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0.95em" | 코소보 | 니시 | 라슈카 | 베오그라드 | 보이보디나 | |
<colbgcolor=#000000> 고대 | 일리리아인 | |||||
일리리아 켈트족 | ||||||
로마 제국 | 이아지게스 | |||||
동로마 제국 | 훈족 | |||||
슬라브 민족 유입 | 게피드 | |||||
아바르 칸국 | ||||||
남슬라브 | ||||||
세르비아 공국 블라스티미로 왕조 | 프랑크 왕국 | |||||
vs 불가리아 | 마자르 | |||||
세르비아 공국 블라스티미로 왕조 시메온 대제 | 헝가리 왕국 | |||||
동로마 | 동로마 제국 | |||||
세르비아 대공국 부카노비치 왕조 두클랴 | 보스니아 공국 | |||||
세르비아 대공국 네마니치 왕조 | 헝가리 왕국 | |||||
세르비아 제국 | ||||||
세르비아 왕국 네마니치 왕조 | 헝가리 왕국 | |||||
세르비아 제국 네마니치 왕조 | ||||||
세르비아 제국 멸망 분열과 통일 | ||||||
브란코비치 영역 | 세르비아 공국 라자레비치 왕조 1차 코소보 전투 | 헝가리 왕국 | ||||
세르비아 전제군주국 라자레비치 왕조 | 브란코비치 왕조 2차 코소보 전투 | 헝가리 왕국 | |||||
오스만 지배기 | 오스만 제국 | |||||
대 튀르크 전쟁 | 신성동맹 - 합스부르크 - 대투르크전쟁 | |||||
오스만 제국 | ||||||
오스만 제국 | 합스부르크 제국 | |||||
오스만 제국 | 합스부르크 제국 | |||||
자치권 쟁취 | 세르비아 대봉기 | |||||
오스만 제국 | 세르비아 공국 | 오스트리아 | ||||
보이보디나 | ||||||
독립 | 오스트리아 - 헝가리 제국 | |||||
세르비아 왕국 | ||||||
20세기~21세기 | 불가리아 왕국 | 오스트리아 - 헝가리 제국 | ||||
유고슬라비아 왕국 | ||||||
나치 독일 | 군정청 | 위원정부 | 구국정부 |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 코소바 공화국 | ||||||
유엔 코소보 임시행정부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공화국 | 코소보 | ||||||
코소보 | 세르비아 | }}}}}}}}} |
{{{#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976년 | 노리쿰 왕국 | |
로마 공화국 | |||
로마 제국 | |||
서로마 제국 | |||
동고트 왕국 | |||
랑고바르드 왕국 | |||
바이에른 공국 | 아바르 칸국 | ||
프랑크 왕국 | 헝가리 대공국 | ||
독일 왕국 | |||
신성 로마 제국 | |||
976년 ~ 1918년 | 오스트리아 변경백국 바벤베르크 왕조 | ||
오스트리아 공국 바벤베르크 왕조 | 프르셰미슬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
오스트리아 대공국 합스부르크 왕조 | |||
합스부르크 제국 | |||
독일 연방 오스트리아 제국 합스부르크 왕조 |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합스부르크 왕조 | |||
1918년 ~ | 독일계 오스트리아 공화국 | ||
제1공화국 | |||
오스트리아 연방국 | |||
나치 독일 | |||
연합군 군정 | |||
제2공화국 |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오스트리아 제국 | |||||||||
뵈미셴 왕관령 | 일리리엔 왕국 | 갈리치엔-로도메리엔 왕국 | 달마티엔 왕국 | |||||||
외스터라이히 대공국 | 잘츠부르크 공국 | 슈타이어마르크 공국 | 티롤 후백국 | |||||||
웅가른 왕국 | 크로아티엔 왕국 | 슬라보니엔 왕국 | 지벤뷔어겐 대공국 | |||||||
롬바르도-베네치엔 왕국 | 보이보디나 공국 |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행정 구역 | }}}}}}}}}}}} |
<colbgcolor=#fff><colcolor=#da251d> 세르비아-티미슈 공국[1] 보이보트샤프트 제르비엔 운트 테메저 바나트, Woiwodschaft Serbien und Temeser Banat(독일어) 보이보드스트보 스르비야 이 타미슈키 바나트, Vojvodstvo Srbija i Tamiški Banat(세르보크로아트어) 보이보디나 서르베아스커 쉬 바나툴 티미샨, Voivodina sârbească şi Banatul timişan(루마니아어) 세르브 버이더샤그 이시 테메시 반샤그, Szerb Vajdaság és Temesi Bánság(헝가리어) | ||
국기 | 국장 | |
1849년 ~ 1860년 | ||
위치 | 중동부 유럽 보이보디나 | |
수도 | 테메슈바르 | |
정치 체제 | 전제군주제 | |
국가 원수 | 공작 | |
공용어 | 독일어, 헝가리어, 루마니아어 | |
역사 | 1849년 공국으로 승격 1860년 자치권을 잃어버리고 공국 폐지 후 헝가리 왕국에 편입 | |
통화 | 굴덴 | |
성립 이전 | 헝가리 왕국 | |
해체 이후 | 헝가리 왕국 |
1. 개요
[clearfix]
1. 개요
19세기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을 거치면서 보이보디나 지역의 세르비아계 주민 사이에서도 민족주의 의식이 확산되었고, 근대 국가 성립 운동이 시작되었다. 1848년에는 반동적인 빈 체제에 항거하여 빈과 부다페스트에서 혁명이 일어나고 헝가리인이 오스트리아 제국에서 독립하여 공화국을 선포하면서 오스트리아-헝가리 혁명 전쟁이 발발했다.이에 보이보디나의 세르비아인은 도나우 강 남쪽 본국에서 건너온 의용병들의 지원에 힘입어, 헝가리 왕국 내 세르비아 다수 거주 지역에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공국[2]'의 성립을 선포했다. 보이보디나의 세르비아인은 합스부르크 왕가 황제에게 협력하여 헝가리인의 독립 운동 진압을 돕는 대신 헝가리 왕국에서 분리 독립하여, 합스부르크 황제를 수장으로 하는 오스트리아 제국 직할의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공국을 공인하라고 요구했다. 이것이 오늘날 보이보디나 자치주의 기원이 되었다.
1848년 보이보디나 공국의 영역[3]
1848년 헝가리 혁명은 이듬해인 1849년, 오스트리아 제국과 헝가리 내 소수민족들의 저항과 결정적으로 러시아 제국의 개입으로 인해 실패로 돌아갔고, 오스트리아 제국은 헝가리 왕국 통치권을 회복했다. 한편 보이보디나의 세르비아인들은 전쟁의 공로를 인정받았고, 보이보디나에 이웃한 루마니아계가 다수 거주하는 바나트 지역과 함께 헝가리 왕국으로부터 독립된 자치지역인 세르비아 보이보디나-바나트가 성립 되었다.
보이보디나-바나트 및 오스트리아 제국의 구성국들[4]
보이보디나-바나트의 성립은 당연히 에르데이 대공국과 함께 헝가리인을 견제하기 위한 오스트리아의 의도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하지만 보이보디나-바나트는 이후 헝가리 왕국 내 소수민족의 이용가치가 없어지면서 소멸할 운명이었다.
자치지역이 성립된 지 20년이 채 되지 않아, 오스트리아 제국은 이탈리아 통일 전쟁에서는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에게, 독일 통일 전쟁에서 프로이센 왕국에 패배하였다. 독일 연방과 이탈리아 반도에서 영향력을 완전히 상실한 오스트리아는 제국 내 경영에 중점을 두기로 결정하였다. 1867년에는 오스트리아 제국이 헝가리 왕국과 대타협을 맺음으로써 이중 제국이 성립되었다. 이는 헝가리 왕국내 소수민족들에게는 그야말로 재앙이나 다름 없었다. 이중제국의 성립으로 보이보디나-바나트와 에르데이 대공국은 헝가리 왕국에 합병되었다. 이에 따라, 보이보디나의 세르비아인들은 헝가리의 강력한 동화정책으로 종교와 문화, 정치참여에서 전방위적인 탄압을 당했다.
이후 반세기 가까이 세월이 지난 1914년, 보이보디나의 세르비아인에게는 다시 한번 헝가리로부터 독립의 기회가 찾아왔다. 전쟁 말, 종전을 1달여 앞둔 1918년 10월 경에 이미 전쟁 수행에 한계에 이른 이중 제국은 붕괴되어 가고 있었다. 크로아티아인, 보스니아인, 슬로베니아인은 이중제국으로부터의 독립과 세르비아로의 합류를 선언했고, 협상국의 도움을 받아 재건된 세르비아군은 헝가리 남부로 진격하여 보이보디나를 점령했다. 이후 트리아농 조약을 통해 최종적으로 보이보디나 일대는 유고슬라비아 왕국과 루마니아 왕국으로 갈라져 편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