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2 21:20:56

복합열차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중련
,
,
,
,
,

한국철도공사 여객열차의 복합열차 운용 모습
파일:1000005735.jpg 파일:KTX-이음복합.jpg
ITX-마음 KTX-이음

1. 개요2. 특징
2.1. 장점2.2. 단점
2.2.1. 기술적으로 극복이 가능한 단점
3. 사례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복합열차란 2개 이상의 열차를 하나로 묶어 운행하는 것을 말한다. 주로 동차형 열차에서 많이 사용되며 드물게 기관차 견인 복합열차도 있다.[1] 전동차는 1개 편성의 구동장치가 통합적으로 운용되므로 한 편성과 한 편성을 연결하는 복합열차가 일반적이다.

2. 특징

2.1. 장점

2.2. 단점

동차형이 이러는데 객차형으로 복합열차를 꾸리는 경우에는 더욱 심각하다. 반면 이 특성을 살려서 유럽 지역에서는 장거리 국제 야간열차를 객차형 복합열차로 운행하는 경우도 있다. 주요 역에 한밤중에 도착해 봤자 대부분 승객들은 열차 내에서 자고 있고 시내 교통은 운행하지 않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우회하거나 조차 시간을 넣어서 충분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2.2.1. 기술적으로 극복이 가능한 단점

3. 사례

3.1. 한국

KTX-산천 동대구역 연결 영상
KTX-산천 동대구역 분리 영상
ITX-마음 서울역 중련열차 출발 영상

한국에서는 새마을호통일호가 이 방식으로 운용된 적이 있다. KTX 개통 이후에는 경전선 KTX-산천 일부 열차가 동대구역에서 연결·분리하는 것으로 하여 이 방식대로 운용했다가 2011년 3월 21일부터 폐지하였다. 이후 한동안 복합열차의 운행이 없었다가 2012년 11월 1일 부로 호남선/전라선 KTX-산천의 복합열차로 부활했다. 2015년 4월 2일부터는 동해선/경전선, 동해선/경부선, 경부선/경전선 KTX-산천에서도 복합열차를 운행한다. 2023년 12월 29일에는 KTX-이음 중앙선/강릉선 복합열차가 운행에 들어갔다.

경유지와 목적지와 소요시간이 완전히 같고 열차번호만 다른[6] KTX-산천 2개 편성이 복합열차 운행을 하기도 한다. 산천 하나에 태우기는 승객이 너무 많아서이다. SRT 개통 시에는 같은 방식으로 경부고속선 평일 상하행 각각 5회, 주말 및 공휴일 상하행 각각 12회 운행하기도 하였다. 다만 SRT는 열차번호까지 같은데, 이럴 때는 복합열차가 아니라 중련이라 한다.[7]

현재 복합열차는 KTX-산천, KTX-청룡, SRT, KTX-이음, ITX-마음에서 운영 중이다.[8]

3.2. 일본

카나자와분코역에서의 케이큐 1000형 전동차 분리 영상[9]

일본에서는 多層建て列車[10]라고 한다. JR 동일본 특급/근교형 차량이나[11] JR 서일본 신쾌속, 나고야 철도, 킨테츠 특급처럼 사례가 널리고 널렸는데 수요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수요가 많은 구간에서 적은 구간으로 진입하면 복합열차 중 하나를 분리해서 하나만 수요가 적은 구간으로 진입하는 식이다. 극단적인 경우, 케이큐의 신1000형 열차 4+4+4 병결[12]이나 난카이특급형4+통근형4 병결운행도 있다. 수요가 많은 시간대에는 목적지가 같은 복합열차를 상시 운용해 한 열차에 수용할 수 있는 인원 수를 늘린다.

물론 위의 KTX처럼 분기 노선에서 복합열차를 운용하기도 하는데, 미니 신칸센츠바사/코마치 등급이 도호쿠 신칸센야마비코/하야부사 등급과 병결하고 다닌다. 선로용량 절감이 목적.

1960년대에 일본국유철도에서는 리쿠츄(陸中)라는 근성열차가 있었는데, 변태적인 운용을 보여주었다(...). 센다이역에서 아오모리행 쿠리코마, 사카리행 무로네와 합쳐진다. 그리고 이치노세키역에서 사카리행 무로네를 분리하는데, 이번에는 사카리발 아오모리행 사카리와 합쳐진다(...). 하나마키역에서 쿠리코마, 사카리를 분리한 다음 단독구간을 달리기 시작하는데 카마이시역, 미야코역을 경유해서 굴곡 노선을 보여준다. 그리고 모리오카역에서는 히로사키역행 미치노쿠와 합처져 오다테역에서 헤어진 후 아오모리발 아키타역행 무츠와 연결되어 아키타에서 운행 종료. 이렇게 센다이에서 아키타까지 가는 시간은 13시간 30분. 당시 최단시간이 4시간이었다.

이외에도 국철은 1968년 10월 다이어 개정에서 급행 이나와시로와 급행 이와키를 가지고 엄청난 변태짓을 벌였는데, 센다이에서 출발하는 급행 이나와시로 2호(상행)은 6량 편성으로 1호차는 아이즈타지마행, 2호차는 아이즈카와구치행, 나머지 4량은 키타카타행이었다. 거기에 미토행 급행 이와키 2호 2량 편성까지 더해져서 급행 치고는 긴 8량으로 센다이를 출발하는데, 후쿠시마에서 당역시발 미토행 급행 이와키 2호 3량편성이 더해져서 5중 병결 11량 편성으로 코리야마까지 운행한다. 이후 코리야마에서 반에츠토선으로 가는 이와키 5량을 떼고 반에츠사이선 입선, 아이즈와카마츠역에서 키타카타행 4량 편성과 1, 2호차가 분리되어 타다미선으로 진행하다 얼마 안 가 니시와카마츠역에서 1호차와 2호차가 분리되어 각자의 목적지까지 운행하는 메우 해괴한 형태로 운영했다. 아이즈와카마츠발 이나와시로 2호(하행)도 괴랄하기는 상행 못지 않아서 아이즈와카마츠에서 니가타발 아가노 1호, 코리야마에서 미토발 이와키 51호까지 붙여서 3중 복합열차를 구성하다 후쿠시마에서 이나와시로, 이와키를 떼고 아가노만 센다이까지 운행했다. 참고로 국철의 모든 급행형 기동차는 기본 2량부터 운용이 가능했기에 타 선구에서 보통열차로 쓰이는 키하 52계가 투입되었고, 센다이-후쿠시마 간은 보통, 후쿠시마부터는 급행으로 운영되었다. 이나와시로는 1982년 도호쿠 신칸센 개통과 함께 폐지.

JR 큐슈에서는 일본 최후의 3중 복합열차를 운영했다. 카모메, 하우스텐보스, 미도리를 복합열차로 운행했으나, 카모메가 단독 운행으로 전환되었다.

JR 홋카이도에서는 기동차전동차가 복합열차로 운행하는 기행을 현재까지도 벌이고 있다. 반대편 큐슈에서도 키하 183계 동차485계 전동차가 각각 네덜란드마을 특급, 아리아케로 협조운전했으나 네덜란드마을 특급이 하우스텐보스로 전환되며 사라졌다.

4. 관련 문서



[1] 대표적인 예시로 오스트리아Railjet독일ICE 2가 있다. 참고로 Railjet은 고속열차임에도 무동력 객차를 전기 기관차 1량이 견인하는 특이한 형태로 운행되며 ICE 2도 구조는 비슷하다. 기관차가 고정 편성에 포함되어 마음대로 떼고 붙일 수 없다는 게 Railjet과의 차이점이다.[2] 특히 ITX-마음에서 이러한 연결실패 사례가 자주 보이고 있다.[3] 원래는 앞 열차(ICE 682)가 함부르크행, 뒷 열차(ICE 632)가 브레멘행인데 이날은 두 열차의 순서가 반대로 되었던 것.[4] "삼천포로 빠지다"라는 말의 유래에 대한 설 중에 하나도 복합열차와 관련되어 있다. 복합열차로 운영하다가 개양역에서 진주와 삼천포로 분리해야 하는데 승객들이 깜빡하고 못 갈아타서 진주 갈 사람이 삼천포로 빠지거나 삼천포 갈 사람이 진주로 빠지는 일이 빈번했던 것.[5] 보통 KTX의 중간역 정차 시간은 1~2분이다.[6] 수송량 증대를 위해 추가한 열차는 9000번대 열번을 부여받는다.[7] KTX의 경우, 20량 편성 KTX-1이 별도로 있기 때문에 KTX-산천은 단편성으로 수요가 적은 시간에만 운행하고 복합열차를 많이 운행할 필요성이 없는 반면, SRT는 KTX-1처럼 대규모 수송이 가능한 차량이 없기 때문에 수요가 많은 시간에는 2개 편성을 중련으로 정규 운행할 수밖에 없다. 2024년 5월에 운행을 개시한 KTX-청룡도 주말에는 경부선 구간 수요가 많기 때문에 왕복 2회씩 중련으로 운행하고 있다.[8] ITX-새마을도 복합열차 운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아직 복합열차 사례는 나오고 있지 않다.[9] 1분부터[10] 많을 다, 층 층, 세울 건. 겹겹히 많이 쌓인 열차라는 말이다.[11] 대표적으로 나리타 익스프레스가 있다. 나리타 공항을 출발해 도쿄역에서 분리하여 오후나와 오미야 각 방향으로 갈라진다.[12] 심지어 4M 0T 구성의 차량만 3편성 붙여서 12M 0T로 운영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