 해도 마리아 테레사가 이 무렵 이미 43세라 재혼한다고 해도 아이를 가지기 매우 어려운 나이인데다 한때 제수였던 관계로 거절했고 죽어서도 엘리자베트 황후만을 보고 살았던 건지 엘리자베트 황후와의 결혼생활에 본인 나름대로 염증을 느껴서인지 마리아 테레사 뿐만이 아니라 재혼 자체를 거부했다.
5.1.1. 첫째 남동생 막시밀리아노 1세
프란츠 요제프의 동생 오스트리아 대공 막시밀리안(1832~1867)은 루돌프 황태자 탄생 전까지 황제의 후계자 격인 인물이었다. 1853년 헝가리 민족주의자의 황제 습격 당시 황제가 암살되었다면 오스트리아 제국의 제위는 막시밀리안 대공에게 승계되었을 것이다.루돌프 황태자 탄생 후 제위에서 멀어진 막시밀리안은 나폴레옹 3세의 꼬드김에 넘어가 1864년에 멕시코 제국의 황제로 추대되었다. 그러나 얼마 못 가 멕시코에서 반 프랑스 저항군이 들고 일어나 1867년에 막시밀리안을 붙잡아 총살해 버렸다. 당시 오스트리아는 프로이센과의 싸움에서 참패해 엉망진창인 상태라 동생을 도울 여력이 없었다. 이 일로 유럽의 왕실들을 돌아다니며 남편의 구명활동를 벌이던 막시밀리안의 아내 샤를로트는 그만 미쳐버렸고, 오빠인 벨기에 국왕 레오폴드 2세에 의해 유폐되었다. 샤를로트는 남편을 살리기 위해 나폴레옹 3세를 찾아가 구원을 요청하지만 그는 그분의 무사생환을 위해 기도하겠다는 무책임한 태도로 일관했다. 황제의 어머니로서 큰 영향력을 갖고 있던 조피 대공비도 차남의 사망에 충격을 받았는지 이 사건 뒤로 정치활동을 그만두고 칩거했다. 정치활동만 그만뒀을 뿐 손자인 루돌프 황태자와 손녀 기젤라의 양육만큼은 계속했다.
5.1.2. 아들 루돌프 프란츠 카를 요제프
프란츠 요제프 1세 부부의 유일한 적장자였던 루돌프 황태자는 항상 격무에 시달리는 아버지와 대부분의 시간을 여행으로 보내는 어머니 아래서 외롭게 자랐다. 그는 (당시로서는) 진보주의자였고 제국의 황제로서 보수적일 수밖에 없었던 아버지 프란츠 요제프와는 정치적으로 대립하는 관계였다. 또한 루돌프는 어머니 엘리자베트의 자유분방하고 예민한 기질을 고스란히 물려받아서 당대 가장 보수적이었던 합스부르크 황실 예법을 갑갑해했고 황실내에서도 이해받지 못한다고 여겼다. 오스트리아는 조부 대부터 명문 귀족이 아니면 황제의 특허가 없는 한 황궁 무도회에 참석할 자격도 없을 정도로 보수적이었지만 루돌프는 개방적이고 소탈해서 궁정을 어지럽히는 문제아로 찍혀있었기 때문.이후 루돌프 황태자는 레오폴드 2세의 딸로 벨기에의 공주인 스테파니와 정략결혼했지만[15] 처음부터 사랑없는 결혼이었고 둘은 성격도 달랐다. 두 사람의 사이는 딸 엘리자베트 마리가 태어난 뒤 급격히 멀어져 루돌프는 외도를 일삼고 딸도 거의 찾지 않았다. 게다가 스테파니가 병을 앓은 후 출산이 불가능해지자[16] 부부 사이는 거의 파탄에 이르렀다.
그러던 와중에 루돌프 황태자는 외사촌 라리쉬 백작부인(1858~1940)[17]에게 소개받은 베체라 남작의 딸 '마리 폰 베체라'와 사귀게 되었고, 독단으로 교황에게 스테파니와의 결혼을 무효화해줄 것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 교황은 당연히 대경실색하여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에게 이 사태를 알렸다. 애초에 이혼을 금지하는 가톨릭이 루돌프 황태자의 이런 요청을 허가해줄 턱이 없었고[18][19] 왕가의 일이면 더 안 해준다. 이에 극대노한 아버지에게 루돌프는 제대로 찍혀버렸다. 프란츠 요제프는 즉시 루돌프에게 마리와 결별하라 강요하고 신임 대사를 환영하는 접견식에서는 경의를 표하러 나온 아들에게 등을 돌려 외면하면서 모두의 앞에서 빅엿을 먹이고는 또 따로 불러 "너 같은 놈은 보기도 싫으니 당장 정부랑 결별하고 가정에 충실하라!"며 크게 화를 냈다. 루돌프 황태자는 이 공개적인 창피와 심한 질책을 더는 견디지 못하고, 1889년 1월 30일에 마리 폰 베체라와 함께 메이얼링으로 가서 자살한다. 이를 통칭 마이어링 사건'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정확하게 현장을 목격한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두 사람의 죽음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분분하다. 카를 1세의 아내인 부르봉파르마의 치타의 증언에 따르면, 그녀가 어렸을 적 루돌프의 누나 기젤라가 "시신의 총상 주변에 화상이 없었다.[20] 따라서 암살이다."라고 말하는 것을 들었다고 한다.
그 외에도 타살설을 지지하는 증언들도 꽤 있다. 진보적인 루돌프 황태자가 황위에 오를 것을 두려워하는 보수파 세력, 혹은 황실을 증오하던 공산주의자가 메이얼링의 별장에 침입해 두 사람을 살해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암살설 같은 타살설을 지지하는 쪽의 주장 중에는 루돌프의 장례가 교황의 인가를 받은 가톨릭식 장례 미사로 치러졌다는 점을 든다. 당시 가톨릭 교회법은 자살한 사람에 대한 장례 미사를 불허했는데 루돌프도 처음에는 교황이 장례 미사를 거부했지만 후에 입장을 바꿔 장례 미사를 했다. 이에 대해 황제가 교황에게 아들이 반 황실 세력에 의해 암살당했다는 증거를 제시했기 때문에 교황이 인정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이에 따르면 황제가 아들의 죽음에 대한 진상을 밝히지 않은 이유는 비밀이 알려진 순간 일어날 제국내의 혼란을 두려워해서라고 한다.
이러한 루돌프 황태자의 최후는 순수한 처녀와의 비극적인 사랑으로 포장되곤 하지만, 마리는 루돌프보다 무려 약 13살 연하인 어린 소녀였고 루돌프는 아무리 애정 없는 결혼이었지만 아내와 딸이 있는 유부남이었다. 자살할 당시 루돌프의 나이는 30세였고, 마리의 나이는 겨우 17세. 실제로 루돌프는 외도가 잦았기 때문에 마리 베체라 뿐 아니라 창부 출신의 미치 카스파(Mizzi Kaspar, 1864년 ~ 1907년) 등 많은 정부가 있었다. 처음 루돌프가 동반 자살하자고 꼬셨던 사람도 미치 카스파였는데 그녀가 거절하자 그 다음 순위 마리를 꼬드겨 동반자살한 것이었다. 실제로는 불륜 막장극이지만, 정황상 후대인들은 그냥 낭만적인 비극으로 보게 되면서 마이어링 사건은 2차 저작물로까지 만들어졌다. 《황태자의 마지막 키스》라는 책이 이 사건을 다루고 있으니 읽어보면 좋을 것이다.
에드워드 노튼 주연의《일루셔니스트》란 영화도 이 이야기를 배경으로 만들었고[21], 루돌프에 대한 뮤지컬도 2012년 말, 2014년말 한국에서 공연했었다.
《셜록 홈즈: 그림자 게임》에서는 제임스 모리어티가 개입한 사건 중 하나로 등장한다. 루돌프 황태자의 자살 기사가 나온다.
엘리자베트 폰 비텔스바흐의 일대기를 다룬《엘리자벳》에서도 루돌프 황태자의 자살 사건을 마이어링 왈츠라는 춤으로 표현한 장면이 있다.
5.1.2.1. 손녀 엘리자베트 마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리자베트 마리#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리자베트 마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1.3. 둘째 남동생 카를 루트비히
루돌프 사망 후 프란츠 요제프의 동생 카를 루트비히가 후계자가 되었지만 그는 1896년 형보다 먼저 사망했다.5.1.4. 조카 프란츠 페르디난트
세 번째 후계자로 선택된 황제의 조카 프란츠 페르디난트(1863년 ~ 1914년)는 아내 호엔베르크 여공작 조피[22]와 함께 1914년 6월말 사라예보의 육군 훈련에 참관차 갔다가 가브릴로 프린치프 (1894년 ~ 1918년)[23]의 피격을 받아 죽고 만다.[24] 그로부터 딱 한 달 뒤,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났다.5.1.5. 종손 카를 1세
네 번째 황태자는 프란츠 페르디난트의 조카인 카를[25](1887년 ~ 1922년)이 되었다. 프란츠 요제프 1세의 종손이기도 하다. 그러나 카를 1세는 즉위 후 딱 2년 만에[26]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공중분해되면서 몰락하고 만다.카를 1세는 일반적인 "망국의 군주"들과는 달리 성실하고 머리 좋은 인물이었지만 당시의 상황상 제국의 해체를 막기는 힘들었다. 제국 해체 이후 몇 년 뒤에 사망한다. 자세한 내용은 카를 1세 항목을 참고.
5.2. 가계도
※ 비극적으로 사망한 인물은 ☆ 처리.- 큰아버지 페르디난트 1세 (1793년 4월 19일 ~ 1875년 6월 29일): 부황 프란츠 1세의 뒤를 이어 즉위했으나 1848년 퇴위.
- 아버지 프란츠 카를 대공 (1802년 12월 17일 ~ 1878년 3월 8일)
- 어머니 조피 대공비 (1805년 1월 27일 ~ 1872년)
- 프란츠 요제프 1세 (1830년 8월 18일 ~ 1916년 11월 21일) / 아내 엘리자베트 폰 비텔스바흐 (1837년 12월 24일 ~ 1898년 9월 10일) ☆(암살)
- 장녀 조피 (1855년 5월 5일 ~ 1857년 5월 29일) ☆(급사)
- 차녀 기젤라 (1856년 7월 15일 ~ 1932년 7월 27일)
- 아들 루돌프 황태자 (1858년 8월 21일 ~ 1889년 1월 30일) ☆(자살)
- 막내딸 마리 발레리 (1868년 4월 22일 ~ 1924년 9월 6일)
- 남동생 막시밀리안 (1832년 7월 6일 ~ 1867년 6월 19일) ☆(총살)
- 남동생 카를 루트비히 대공 (1833년 7월 30일 ~ 1896년 5월 19일)
- 조카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1863년 12월 18일 ~ 1914년 6월 28일) ☆(암살)
- 조카 오토 프란츠 대공 (1865년 4월 21일 ~ 1906년 11월 1일)
- 종손 카를 1세 (1887년 8월 17일 ~ 1922년 4월 1일) ☆[27]
- 종증손 오토 폰 합스부르크 (1912년 11월 20일 ~ 2011년 7월 4일)
- 종현손 카를 폰 합스부르크 (1961년 1월 11일 ~ )
- 종5대손 페르디난트 즈보니미르 폰 합스부르크 (1997년 6월 21일 ~ )
- 남동생 루트비히 빅토어 대공 (1842년 ~ 1919년)
5.2.1. 조상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 프란츠 요제프 1세 (Franz Joseph I) | <colbgcolor=#fff3e4,#331c00>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카를 대공 (Archduke Franz Karl of Austria) | <colbgcolor=#ffffe4,#323300> 프란츠 2세 (Franz II) | |
| 레오폴트 2세 (Leopold II) | |||
| 스페인의 마리아 루이사 공주 (Infanta Maria Louisa of Spain) | |||
|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마리아 테레사 공주 (Princess Maria Theresa of Naples and Sicily) | |||
| 페르디난도 1세 (Ferdinando I) | |||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카롤리나 여대공 (Archduchess Maria Carolina of Austria) | |||
| 바이에른의 조피 공주 (Princess Sophie of Bavaria) | |||
|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 (Maximilian I Joseph) | |||
| 팔츠츠바이브뤼켄 궁정백 프리드리히 미하엘 (Frederick Michael, Count Palatine of Zweibrücken) | |||
| 팔츠줄츠바흐의 마리아 프란치스카 여백작 (Countess Palatine Maria Franziska of Sulzbach) | |||
| 바덴의 카롤리네 공녀 (Princess Caroline of Baden) | |||
| 바덴 대공세자 카를 루트비히 (Charles Louis, Hereditary Prince of Baden) | |||
| 헤센다름슈타트의 아말리 공녀 (Princess Amalie of Hesse-Darmstadt) |
5.2.2. 자녀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 1녀 | 조피 여대공 (Archduchess Sophie) | 1855년 3월 5일 | 1857년 5월 29일 | |
| 2녀 | 바이에른의 왕자비 기젤라 (Gisela, Princess of Bavaria) | 1856년 7월 12일 | 1932년 7월 27일 | 바이에른의 레오폴트 왕자 슬하 2남 2녀[28] |
| 1남 | 오스트리아의 황태자 루돌프 (Rudolf, Crown Prince of Austria) | 1858년 8월 21일 | 1889년 1월 30일 | 벨기에의 스테파니 공주 슬하 1녀[29] |
| 3녀 |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잘바토어 대공비 마리 발레리 (Marie Valerie, Archduchess Franz Salvator of Austria) | 1868년 4월 22일 | 1924년 9월 6일 |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잘파토어 대공[30] 슬하 4남 6녀 |
6. 애첩
6.1. 카타리나 슈라트
| 카타리나 슈라트 (Katharina Schratt)[31]의 초상화 |
비극적인 가족사를 지닌 프란츠 요제프 1세에게 사적으로 위로가 되어준 사람은 정부(情婦)인 카타리나 슈라트라는 여배우였다. 대외적으로 내연녀로 알려져 있지만 황제와의 관계는 애인이라기보다, 그가 생애 단 한 번도 갖지 못했던 인간적인 감정을 나누는 진정한 친구 같았다고 한다.
황제를 만나면 정치, 사회 등의 분야에 대해 대화하고 조언하는 등 황후가 하지 않는 일을 어느 정도 하기도 했다고 한다. 흠이 있다면 도박 중독자라 종종 심한 도박빚을 지곤 했는데, 특이한 점이라면 카타리나 슈라트는 프란츠 요제프 1세가 자의로 들인 정부가 아니라 정실인 엘리자베트 황후가 남편을 자신에게서 떼어 내려고 자발적으로 소개해준 여자다. 비로소 뜻대로 됐다고 여긴 엘리자베트는 자신을 어려워하는 슈라트에게 늘 여행만 다니는 자기 대신 황제 곁에서 돌봐주는 것을 고마워했고, 슈라트도 엘리자베트 황후에게 거의 팬이나 다름없는 열렬한 충성을 바치며 따랐기에 두 사람은 우정을 유지할 수 있었다. 사이 좋을 수가 없는 황제의 정실 황후와 정부였음에도 카타리나가 엘리자베트를 숭배하다시피 따른 건 그녀가 일반적인 황후답지 않게, 일개 여배우이자 정부에 불과한 자신에게 친절한 조언과 감사도 잊지 않고 해외 여행 중에 사온 후한 선물들까지 내주는 파격적인 배려와 쿨한 태도가 가장 큰 이유인 듯하다.[32][33]
그래도 엘리자베트는 아무나 애첩으로 고르는 경솔한 짓은 하지 않고 매우 세심하게 신경 썼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 내막이 있었다고 해도 로얄 미스트리스를 향한 세간의 평판과 취급이 얼마나 처참하고 나빴는지를 고려하면, 슈라트를 향한 엘리자베트의 대우가 당대 황후답지 않게 굉장히 너그럽다 못해 파격적이었다. 황제와 황후 두 사람 모두의 막대한 총애를 오랫동안 누리면 슬슬 기어오르고 사익을 뜯어내고 싶을 법한데도 불구하고 도박 중독 건을 제외하면 끝까지 욕심을 절제하고 언제 어디서든 현명하게 처신하며 크게 욕심 없이 산 덕분에 부부 두 사람 모두에게 훌륭한 말동무이자 동반자로 남을 수 있었다. 이걸 보면 카타리나를 다른 수많은 궁중 여인들을 제치고 카타리나를 프란츠 요제프 1세의 정부로 선택한 엘리자베트의 안목이 나름 현명했다고 볼 수 있다.
보통 왕이나 황제의 정부는 정치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거나 어떻게든 사익을 뜯어내기 위해 부정부패를 벌이는 간신이 되어 만인의 증오를 받아 왕이나 황제의 사후 내쳐지거나 최악의 경우 쫓겨나는 걸로 안 끝나고 죽을 때까지 조리돌림당하거나 처형당하기 마련인데, 카타리나 슈라트는 황제와 황후의 총애를 이용해서 사익을 챙기긴 커녕 정치에도 단호하게 선을 그었고, 엘리자베트 황후가 죽은 뒤에도 혼자가 된 프란츠 요제프를 살뜰히 보살폈다. 이렇게만 했는데도 카타리나는 '왕관 없는 오스트리아 황후'라는 별명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프란츠 요제프가 서거했다는 소식을 접한 카타리나는 얼른 헌화를 들고 찾아갔지만 프란츠 요제프의 신하들이 문전박대한 탓에 곤란해하던 사이, 후임인 카를 1세가 직접 불러들여 정중하게 프란츠 요제프의 시신으로 인도해줬고 카타리나는 황제의 시신에 헌화를 놓으며 마지막 만남과 함께 진심 어린 작별 인사도 하고 후임인 카를 1세에게도 정중한 감사 인사를 받았다.
이후 카타리나 슈라트는 빈 근교에 있는 히칭의 저택에서 조용하고 평온한 삶을 살며 천수를 누렸다. 그리고 1940년에 향년 86세로 프란츠 요제프와 같은 나이에 사망했다.
프란츠 요제프와 엘리자베트의 사후 수많은 언론사와 출판사가 카타리나에게 황제와의 관계에 대해 인터뷰를 따려고 하거나 회고록 계약을 제시했지만 일절 거절했고, 이후에도 카타리나는 황제나 황후와의 관계나 뒷얘기를 팔아 이득을 보려하지 않는 품위 있는 태도로 칭송 받으며 별다른 발언이나 눈에 띄는 정치적 행동도 하지 않았다. 가장 정치적인 행동으로는 안슐루스로 인해 아돌프 히틀러가 오스트리아를 방문했을 때 집의 창문을 가리고 바깥을 보지 않고 사실상의 문전박대를 한 정도.
7. 최측근
프란츠 요제프 1세에게는 수많은 측근 인사들이 있었지만 이들중에서 에두아르트 폰 파어, 아르투어 폰 볼프라스, 프리드리히 폰 벡지코프스키가 대표적인 3인방으로 꼽힌다. 이 3인방은 각각 황제 재위 기간의 절반에 가까운 30년, 28년, 25년 동안 황제를 보좌하며 그 누구보다도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황제의 일상에서부터 군사, 외교에 이르기까지 국정 전반에 깊숙이 관여하며 다른 조언자들을 압도하는 최측근 실력자 그룹을 형성했던 것으로 평가된다.7.1. 에두아르트 폰 파어 백작
에두아르트 폰 파어는 1887년부터 황제의 사망 시점인 1916년까지 무려 30년 가까이 프란츠 요제프 1세의 일등 부관(Generaladjutant)을 지냈다. 그는 황제를 일상적으로 시종하며 그의 신변을 보좌하고 국정 전반에 걸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엘리자베트 황후 암살, 대공 암살 등 주요 사건을 황제에게 직접 보고하는 등 황제의 일상사 곳곳에 깊이 관여했다.7.2. 아르투어 폰 볼프라스 남작
아르투어 폰 볼프라스는 1889년부터 1917년까지 프란츠 요제프 1세의 군사 사무국(Militärkanzlei) 수장이자 일등 부관으로 활동했다. 그는 황제의 군사 분야 최측근으로서 군 고위직 인사에도 관여하는 등 황제의 군사적 의사결정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뛰어난 능력을 인정받아 황제의 두터운 신임을 얻었다.7.3. 프리드리히 폰 벡지코프스키 백작
프리드리히 폰 벡지코프스키는 1881년부터 1906년까지 25년간 제국 참모총장을 역임하며 프란츠 요제프 1세의 군사 정책을 주도했다. 그는 프로이센식 군 개혁을 단행하고 참모본부의 위상을 높이는 등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의 현대화에 큰 공헌을 세웠다. 그의 막강한 영향력 때문에 "부황제(Vizekaiser)"라는 별명이 붙었을 정도였다.8. 대중매체
- 코르사주
중년의 엘리자베트 황후를 주인공으로 하는 영화로 당연히 프란츠 요제프 1세도 초상화의 모습으로 익숙한 콧수염을 단 중년으로 나온다. - 톰과 제리
75번째 에피소드인 "요한 제리(Johann Mouse)"에서 카툰풍 그림체로 등장한다.5분 40초 나레이션은 단순히 황제라 칭하지만 시대적 배경도 그렇고 황제의 수염이 누가 봐도 이 분이다. 거기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상징하는 흰색 군복까지. 근위병을 시켜서 톰과 제리를 황궁으로 초대하여 그들의 피아노 연주를 감상한다. - 타임 프린세스
'프린세스 시씨' 스토리에선 초반에는 언급을 통해 존재 자체가 암시가 되었으나 사실은 다르게 흘러갔다.[34] - 폭군 고종대왕 일대기
작중 주인공의 행동으로 인해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의 피해를 빠르게 수습하고 신성 로마 제국을 복원하는 등 실제 역사보다 더욱 유능한 군주로 등장한다. - Hearts of Iron IV
하츠오브아이언 4의 1차 세계 대전 모드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도자로 등장한다. - 엘리자벳
아내가 주인공인 뮤지컬이니만큼 당연히 조연으로 등장한다. - 더 라스트 키스
아들인 루돌프 황태자가 주인공인 뮤지컬이라 조연으로 등장한다. - 시시
2021년부터 독일에서 방영중인 드라마 시시(Sisi)에서는 야니크 슈만(Jannik Schümann)이 연기했다. 2024년 시즌3까지 방영중이다. - 화약고 제국의 천재 대공
오헝 제국이 주 무대인만큼 황제로 등장하며, 뛰어난 재능을 보인 카를 대공을 서포트해준다. 카를의 활약으로 1차 대전을 승리한 뒤 프란츠 페르티난트에게 양위했고, 퇴임 이후엔 아내와 말년을 보내며 멕시코 원정 성공과 카를의 대관식을 지켜봤고, 합스부르크 연방국 구성 소식을 들을 때 기뻐하는 와중 세상을 떠났다. 세상을 떠나기 직전 프란츠 페르티난트와 화해했고 아내에겐 사랑했단 말을 남겼다. 원 역사와 달리 이 작품에선 본인의 실책을 대전쟁으로 만회하면서[35] 말년에 아내와 단란한 시간을 보냈고 멕시코 복종으로 억울하게 죽은 동생의 한도 어느 정도 풀어줬다. 또한 연방 제국이긴 하지만 합스부르크 가문의 영광이 부활한 광경을 죽기 전 자신의 눈에 담고 사망하는 큰 수혜를 입었다. - 카이저를 구했다
꼰대 중의 상꼰대.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합병으로 인한 보스니아 위기가 터지자 베를린 회의 조약 위반에 대해 이야기하러 간 주인공 한스에게 패드립까지 치면서 분노를 샀고, 한스의 행보에 영향을 맏은 프란츠 페르디난트가[36] 더 적극적으로 아내 조피의 입지를 위해 활동하자 이를 못마땅히 여겨 사라예보 군사훈련 참관 일정을 뺏어서 갔다가 본인이 헤드샷으로 사라예보 사건의 희생자가 된다. 본인에겐 불행이지만 오스트리아 헝가리에게는 다행인 사실은, 그가 사라예보 사건으로 죽지 않았다면 주인공이 안슐루스를 해버렸을 거라는 언급이 있기 때문이다.
9. 기타
-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인만큼 모어는 당연히 독일어였고 그밖에 헝가리어와 체코어, 당대 외교어였던 프랑스어를 유창하게 구사할 줄 알았다. 크로아티아어와 폴란드어, 세르비아어, 이탈리아어는 어느 정도 할 줄 알기는 했다고.
- 의외로 잘 부각이 안 되는 사실인데, 프란츠 요제프 1세는 1830년생이고 빌헬름 2세는 1859년생으로 의외로 나이 차이가 아버지뻘 정도 밖에 나지 않는다. 빌헬름 2세의 아버지인 프리드리히 3세보다 1살 더 많다. 참고로 루돌프 황태자는 1858년생으로 빌헬름 2세보다 1살 더 많다. 이건 프란츠 요제프의 콧수염과 구레나룻을 늘린 모습이 빌헬름 2세의 할아버지인 빌헬름 1세와 비슷해서 빌헬름 1세와 프란츠 요제프 1세가 같은 뻘로 오해받는 듯 하다. 빌헬름 1세가 1797년생이고 프란츠 요제프 1세는 1830년생이라 둘은 33살 차이이므로, 빌헬름 1세가 프란츠 요제프 1세에게 아버지뻘 정도 된다. 둘 다 매우 장수했다.
- 앞서 언급되었듯, 이 사람 본인은 모르는 사람이 태반인데 가족구성원들이 본인보다 더 유명한 것으로 유명하다. 무려 가족들을 소재로 엘리자벳, 더 라스트 키스같은 뮤지컬만 두 편이 나왔다. 마누라와 아들내미는 본인과는 여러모로 상극에 황실 최고의 유별과 유난으로 당대의 도라이로 찍힌데다 그로 인해 말미암은 최후가 너무도 비극적이었고, 동생은 후계자도 없이 바다 건너에서 총살당했으며, 심지어 본인의 장조카이자 제국의 후계자는 전 세계를 할퀸 대전쟁의 단초로 희생당했다. 당연히 가족들 전부 좋은 쪽으로 유명한 건 아니었는데다 하나같이 비참한 최후를 맞았고, 본인이 장수했기 때문에 삶이 꽤나 고달팠을 것이다. 물론 황제 본인 역시 이 심각한 가족 문제에 크게 기여했으니 할 말은 없다.
- 프란츠 요제프 1세는 생전에 당연하게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의 총사령관이었다. 다만 정식으로 군 계급을 가지고 있진 않았었고, 독일 제국으로부터 받은 명예계급인 독일 육군 야전원수(Generalfeldmarschall) 계급만을 보유하고 있었다.[37] 다만 문서 최상단의 초상화는 오스트리아 육군 원수 예복 차림의 모습이다. 총사령관으로서 프란츠 요제프 1세의 위치는 실질적이기보다는 상징적이었다. 군사 문제에 개입할 때에는 친한 동갑내기 중신이었던 육군참모총장 프리드리히 폰 벡지코프스키 백작의 조언을 받아 개입하곤 했다. 그리고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에 총사령관직을 테셴 공작 프리드리히 대공에게 물려주었다.
- 이탈리아 토스카나 대공국의 레오폴도 2세와 페르디난도 4세 부자, 모데나 레조 공국의 프란체스코 5세, 파르마 공국의 로베르토 1세, 양시칠리아 왕국의 프란체스코 2세, 하노버 왕국의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왕세자, 헤센 선제후국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등 이탈리아 통일과 독일 통일에서 폐위된 군주들의 망명을 받아주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살 수 있도록 배려해주었다.
- 1915년 12월 14일 제1차 세계대전 중 목소리를 녹음한 적이 있다.영상
Ich begleite das Wirken des Österreichischen Militär-Witwen und Waisenfonds mit meinen herzlichsten Wünschen.
Möge seinen edlen Bestrebungen zum Wohle der Hinterbliebenen meiner braven Krieger voller Erfolg beschieden werden.
나는 오스트리아의 군인 미망인 및 고아들을 위한 자금 조달에 대해 진심으로 지지하는 바이다.
나의 용감한 전사들의 생존한 친척들을 위한 그의 고귀한 노력이 완전한 성공을 거두기를 바란다.
Möge seinen edlen Bestrebungen zum Wohle der Hinterbliebenen meiner braven Krieger voller Erfolg beschieden werden.
나는 오스트리아의 군인 미망인 및 고아들을 위한 자금 조달에 대해 진심으로 지지하는 바이다.
나의 용감한 전사들의 생존한 친척들을 위한 그의 고귀한 노력이 완전한 성공을 거두기를 바란다.
- 고기 요리를 매우 좋아했는데, 건강함도 함께 챙기기를 원해 그의 요구에 따라 만들어진 요리가 타펠슈피츠다. 오스트리아 황실이 무너진 이후에도 궁정 요리사들이 자신들의 식당을 창업하면서 이 요리를 함께 팔았고, 타펠슈피츠는 오스트리아의 국민 요리가 되었다.
10. 관련 항목
[1] 174cm의 빌헬름 2세와 같이 선 사진을 보면 프란츠 요제프 1세가 좀 더 작다. 사진을 찍을 당시 80대였으니 젊었을 때는 171cm보다는 더 컸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로 아내의 키는 173cm로 프란츠 요제프보다 더 크다.[단결] With united forces.[미덕] My trust in virtue.[4] 사실 600년 가량 중부 유럽을 통치해 온 합스부르크 왕가의 위상을 감안하면 친인척들이 유럽 주요국들의 군주인 것은 당연한 것이긴 하다.[5] 재위: 1837년 6월 20일 ~ 1901년 1월 22일, 63년 216일.[6] 초콜릿 케이크인 자허토르테를 개발한 그곳이다.[7] 역사에서 이렇게 한 개인의 지도력과 카리스마에 의존하는 체제는 오래 가지 못한다는 사례가 수두룩하다. 단적인 예로 제1차 세계 대전의 패전으로 합스부르크 제국의 남슬라브 지역을 흡수한 유고슬라비아는 티토 사후 티토만큼의 지도력과 카리스마를 보여주는 이렇다 할 후계자가 없어서 그대로 해체일로를 걸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오스트리아마냥 유고슬라비아 구성국 중 가장 주도적인 위치에 있던 세르비아가 해체를 막기 위해 유고슬라비아 전쟁이라는 추태를 부린 것은 덤.[8] 비슷하게 오래 재위한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도 당대 기준으로 너무 오래 살아서 말년에 왕세자 그랑 도팽 루이와 왕세손 프티 도팽 루이, 왕세증손 부르타뉴 공작 루이를 잃었고 막내손자 샤를도 잃었다. 다만 사냥 중 사고로 사망한 막내손자 샤를을 제외하고는 전부 당대에 상식으로 받아들여지던 잘못된 치료 때문에 건강했음에도 어이없게 목숨을 잃었던 것이긴 하다.[9] 황후 엘리자베트 폰 비텔스바흐를 다룬 드라마 '시시'(Sisi)에서 이 장면이 나온다.[10] 합스부르크 황실과 아들 프란츠 요제프를 위해 모든 것을 희생한 조피 대공비 입장도 간과할 수는 없지만, 그녀가 엘리자베트에게 가혹한 시어머니였음은 부정할 수 없다. 가정사에까지 어머니한테 휘둘리고 산 프란츠 요제프 역시 좋은 남편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아이러니한 건 조피도 젊었을 땐 엘리자베트처럼 당찬 성격에 총명한 것으로 유명했는데, 정신박약아였던 프란츠 카를과 사랑없는 정략결혼을 해야 했다는 점이다. 조피는 자신과 마찬가지로 합스부르크 가문에서 외롭게 지냈던 나폴레옹 2세와 가깝게 지냈지만, 나폴레옹 2세 사후 더 이상 마음 기댈 곳이 없어지자 마음을 닫고 흑화해 버렸다.[11] 아이 입장에서 이런 생각이 들게끔 하는 상황은 절대로 좋지 못하다. 엘리자베트는 10여 년간 죽고 싶을 정도의 지옥 같았던 시집살이를 겪으며 합스부르크 왕가에 헌신을 해줄 만큼 해줬다며 남은 생은 오로지 자신만을 위해 살기로 결심한 사람이기에 시어머니에 뺏긴 기젤라와 루돌프는 물론이고 직접 키운 마리 발레리에 대해서도 본인의 애완용 정도로만 생각하고 마리 발레리를 "제대로" 키울 생각은 전혀 하지 않았고 그럴 의지도 아예 없었다. 적어도 루돌프가 어렸을 적엔 그가 너무 어린 나이에도 너무 가혹한 훈련으로 고통받는 것을 보고 남편과 시어머니에게 하지 말라고 하기도 했지만.[12] 거짓말이 아니라 진짜다! 차기 황제의 교육을 빌미로 몰인정한 짓을 한 셈. 엘리자베트의 기질을 가장 많이 물려받은 루돌프 황태자는 저렇게 어린 시절부터 훈육을 빙자한 학대를 당하며 일찍 우울증에 걸리고 말았다. 보다 못한 엘리자베트가 프란츠 요제프에게 교관을 관대한 사람으로 바꾸라고 협박해 교관을 바꾸게 한 것. 사실 귀족이고 황족이고 채찍으로 두들겨 맞고 걸음마 떼라며 목줄 채워 일으키는 것 등이 당시의 양육법이었다. 그래도 루돌프만큼 그렇게 심하게 학대식으로 하진 않았고 루돌프보다 덜하긴 했지만 프란츠 요제프도 그랬고, 독일 황제 빌헬름 2세도 그렇게 자랐다. 프란츠 요제프와 빌헬름 2세는 의외로 마음에 들었는지 프란츠 요제프는 아들에게도 자신보다 더한 방식으로 양육했고 빌헬름 2세는 할아버지 빌헬름 1세를 따라 군사 퍼레이드와 군사적 취미를 즐겼다.[13] 루케니는 체포되고 나서 사형을 요구했지만 스위스는 사형이 폐지된 터라 무기징역을 선고받았고 10년 후 교도소에서 목매어 자살했다.[14] 번외로 6촌 동생이자(프란츠 요제프의 아버지 프란츠 카를 대공과 이탈리아 왕국의 움베르토 1세의 어머니 아델하이트가 친사촌 관계다.) 5촌 조카사위인(움베르토 1세의 장모 제노바 공작부인 엘리자베트가 프란츠 요제프 1세의 이종사촌이다.) 움베르토 1세도 그로부터 2년 뒤인 1900년에 이탈리아인 아나키스트 가에타노 브레시의 손에 암살당한다. 이탈리아 역시 사형이 폐지된 터라 이 브레시도 루케니처럼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15] 풀네임은 스테파니 클로틸드 루이즈 헤르미네 마리 샤를로트(Stéphanie Clotilde Louise Herminie Marie Charlotte). 시어머니인 엘리자베트보다 못할뿐 미녀였다는 말도 있지만, 실제 사진을 보면 미인이라고 보기는 힘들다. 엘리자베트 황후가 며느리인 스테파니를 싫어했던 이유가 못생겼기 때문이라는 얘기도 있을 정도. 루돌프 역시 스테파니가 '예쁘지도 똑똑하지도 않다'며 탐탁지 않았지만 그동안 여러 지체높은 가톨릭 왕가와의 혼담을 내친 터라 어쩔 수 없이 결혼했다.[16] 사실 이 병이 황실생활로 인한 스트레스를 여성편력으로 풀던 루돌프가 스테파니에게까지 옮긴 성병이라는 얘기도 있다.[17] 루돌프의 어머니 엘리자베트 황후의 오빠 루트비히 빌헬름(1831~1920)이 귀천상혼하여 낳은 딸.[18] 예외적으로 '혼인무효'라는 것은 있다. 허나 혼인무효의 기본 조건은 결혼 당사자들이 부부관계를 맺지 않은 순결 상태를 인정받아야 가능한 것인데 루돌프와 스테파니는 이 무렵 결혼한지 6년 가량이나 되었고 이미 딸도 있었으므로 혼인무효가 성립될 수가 없었다. 그것 외에도 혼인무효가 성립되는 사례가 있긴 하나 인정받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황족이라면 더더욱 인정을 잘 안해준다. 혼인성사 참조.[19] 영국의 헨리 8세도 교황이 캐서린 왕비와의 혼인을 무효화해주지 않자 빡쳐서 가톨릭을 버리고 성공회를 만든 뒤 앤 불린과 재혼했다.[20] 머리에 총을 대고 자살하면 총 내부의 가스가 터져나오면서 총상 주변에 총구 모양의 화상이 남게 된다. 화상이 없다는 것은 멀리서 쐈다는 뜻이다.[21] 그런데 이 영화에서는 많은 내용이 사실과 정말 많이 다르다. 이 영화의 오스트리아 제국은 현실 역사와는 무관한 패러럴 월드로 보는 것이 맞다. 여기선 약혼녀를 죽인 천하의 개쌍놈으로 몰려 누명을 쓰고 자살하고 약혼녀는 주인공 마술사에게 뺏긴다. 덤으로 천하의 개쌍놈으로 모는데 그 약혼녀도 일조했다.[22] 조피는 왕녀가 아니라 한낱(?) 백작의 딸이었기 때문에 귀천상혼(貴賤相婚)이라는 낙인이 찍혔다. 그래서 프란츠 페르디난트는 황태자였지만 조피는 황태자비가 될 수 없었고 두 사람 사이에서 태어난 세 아이도 모두 계승권이 없었다. 프란츠 요제프는 조피와 그녀의 자식들을 인정하지 않았지만 그래도 불쌍하게 여긴 것인지 이들의 결혼과 함께 조피에게 호엔베르크 공작 작위를 주고 그 후손들이 계승하게 했다.[23] 세르비아 민족주의 단체 <검은 손> 조직원으로 수감되었다가 폐결핵으로 죽었다. 공범 중 한 명은 잡혀서 16년 동안 복역하다 나와 1990년 93살로 죽었다.[24] 귀천상혼 문제로 조피는 페르디난트와 함께 공식석상에 나올 수가 없었다. 그러나 이 날 사라예보에서의 행사는 공식 행사이긴 해도 페르디난트가 황태자가 아닌 군 사령관으로서 참석한 행사였기에 아내도 동석할 수 있었다. 기필코 아내를 공식석상에 동행시키려는 페르디난트의 꼼수였으나 운이 없어도 참 더럽게 없던 셈. 페르디난트가 필사적으로 남긴 유언은 "조피! 죽지 마시오! 아이들을 위해 꼭 살아주시오!"였다고 한다.[38][25] 프란츠 페르디난트의 남동생인 오토 프란츠 대공의 장남.[26] 1916년 11월 말에 즉위해 1918년 11월 퇴위[27] 살해당하거나 자살하지는 않았지만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오헝 제국이 몰락하고 폐위된 데다 그나마 기대를 걸었던 헝가리 왕위 복위도 실패하자 실의에 빠져 병고에 시달리다 사망했다.[28] 바이에른의 게오르크 왕자 등[29] 빈디슈그레츠의 오토 공비 엘리자베트 마리[30] 토스카나 대공국의 레오폴도 2세의 손자이자 양시칠리아 왕국의 페르디난도 2세의 외손자이다.[31] 생몰년도: 1853년 9월 11일 ~ 1940년 4월 17일 (향년 86세)[32] 유럽에서 군주의 정부 역을 맡는 여자는 대개 왕실의 가장 만만한 먹잇감이자 감정 쓰레기통, 궁중 욕받이나 다름없었으며 어느 순간 군주의 관심을 벗어나면 한없이 무력해지는 힘 없는 존재이다. 자신을 한사코 질투하거나 물고 늘어지지 않고 묵묵히 넘어간 것만으로 대단히 감사할 일인데 카타리나가 보기에는 흔쾌히 자발적인 환대와 호혜도 전해주는 엘리자베트는 단순히 복종이 아니라 경외와 존경의 대상이었을 것이다.[33] 적어도 애첩 문제와 그에 관한 뒷처리만큼은 엘리자베트와 프란츠 요제프 1세가 더 깔끔하고 현명했다. 두 사람의 아들 루돌프 황태자는 자신에게 병적으로 집착하는 사생팬 마리 폰 베체라를 애첩으로 삼아 사촌인 라리쉬 백작 부인까지 끌어들여, 불륜 행각을 벌이고 본래 아내인 스테파니 황태자비와 혼인무효화니 뭐니 온갖 추문을 일으키다가 동반자살하기까지 했다.[34] 스포일러 시씨가 초반에 만났던 수수께끼의 육군 장교 '리샤르트'의 진짜 정체였다! 여기서는 실제와는 달리 적극적이고 좋은 이미지로 그려진다. 그리고 비극으로 얼룩져 버린 실제 가정사와는 달리 여기서는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행복한 결말을 맞이할 수 있는 게 프란츠 황제 입장에서는 그나마 다행이다.[35] 이는 외전 마지막 편에서 근위대 창설 허가가 본인의 과오를 덮고 합스부르크 가문의 진짜 전성기가 시작됐다는 글로 드러난다. 대전쟁 때 근위대의 활약이 승리에 영향을 줬으니 근위대 창설 하나로 안좋은 평가가 뒤집어진 셈이 됐다.[36] 주인공에게 합스부르크의 추태를 보여 미안하다며 숙부님 고집을 대신해서 사과할 정도였다.[37] 당시 동맹국 수장들끼리는 서로 자기 군대의 명예 원수직 호칭을 수여하였다. 그 외에도 일부 왕족들 역시 동맹국의 명예 장성 계급을 받기도 했다.
[38] 하지만 조피는 이미 페르디난트보다 먼저 죽었다.
분류
- 1830년 출생
- 1916년 사망
- 빈 출신 인물
- 오스트리아의 인물
- 오스트리아 황제
- 헝가리 국왕
- 독일 연방 의장
- 오스트리아 대공
- 보헤미아 국왕
- 모라비아 변경백
- 크로아티아 국왕
- 달마티아 국왕
- 롬바르디아-베네치아 국왕
-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
- 카푸친 교회 안장자
- 개국군주
- 황금양모 기사단(오스트리아)
- 레지옹 도뇌르 훈장/그랑크루아
- 가터 훈장
- 로열 빅토리아 훈장
- 사도 성 안드레이 훈장
- 성 알렉산드르 넵스키 훈장
- 제국 흰독수리 훈장
- 성녀 안 훈장 1등급
- 성 게오르기 훈장 4등급
- 코끼리 기사단 훈장
- 세라핌 기사단 훈장
- 빌럼 군사훈장
- 대훈위국화장경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