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03:53:42

레오폴트 2세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벨기에의 국왕에 대한 내용은 레오폴드 2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b500, #ffcc20 20%, #ffcc20 80%, #f0b500); color: #1e1e1d;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1e1e1d> 카를 왕조
카를 1세 루트비히 1세 로타르 1세 루트비히 2세 카를 2세
<rowcolor=#1e1e1d> 카를 왕조 비도 왕조 카를 왕조 보조 왕조
카를 3세 비도 람베르트 아르눌프 루트비히 3세
운루오히 왕조 오토 왕조
베렝가르 오토 1세 오토 2세 오토 3세 하인리히 2세
잘리어 왕조 주플린부르크 왕조
콘라트 2세 하인리히 3세 하인리히 4세 하인리히 5세 로타르 2세
호엔슈타우펜 왕조 벨프 왕조
콘라트 3세 프리드리히 1세 하인리히 6세 필리프 오토 4세
호엔슈타우펜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나사우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프리드리히 2세 콘라트 4세 루돌프 1세 아돌프 알브레히트 1세
룩셈부르크 왕조 비텔스바흐 왕조 룩셈부르크 왕조 비텔스바흐 왕조
하인리히 7세 루트비히 4세 카를 4세 벤첼 루프레히트
룩셈부르크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지기스문트 알브레히트 2세 프리드리히 3세 막시밀리안 1세 카를 5세
합스부르크 왕조
페르디난트 1세 막시밀리안 2세 루돌프 2세 마티아스 페르디난트 2세
합스부르크 왕조 비텔스바흐 왕조
페르디난트 3세 레오폴트 1세 요제프 1세 카를 6세 카를 7세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프란츠 1세 요제프 2세 레오폴트 2세 프란츠 2세
}}}
밑줄: 대관식을 받은 적이 없는 로마왕이지만 사실상 황제였던 인물
프랑크 · 동프랑크 · 신성 로마 · 라인 동맹 · 독일 연방
북독일 연방 · 독일 제국 · 바이마르 · 나치 독일 · 동독 · 독일

프랑크 · 동프랑크 · 신성 로마
오스트리아 제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오스트리아

}}}}}} ||
레오폴트 2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합스부르크 왕조 후녀디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라디슬라우스 마티아스 코르비누스[대립왕] 막시밀리안 1세 카를 1세
합스부르크 왕조
프리드리히 5세
알브레히트 6세
지기스문트
<rowcolor=#fff> 합스부르크 왕조
페르디난트 1세 막시밀리안 2세 루돌프 5세 알브레히트 7세
페르디난트 2세 마티아스 막시밀리안 3세
카를 2세 페르디난트 3세
<rowcolor=#fff> 합스부르크 왕조
페르디난트 3세 페르디난트 4세 레오폴트 6세 요제프 1세
레오폴트 5세 페르디난트 카를 지기스문트 프란츠
<rowcolor=#fff> 합스부르크 왕조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카를 3세 마리아 테레지아 요제프 2세 레오폴트 7세
로트링겐 왕조
프란츠 1세
<rowcolor=#fff>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프란츠 2세 }}}
[대립왕]: 헝가리 국왕 마차시 1세가 오스트리아 대공국을 점령하고 오스트리아 대공위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245441 0%, #436f4d 20%, #436f4d 80%, #245441);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아르파드 왕조
이슈트반 1세 오르세올로 페테르 어버 샤무엘 오르세올로 페테르
언드라시 1세 벨러 1세 셜러몬 게저 1세
라슬로 1세 칼만 이슈트반 2세 벨러 2세
게저 2세 이슈트반 3세 라슬로 2세 이슈트반 4세
이슈트반 3세 벨러 3세 임레 라슬로 3세
언드라시 2세 벨러 4세 이슈트반 5세 라슬로 4세
아르파드 왕조 프르셰미슬 왕조 비텔스바흐 왕조 앙주 왕조
언드라시 3세 벤첼 오토 1세·벨러 5세 카로이 1세
앙주 왕조 룩셈부르크 왕조
러요시 1세 마리어 1세 카로이 2세 지그몬드
합스부르크 왕조 야기에우워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후녀디 왕조
얼베르트 울라슬로 1세 라슬로 5세 마차시 1세
야기에우워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울라슬로 2세 러요시 2세 페르디난드 1세 믹셔
합스부르크 왕조
루돌프 1세 마차시 2세 페르디난드 2세 페르디난드 3세
페르디난드 4세 리포트 1세 요제프 1세 카로이 3세
합스부르크 왕조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마리어 2세 요제프 2세 리포트 2세 페렌츠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페르디난드 5세 페렌츠 요제프 1세 카로이 4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20230%, #171796 30%, #171796 70%, #17179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르파드 왕조
콜로만 스체판 2세 벨라 2세 게이자 2세 스체판 3세
라디슬라브 2세 스체판 4세 스체판 3세 벨라 3세 에메리크
라디슬라브 3세 안드리야 2세 벨라 4세 스체판 5세 라디슬라브 4세
아르파드 왕조 프르셰미슬 왕조 비텔스바흐 왕조 카페앙주 왕조
안드리야 3세 벤체슬라브 오토 카를로 로베르트 루도비크 1세
카페앙주 왕조 룩셈부르크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야기에우워 왕조
마리야 1세 카를로 2세 지그문드 알베르트 블라디슬라브 1세
합스부르크 왕조 후녀디 왕조 야기에우워 왕조 서포여이 왕조
라디슬라브
포스므르트니
마티야 코르빈 블라디슬라브 2세 루도비크 2세 이반 자폴랴
합스부르크 왕조
페르디난드 1세 막시밀리얀 루돌프 마티야 2세 페르디난드 2세
페르디난드 3세 페르디난드 4세 레오폴드 1세 요시프 1세 카를로 3세
합스부르크 왕조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마리야 2세 요시프 2세 레오폴드 2세 프라뇨 1세 페르디난드 5세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프라뇨 요시프 1세 카를로 4세
<rowcolor=#fff> 크로아티아 공작 · 크로아트 국왕 · 크로아티아 국왕
크로아티아 독립국 국왕 · 크로아티아 대통령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7141a 0%, #d7141a 30%, #d7141a 70%, #d7141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르셰미슬 왕조
브르제티슬라프 2세 블라디슬라프 2세 오타카르 1세 바츨라프 1세 오타카르 2세
프르셰미슬 왕조 비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룩셈부르크 왕조
바츨라프 2세 바츨라프 3세 인드르지흐 코루탄스키 루돌프 1세 얀 루쳄부르스키
룩셈부르크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카렐 1세 바츨라프 4세 지크문트 알브레흐트 라디슬라프
비왕조 야기에우워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이르지 스 포데브라트 마티아시 코르빈 블라디슬라프 루드비크 페르디난트 1세
합스부르크 왕조 비텔스바흐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막스밀리안 루돌프 2세 마티아시 2세 베드르지흐 페르디난트 2세
합스부르크 왕조
페르디난트 2세 페르디난트 3세 페르디난트 4세 레오폴트 1세 요세프 1세
합스부르크 왕조 비텔스바흐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카렐 2세 카렐 알베르트 마리에 테레지에 요세프 2세 레오폴트 2세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프란티셰크 1세 페르디난트 5세 프란티셰크 요세프 1세 카렐 3세
모라비아 · 보헤미아 공국 · 보헤미아 왕국 ·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 체코슬로바키아 · 체코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e1301, #d91801 20%, #d91801 80%, #ae1301);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메디치 왕조
코시모 1세 프란체스코 1세 페르디난도 1세
코시모 2세 페르디난도 2세 코시모 3세
<rowcolor=#fff> 메디치 왕조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잔 가스토네 프란체스코 2세 레오폴도 1세
<rowcolor=#fff>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부르봉파르마 왕조
페르디난도 3세 루도비코 1세 루도비코 2세
<rowcolor=#fff>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페르디난도 3세 레오폴도 2세 페르디난도 4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3DB7CC 0%, #4FC9DE 20%, #4FC9DE 80%, #3DB7CC);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비스콘티 가문 스포르차 가문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 잔 마리아 비스콘티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
스포르차 가문 발루아 가문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 잔 갈레아초 스포르차 루도비코 스포르차 루이 12세
스포르차 가문 발루아 가문 스포르차 가문 압스부르고 가문
마시밀리아노 스포르차 프랑수아 1세 프란체스코 2세 스포르차 필리포 1세
압스부르고 가문 보르본 가문
필리포 2세 필리포 3세 카를로 1세 필리포 4세
합스부르크 가문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카를로 2세 마리아 테레사 주세페 1세 레오폴도 1세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프란체스코 3세
}}}}}}}}}}}}

파일:부르고뉴 십자가(옛 깃발형-기본형).svg
부르고뉴 공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보손 왕조
정의공 리샤르 라울 흑색공 위그 1세 질베르
<rowcolor=#fff> 로베르 왕조 카페 왕조
오토 앙리 1세 오토 빌헬름 현명공 로베르 1세
<rowcolor=#fff> 카페 왕조 카페-부르고뉴 왕조
앙리 2세 노인공 로베르 2세 위그 2세 적색공 외드 1세
<rowcolor=#fff> 카페-부르고뉴 왕조
위그 3세 외드 2세 위그 4세 외드 3세
<rowcolor=#fff> 카페-부르고뉴 왕조
위그 5세 로베르 3세 위그 6세 외드 4세
<rowcolor=#fff> 카페-부르고뉴 왕조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필리프 1세 호담공 필리프 2세 용맹공 장 선량공 필리프 3세
<rowcolor=#fff>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용담공 샤를 1세 부귀공 마리 1세 미남공 필리프 4세 샤를 2세
<rowcolor=#fff> 합스부르크 왕조
막시밀리앙
<rowcolor=#fff> 합스부르크 왕조
필리프 5세 이자벨 필리프 6세 바보공 샤를 3세
알베르
<rowcolor=#fff> 부르봉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루이 1세 루이 2세 샤를 4세 마리 2세
<rowcolor=#fff>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조제프 레오폴드 프랑수아 }}}}}}}}}

파일:전통적 룩셈부르크 문장.svg
룩셈부르크 공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룩셈부르크 왕조
바츨라프 1세 태만공 바츨라프 2세 욥스트 엘리자베트 1세
<rowcolor=#fff>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앙투안
<rowcolor=#fff> 룩셈부르크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엘리자베트 1세 엘리자베트 1세 엘리자베트 1세 라디슬라오
<rowcolor=#fff> 비텔스바흐 왕조
장 2세
<rowcolor=#fff> 합스부르크 왕조 포디에브래드 왕조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안나 엘리자베트 2세 조르주 선량공 필리프 1세
<rowcolor=#fff> 베틴 왕조 야기에우워 왕조
기욤 2세 카지미에시
<rowcolor=#fff>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용담공 샤를 2세 부귀공 마리 1세 미남공 필리프 2세 샤를 3세
<rowcolor=#fff> 합스부르크 왕조
막시밀리앙 1세
<rowcolor=#fff> 합스부르크 왕조
필리프 3세 이자벨 필리프 4세 바보공 샤를 4세
알베르
<rowcolor=#fff> 부르봉 왕조 비텔스바흐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필리프 5세 막시밀리앙 2세 샤를 5세 마리 2세
<rowcolor=#fff>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조제프 레오폴드 프랑수아 }}}
백작 · 공작 · 대공
}}}}}}

파일:브라반트 공국 문장.svg
브라반트 공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루뱅 왕조
앙리 1세 앙리 2세 앙리 3세 앙리 4세
루뱅 왕조
장 1세 장 2세 장 3세
룩셈부르크 왕조
벤세슬라스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앙투안 장 4세 필리프 1세 선량공 필리프 2세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용담공 샤를 1세 부귀공 마리 1세 미남공 필리프 3세 샤를 2세
합스부르크 왕조
막시밀리앙
합스부르크 왕조
필리프 4세 이자벨 필리프 5세 바보공 샤를 3세
알베르
부르봉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필리프 6세 샤를 4세 마리 2세 조제프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
레오폴드 프랑수아 레오폴드 2세 레오폴드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 벨기에 왕조
레오폴드 3세 레오폴드 3세 보두앵 필리프
<rowcolor=#ffcc00> 벨기에 왕조
엘리자베트 }}}
브라반트 공작 · 벨기에인의 왕
}}}}}}
신성 로마 제국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제3대 황제
레오폴트 2세
Leopold II
파일:Mengs,_Anton_Raphael_-_Pietro_Leopoldo_d'Asburgo_Lorena,_granduca_di_Toscana.jpg
<colbgcolor=#ffcc20><colcolor=black> 이름 페터 레오폴트 요제프 안톤 요아힘 피우스 고트하르트
(Peter Leopold Joseph Anton Joachim Pius Gotthard)
출생 1747년 5월 5일
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대공국
사망 1792년 3월 1일 (향년 44세)
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대공국
재위기간 신성 로마 황제, 로마왕
1790년 9월 30일 ~ 1792년 3월 1일
오스트리아 대공, 보헤미아헝가리, 크로아티아의 국왕
1790년 2월 20일 ~ 1792년 3월 1일
토스카나 대공
1765년 8월 18일 ~ 1790년 7월 22일
서명 파일:레오폴트 2세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cc20><colcolor=#000> 배우자 스페인의 마리아 루이사[1] (1764년 결혼)
자녀 마리아 테레지아, 프란츠 2세, 페르디난도 3세, 카를, 알렉산더 레오폴드, 요제프, 마리아 클레멘티나, 안톤 빅토어[2], 요한, 라이너 요제프, 루트비히, 루돌프[3]
아버지 프란츠 1세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
형제 마리아 엘리자베트, 마리아 안나, 마리아 카롤리나, 요제프 2세, 마리아 크리스티나, 마리아 엘리자베트, 카를 요제프, 마리아 아말리아, 마리아 카롤리나, 요한나 가브리엘라, 마리아 요제파, 마리아 카롤리나, 페르디난트, 마리아 안토니아, 막시밀리안 프란츠
종교 가톨릭 }}}}}}}}}
1. 개요2. 생애3. 가족
3.1. 조상3.2. 자녀
4. 여담

[clearfix]

1. 개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스트리아 대공, 보헤미아헝가리, 크로아티아의 왕, 토스카나 대공이다. 오스트리아 대공으로서는 레오폴트 7세[4], 보헤미아 왕으로서는 레오폴트 2세, 헝가리 왕으로서는 리포트 2세, 크로아티아 왕으로서는 레오폴드 2세, 토스카나 대공으로서는 피에트로 레오폴도 1세이다.

본명은 페터 레오폴트 요제프. 첫 번째 세례명은 대부인 러시아 제국 황제 표트르 3세가 지어주었으나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에서는 선호되지 않는 이름이어서 항상 '레오폴트'라 불렸다.

2. 생애

프란츠 1세마리아 테레지아의 3남으로 태어났지만 둘째형이 일찍 죽은 탓에 사실상의 차남으로 대우받았다.

1764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3세의 딸 마리아 루이사와 결혼했고, 1765년 아버지 프란츠 1세[5]가 죽고 형 요제프 2세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선출되자 아버지가 가지고 있던 토스카나 대공국을 물려받았다. 그는 아버지가 대리인만 보내고 한동안 방치된 토스카나 대공국을 발전시켰다. 하수도 정비 등의 공공사업을 수행했고 세제를 개선했으며 군대 양성 및 산업 부흥, 개인의 자유를 어느 정도 보장하였다. 1784년에는 피렌체우피치 미술관에 견줄만한 새 미술관을 지었고 미켈란젤로다비드상이 이 곳에 위치해 있다. 레오폴트는 메디치 가문이 남긴 구습을 철저하게 타파해야 한다는 생각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외적인 발전과는 별개로 주민들로부터는 외지인이라며 인기가 없었고 교회 개혁 과정에서 교황 세력과 충돌하기도 했다. 교회의 재산을 세속으로 가져오는 데 실패했으며 성직자들에 대한 법령 통제 역시 실패. 가톨릭 세력과 충돌하는 과정에서 1786년 11월 사형제도를 폐지하기도 했다. 레오폴트 2세는 토스카나를 통치하기 위해서 비밀경찰을 창설해 활용했다.

요제프 2세가 아들을 낳지 못 했기에 그는 사실상 유력한 후계자가 되었다. 이 때문인지 요제프 2세가 레오폴트에게 섭정을 맡아달라는 부탁을 한 적이 있는데, 그는 거절했다. 1790년, 이 사망하자 합스부르크 세습령을 물려받고 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서 열린 황제선거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선출되었다. 토스카나 대공국은 차남 페르디난도에게 물려주고 으로 떠났다.

그는 우선적으로 요제프 2세의 실정들을 만회했다. 형이 벌여놓은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을 1790년 9월에 8개월 기간의 정전협정을 체결하고 1791년에 시스토바 조약[6] 을 체결, 종식시켰고 프랑스 혁명을 이유로 프랑스와의 동맹을 파기했으며 남네덜란드인의 특권을 인정하여 네덜란드 지역을 진정시키고 각 지역의 의회 세력 또한 파트너로서 인정했다. 대내적으로는 온건책을 쓰며 혁명의 기운을 억제하는 데 주력했고, 동맹의 역전 이래 적대관계였던 영국과 다시 동맹관계를 맺고 프랑스의 상황 변화에 주목했다.

중간에 러시아 제국 황제 예카테리나 2세프로이센 왕국과 동맹을 맺어 프랑스를 침공해줄 것을 요청했으나 레오폴트 2세는 거부했다. 제3차 폴란드 분할로 남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영토를 합병하고 오스만 제국과 싸우려는 예카테리나 2세의 생각을 꿰뚫었기 때문이다. 그는 소박하고 성실한 성품을 가졌고 대체로 형인 요제프 2세보다 나은 인재였다고 평가된다.

재위 2년 만에 갑자기 사망하였다. 독살설이나 암살설이 돌았지만 입증된 건 없다. 합스부르크 제국은 장남 프란츠 2세가 물려받았다.

3. 가족

3.1. 조상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레오폴트 2세
(Kaiser Leopold II.)
<colbgcolor=#fff3e4,#331c00> 프란츠 1세
(Kaiser Franz I. Stephan)
<colbgcolor=#ffffe4,#323300> 로렌 공작 레오폴드
(Léopold, duc de Lorraine)
로렌 공작 샤를 5세
(Charles V, duc de Lorraine)
오스트리아의 엘레오노레
(Eleonore von Österreich)
오를레앙의 엘리자베트 샤를로트
(Élisabeth-Charlotte d'Orléans)
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1세
(Philippe, duc d'Orléans)
팔츠의 엘리자베트 샤를로테
(Elisabeth Charlotte, Prinzessin von der Pfalz)
마리아 테레지아
(Kaiserin Maria Theresia)
카를 6세
(Kaiser Karl VI.)
레오폴트 1세
(Kaiser Leopold I.)
노이부르크의 엘레오노레 막달레네
(Eleonore Magdalene von Pfalz-Neuburg)
브라운슈바이크의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
(Elisabeth Christine von Braunschweig-Wolfenbüttel)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 루트비히 루돌프
(Herzog Ludwig Rudolf von Braunschweig-Wolfenbüttel)
외팅겐외팅겐의 크리스티네 루이제
(Christine Luise von Oettingen-Oettingen)

3.2. 자녀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배우자 / 자녀
1녀 작센의 왕비 마리아 테레지아[7]
(Maria Theresia, Königin von Sachsen)
1767년 1월 14일 1827년 11월 7일 안톤
슬하 1남 3녀
1남 프란츠 2세
(Kaiser Franz II)
1768년 2월 12일 1835년 3월 2일 뷔르템베르크의 엘리자베트
슬하 1녀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마리아 테레사 공주
슬하 4남 8녀[8]
외스터라이히에스테의 마리아 루도비카
바이에른의 카롤리네 아우구스테 공주
2남 페르디난도 3세
(Ferdinando III, Granduca di Toscana)
1769년 5월 6일 1824년 6월 18일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루이사 공주[9]
슬하 2남 3녀[10]
작센의 마리아 페르디난다
2녀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안나 여대공
(Erzherzogin Maria Anna von Österreich)
1770년 4월 21일 1809년 10월 1일
3남 테셴 공작 카를 대공
(Erzherzog Carl, Herzog von Teschen)
1771년 9월 5일 1847년 4월 30일 나사우바일부르크의 헨리에타
슬하 4남 2녀
4남 오스트리아의 알렉산더 레오폴트 대공
(Erzherzog Alexander Leopold von Österreich)
1772년 8월 14일 1795년 7월 12일
5남 오스트리아의 알브레히트 요한 요제프 대공
(Erzherzog Albrecht Johann Joseph von Österreich)
1773년 9월 19일 1774년 7월 22일
6남 오스트리아의 막시밀리안 요한 요제프 대공
(Erzherzog Maximilian Johann Joseph von Österreich)
1774년 12월 23일 1778년 3월 10일
7남 오스트리아의 요제프 대공[11]
(Erzherzog Joseph von Österreich)
1776년 3월 9일 1847년 1월 13일 러시아의 알렉산드라 파블로브나 여대공
슬하 1녀
안할트 베른부르크-샤움부르크-호임의 헤르미네
슬하 1남 1녀
뷔르템베르크의 마리아 도로테아
슬하 2남 3녀[12]
3녀 칼라브리아 공작부인 마리아 클레멘티나
(Maria Klementine, Duchessa di Calabria)
1777년 4월 24일 1801년 11월 15일 프란체스코 1세
슬하 1남 1녀
8남 롬바르디아-베네치아의 부왕, 안톤 빅토어 대공[13]
(Erzherzog Anton Viktor von Österreich)
1779년 8월 31일 1835년 4월 2일
4녀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아말리아 여대공
(Erzherzogin Maria Amalia von Österreich)
1780년 10월 17일 1798년 12월 25일
9남 오스트리아의 요한 대공[14]
(Erzherzog Johann von Österreich)
1782년 1월 20일 1859년 5월 11일 안나 플로흘[귀천상혼]
슬하 1남
10남 롬바르디아-베네치아의 부왕, 라이너 요제프 대공[16]
(Erzherzog Rainer von Österreich)
1783년 9월 30일 1853년 1월 16일 사보이아의 엘리사베타[17]
슬하 5남 1녀[18]
11남 오스트리아의 루트비히 대공
(Erzherzog Ludwig von Österreich)
1784년 12월 13일 1864년 12월 21일
12남 루돌프 추기경 겸 올로모우츠 대교구장[19]
(Rudolph von Österreich, Kardinal und Erzbischof von Olmütz)
1788년 1월 8일 1831년 7월 24일

딸 두 명을 둔(그마저도 둘 다 요절) 형 요제프 2세와 달리 자녀를 12남 4녀나 두었다. 어머니인 마리아 테레지아와 자녀 수가 같다. 그 덕분에 어머니 때부터 끊긴 합스부르크 가문을 유지할 수 있었다. 자녀가 12남 4녀인데 요절한 5남, 6남을 제외해도 총 10명의 아들이 성인으로 자랐다. 현존하는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가의 부계 후손은 모두 레오폴트 2세의 후손들이다.[20]

그러나 이들 중에 후사를 남긴 자녀는 얼마 안 된다. 차녀 마리아 안나, 4남 알렉산더, 5남 알브레히트, 6남 막시밀리안, 8남 안톤, 4녀 마리아 아말리아, 11남 루트비히, 12남 루돌프는 미혼으로 사망했고, 장녀 마리아 테레사는 성인으로 성장한 자녀가 없었고, 9남 요한은 귀천상혼을 했다. 참고로 차녀 마리아 안나는 수녀가 되었고, 8남 안톤과 12남 루돌프 역시 성직자가 되었다. 귀천상혼하지 않은 자녀 중 후사를 남긴 사람은 장남 프란츠 2세, 차남 토스카나 대공 페르디난도 3세, 3남 카를, 7남 요제프, 3녀 마리아 클레멘티나, 10남 라이너로 총 6명이다. 귀천상혼한 9남 요한까지 포함하면 7명. 현재 직계 남계후손이 전해지는 아들은 장남 프란츠 2세, 차남 페르디난도 3세, 7남 요제프 3명이고, 3남 카를, 10남 라이너는 모계 후손이나 귀천상혼한 후손만 남아 있다.

4. 여담


[1]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3세의 차녀이며 마리아 루이사의 셋째 남동생 페르디난도는 레오폴트의 여동생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카롤리나 여대공와 결혼하면서 남매끼리 겹사돈을 맺었다.[2] 마지막 쾰른 선제후.[3] 일명 루돌프 대공.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후원자이자 제자로 유명하다. 베토벤의 피아노 트리오 7번은 이 자에게 헌정었는데 때문에 대공(Erzherzog)이라는 가명으로 더욱 유명하다. 1788년 ~ 1831년.[4] 오스트리아 공작 레오폴트 2세는 알브레히트 1세의 손자이다.[5] 차남 레오폴트의 결혼식을 축하하러 갔다가 인스브루크 궁전에서 뇌졸중으로 사망하였다.[6] 왈라키아 공국 서부 끝의 오르소바와 보스니아 및 크로아티아의 국경마을을 할양받는 대신 점령지인 벨그라드와 왈라키아 공국을 오스만 제국에게 반환했다.[7] 마리아 테레지아가 본인의 자녀들에게 장녀를 낳으면 자신의 이름을 따서 지으라고 명한 것에 따라, 레오폴트 2세의 장녀인 마리아 테레지아도 친조모의 이름을 그대로 물려받았다. 마리아 테레지아의 친사촌이나 고종사촌 중에서도 장녀인 경우 마리아 테레지아의 이름을 딴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고종사촌인 마리테레즈 샤를로트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마리아 테레사 공주, 친사촌인 마리아 테레지아 여대공(요제프 2세의 장녀) 등이 있다.[8] 프랑스의 황후 마리 루이즈, 오스트리아의 황제 페르디난트 1세, 브라질의 황후이자 포르투갈의 왕비 마리아 레오폴지나, 프란츠 카를 대공[9] 외삼촌 페르디난도 1세와 고모 마리아 카롤리나 여대공의 차녀이자 위에 나온 마리아 테레사의 동생으로 사촌간의 겹사돈이다.[10] 레오폴도 2세[11] 프리드리히 대공, 스페인의 왕비 마리아 크리스티나, 카를 슈테판 대공, 오이겐 대공의 외조부(4녀 엘리자베트 프란치스카의 자식들)다.[12] 벨기에의 왕비 마리 앙리에트[13] 1801~1803년 쾰른 선제후였다. 쾰른 선제후국프랑스 제1공화국에 합병된 후 튜튼 기사단장을 맡다가 빈 회의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이 신설되며 부왕이 되었다.[14]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의 외증조할아버지다. 안나 플로흘(Anna Plochl, 1804~1885)이라는 우체국장의 딸과 귀천상혼해서 둘 사이의 외아들 메란 백작 요한 슈테판은 백작 지위를 받았고 요한 슈테판의 외손자가 바로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요한과 안나의 이야기는 2009년 오스트리아에서 나온 '사랑하는 요한, 사랑하는 안나'(Geliebter Johann Geliebte Anna)라는 90분짜리 단편 드라마의 소재가 되었다.[귀천상혼] [16] 1818년부터 1848년까지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 부왕으로 재임했다.[17] 사르데냐-피에몬테 국왕 카를로 알베르토의 여동생.[18] 사르데냐의 왕비 아델라이데[19]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후원자이자 제자로 유명하다.[20] 과거에는 동생 페르디난트 대에서 갈라진 모데나 레조 공국의 에스테 분가도 있었지만 1875년에 대가 끊겼다.[21] 어린 시절 마리 앙투아네트가 멍청하다고 생각한 건 합스부르크 왕실에서 딱히 이상한 행동은 아니었다. 마리 앙투아네트는 프랑스 왕실과의 결혼이라는 중임이 주어지기 전에는 거의 방목하듯이 길러졌고, 그 때문에 교양이나 지식을 충분히 습득하지 못했으며 백치미가 상당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단기간의 스파르타식 교육으로 겨우 사람 만들어서 프랑스로 시집을 보냈으니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로서는 늘 불안할 수밖에 없었고, 결혼 전까지 마리 앙투아네트와 같이 지내며 직접 교육시켰는데도 안심할 수 없었는지 마리 앙투아네트를 프랑스로 떠나보내는 날에는 바닥에 쓰러지며 통곡했다. 요제프 2세도 막내여동생에게 여러번 편지를 보내고 아예 직접 프랑스로 찾아가기까지 하면서, 일촉즉발인 프랑스의 상황에 대해 단단히 경고할 정도로 철없이 행동하는 마리 앙투아네트를 걱정하면서도 답답해했다.[22] 참고로 저 바렌 사건 준비 당시엔 매제였던 루이 16세가 탈출자금을 빌려달라고 해도 거절할 정도로 시큰둥한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이 당시까지만 해도 일국의 왕이 자기 식솔들을 데리고 외국으로 튈 결심을 할 정도로 프랑스 내의 전제군주정의 상태가 위태롭다는 것을 잘 실감하지 못했던 모양. 당시 프랑스는 루이 13세부터 루이 14세 시기를 거치면서 강력한 왕권이 정립된지 거의 100년이 되었고, 전 유럽에서 가장 강한 왕권을 휘둘렀기에 진심으로 매부의 왕권이 저렇게 약해졌는지 몰랐을 수도 있다. 그러나 실상은 선왕인 루이 15세의 삽질 덕에 프랑스의 왕권은 조금씩 추락하고 있었고, 루이 16세는 개인적으로는 선량할지언정 외모와 성격부터가 권위라곤 찾아볼 수 없는(...) 국왕이었다. 이러한 악조건이 겹치면서 루이 16세와 마리 앙투아네트 일가의 상황은 레오폴트 2세의 생각보다 훨씬 심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