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7 02:01:13

마리아 2세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장.svg
포르투갈 국왕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e3061, #1e3061 20%, #1e3061 80%, #1e3061);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보르고냐 왕조
아폰수 1세 산슈 1세 아폰수 2세 산슈 2세
보르고냐 왕조
아폰수 3세 디니스 1세 아폰수 4세 페드루 1세
보르고냐 왕조 아비스 왕조
페르난두 1세 베아트리스 주앙 1세 두아르트 1세
아비스 왕조
아폰수 5세 주앙 2세 아폰수 5세 주앙 2세
아비스 왕조
마누엘 1세 주앙 3세 세바스티앙 1세 엔히크 1세
아비스 왕조 압스부르구 왕조
안토니우 필리프 1세 필리프 2세 필리프 3세
브라간사 왕조
주앙 4세 아폰수 6세 페드루 2세 주앙 5세
브라간사 왕조
주제 1세 마리아 1세 주앙 6세 페드루 4세
페드루 3세
브라간사 왕조
마리아 2세 미겔 1세 마리아 2세 페드루 5세
페르난두 2세
브라간사 왕조
루이스 1세 카를루스 1세 마누엘 2세
왕비 · 국서
제1백국 · 제2백국 · 포르투갈 공화국
}}}}}}}}}

마리아 2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008000 0%, #009b3a 20%, #009b3a 80%, #008000); color: #ffd7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페드루 1세 페드루 2세
추정상속인

마리아 다 글로리아
페드루 지 아우칸타라
추정상속인

마리아 다 글로리아
추정상속인

자누아리아
페드루 2세
아폰수
추정상속인

이자베우
페드루 아폰수
추정상속인

이자베우
황제 · 황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07년 포르투갈의 공영방송국(RTP)이 포르투갈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포르투갈인 100명'을 선정. 단, 중복 투표가 포함됨.
TOP 10
1위 2위 3위 4위 5위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 알바루 쿠냘 아리트리데스 드 수사 멘데스 아폰수 1세 루이스 드 카몽이스
6위 7위 8위 9위 10위
주앙 2세 인판트 동 엔히크 페르난두 페소아 세바스티앙 주제 드 카르발류 바스쿠 다 가마
11위~100위
11위12위13위14위15위
살게이우 마이아 마리우 소아르스 파도바의 안토니오 아말리아 호드리게스 에우제비우
16위17위18위19위20위
프란시스쿠 사 카르네이루 조르제 누누 핀투 다 코스타 누누 알바르스 페레이라 주앙 페레이라 드 알메이다 주제 무리뉴
21위22위23위24위25위
아고스티뉴 다 시우바 에사 드 케이로스 에가스 모니스 디니스 1세 페르난두 노브레
26위27위28위29위30위
주제 에르마누 사라이바 아니발 카바쿠 실바 움베르투 델가도 조제 아폰수 루이스 피구
31위32위33위34위35위
마르셀루 카에타누 페드루 누네스 안토니우 비에이라 플로르벨라 이스팡카 페르디난드 마젤란
36위37위38위39위40위
마리아 지 루르드 핀타실구 주앙 1세 소피아 드 멜로 브레이네르 안드레센 안토니아 페레이라 파더 아메리쿠
41위42위43위44위45위
안토니우 다마지우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 마누엘 1세 주제 사라마구 아라곤의 이사벨
46위47위48위49위50위
카타리나 에우페미아 카를루스 파레지스 주제 소크라트스 페드루 알바레스 카브랄 루이 드 카발로
51위52위53위54위55위
브리테스 지 알메이다 알베르투 주앙 자르딩 알마다 네그레이루스 바스쿠 곤살베스 알바루 시자 비에이라
56위57위58위59위60위
벨미로 데 아제비로 수사 마르틴스 마리아 두 카르모 세아브라 안토니우 안드라지 카를루스 1세
61위62위63위64위65위
마리자 비제우의 엘레노르 호자 모타 안토니우 테이셰이라 레벨루 아폰수 3세
66위67위68위69위70위
비토르 바이아 바르톨로메우 디아스 오텔루 사라이바 드 카르발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허만 호세
71위72위73위74위75위
마리아 2세 카를루스 로페스 아폰수 코스타 폰테스 페레이라 드 멜루 가구 코티뉴
76위77위78위79위80위
히카르두 아라우주 페레이라 마누엘 소브리뉴 시몽이스 마누에우 마리아 바르보자 드 보카주 헬리오 페스타나 조르주 삼파이우
81위82위83위84위85위
안토니우 샹팔리모 안토니우 로부 안투느스 질 비센트 마리아 헬레나 비에이라 다 실바 미겔 토르가
86위87위88위89위90위
나탈리아 코레이아 에드가 카르도주 페르낭 멘데스 핀투 루시아 수녀 알프레도 다 실바
91위92위93위94위95위
요한 21세 다미앙 드 고이스 주앙 4세 조아킹 아고스티뉴 아델라이드 카베치
96위97위98위99위100위
알메이다 가헤트 안토니우 젠틸 마르틴스 안토니우 바리아슈에스 파울라 레고 마리아 조앙 피레스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colbgcolor=#1e3061><colcolor=#fff> 포르투갈 왕국 브라간사 왕조 제9·11대 국왕
마리아 2세
Maria II
파일:Queen_Maria_II_by_John_Simpson.jpg
출생 1819년 4월 4일
포르투갈-브라질-알가르브 연합왕국 리우데자네이루 상크리스토방 궁전
사망 1853년 11월 15일 (향년 34세)
포르투갈 왕국 리스본
재위기간 포르투갈 여왕
1826년 5월 2일 ~ 1828년 6월 23일
포르투갈 여왕 (복위)
1834년 5월 26일 ~ 1853년 11월 15일
서명
파일:마리아 2세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e3061><colcolor=#fff> 가문 브라간사 가문
이름 마리아 다 글로리아 조아나 카를로타 레오폴디나 다 크루스 프란시스카 샤비에르 드 파울라 이지도라 미카엘라 가브리엘라 하파엘라 곤자가
(Maria da Glória Joana Carlota Leopoldina da Cruz Francisca Xavier de Paula Isidora Micaela Gabriela Rafaela Gonzaga)
아버지 페드루 1세 & 4세
어머니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레오폴디네
형제자매 자누아리아, 파울라, 프란시스카, 페드루 2세
배우자 오귀스트 드 보아르네 (1834년 결혼 / 1835년 사망)
페르난두 2세 (1836년 결혼)
자녀 페드루 5세, 루이스 1세, 주앙, 마리아 아나, 안토니아, 페르난두, 아우구스투 등
종교 로마 가톨릭 }}}}}}}}}
파일:Queen_Maria_II_of_Portugal_(daguerreotype)_(cropped).jpg
사진

1. 개요2. 생애
2.1. 유년기2.2. 1차 여왕 재위와 숙부와의 전쟁2.3. 여왕 복위2.4. 계속되는 정치 혼란2.5. 승하
3. 가족 관계
3.1. 조상3.2. 자녀
4. 여담

[clearfix]

1. 개요

포르투갈 왕국 브라간사 왕조의 제9·11대 여왕, 포르투갈 역사상 네 번째 여왕이다.[1]

두 차례 브라질 제국황태녀를 지내기도 했다.[2] 유럽에서 멀리 떨어진 남미 대륙에서 태어나 유럽의 군주가 된 유일한 인물이기도 하다.

2. 생애

2.1. 유년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ria_II_Portugal_1829.jpg
10살 때 그려진 초상화

1819년 11월 15일 포르투갈-브라질-알가르브 연합왕국의 수도 리우데자네이루의 상크리스토방 궁전에서 왕세자 페드루오스트리아 제국 황제 프란츠 1세의 딸 마리아 레오폴디네의 장녀로 출생했다. 형제로 자누아리아, 파울라, 프란시스카, 페드루가 있었다. 출생 직후 '베이라 여공(Princesa da Beira)'이라는 칭호를 수여받았으며, 1822년 9월 아버지가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하여 브라질 제국의 초대 황제 '페드루 1세'로 즉위한 뒤 브라질 황태녀로 지명되었다. 그러다 1825년 12월 5일 남동생 페드루가 태어난 뒤 황태자 직위가 그 쪽으로 넘어갔다.

마리아는 발랄하고 애교가 많으며, 부모를 사랑하고 주변인들을 다정하게 대하는 성품을 갖췄다. 그러나 어머니 레오폴디네는 정부 도미틸라 지 카스트로만 아끼고 자신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남편에게 시달리다 1826년 12월 11일 아이를 낳다가 사산 후 숨을 거두었다. 한편 1826년 3월 10일 포르투갈 국왕 주앙 6세가 사망하면서, 페드루 1세가 포르투갈 국왕 '페드루 4세'를 겸임했다. 그러나 브라질 정부는 포르투갈의 군주인 사람을 섬길 수는 없다며 반대했고, 포르투갈 역시 아버지를 배신하고 황제를 칭한 그를 군주로 섬기고 싶어하지 않았다.

2.2. 1차 여왕 재위와 숙부와의 전쟁

이에 페드루는 5월 2일 포르투갈 왕위에서 퇴위하고 마리아를 포르투갈 여왕으로 세웠다. 하지만 마리아 2세가 아직 어렸기 때문에, 페드루의 누이인 이자벨 마리아가 섭정을 맡았다. 그러나 이자벨 마리아의 섭정은 극도로 불안정했다. 자유주의자들과 절대군주제 옹호자들 간의 불화가 정부를 지배했고, 시의회 내에서도 심각한 분열이 일었으며, 리스본에서 군사 반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상황이 이처럼 좋지 않자, 페드루는 당시 오스트리아에 있던 미겔에게 포르투갈의 섭정을 제안하는 동시에 마리아 2세가 성년이 되면 결혼하라고 권유했다. 미겔은 형의 제안을 받아들이고 포르투갈 헌법을 지키겠다고 맹세한 뒤 포르투갈에 복귀했다.

페드루는 포르투갈의 통치를 동생 미겔에게 맡기는 한편, 마리아를 으로 보내 레오폴디네의 친정 식구들의 보살핌과 가르침을 받게 했다. 그러나 마리아와 수행원들이 지브롤터에 도착했을 때, 상황은 급격히 악화되었다. 미겔 왕자는 초기에는 자유주의자들과 협의하며 국정을 그럭저럭 이끌어가는 듯했다. 그러나 1828년 3월 13일 헌법에 명시된 대로 새로운 선거를 실시하지 않고 코르테스를 해산했다. 많은 귀족과 성직자, 몇몇 사회 인사들은 미겔에게 이참에 헌법을 페지하고 국왕으로 통치하라고 권유했다. 여기에 4월 25일 코임브라 대학 총회는 미겔에게 왕위를 차지할 것을 요청하는 선언문을 발표했다. 미겔은 형과 완전히 갈라서는 것을 주저했지만, 페드루와 미겔의 어머니이며 페드루와 사이가 매우 좋지 않았던 카를로타 호아키나 왕비가 포르투갈 왕이 되라고 적극적으로 권하자 마침내 마음을 굳게 먹고 1828년 7월 7일 정식으로 국왕을 칭했다. 포르투갈 내전의 시작이었다.

상황이 이처럼 악화되자, 마리아의 수행원들은 미겔이 왕을 칭하고 자유주의 헌법을 폐지하는 일련의 행위의 배후에 오스트리아가 있다고 보고, 이대로 마리아를 빈으로 데려갔다가는 신변의 안전이 위태로워질 거라 판단했다. 이에 마리아를 런던으로 데려간 뒤 영국 정부에 포르투갈의 정당한 여왕인 마리아를 복위시켜달라고 청원했지만, 영국 정부는 시큰둥한 반응만 보였다. 그녀는 한동안 런던에 머물면서 포르투갈에서 영국으로 망명한 자유주의자들과 교류하다가 아버지의 부름을 받고 브라질로 돌아갔다. 1829년 10월 리우데자네이루에 도착한 뒤 아버지가 세운 망명 정부의 수장이 되었다.

1831년 4월 7일,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발발한 반 황제 시위가 걷잡을 수 없을 지경으로 확대되고 군대마저 시위대의 편에 서자, 페드루 1세는 5살 된 아들 페드루에게 양위하고 마리아 등 다른 가족들과 함께 프랑스로 망명했다. 프랑스에 도착한 일행은 자유주의 성향을 가진 프랑스 국왕 루이필리프 1세의 환대를 받았고, 마리아는 루이필리프의 딸인 오를레앙의 클레망틴과 절친한 친구가 되었다. 이후 딸 마리아의 복위를 위해 지지자들을 모집한 페드루 1세는 미국 독립 전쟁에서 활약했고 프랑스 혁명 초기에 열성적으로 활동했던 라파예트 후작을 포섭하는 데 성공했다. 라파예트로부터 상당한 자금을 받은 그는 주앙 바프티스타 다 실바 레이탕 드 알메이다 개럿, 알렉상드르 헤르쿨라노 등 포르투갈 자유주의자들과 라파예트의 손자 아드리앙 쥘 드 라스테리 등 지지자들을 끌어모으고 외국 용병 및 지원병들을 규합했다.

1832년 1월 25일, 모든 준비가 완료된 페드루는 라파예트 후작과 200명의 지지자들에게 작별을 고한 뒤 딸 마리아 2세 앞에 무릎을 꿇고 말했다.
"아가씨, 당신의 권리를 지키고 당신의 왕관을 되찾아 줄 포르투갈 장군이 여기에 있습니다."

마리아 2세는 눈물을 흘리며 아버지를 꼭 껴안았다고 한다. 그 후 아버지가 포르투갈로 진격해 미겔 1세와 맞서 싸우는 동안, 마리아는 파리에서 여러 교사들의 가르침을 받았다. 1833년 7월 24일 페드루 1세가 영국의 지원에 힘입어 미겔 1세를 물리치고 포르투갈의 수도 리스본을 장악하자, 마리아는 영국 증기선 소호(Soho)를 타고 포르투갈로 향하여 9월 21일 리스본 항구에 입성했다.

2.3. 여왕 복위

이리하여 마리아는 포르투갈 여왕에 복위했고, 아버지 페드루가 섭정을 맡았다. 포르투갈 내전은 1834년 5월까지 지속되다가 1834년 5월 26일 미겔 1세와 그의 추종자들이 사면을 받는 대가로 포르투갈을 영구적으로 떠난다는 내용의 에보라몬테 협약이 체결되면서 종결되었다.

1834년 9월 18일, 포르투갈 의회는 성년이 된 마리아의 친정을 선포했고 그 날 첫번째 장관 회의가 그녀의 주재 하에 거행되었다. 그리고 9월 24일 페드루 1세가 결핵으로 사망하면서, 그녀는 명실상부한 포르투갈 군주가 되었다. 이후 아버지가 생전에 정한 대로 외젠 드 보아르네의 장남이자 로이히텐베르크 공작이며 페드루 1세의 두번째 아내 아멜리의 오빠인 오귀스트 드 보아르네와 결혼했다. 결혼식은 1835년 1월 28일 리스본에서 거행되었지만, 불과 2달 후인 3월 28일에 오귀스트가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오귀스트의 장례식이 거행된 지 2주 후, 의회는 여왕에게 조속히 재혼해서 후계자를 낳아달라고 요청했다. 그녀는 이에 대해 잇따라 사망한 아버지와 남편을 애도하면서 "같은 제안을 같은 날 두 번 듣는 것은 너무 괴로운 마음입니다!"라고 한탄했다. 하지만 측근들은 그녀가 상속인 없이 사망해버리면 내전으로 인해 폐허가 된 포르투갈의 운명을 가늠할 수 없다며 결단을 내려달라고 촉구했다. 결국 그녀는 재혼을 서두르기로 했다.

마리아는 자신을 잘 대해줬던 프랑스 왕실과 혼사를 논의했지만, 프랑스와 포르투갈 간의 결혼 동맹이 맺어지는 것을 우려한 영국의 반대로 실패했다. 여기에 마리아의 계모인 로이히텐베르크의 아멜리가 페드루 1세와의 사이에서 낳은 마리아 아멜리아가 포르투갈의 왕위 계승녀가 되어야 한다며 마리아의 재혼을 반대했다. 하지만 마리아는 결혼 협상을 꿋꿋이 이어간 끝에 1836년 4월 9일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의 19세 된 왕자 페르난두와 결혼했다. 두 사람은 곧 서로를 진심으로 사랑했고, 1837년 9월 16일 첫 아들 페드루가 태어나면서 왕위 계승 논란이 종식되었다.

마리아는 1836년에서 1853년까지 11번의 임신을 했으며, 그 중 7명은 유아기를 무사히 넘겼다. 그녀는 그들의 교육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으며 그들에게 적절한 행동을 요구했다. 한 번은 그녀가 어린 페드루와 함께 공원을 산책하고 있을 때, 어느 평민 아이가 왕자에게 다가와 껴안았다. 깜짝 놀란 왕자가 소년을 밀쳐내고 꾸짖자, 마리아는 왕자의 팔을 잡고 그 아이를 강제로 포옹하게 한 뒤, 아이에게 용서를 구했다. 마리아의 정적들 조차도 그녀의 다정한 성품만큼은 인정했다. 야당 신문 에스페트루(Espectro)는 1847년경에 그녀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
"여왕만큼 고결한 아내와 어머니는 없다. 그녀의 가정은 유럽의 모든 이에게 모범이 될 수 있다."

2.4. 계속되는 정치 혼란

그러나 마리아는 정치 방면에서 곤경에 처했다. 당시 포르투갈 헌법은 자유주의를 국가의 절대적인 이념으로 표방하면서도 의회에 대한 절대적인 거부권을 국왕에게 부여했다. 또한 의회는 영국의 제도를 본받아 상원과 하원으로 나뉘었는데, 국왕이 귀족들로 상원 의원을 임명하고 하원은 제한적인 선거를 통해 선출된 의원들이 차지했다. 그러나 이 헌법은 좌우 모두의 반대에 직면했다. 많은 포르투갈인들은 미겔 1세가 몰락한 후에도 절대왕정을 여전히 추종했으며, 자유주의자들로 둘러싸인 여왕을 탐탁지 않게 바라봤다. 한편 언론을 장악한 좌파 계열은 더 많은 자유를 보장해달라고 요구했다. 그들은 의회에 재직하는 모든 의원이 국민의 투표로 선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대중 주권을 인정하는 1822년의 헌법으로 돌아가야 하고 절대적인 거부권이 아닌 제한된 거부권만 군주에게 주어져야 한다고 외쳤다.

1836년 9월, 리스본의 반체제 자유주의자들이 리스본에서 9월 혁명을 단행했다. 리스본 수비대 상당수가 혁명에 가담하자, 페르난두는 아내에게 항구에 정박해 있는 영국 해군 함정으로 피신하라고 촉구했다. 하지만 마리아는 그랬다가는 저들이 군주제 폐지까지 거론할 수도 있다며 거부하고 시위대 대표와 접견한 뒤 1822년 헌법을 받아들이겠다고 서약했다. 이후 혁명 지도자 사 다 반데이라가 내각을 구성했지만, 마리아는 9월 혁명을 되돌리기 위해 벨기에 대사 실뱅 반 데 바이어를 통해 벨기에 국왕 레오폴드 1세와 연락했다. 레오폴드 1세는 그녀를 도와주는 대가로 포르투갈이 아프리카 식민지 중 하나를 벨기에에 양도하라고 요구했다. 여왕이 이를 받아들이자, 레오폴드 1세는 영국 정부에 벨기에군을 포르투갈로 수송하는 역할을 해달라고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한편, 마리아는 영국에도 도움을 요청했다. 영국 정부는 타구스 강에 영국 함대를 파견해 그녀를 보호해주겠다고 답했다. 이에 여왕의 측근들은 그녀를 벨렘 궁전으로 피신시킨 뒤 영국의 보호를 받으며 헌법을 되돌리는 방안을 고려했다. 하지만 이 계획의 주동자인 살다냐 공작 주앙 카를루스 그레고리오 도밍구스 비센트 프란시스쿠와 테르세이라 공작 안토니우 주제 세베림 드 노로냐 간의 의견이 엇갈렸다. 살다냐 공작은 1822년 헌법으로 돌아간 것에 불만을 품은 보수파가 장악한 지방에서 반란을 일으키도록 유도한 뒤, 반데이라 내각이 그쪽에 관심을 돌린 틈을 타 여왕을 빌렘으로 피신시키자고 주장했다. 반면 테르세이라 공작은 여왕을 가능한 한 빨리 빌렘으로 피신시키고 영국군의 지원을 받아야 한다고 반박했다.

그러는 사이, 왕실이 영국군의 지원을 받아 쿠데타를 일으키려 한다는 정보가 새면서 리스본 언론사에 대서특필되었다. 이를 접한 총리 사 다 반데이라와 내무장관 마누엘 다 실바 파소스는 여왕을 찾아가 사실 여부를 물었다. 마리아가 빌렘 궁전으로 행차하여 영국군의 보호를 받을 예정이라며 사실상 인정하자, 두 사람은 사직서를 제출했다. 마리아는 사직서를 수락하지도 거부하지도 않았고, 마누엘은 그녀가 할아버지 주앙 6세가 그랬던 것처럼 영국 선박에서 피난처를 찾으려 한다면 퇴위 신호로 간주될 거라고 경고했다. 이후 마리아는 남편 페르난두와 함께 벨렘 궁전으로 향해 오후 4시에 도착한 뒤 테르세이라 공이 동원한 충성스러운 국가 방위군의 호위를 받았다.

그 후 여왕은 모든 장관을 해임하고 호세 베르나르디노 드 포르투갈 이 카스트로를 총리로 삼아 새 내각을 구성한다고 선언했고, 기존 헌법을 복원한다는 내용의 법령에 서명했다. 이에 9월 혁명을 따르는 나머지 방위군이 집결해 벨렘으로 진격할 준비에 착수했다. 여기에 친위 쿠데타에 분노한 민중이 대거 모여들어 군대로부터 무기를 수령하고 민병대를 결성해 벨렘을 공격할 태세를 갖췄다. 급기야 여왕의 부름을 받고 내각에 참여하러 가던 아구스티뉴 주제 프레이레는 도중에 9월 혁명을 지지하는 방위군에 체포되어 총살당했다.

아구스티뉴가 총살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벨렘 궁전을 지키던 장병 일부가 겁에 질러 집으로 돌아가버렸고, 일부 포병 부대는 리스본 지지로 돌아섰다. 이에 여왕이 구원을 호소하자, 영국군 함대 지휘관 하워드 드 윌든은 500~700명의 병력을 벨렘과 알칸타라 사이의 지역에 상륙시켰다. 이 소식을 접한 리스본 시민들은 외국군의 개입에 격분해 민병대에 대거 가담하여 벨렘을 압박했고, 벨렘 수비대 역시 대부분 이탈해버렸다.

그제야 자신의 실수를 깨달은 여왕은 영국군에게 배로 돌아가달라고 요청하고 살다냐 공작에게 전령을 보내 리스본 정부와 협상해 줄 것을 부탁했다. 살다냐 공작은 즉시 리스본 정부와 협의한 끝에 마리아가 이틀 전에 해산한 내각을 재선임하는 대가로 왕권이 존중받을 거라는 합의를 이뤄냈다. 이후 11월 5일 오후 5시, 마리아와 페르난두는 방위군과 군중의 열광적인 환영을 받으며 리스본에 돌아갔다. 그 후 모든 방위군이 숙소로 돌아갔고, 리스본은 평온을 되찾았다. 1836년 11월 12일에 제헌 의회가 소집되었고, 11월 18일 쿠데타 시도에 연루된 이들을 전원 사면한다는 칙령이 발표되었다. 이리하여 혼란이 가라앉는 듯했지만, 이 일로 상호간의 불신이 고조되었다.

이후 수 개월간 헌법 개정이 논의되었지만 결론이 좀처럼 나오지 않자, 민중의 불만은 갈수록 커졌다. 그러던 1838년 3월 초 주제 루시우 트라바소스 발데스가 전쟁장관 직을 사임하자, 급진적인 클럽들과 방위군 병사들은 마리아가 기존 헌법을 부활시키기 위해 새 장관을 세울 것을 우려했다. 1838년 3월 4일, 리스본 총독이자 방위군 사령관인 프란시스쿠 소아르스 칼데이라는 군단 사령관들을 초청해 9월 혁명의 기치에 충실하지 않은 장관을 임명하지 말 것을 여왕에게 요청하는 청원서에 서명하라고 요구했다. 대다수 사령관들은 거부했지만, 히카르두 주제 호드리기스 프랑카가 이끄는 포병 대대는 동의했다. 다음날, 프랑카의 포병 대대는 여왕에게 충성을 다하겠지만 정부를 믿을 수 없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제헌 의회에 보냈다.

1838년 3월 7일, 마리아는 장군들을 사사로운 목적으로 소집한 책임을 물어 칼데이라를 해임하고 안토니우 베르나르두 다 코스타 카브랄을 새 총독에 선임했다. 이 소식을 접한 프랑카 포병 대대는 격분했다. 3월 9일 아침, 그들은 병기고를 점거하고 정부에 반기를 들었다. 이에 정부군이 출동해 병기고를 포위하여 무력 충돌이 곧 벌어지는 듯했다. 하지만 동족끼리 또다시 피를 보는 것은 원하지 않았던 프랑카는 정부군 지휘관 조르즈 드 아빌레스 수자르테 드 소자 타바레스와 병기고 건너편의 마르쿠스 필리프라는 이름의 커피 하우스에서 접견해 논의한 끝에 반란군은 오후 3시에 병기고를 떠나는 대가로 신변의 안전을 보장받는다는 내용의 '마르쿠스 필리프 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프랑카의 포병 대대는 병기고를 떠나 로시우 광장을 행진한 뒤 해산했다. 그러나 그날 저녁 프랑카가 해임되고 포병 대대도 폐지되자, 3월 10일 아침 격분한 장병들이 또다시 병기고 근처에 모여 프랑카의 복직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했다. 정부가 이에 대해 별다른 응답을 하지 않자, 그들은 3월 13일 왕궁을 향해 행진하다가 앞을 가로막은 정부군과 맞붙었다. 그 결과 수적으로 열세한 그들이 큰 피해를 입고 상 벤투 궁전 앞에 있는 예수회 수녀원으로 피신했다. 이후 토벌대에게 에워싸인 포병 대대원들은 신변의 안전을 보장받는 대가로 로시우 광장으로 행진하여 무기를 반납하는 것에 동의했다. 그러나 그들이 로시우 광장에 도착했을 때 갑작스러운 발포 소리가 들려왔고, 양자는 서로가 자신들에게 총을 쐈다고 여기고 총기를 난사했다. 그 결과 많은 방위병들이 부상당해 체포되었고, 나머지는 무기를 버리고 집으로 달아났다.

마리아와 포르투갈 정부는 이 사건에 깊은 충격을 받았다. 그들은 또다른 봉기가 일어날 것을 우려해 사건 주모자들을 사면해 사건을 덮기로 했다. 또한 제헌의회는 헌법 개정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해 마리아의 19번째 생일인 1838년 4월 4일에 기존 헌법 옹호자들과 급진주의자 모두가 받아들일 수 있는 헌법을 마련했다. 이에 따르면, 상원은 앞으로 국왕의 선임이 아닌 국민의 투표로 선출된 의원들로 구성되지만, 그 외에 많은 조항이 기존대로 유지되었다. 그녀는 이 헌법을 확고하게 옹호하면서, 앞으로 이를 바꿀 생각은 추호도 없다고 밝혔다.

1939년, 주제 루시우 트라바소스 발데스가 총리에 선임되었다. 이후 수년간 상대적인 정치적 평화가 이어졌고, 정부에 회유된 많은 자유주의자들은 반 가톨릭 성향을 포기했다. 또한 1840년 12월 26일 미국과 통상 및 항해에 관한 상호 조약이 체결되면서 포르투갈의 무역 수지가 개선될 기미를 보였다. 1841년 6월 9일, 방위군 개혁을 주도하다가 병사들의 반발을 사자 사임한 발데스의 뒤를 이어 조아킹 안토니우 드 아귀아르가 총리에 취임했다.

1842년 1월 27일, 안토니우 베르나르드 다 코스타 카브랄이 포르투에서 지지자들을 끌어모아 여전히 혼란스러운 포르투갈을 안정시키겠다는 명분을 내세워 쿠데타를 일으켰다. 리스본 정부는 이에 맞서 조아킹 안토니우 드 아귀아르 총리를 페드루 드 소자 이 홀스타인으로 교체했지만, 2월 8일 리스본 수비대가 쿠데타군에 귀순하면서 진압에 실패했다. 카브랄은 리스본에 입성한 뒤 총리에 선임된 후 3월 18일 새로운 행정법을 공포하여 중앙 및 지방 공공 행정을 통제했다. 이에 주제 루시우 트라바소스 발데스가 토레스 노바스에서 반란을 일으켜 카브랄 정권을 타도하려 했지만, 연이은 전투에서 패배한 끝에 1844년 마지막 보루인 왈메이다 시마저 공략되자 항복하고 추방형에 처해졌다.

마리아는 1843년 카브랄을 국가 평의원에 선임하고 1844년에 "왕국의 수호자" 칭호를 내렸으며, 1845년에 토마르 백작에 선임하는 등 굳게 신임했다. 그러나 그가 강력한 권력을 행사하면서 막대한 부를 거머쥐고 친족들이 여러 요직을 독차지하자, 많은 언론이 이에 대한 비난을 퍼부었다. 여기에 1844년 9월 28일 반포된 매장법은 세간의 분노를 불러일으켰다. 이에 따르면, 교회가 시신을 임의로 매장하는 것이 금지되었고 정부에 사망을 등록한 뒤 고인의 유골을 공개된 들판에 지어지고 위생 면허를 취득한 묘지에서 매장해야 했다. 이때 유족들은 고인의 사망을 증명할 때까지 장례를 미뤄야 하며, 정부의 승인을 받기 위해 수수료도 지불해야 했다.

당시 포르투갈 국민들은 반복되는 내전과 감자 역병 및 가뭄으로 인한 경제 위기에 시달리고 있었다. 그런 와중에 장례까지 규제당하자 극심한 반감을 품었다. 성직자들 역시 교회 매장을 금지하는 법이 반종교적이며 "악마와 프리메이슨의 인가를 받았다"고 주장하며 사람들을 선동했다. 그러던 1846년 3월 22일, 폰타칸다 교구의 주민들이 쿠스토디아 테레사라는 이름의 여인을 폰타칸다 교회 묘지에 매장했다. 3월 24일 당국 관료들이 유해를 교회 묘지에서 파내어 공동묘지로 조성할 땅에 이장하려 하자, 주로 여성으로 구성된 군중이 들고 일어나 낫과 파이크, 몽둥이를 휘두르고 돌을 내던지며 격렬하게 저항했다.

이에 정부는 군대를 동원해 사건의 주모자로 간주된 네 명의 여성을 체포했다. 3월 27일 이들의 공판이 진행되던 중 사람들이 수감자들을 구출하기 위해 감옥으로 행진해 도끼로 감옥문을 부수고 수감자들을 구출했다. 이들의 선두에는 붉은 옷을 눈에 띄게 차려입은 한 젊은 여자가 있었다. 이 여자의 이름은 마리아 안젤리나였지만, 당국의 수사를 피하기 위해 '마리아 드 폰테 아르카다'라는 가명을 썼다. 이 이야기가 퍼지면서 자신을 '마리아 드 폰테'라고 자칭하는 이들의 선동으로 봉기가 잇따랐다. 급기야 봉기가 포르투갈 북부 전역에 확산되자, 마리아는 어쩔수 없이 5월 20일에 카르발을 해임하고 페드루 드 소자 이 홀스타인의 내각을 재수립한 뒤 매장법을 폐지했다.

그러나 페드루 드 소자가 여왕의 정치 관여를 최소한으로 국한시키고 자유주의에 치우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자, 마리아는 그에게 불만을 품은 끝에 친위 쿠데타를 단행하기로 마음먹었다. 1846년 10월 6일 살다냐 공작 주앙 카를루스 그레고리오 도밍구스 비센트 프란시스쿠는 여왕의 지시를 받들어 공동 국왕 페르난두 2세와 그의 고문들과 결탁해 페드루 드 소자를 궁궐로 소환하여 즉각 해임시킨 뒤 자신이 의회 의장을 맡았다. 또한 일전에 실각했던 카르발이 총리에 복직하고 여왕의 의중에 따라 현재의 헌법을 준수하겠다고 선포했다.

이 소식이 전국에 알려지자, 포르투를 비롯한 포르투갈 북부에서 대규모 반란이 일어났다. 여왕으로부터 반란을 진압하라는 임무를 받은 테르세이라 공작 안토니우 주제 세베림 데 노로냐는 포르투로 갔다가 체포되었고, 자유주의 급진파로 구성된 임시 정부가 포르투에 세워졌다. 이후 리스본 정부와 포르투 정부간의 내전이 8개월간 이어지다가 스페인, 영국의 지원을 받은 리스본 정부가 승기를 잡았고, 1847년 6월 29일에 카브랄이 총리 직에서 물러나고, 포르투갈에 남으려는 반란군은 마리아에게 충성을 서약하고 무기를 반납한다면 사면받을 수 있고, 떠나려는 자들에게 여권을 제공한다는 내용의 그라미도 협약이 체결되면서 종식되었다.

그 후 포르투갈 정부는 살다냐 공작과 카브랄의 세력 다툼으로 점철되었다. 살다냐 공작은 새 총리에 선임된 뒤 의회를 확고히 장악하고 여왕의 수석 집사로 선임되는 등 위세를 떨쳤지만, 1849년 6월 19일 카브랄 파벌의 압력을 받은 여왕에 의해 총리 직에서 해임되었고 카브랄이 재차 총리에 선임되었다. 이에 분노한 살다냐 공작은 야당과 동맹을 맺고 카브랄을 향한 정치적 공세를 퍼부었다. 그러나 마리아는 카브랄의 편을 들었고, 1850년 2월 7일 살다냐 공작을 수석 집사에서 해임했다. 자존심에 상처를 입은 살다냐 공작은 무력으로 해결하기로 마음먹고, 추종자들을 끌어모아 쿠데타를 준비했다.

1851년 4월 7일, 살다냐 공작은 신트라에서 몇몇 참모들과 병사들을 이끌고 마프라로 향했다. 그는 그곳에 주둔한 제7 보병연대의 지원을 받으려 했지만, 군인 몇 명만이 그를 따랐고 리스본에 주둔한 부대 중 세투발에서 온 제1 카사도레스 연대에 소속된 소수의 대대만 합세했다. 군대가 제대로 호응해주지 않자, 그는 절망에 빠져 스페인 서북부의 갈리시아로 망명하려 했다. 하지만 그 사이에 카브랄의 정치에 반감을 품고 있던 진보당의 당수 폰테스 페레이라 드 멜루가 리스본에서 대대적인 민중 봉기를 일으켰다. 카브랄은 이에 압도되어 해외로 망명했고, 갈리시아로 갈 준비를 하고 있던 살다냐 공작은 이 소식을 듣자 곧바로 리스본으로 향해 5월 13일 민중의 갈채를 받으며 입성했다.

페르난두 2세는 그에게 육군 총사령관 직임을 맡겼고, 마리아 역시 "이 나라와 왕관의 미래를 아버지의 장군이자 친구에게 전적으로 맡긴다"라고 밝혔다. 그 후 살다냐 공작이 총리에 취임해 1856년 6월까지 국정을 이끌었지만, 실권은 폰테스 페레이라 드 멜루와 진보당에게 주어졌다. 진보당 정권은 17년간 포르투갈을 안정적으로 다스리면서 피폐해진 국가를 재건하고 경제 성장을 일궈냈기에, 포르투갈 역사학계는 이 시기를 "재생(Regeneração)"이라고 지칭한다.

2.5. 승하

이렇듯 정치적으로 무척 혼란스러웠기 때문에, 마리아는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했다. 다만 어린 아이들을 위한 보호소와 탁아소를 만들고 초등 교육을 개혁하는 등의 정책을 펼쳤기에 "교육자(a Educadora)"와 "좋은 어머니(a Boa Mãe)"라는 별칭을 얻었다. 한편, 그녀는 아이를 낳을 때마다 심한 난산으로 고생했다. 여왕이 18세일 때 낳은 셋째 아이는 32시간의 진통 끝에 사산되었고 의사들은 더 이상 자녀를 낳지 않는 것을 권했다. 그러나 많은 자식을 낳는 게 국가에 봉사하는 것이라고 믿었던 여왕은 이후로도 치세의 대부분을 임신 상태로 있었다. 계속된 임신과 출산으로 건강이 심각하게 상했고 다섯째 아이부터는 생명이 위험할 수도 있다는 경고를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왕은 자신이 죽는다면 그것 또한 하느님의 뜻이라 말했고 자녀 계획을 멈추지 않았다.

결국 여왕은 사산과 유산을 반복하다가 1853년 11월 15일 막내아들인 에우제니우를 낳을 때 13시간의 진통 끝에 겨우 출산했으나 곧 사망했고, 태어난 아기 역시 곧 죽었다. 사후 상 비센트 드 라 포다 성당에 안장되었고, 공동 국왕이었던 남편 페르난두 2세는 왕위에서 물러났다. 이후 장남 페드루 5세가 포르투갈의 새 국왕으로 등극했다.

3. 가족 관계

3.1. 조상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마리아 2세
(Maria II)
<colbgcolor=#fff3e4,#331c00> 페드루 1세
(Peter I)
<colbgcolor=#ffffe4,#323300> 주앙 6세
(John VI)
페드루 3세
(Peter III)
마리아 1세
(Maria I)
스페인의 카를로타 호아키나
(Carlota Joaquina of Spain)
카를로스 4세
(Charles IV)
파르마의 마리아 루이사 공녀
Princess Maria Luisa of Parma)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레오폴디네 여대공
(Archduchess Maria Leopoldine of Austria)
프란츠 2세
(Francis II)
레오폴트 2세
(Leopold II)
스페인의 마리아 루이사[3]
(Maria Luisa of Spain)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마리아 테레사 공주
(Princess Maria Theresa of Naples and Sicily)
페르디난도 1세
(Ferdinand I)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카롤리나 여대공
(Archduchess Maria Carolina of Austria)

3.2. 자녀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배우자 / 자녀
페르난두 2세
(Fernando II)
1남 페드루 5세
(Pedro V)
1837년 9월 16일 1861년 11월 11일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의 스테파니 공녀[4]
2남 루이스 1세
(Luís I)
1838년 10월 31일 1889년 10월 19일 사보이아의 마리아 피아
슬하 2남[5]
3남 베자 공작 주앙 왕자
(Infante João, Duke of Beja)
1842년 3월 16일 1861년 12월 27일
1녀 작센의 게오르크 왕자비 마리아 아나
(Maria Anna, Princess George of Saxony)
1843년 8월 21일 1884년 2월 5일 게오르크[6]
슬하 4남 2녀[7]
2녀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 공비 안토니아
(Antónia, Princess of Hohenzollern-Sigmaringen)
1845년 2월 17일 1913년 12월 27일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 공 레오폴트[8]
슬하 3남[9]
4남 페르난두 왕자
(Infante Fernando of Portugal)
1846년 7월 23일 1861년 11월 6일
5남 코임브라 공작 아우구스투 왕자
(Infante Augusto, Duke of Coimbra)
1847년 11월 4일 1889년 9월 26일

이외에도 1840년 10월 4일에 낳은 딸 마리아. 1849년 5월 7일에 낳은 아들 레오폴도, 1851년 2월 3일에 낳은 딸 마리아, 1853년 11월 15일에 낳은 아들 에우제니오는 사산되었고 마리아 2세도 에우제니오를 낳던 도중 함께 산고로 사망했다.

4. 여담



[1] 다만 이전의 여왕들 중 테레사베아트리스는 논란의 여지가 있기 때문에 마리아 2세는 사실상 마리아 1세에 이은 두 번째 여왕으로 취급된다.[2] 부황 페드루 1세의 황태녀였다가 남동생 페드루 2세가 태어나자 자리가 페드루 2세에게 넘어갔다. 남동생 페드루 2세가 황제로 즉위하자 다시 황태녀가 되었다가 상속법이 개정되어 자리가 여동생 자누아리아에게 넘어갔다.[3] 카를로스 3세의 3녀이다.[4] 아래에 나오는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 공 레오폴트의 여동생이다. 즉, 겹사돈.[5] 카를루스 1세[6] 남편이 즉위하기 전에 사망해서 왕비가 되진 못했다.[7]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3세 등. 셋째딸 마리아 요제파는 오스트리아의 오토 프란츠 대공과 결혼해 카를 1세를 낳았다.[8] 루마니아 국왕 카롤 1세의 형이다. 위에 나오는 스테파니 공녀의 오빠이기도 하다.[9] 페르디난드 1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