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3611a, #328925 20%, #328925 80%, #23611a);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 | |||
에른스트 1세 | 에른스트 2세 | 알프레트 | 카를 에두아르트 | |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 }}}}}}}}} |
<colbgcolor=#D1E6C5><colcolor=#000000>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카를 에두아르트 Carl Eduard, Herzog von Sachsen-Coburg und Gotha | ||
이름 | 영어 | 레오폴드 찰스 에드워드 조지 앨버트 (Leopold Charles Edward George Albert)[1] |
독일어 | 레오폴트 카를 에두아르트 게오르크 알베르트 (Leopold Karl Eduard Georg Albert) | |
출생 | 1884년 7월 19일 | |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잉글랜드 서리주 클레어몬트 하우스 | ||
사망 | 1954년 3월 6일 (향년 69세) | |
독일연방공화국 바이에른 자유주 코부르크 | ||
재위 | 작센코부르크고타의 공작 | |
1900년 7월 30일 ~ 1918년 11월 14일 | ||
배우자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빅토리아 아델하이트 공녀[2] (1905년 결혼) | |
자녀 | 요한 레오폴트, 지빌라, 후베르투스, 카롤리네 마틸데, 프리드리히 요시어스 | |
아버지 | 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왕자 | |
어머니 | 발데크피르몬트의 헬레네 공녀 | |
형제 | 누나 앨리스 |
[clearfix]
1. 개요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의 4대 공작이자 마지막 군주이다. 제1차 세계 대전 말기에 발생한 독일 11월 혁명에 의해 폐위된 후에 나치 적십자 총재를 역임했다. 현 스웨덴의 국왕 칼 16세 구스타프의 외할아버지이자 전 네덜란드 여왕 빌헬미나의 이종사촌이다.[3]2. 생애
2.1. 어린 시절
1884년 7월 19일에 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왕자와 발데크피르몬트의 헬레네 공녀의 1남 1녀 중 둘째이자 장남으로 태어났다. 태어날 때의 이름은 영어식인 찰스 에드워드(Charles Edward).[4] 아버지 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왕자는 빅토리아 여왕과 앨버트 공의 넷째 아들이었으나 찰스 에드워드가 태어나기 전에 이미 혈우병으로 사망한 상태였다. 즉, 찰스 에드워드는 유복자였다. 이로 인해 태어나자마자 아버지가 이미 사망한 관계로 올버니 공작 작위를 물려받았다. 태어났을 때 이미 첫째 큰아버지 에드워드 7세와 사촌 형 앨버트 왕자, 조지 5세 등을 비롯해 영국의 유력 왕위 계승자가 있었기에 찰스 에드워드는 어린 시절 시골에서 살았다. 왕족치고는 소박한 삶을 살았지만 어머니 헬레나, 누나 앨리스와 행복한 삶을 살았다. 할머니 빅토리아 여왕은 자녀들에게는 냉정하고 엄격한 어머니였으나, 손주들에게는 자상하고 온화했기 때문에 찰스 에드워드도 그런 할머니를 잘 따랐다.2.2.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의 후계자
둘째 큰아버지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겸 에든버러 공작 알프레드(1844년 ~ 1900년)의 1남 4녀 중 유일한 아들 알프레드(1874년 ~ 1899년)가 1899년 2월 6일에 자녀 없이 사망했다.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은 독일 제국의 소공국이었다. 독일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등 독일어권 국가들은 살리카법을 유지했기 때문에,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겸 에든버러 공작 알프레드의 딸 4명은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이 될 수 없었다. 거기다가 셋째 큰아버지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아서 왕자는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위를 이어받기를 거부했다.[5]그래서 조카인 찰스 에드워드가 후계자로 갑자기 발탁된 것이다. 그로 인해 본명이었던 찰스 에드워드를 독일어인 카를 에두아르트로 개명했다. 그러나 영국인으로서의 정체성과 독일인으로서의 정체성에 큰 혼란이 생겼다. 고종사촌이자 독일어권 국가들을 이끌던 독일 제국의 빌헬름 2세[6]는 영국, 미국 등의 영어권 국가들과 대립하는 노선으로 이끌었기 때문에 카를 에두아르트는 영국 왕실에서 영구 제명되었다.
2.3.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으로서의 재위
1900년 7월 30일,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겸 에든버러 공작 알프레드가 사망하자 카를 에두아르트가 즉위하였다. 카를 에두아르트는 당시 16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해서 호엔로에랑엔부르크의 에른스트(1863년 ~ 1950년)가 1900년부터 1905년까지 섭정하였다. 에른스트는 카를 에두아르트의 사촌 누나 알렉산드라의 남편이자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겸 에든버러 공작 알프레드의 사위였다. 카를 에두아르트는 어머니와 누나를 볼 수 없다는 사실에 절망했다. 1914년, 카를 에두아르트는 독일 제국의 편이 되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였다. 그러나 1918년, 독일 제국이 있던 동맹국은 패망하였고, 독일 제국은 급속도로 해체되었다. 카를 에두아르트는 다른 독일의 군주들과 마찬자기로 패전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결국 폐위되었다. 또한 1차 세계 대전에 따른 반독 감정으로 인해 제정된 1917년 작위박탈법으로 인해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올버니 공작 작위도 박탈당했다. 폐위된 이후 카를 에두아르트는 고향 집을 찾았다. 그러나 어머니는 1922년에 사망했고, 누나 앨리스는 애슬론 백작 알렉산더와 결혼했다. 애슬론 백작은 조지 5세의 처남이었다. 즉 사촌 형의 처남이 자신의 매형이 된 것.2.4. 나치 독일에 협력
독일 국방군 보병대장 에두아르트 |
카를 헤르만 프랑크와 에두아르트 |
이런 상황에서도 카를 에두아르트는 나치 독일을 지지하였다. 그러던 중 카를 에두아르트는 자신의 큰 딸 지빌라를 구스타프 5세의 손자이자, 스웨덴의 왕세손 구스타프 아돌프 왕자와 결혼시켰다.[10] 당시 스웨덴의 국왕이었던 구스타프 5세는 2차 세계대전에서 중립을 선언했지만, 나치 독일에 우호적이었기 때문에 나치 지지자의 딸인 지빌라를 손자며느리로 맞아들이는 걸 지지했다.
나치 독일 적십자사 총재 자격으로 1940년 5월에 경성부를 방문하기도 했다.#
2.5. 비참한 최후
1945년, 나치 독일이 패망함에 따라 카를 에두아르트는 다른 부역자들과 마찬가지로 재판정에 섰다. 국제 법원은 카를 에두아르트에게 막대한 벌금을 지급하게 했다. 누나 앨리스와 아내 빅토리아는 카를 에두아르트를 재판에 세우지 않기를 희망했으나 그들의 발언은 재판에서 무시되었다. 5천 마르크나 되는 벌금형 선고에다 고타 지역이 소련군정으로 편입되어 재산이 강제 몰수되었던 건 덤.[11] 때문에 거의 파산할 지경이 되어 이후 서독 코부르크에서 살았으며 1954년 3월 6일 사망했다.여담으로 1918년 당시 폐위된 독일 왕공들 가운데 두 번째로 오래 살았다.[12] 카를 에두아르트의 차남 후베르투스(1909년 ~ 1943년)는 1943년에 제2차 세계 대전 에서 전사하기까지 했다.
3. 가족 관계
자세한 것은 빅토리아 여왕/가족 관계 문서 참고.장남인 작센코부르크고타의 공세자 요한 레오폴트는 귀천상혼으로, 차남 후베르투스는 미혼으로 전사했기 때문에 당주 자리는 3남 프리드리히 요지아스가 물려받았다. [13] 프리드리히 요지아스의 장남 안드레아스(1943년~)가 작센코부르크고타의 현 당주이다.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가의 이후 계보는 후베르투스(1975~) → 필리프(2015~)로 이어질 예정이다.
참고로 빅토리아 여왕의 성인으로까지 성장한 친손자 5명 중[14] 조지 5세, 코넛의 공자 아서와 함께 아들을 낳은 사람이다. 이 중에서 현재까지 남계 후손이 남아있는 사람은 조지 5세와 카를 에두아르트 뿐이다.[15]
3.1. 조상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카를 에두아르트 (Karl Eduard, Duke of Saxe-Coburg and Gotha) | <colbgcolor=#fff3e4,#331c00> 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왕자 (Prince Leopold, Duke of Albany) | <colbgcolor=#ffffe4,#323300>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알베르트 공자 (Prince Albert of Saxe-Coburg and Gotha) | |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에른스트 1세 (Ernest I, Duke of Saxe-Coburg and Gotha) | |||
작센고타알텐부르크의 루이즈 공녀 (Princess Louise of Saxe-Gotha-Altenburg) | |||
빅토리아 여왕 (Victoria) | |||
켄트와 스트래선 공작 에드워드 왕자[16] (Prince Edward, Duke of Kent and Strathearn) | |||
작센코부르크잘펠트의 빅토리아 공녀 (Princess Victoria of Saxe-Coburg and Saalfeld) | |||
발데크피르몬트의 헬레네 공녀 (Princess Helen of Waldeck and Pyrmont) | |||
발데크피르몬트 공 게오르크 빅토어 (George Victor, Prince of Waldeck and Pyrmont) | |||
발데크피르몬트 공 게오르크 2세 (George II, Prince of Waldeck and Pyrmont) | |||
안할트베른부르크샤움부르크호임의 에마 공녀 (Princess Emma of Anhalt-Bernburg-Schaumburg-Hoym) | |||
나사우의 헬레네 공녀 (Princess Helena of Nassau) | |||
나사우 공작 빌헬름 (William, Duke of Nassau) | |||
뷔르템베르크의 파울리네 공주[17] (Princess Pauline of Württemberg) |
3.2. 자녀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1남 | 작센코부르크고타의 공세자 요한 레오폴트 (Johann Leopold, Hereditary Prince of Saxe-Coburg and Gotha) | 1906년 8월 2일 | 1972년 5월 4일 | 슬하 2남[18] 1녀 |
마리아 테레지아 라인들 | ||||
1녀 | 베스테르보텐 공작부인 지빌라 공주 (Princess Sibylla, Duchess of Västerbotten) | 1908년 1월 18일 | 1972년 11월 28일 | 베스테르보텐 공작 구스타프 아돌프 왕자[19] 슬하 1남 4녀[20] |
2남 | 후베르투스 공자[21] (Prince Hubertus) | 1909년 8월 24일 | 1943년 11월 26일 | |
2녀 | 카스텔뤼덴하우젠 백작부인 카롤리네 마틸데 공녀 (Princess Caroline Mathilde, Countess of Castell-Rüdenhausen) | 1912년 6월 22일 | 1983년 9월 5일 | 프리드리히 볼프강 오토 슬하 2남 1녀 |
막스 슈니링 슬하 2남 1녀 | ||||
| ||||
3남 | 작센코부르크고타의 공자 프리드리히 요지아스 (Friedrich Josias, Prince of Saxe-Coburg and Gotha) | 1918년 11월 29일 | 1998년 1월 23일 | 슬하 1남[23] |
슬하 1남[24] 2녀 | ||||
카트린 브렘 |
4. 둘러보기
[1] 유럽권에서 외국 왕족을 지칭할 때는 이름을 자국어로 번역하는 것이 일반적인데다, 원래 영국인이었던 탓도 있어서 영어권에서는 보통 영어식으로 찰스 에드워드라고 부른다.[2] 1885~1970, 글뤽스부르크 가문 출신으로 카를 에두아르트의 고종사촌형 빌헬름 2세의 황후 아우구스테 빅토리아의 조카(여동생의 딸)이자 크리스티안 9세의 조카인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의 딸이다.[3] 카를 에두아르트의 어머니 올버니 공작부인 헬레나와 빌헬미나의 어머니 에마 왕비가 자매다.[4] 풀네임은 레오폴드 찰스 에드워드 조지 앨버트(Leopold Charles Edward George Albert).[5] 코넛 공작 아서는 프로이센의 루이제 마르가레테 공주(프리드리히 3세의 5촌 조카)와 결혼하여 1남 2녀를 두었다. 마거릿(1882~1920), 아서(1883~1938), 패트리샤(1886~1974). 본인은 91세로 빅토리아 여왕과 앨버트 공의 자녀들 중 가장 장수했지만, 아들이 먼저 세상을 떠났다. 그래서 코넛 공작위는 손자이자 외아들 아서의 외아들(무녀독남)인 알라스테어(1914~1943)가 승계했으나, 그가 할아버지가 죽은 후 불과 1년 반도 안되어서 캐나다에서 갑자기 사망해서 단절되었다. 그래도 장녀인 마거릿이 스웨덴 왕실로 시집가 4남 1녀를 출산해서 그 혈통은 스웨덴, 덴마크, 그리고 옛 그리스 왕실에 이어지고 있다. 참고로 차녀 패트리샤는 영국 귀족인 램지 가문으로 시집 가서 외아들(무녀독남)을 하나 두었고, 그에게는 세 딸이 있다.[6] 첫째 고모 프린세스 로열 빅토리아의 장남.[7] 카를 에두아르트 외에도 많은 독일의 구 귀족들이 나치를 지지했다.[8] SA-Obergruppenführer (돌격대 상급집단지도자)[9] 슈츠슈타펠에서 따로 계급을 부여받지는 않았다.[10] 다만 카를 에두아르트가 직접 주선한 혼담은 아니고 구스타프 아돌프와 지빌라가 1931년에 친척인 레이디 메이(1906~1994. 카를 에두아르트의 누나 애슬론 백작부인 앨리스의 외동딸)의 결혼식에 참석했을 때, 결혼식 신부 들러리였던 구스타프 아돌프의 여동생 스웨덴의 잉리드 공주가 역시 신부 들러리를 맡은 지빌라 공녀에게 자신의 오빠를 소개해줘서 만나게 된 것이다. 어쨌든 딸이 외국 왕실과 혼맥을 맺을 절호의 기회를 잡아왔으니, 카를 에두아르트의 입장에서는 땡 잡은 심정이었을 것이다. 참고로 구스타프 아돌프와 지빌라는 빅토리아 여왕 기준으로 육촌이다. 구스타프 아돌프의 어머니인 코넛의 마거릿 공녀(빅토리아 여왕의 3남 아서의 딸)와 지빌라의 아버지 카를 에두아르트(빅토리아 여왕의 4남 레오폴드의 아들)가 친사촌 지간이기 때문.[11] 그래도 T4 작전 등에 적극적으로 나선 죄질에 비해 관대한 처분을 받았다고도 볼수 있는데, 위키백과에서는 건강 상태와 차기 스웨덴 왕위 계승자가 된 외손자(현 스웨덴 국왕 칼 16세 구스타프) 때문이라고 서술되었다.[12] 가장 오래 생존한 사람은 1955년 동독 치하에서 사망한 작센알텐부르크 공국의 에른스트 2세(작센알텐부르크).[13] 프리드리히 요지아스는 슈탄데스헤어 가문의 딸과 결혼했지만, 프리드리히의 후계자인 안드레아스와 그 아들은 그냥 평민과 결혼했다. 현대 유럽의 내로라하는 왕가들도(재위 중인 왕가나, 퇴위한 구 왕가 상관없이) 귀천상혼 배제 원칙을 유지하면 가문을 유지하기가 곤란할 지경이라, 귀천상혼 개념을 내다버리고 평민과 결혼하는 판국에서 귀천상혼 배제 원칙을 유지하는 게 오히려 더 신기하기는 하다.(...)[14] 클래런스 공작 앨버트 빅터 왕자(에드워드 7세의 장남), 조지 5세(에드워드 7세의 차남), 작센코부르크고타의 공세자 알프레드(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알프레드의 외아들), 코넛의 아서 공자(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아서의 외아들), 카를 에두아르트(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왕자의 외아들).[15] 코넛의 아서 공자는 외아들 알라스테어를 낳았지만 그가 미혼인 채로 요절하면서 후손이 끊겼다.[16] 조지 3세의 4남이다.[17] 프리드리히 1세의 손녀이다.[18] 귀천상혼으로 계승권 없음[19] 구스타프 6세 아돌프의 장남이다.[20] 칼 16세 구스타프 등[21] 미혼으로 2차대전 중 우크라이나 전선에서 전사했다. 참고로 게이였다고 한다. 또한 연년생 누나인 지빌라와 굉장히 친했기 때문에 후베르투스의 전사 소식이 전해지자, 당시 스웨덴의 왕세손비였던 지빌라가 그 충격으로 정신을 잃었을 정도였다. 지빌라의 아들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 이름에 들어가는 후베르투스가 바로 이 사람의 이름을 딴 것이라고 한다.[22] 프리드리히 요지아스와는 이종사촌 관계이다.[23] 현 당주 안드레아스(1943년생). 2남 1녀를 두었는데 그 중 장남 후베르투스(1975년생)만 1남 2녀를 두었을 뿐, 차남 알렉산더(1977년생)는 40이 넘었는데 독신이다.[24] 아드리안(1955~2011) 공자. 2남이 있지만 귀천상혼이어서인지, 당주 승인 없는 결혼이라서인지는 몰라도 영문위키에는 계승권이 없다고 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