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32131, #cd2a3e 20%, #cd2a3e 80%, #a32131);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헝가리 왕국(1526년~1918년)| 오스트리아 제국 내 헝가리 왕국 ]] | |||
초대 | 제2대 | |||
바트야니 러요시 | 코슈트 러요시 | |||
[[1848년 헝가리 혁명| 헝가리국 ]] | ||||
(제2대) | 제3대 | |||
코슈트 러요시 | 세메레 베르털런 | |||
[[성 이슈트반 왕관령|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 ||||
제4대 | 제5대 | 제6대 | 제7대 | |
언드라시 줄러 | 로녀이 메니헤르트 | 슬라비 요제프 | 비토 이슈트반 |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
벤크하임 벨러 | 티서 칼만 | 서파리 줄러 | 베케를레 샨도르 |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반피 데죄 | 셀 칼만 | 쿠엔헤데르바리 카로이 | 티서 이슈트반 | |
제16대 | (제11대) | (제14대) | 제17대 | |
페예르바리 게저 | 베케를레 샨도르 | 쿠엔헤데르바리 카로이 | 루카치 라슬로 | |
(제15대) | 제18대 | (제11대) | 제19대 | |
티서 이슈트반 | 에스테르하지 모리츠 | 베케를레 샨도르 | 하디크 야노시 | |
제20대 | ||||
카로이 미하이 | ||||
[[헝가리 제1공화국| 제1공화국 ]] | ||||
제21대 | ||||
베린케이 데네시 | ||||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 소비에트 공화국 ]] | ||||
제22대 | 제23대 | |||
가르바이 샨도르 | 페이들 줄러 | |||
[[헝가리 제1공화국| 제1공화국 ]] | ||||
제24대 | 제25대 | |||
프리드리히 이슈트반 | 후사르 카로이 | |||
[[헝가리 왕국(1920년~1946년)| 호르티 미클로시 섭정 하 헝가리 왕국 ]] |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
시모니세머덤 샨도르 | 텔레키 팔 | 베틀렌 이슈트반 | 카로이 줄러 | |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제27대) | |
굄뵈시 줄러 | 더라니 칼만 | 임레디 벨러 | 텔레키 팔 | |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
바르도시 라슬로 | 칼러이 미클로시 | 스토여이 되메 | 러커토스 게저 |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국민단결정부 ]] | ||||
제37대 | ||||
살러시 페렌츠 | ||||
[[헝가리 임시 정부| 임시 정부 ]] | ||||
제38대 | 제39대 | |||
미클로시 벨러 | 틸디 졸탄 | |||
[[헝가리 제2공화국| 제2공화국 ]] | ||||
제40대 | 제41대 | |||
너지 페렌츠 | 디녜스 러요시 | |||
[[헝가리 인민공화국| 인민 공화국 ]] | ||||
제42대 | 제43대 | 제44대 | 제45대 | |
도비 이슈트반 | 라코시 마차시 | 너지 임레 | 헤게뒤시 언드라시 | |
(제44대) | 제46대 | 제47대 | (제46대) | |
너지 임레 | 카다르 야노시 | 뮈니히 페렌츠 | 카다르 야노시 | |
제48대 | 제49대 | 제50대 | 제51대 | |
칼러이 줄러 | 포크 예뇌 | 라자르 죄르지 | 그로스 카로이 | |
제52대 | ||||
네메트 미클로시 | ||||
[[헝가리| 제3공화국 ]] | ||||
제53대 | 제54대 | 제55대 | 제56대 | |
언털 요제프 | 보로시 페테르 | 호른 줄러 | 오르반 빅토르 | |
제57대 | 제58대 | 제59대 | (제56대) | |
메드제시 페테르 | 주르차니 페렌츠 | 버이너이 고르돈 | 오르반 빅토르 | }}}}}}}}} |
헝가리 왕국 제15대 총리 티서 이슈트반 백작 gróf Tisza István | |||
본명 | 보로시에뇌와 세게드 백작 티서 이슈트반 임레 러요시 팔[1] Borosjenői és szegedi gróf Tisza István Imre Lajos Pál (헝가리어) Stephen Emery Louis Paul Tisza (영어) | ||
출생 | 1861년 4월 22일 | ||
오스트리아 제국 페슈트 | |||
사망 | 1918년 10월 31일 (향년 57세) | ||
헝가리 왕국 부다페스트 | |||
국적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헝가리 왕국) | ||
재임기간 | 제15대 총리 | ||
1903년 11월 3일 ~ 1905년 6월 18일 | |||
제15대 총리(2) | |||
1913년 6월 10일 ~ 1917년 6월 15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477050><colcolor=#fff> 작위 | 백작(Gróf) | |
부모 | 아버지 티서 칼만[2] 어머니 일로나 데겐펠트-쇤부르크 | ||
형제자매 | 파울리나, 칼만, 라호스 | ||
배우자 | 일로나 티사 데 보로스제뇨 | ||
자녀 | 아들 이슈트반, 딸 줄리스카 | ||
학력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국제법학 / 학사)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경제학 / 석사) 옥스퍼드 대학교 (정치학 / 박사) | ||
직업 | 정치인, 경제학자, 변호사 | ||
정당 | 자유당(Szabadelvű Párt) 국민노동당(Nemzeti Munkapárt) | }}}}}}}}} |
[clearfix]
1. 개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헝가리 왕국 정치인이자 귀족이다. 이중제국 말기에 거물 정치인으로 활동했고, 제국의 말기 역사를 다룰 때 티서 이슈트반의 영향력은 빠트릴 수 없을 정도다. 트란스라이타니아의 양당 중 대타협 지지파인 자유당계를 대표하는 인물이었다.2. 생애
1861년 헝가리의 총리를 역임한 티서 칼만(borosjenői Tisza Kálmán)의 아들로 태어났다.독일과 영국에서 유학을 하며 법학과 경제학, 정치학을 배웠다. 이후 1886년에 헝가리 총선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의회의 경제위원회에서 활동하였다. 1890년부터는 헝가리공상은행의 이사이자 은행장으로 재임하면서 헝가리공상은행을 헝가리 내에 최대의 은행으로 성장시켰다. 1903년에 헝가리의 총리로 임명되면서 내무장관직을 겸직했다.
1기 내각에서는 야당과 거세게 대립하다 손수건 투표 사건이 발단이 된 헌정위기로 인하여 1년 7개월 만에 물러나야 했다. 이 파문으로 인하여 자유당은 선거에서 참패하였고, 오헝 제국 역사상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야당인 독립당이 집권하여 정부를 구성하게 된다. 이휴 자유당은 해산되었지만, 티서 이슈트반은 구 자유당계를 이은 정당인 국민노동당을 설립하였고 독립당 정부가 국립은행 설립 문제로 무너진 후 치러진 총선에서 대승을 거두며 재기에 성공한다. 그러나 1기 내각의 실패로 인해 그는 직접 나서기 보다는 배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1912년부터 하원의장 직인 대의원 의장으로 재임하면서 보통선거권 운동을 저지하였다. 티서 이슈트반은 헝가리어 사용자가 48.1%뿐인 헝가리 왕국의 민족 문제로 인하여 보통선거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는데, 이로 인하여 오스트리아와는 달리 헝가리에서는 의회 절대주의적인 정부 운영이 가능했다.[3] 이후 티서 이슈트반은 1913년 총리로 다시 복귀한다.
티서 이슈트반은 오스트리아와 헝가리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서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이중군주국 체제의 현상유지를 지지했고, 이에 따라 헝가리 왕국 내부의 슬라브족을 동요시킬 수 있는 세르비아와의 무력 충돌을 꺼렸다.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이 암살당한 사라예보 사건이 벌어진 후에도 공동 외무장관과 참모총장과의 회동에서 티서 이슈트반은 전쟁을 반대한다는 의사를 거듭 밝혔다.[4] 갈수록 거세지는 압박에 결국에는 전쟁에 찬성했지만, 전쟁 이후에 세르비아를 이중군주국에 합병하지 않을 것을 조건으로 걸었다.[5]
티서 이슈트반은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헝가리와 이중군주국의 이익을 대변했다. 그는 트란실바니아에 있는 루마니아인들과의 통일을 노리고 있는 루마니아 왕국을 경계했는데, 루마니아의 참전 기미가 보이자 트란실바니아 방어를 요구했지만 너무 강력해진 독일의 영향력으로 인하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페렌츠 요제프 1세의 죽음 이후 민족자결주의에 따라 군주국을 재편하려는 카로이 4세가 즉위하자 티서 이슈트반은 결국 사임하게 되었고, 이후 이탈리아 전선에서 기병 연대장이 된다.
패전이 임박하자 헝가리의 영토를 지키기 위하여 정부를 도와 크로아티아의 지위를 격상시키는 삼중군주국 체제로의 개편을 지원했지만 이루어지지 못했고, 10월 31일 혁명의 혼란 속에 자택에서 암살당하며 생을 마감한다. 그의 죽음 이후 베케를레 샨도르(Wekerle Sándor)가 3선하여 총리가 되었고, 트란스라이타니아의 마지막 총리는 허디크 야노시 백작(futaki gróf Hadik János)이었다. 얼마 안 있어 헝가리는 오스트리아와의 공동정부를 파기하였고, 독립파 수장이자 티서 이슈트반의 라이벌인 카로이 미하이 백작(gróf nagykárolyi Károlyi Mihály Ádám György Miklós)이 정권을 잡게 된다.
3. 기타
부다페스트에 있는 티서 이슈트반 동상. |
- 1934년에 그를 기리는 동상이 세워졌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파괴되었고, 지금 있는 것은 오르반 빅토르 총리가 2014년에 다시 세운 것이다.
-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절친한 사이였으며, 티서 이슈트반의 암살 이후 카로이 미하이가 정권을 잡자 프로이트는 가장 똑똑한 백작에서 가장 멍청한 백작으로 권력자가 바뀌었다고 평했다. 이후 헝가리 인민 공화국이 무너지고 헝가리 평의회 공화국이 세워졌다.
- 티서 이슈트반은 뛰어난 결투가이기도 했는데, 권총과 세이버를 능숙하게 다뤘으며 여러 차례의 결투에도 불구하고 단 한번도 심각한 부상을 입지 않았다. 그의 정적 카로이 미하이 백작과도 결투를 벌이고 카로이 백작의 팔을 잘랐다.
- 티서 이슈트반은 헝가리의 경제 성장을 위해선 유대인들의 자금력이 필요하다고 보아 그들을 적극적으로 보호하였는데, 이로 인하여 반유대주의 운동의 주된 표적이 되었다.
[1] 헝가리어에서는 동양권과 마찬가지로 성이 이름 앞으로 온다.[2] 제9대 총리[3] 오스트리아는 보통선거가 실시되었지만 의회가 사실상 기능을 하지 못하였고, 행정부 절대주의적 체제로 운영되었다.[4] 하지만 한편으로 티서 이슈트반은 헝가리를 극도로 혐오했던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의 죽음에 안도했다. 프란츠 페르디난트는 민족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헝가리인의 패권을 약화시키겠다는 의도를 숨기지 않았으며, 티서 이슈트반조차도 특권을 부여받은 반역자로 여겼다. 때문에 티서 이슈트반은 프란츠 페르디난트에게 헝가리와의 합의 없이 합중국 개혁안을 추진한다면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라 말한 적도 있다.[5] 하지만 결국 오스트리아는 세르비아 점령지를 합병하며 티서의 조건을 무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