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23:46:22

삼천포로 빠지다

1. 개요2. 유래 설3. 오늘날에도 삼천포로 빠질 수 있을까?4. 삼천포 사람들의 반응5. 관련 문서

1. 개요

"삼천포로 빠지다"는 '이야기가 다른 주제로 흘러가거나(논점일탈의 오류) / 어떤 일을 하다가 엉뚱하게 그르치게 되다'라는 뜻이다. "잘 나가다(가) 삼천포로 빠진다", "이야기가 삼천포로 빠진다(빠졌다)" 식으로 쓴다.

2. 유래 설

'삼천포'는 물론 지명 삼천포에서 유래했다. 그런데 왜 삼천포가 그런 대상이 됐는지에 대한 유래에는 다음과 같은 설이 있다. 어느 하나도 확실한 것은 없으며 민간어원이다.

일단 1960년대의 진주-삼천포 열차가 유래라는 이야기가 유명하지만 일제강점기 경남지역 신문에 이미 '잘 나가다 삼천포로 빠진다'는 말을 사용하지 말자는 기사가 실려 있다고 하니 그 말이 사실이라면 열차가 생기기 전부터 있었던 말일 것이다. '잘 나가다'는 배가 나아가다는 표현에 어울리고 삼천포는 포구로서 육로 이전에 뱃길이 활성화됐던 곳이라는 점을 보아 근대 이전 바닷길에서 유래된 말일 가능성이 좀 더 높다.#

이러나 저러나 모든 결론은 다른 곳으로 가려다 삼천포로 잘못 빠졌다는 것이고 결국 여러 유래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서 지금의 뜻으로 쓰이고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출처 심재방 저, 우리말 달인, 도서출판 선)

3. 오늘날에도 삼천포로 빠질 수 있을까?

삼천포의 기차역이 없어진 요즘도 삼천포로 빠질 수 있다. 보통 삼천포의 장거리 시외버스는 삼천포-사천-목적지, 목적지-사천-삼천포 순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외지에서 와서 사천읍에 갈 사람들이 조금만 졸아 버리면 삼천포로 빠질 수 있다. 사천시가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항공우주철도를 반영 요구 하면서 종착역 가칭을 삼천포역으로 하였다. 완공된다면 "(다른 어딘가로) 잘 가다가 삼천포로 빠질" 일이 생길 수 있다. (세부 계획)

4. 삼천포 사람들의 반응

당연히 좋아할 리 만무하다. 일단 삼천포를 '잘못된 방향'으로 간주하는 표현이다 보니 삼천포 사람을 놀리는 뉘앙스가 되기 쉬우며 삼천포 하면 전국 누구나 떠올리는 유명한 표현이다 보니 듣는 삼천포 사람은 이미 수많은 외지인의 삼천포 드립에 질려 있을 가능성이 높다. 말하는 사람으로서는 그냥 잘 알려진 표현이라서 쓴 것이고 삼천포를 비하하기 위해서 이 말을 쓰는 것은 아니니[2] 일반적인 지역드립과는 다소 양상이 다르기는 하지만 어쨌거나 해당 지역 주민의 반발이 종종 있어왔으니 조심하는 것이 좋다.

어린이 논술 및 시사잡지 위즈키즈에서도 초창기(2000~2001년)쯤에 자주 사용하는 표현이었으나 삼천포 일대에 사는 초등학생 독자가 위즈키즈에 하고싶은 말을 보내는 코너에 "잘 나가다 삼천포로 빠진다는 말을 안썼으면 좋겠다. 내가 사는 동네를 안좋게 표현하는것 같아 그 표현을 볼때마다 기분이 나쁘다."라는 내용으로 지적하는 글을 독자엽서로 보내자 위즈키즈 기자들이 "주위에서 자주 쓰는 표현이라 별 생각 없이 쓴 표현이 기분 나쁘게 만든 것에 정말 죄송하다. 다시는 그런 표현을 쓰지 않겠다."는 답장을 다다음호 잡지 해당코너에 실었고 그 뒤로는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실례로 2001년 드라마 내 마음의 보석상자, 저녁드라마 결혼의 법칙에서 이 표현이 나와 삼천포에 거주하는 시민들이 불만을 표하는가 하면# 2010년에 인기를 끈 SBS 드라마 시크릿 가든에서 "잘 나가다 삼천포로 빠진다" 라는 대사가 나왔는데 이후 사천시에서 항의해 제작진이 사과의 글을 올린 경우도 있었다.#

한편 지역 주민들이 종종 사용할 때도 있다. 2021년 방영된 다큐3일 삼천포 편을 보면 주민들이 스스로 이 표현을 사용한다. 다만 이건 지역 주민 스스로가 자조적인 뉘앙스를 담아 쓰는 것이지 타지 사람들이 써도 된다는 뜻이 아니다.[3]

5. 관련 문서



[1] 이 때는 동대구역(경부/경전/동해선), 익산역(호남/전라선), 서원주역(중앙/강릉선)에서 분리/결합한다.[2] 사실 삼천포라는 지명보다 이 표현이 더 유명해서, 삼천포가 지명인지도 몰랐다는 사람도 종종 보인다. 있는지도 몰랐던 동네를 비하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물론 인지도가 낮다는 것도 지역 주민으로서 썩 좋아할 얘기는 아니긴 하다.[3] 예를 들어 미국 흑인에 대한 대표적인 멸칭인 Nigger도 흑인들끼리 서로에 대한 친밀감의 의미로나 쓰는 거지 백인이나 아시아계가 '니거' 거렸다가는 큰일날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0
, 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