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울리히 케슬러'''{{{#!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소설 은하영웅전설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울리히 케슬러(은하영웅전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울리히 케슬러(은하영웅전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울리히 케슬러(은하영웅전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소설 은하영웅전설의 등장인물: }}}[[울리히 케슬러(은하영웅전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울리히 케슬러(은하영웅전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울리히 케슬러(은하영웅전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bgcolor=#666><colcolor=#fff> 울리히 케슬러 Ulrich Kessler | ||
| ||
출생 | 1894년 11월 3일 | |
독일 제국 프로이센 왕국 단치히 | ||
사망 | 1983년 3월 27일 (향년 88세) | |
서독 바덴-뷔르템베르크 바드 우라흐 | ||
국적 |
| |
직업 | 군인 | |
최종 계급 | 공군 조종대장(General der fliger) | |
주요 서훈 | 기사십자 철십자장 독일 십자훈장 | |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
1. 개요
나치 독일 군인.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공군 장성으로 복무했다.해군 항공대에서 시작해 공군 장성까지 오른 특이한 경력을 지닌 것으로도 유명하고 공군 장성 시절에도 유능한 면모를 보였으나, 국내외에서는 잠수함 U-234과 연관된 일화로 더 유명한 인물이기도 하다.
2. 생애
2.1. 1차 세계 대전
울리히 케슬러는 1894년 당시 독일 제국령이었던 단치히에서 태어났다.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자 케슬러는 독일 제국 해군에 수병으로 입대해 프린츠 아달베르트급 장갑순양함 2번함 SMS 프리드리히 카를에서 무전병으로 복무했다. SMS 프리드리히 카를은 얼마 못 가 북해에서 기뢰에 접촉해 격침되었고, 케슬러는 무사히 살아남아 브레멘급 경순양함 SMS 뤼베크로 복무지를 옮겼다.
이후 케슬러는 1916년 해군 수상기 조종사 모집에 지원해 합격, 해군 장교로 임관해 교육을 이수하여 당해에 끝마쳤고, 그 이후로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 수상기 편대의 지휘관으로서 복무했다.
2.2. 전간기
전쟁이 끝나자 케슬러는 감군으로 인해 전역하여 자유군단의 일원으로 활동하다가, 1923년 국가방위군 해군 장교로 재복무를 시작했다. 처음엔 어뢰정 전단장을 맏다가 1925년부터 27년까지는 브레멘급 경순양함 SMS 함부르크에서 복무하며 세계일주를 겸한 순항훈련에 참가하기도 했었다.독일로 돌아온 케슬러는 바이마르 공화국 해군사관학교에서 해군 항공병과의 총책이 되었다. 1933년, 새로 창설되어 인재를 모으던 공군에서 육해군의 조종 자원들을 끌어모을 때 그에게도 전군 제의를 했고, 케슬러는 이를 수락하여 공군에 중령으로 합류, 세 계급 진급했다.
그는 30년대 내내 실무적으로 유능한 모습을 보였기에 헤르만 괴링 장군의 눈에 띄었고 괴링은 그를 주영독일대사관의 공군 국방무관으로 점찍어 놓는 동시에 그에게 영국에 가서 향후 영국과의 전쟁에 관한 대비책을 마련해오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케슬러는 이제 독일이 영국과 전쟁을 벌인다면 이길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이라 보았고, 이 과정에서 괴링과 마찰을 빚었다. 결국, 괴링은 케슬러 대신 다른 이를 영국 주재무관으로 보내버렸다.
2.3. 2차 세계 대전
한편 케슬러는 주재무관 대신 일선부대의 사령관이 되는데, 그는 1939년 폴란드 침공에서 제1폭격항공단(KG 1)의 지휘관으로서 활동했으며 이후 전쟁 내내 제1항공함대 지휘관, 제10항공군단 지휘관 등 여러 중요한 공군 요직을 맏는다. 계급도 공군 조종대장까지 이르게 된다.1944년, 케슬러는 다시금 주재무관으로 파견되기 위해 베를린으로 소환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이 벌어졌고, 지인을 통해 대략적으로 이 사건의 계획을 파악하고 있던 케슬러는 자신이 나중에라도 게슈타포에게 계획을 미리 알고도 신고하지 않은 점이 발각되어 잡혀갈 것을 두려워했다. 케슬러는 고민 끝에 친한 사이었던 재독 국방무관 코지마 히데오(小島秀雄)[1] 일본 해군 소장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코지마 제독은 괴링에게 현 일본 주재 독일 국방무관을 케슬러로 교체해줄 수 있는지 건의했다. 지구 반대편인 일본으로 간다면, 그가 나중에 발각되더라도 독일이 망할 때까지 최소한 게슈타포에게 송환될 시간은 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여하튼 이 제안은 받아들여졌고 케슬러는 일본 주재 독일 국방무관으로 내정되었다.
2.3.1. U-234
케슬러는 그렇게 1945년 10형 유보트 U-234를 타고 일본으로 향했다. 당시 상황상 일본으로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은 잠수함밖에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나중에 케슬러가 유명해지게 된 계기가 된 이 잠수함에는 우라늄, 망원렌즈, 기타 전략 물자, 제트전투기 등 독일이 일본에게 보낼 각종 무기와 물자들이 산재해 있었다.케슬러는 U-234의 유일한 장성급 장교로, 함장 요한 하인리히 페흘러 대위보다도 수 계급이 높았다. 페흘러 대위의 회고에 따르면, 케슬러는 수병부터 시작해 오랫동안 해군에 몸담았던지라 함장을 우대하는 해군의 문화에 익숙해서인지, 최선임자에도 불구하고 딱히 꼬장을 부리거나 하지 않고 지휘와 통제에도 잘 따랐으며, 다른 U보트 편승 인원들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침상을 지정받지 않고 적당히 구석진 곳에서 알아서 자며 제대로 씻고 세탁하지도 못하며 전속부관 등도 공간 부족으로 타지 못해 수발 드는 인원도 없는 생활을 별 불만없이 기꺼이 감수했다.
다만 다른 편승 인원인 군 판사 카이 니슐링(Kay Nieschling) 공군 법무 중령과는 종종 말다툼을 하곤 했는데, 두 사람의 성향이 정반대였기 때문이다. 함장의 회고에 의하면 니슐링 중령은 열성 나치였고, 반면 케슬러는 확고한 성향의 반나치주의자였다고 한다. 두 사람은 정말 시시건건 모든 사안마다 대립각을 세우곤 했다는데, 애초 좁아터진 나머지 전속부관 등도 태우지 못하는 잠수함에 별 쓸모도 없는(?) 법무관을 어거지로 태운 이유가 바로 이런 반나치적인 행동을 보이는 인원들을 제지하고 감시하는 것이었다.
U-234는 이후 독일이 항복했다는 소식을 들은 뒤 곧장 미국 연안으로 가서 항복했다. 항복을 받기 위해 다가온 미 해군 구축함 USS 서튼 함의 승조원들이 잠수함 운용에 필요한 소수의 승조원을 제외한 대부분의 인원들을 구축함에 구금하기 위해 나오도록 했는데, 케슬러 장군은 세수와 면도를 하지 않으면 나오지 않겠다고 우겨 약간의 시간을 받아낸 후, 아예 기사철십자장을 포함한 훈장들이 부착된 공군 정복과 가죽 코트, 장갑, 모노클을 완벽하게 착용하고 올라왔다. 이송 과정에서 옆에 있던 통신장 볼프강 히르쉬펠트 해군 무선 상사에게 "이 복장이 쟤들을 좀 약오르게 할 것 같아서" 입었다고 슬적 말했다고 한다. 또한, 심문 내내 본인 성격과는 사뭇 다르게 일부러 거만한 태도를 보이며 무시당하지 않기 위해 나름대로 노력을 했다고 한다. 이는 문서 최상단의 항복 당시를 찍은 모습 사진에서 볼 수 있는데, 미군 측에서 선전용으로 촬영하고 얼마 뒤 미 육군 공식 잡지에 실린 사진이다. 보면 정말 쫙 차려입고 항복했음을 알 수 있다.
2.4. 전후
케슬러는 2년간의 포로 생활을 마친 뒤, 1947년 5월 10일 포로수용소에서 풀려났다. 전후 고향 단치히가 폴란드령이 되면서 졸지에 실향민이 된 그는 서독으로 귀환해 바덴-뷔르템부르크주에 정착했고, 88세에 사망했다.3. 여담
- 생애 문단에서도 나오지만 반나치주의자였다.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에 대한 계획을 미리 전해들은 것도 이러한 그의 성향과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