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3 18:50:54

케이큐 1000형 전동차

파일:prize_blueribbon.png 블루리본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58년 1959년 1960년 1961년 1962년
오다큐 3000형 전동차초대 151계 전동차 킨테츠 10100계 전동차 키하 81계 동차 메이테츠 7000계 전동차
1963년 1964년 1965년 1966년 1967년
킨테츠 20100계 전동차 오다큐 3100형 전동차 신칸센 0계 전동차 키하 8000계 동차 킨테츠 18200계 전동차
1968년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583계 전동차 EF66형 전기기관차 세이부 5000계 전동차 - 14계 객차
1973년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83계 전동차 케이세이 AE형 전동차초대 - 한큐 6300계 전동차 메이테츠 6000계 전동차
1978년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킨테츠 12400계 전동차 킨테츠 30000계 전동차 에노시마 전철 1000형 전동차 오다큐 7000형 전동차 하코네 등산철도 1000형 전동차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케이큐 2000형 전동차 14계 객차 메이테츠 8800계 전동차 이즈 급행 2100계 전동차 키하 83·84형 동차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오다큐 10000형 전동차 킨테츠 21000계 전동차 651계 전동차 도부 100계 전동차 오다큐 20000형 전동차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787계 전동차 - 난카이 50000계 전동차 883계 전동차 -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신칸센 500계 전동차 285계 전동차 E26계 객차 885계 전동차 E257계 전동차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킨테츠 21020계 전동차 5100형 전동차 M250계 전동차 오다큐 50000형 전동차 도야마 지방철도 0600형 전동차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신칸센 N700계 전동차 오다큐 60000형 전동차 E259계 전동차 케이세이 AE형 전동차2대 신칸센 E5계 전동차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도쿄메트로 1000계 전동차 킨테츠 50000계 전동차 신칸센 E7·W7계 전동차 한신 5700계 전동차 BEC819계 전동차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35계 객차 오다큐 70000형 전동차 세이부 001계 전동차 킨테츠 80000계 전동차 케이큐 1000형 전동차2대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HC 85계 동차 도부 N100계 전동차 - - -
}}}}}}}}} ||
파일:kq.pn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케이큐 1000형 전동차 (2대)
京急 1000形 電車 (2代)
Keikyu 1000 Series (2nd)
}}}
파일:_mg_6613001.jpg
최신 차량인 1700번대
차량 정보
열차 형식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대수 8량 1편성
6량 1편성
4량 1편성
도입 시기 2002년 ~ 생산 중
운행 시기 2002년 4월 15일 ~ 현재
제작사 가와사키 차량
도큐차량제조
종합차량제작소
소유기관 케이큐 전철
운영기관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전장 18,000㎜
전폭 2,830㎜
전고 4,050㎜
궤간 1,435㎜
급전 방식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신호 장비 1호형 ATS, C-ATS
제어 방식 지멘스 VVVF-GTO[1]
지멘스 VVVF-IGBT[2]
도시바 VVVF-IGBT
도시바 VVVF-IGBT[PMSM][4]
도요전기 VVVF-IGBT
도요전기 VVVF-Hybrid SiC
미쓰비시 VVVF-IGBT
미쓰비시 VVVF-Full SiC
구동 장치 TD 평행카르단 구동방식
제동 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최고속도 영업 120㎞/h
설계 130㎞/h
기동 가속도 3.5㎞/h/s
감속도 상용 4.0 ㎞/h/s
비상 4.5 ㎞/h/s }}}}}}}}}

1. 개요2. 분류
2.1. 1000번대, 1100번대2.2. 1800번대2.3. 1600번대, 1200번대2.4. 1890번대2.5. 1500번대, 1700번대
3. 여담4. 편성 정보
4.1. 8량 편성4.2. 6량 편성4.3. 4량 편성
5. 사건 사고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발차영상[5]
케이큐 전철에서 2002년부터 도입하기 시작하여 20년째 우려먹고 있는 통근형 전동차로, 일본 사람들이 케이큐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명실상부한 최고 주력 철도차량이다. 구 1000형이 퇴역한 현재로서는 케이큐 1000형이라 하면 이 열차를 말한다.

현행 1000형의 디자인은 1994년에 도입된 케이큐 600형 전동차를 기초로 하며, 2007년부터 도입되는 6차차부터 스테인리스로 제작되어 일부 디자인이 변경되었으며, 디자인이 본격적으로 변경되어 생산된 1890번대가 들어온 2020년 전까지 약 26년간 거의 동일한 디자인으로 생산되었다. 2100형이 썩 마음에 들었는지, 2100형의 통근형 버전이라는 컨셉으로 이 차량을 제작했다. 그래서 전체적인 디자인이나 기술적인 부분은 차이가 없다. 1-5차차까지는 알루미늄 차량, 6차차부터는 스테인리스 차량으로 불린다. 1-5차차와 6차차 이후, 1800번대 간에는 상당한 디자인적, 기술적 차이가 보인다.

2. 분류

2.1. 1000번대, 1100번대

파일:o1620108015371307006.jpg
2002년부터 2006년까지 도입된 1~5차차(알루미늄 차량)은 기존 케이큐 특유의 빨간 전차 디자인[6]이 적용된 도색으로 들어왔으며, 스펙 상 케이큐 2100형과 차이가 나지 않았다. 케이큐 2100형과 마찬가지로 지멘스 인버터가 적용되어 속칭 지멘스 옥타브를 들을 수 있는 차량이었다. 단 이는 2003년까지 도입분에만 한하며, 이후 도입된 차량부터는 지멘스제 IGBT가 적용되어 특별한 구석이 없다.

파일:Keikyu-Type1000-372.jpg
2007년부터 도입된 6~15차차(스테인리스 차량)는 스테인리스 차량의 특성상 도장에 한계가 있어서 기존 알루미늄 차량의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잃어버렸다는 동호인들의 혹평을 들었다. [7]혹자는 다른 스테인리스 차량과 마찬가지로 싸구려 느낌이 난다며 '하시룬데스(走ルンです)'[8]라 까기도 한다. 다만, 그래도 케이큐 특유의 미칠듯한 고성능은 그대로 이어지기 때문에 긴센(銀千, 은색 1000형)이라는 애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실제로 케이큐에서 제일 성능 좋은 차량라고 하면 이 은천을 많이 꼽으며, 은천 4량을 3병결한 4+4+4 12량 편성은 12M 0T 라는 말도 안 되는 스펙으로, 기동 가속도가 한신 제트카에 필적하는 4.0km/h/s 를 기록한다고 한다.

파일:京急新1000形イエローハッピートレイン.jpg
이 열차가 세이부 철도와 콜라보레이션 당시에 '행복의 노란 열차'로 운행했던 열차이다.[9]

2.2. 1800번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eikyu_1000_series_1800_808_20160306.jpg
2016년 3월 16차 도입분인 1800번대부터 열차 도색이 바뀌었다. 스테인리스로 넘어오면서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잃어버렸다는 비판을 수용한 것인지 스테인리스에 1~5차분 도장과 비슷하게 보이도록 스티커를 붙였다. 다만 전두부 중앙에 관통문이 적용되었으며, 덕분에 이번엔 기존차량에선 멀쩡했던 전두부가 까인다(...) 그리고 열차 전두부의 후미등이 기존의 신 1000형처럼 전구가 아닌 LED로 바뀌었다.

시범적으로 2편성 8량만 도입했는데, 이 둘을 병결해 4+4량으로 다니는 일이 많다고 한다. 구 1000형 이후로 케이큐에선 처음으로 연결막을 사용해 관통로를 활용하는 차량이기도 하다.[10] 일단은 8량 편성이라고 억지를 부려서(...) 액세스 특급으로 아사쿠사선을 넘어 저 멀리 나리타 공항까지 가기도 했고, 케이세이 본선에 직통하기도 했으나 애초에 예비차 취급에, 보통은 4량 보통 운용 또는 12량 병결 운용을 목적으로 도입된 열차라서 잠시 운행한 후에는 직통운전은 하지 않고 있다.

2016년 9월 30일에 1800번대 신차가 도입됐다. 도입된 편성은 1809F로 한 편성이다. 여전히 관통문이 달려있다. 케이큐의 계획대로라면 아직 5편성 정도 도입이 예정되어 있다. 이후 도입된 5편성은 아래 1890번대에서 후술.

2.3. 1600번대, 1200번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4%BA%AC%E6%80%A51000%E5%BD%A21600%E7%95%AA%E5%8F%B0.jpg
사진은 1600번대 1607편성

2016년 내에 도입되는 새로운 신제차는, 1800번대에서 관통문을 없앤 마이너 체인지 버전으로 등장할 예정이면서 동시에 외형은 기존 차량과 동일하게 하고, 도장은 1800번대처럼 1~5차분 도장과 비슷하도록 스티커를 붙여서 나온다고 한다.[11] 6량 편성 2대와 8량 편성 2대가 도입이 될 예정이며, 6량 편성은 2016년 11월에 도입 예정이고, 8량 편성은 2017년 2월에 도입 예정이다. 차 단부에는 알루미늄차와 같이 크로스 시트를 다시 설치한다고 하며, 전면부 상단의 전조등과 실내 조명 등은 에너지 절약 대책을 추진하기 위해 LED로 바꾼다고 한다.

2016년 10월 11일에 마이너 체인지 모델이 도입된다는 소식이 케이큐 공식 사이트에 올라왔고, 동년 10월 28일에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초도제작분 1601편성[12]가 갑종회송되었다.갑종회송 영상

위에 서술한 대로 좌석 단부에 크로스시트 설치, 차 외부에 스피커 설치, 전조등 LED화 등 편의사양이 추가되었다. 위에서 서술한 것 처럼 1800번대에 있던 관통문이 없어졌다. 참고로 단부 크로스시트에서는 무려 콘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아니나 다를까, 2016년 11월 17일 운행 첫날부터 멀티탭 사용을 시도한 용자가 나타났다.

2016년 12월 23일에 8량편성으로는 2년만에 도입된 1177F가 갑종회송되었고 2017년 2월초부터 영업운전에 들어갔다. 주요 사양은 기존 1600번대에 기초하나 8량 편성이며, 추진제어장치가 미쓰비시제 풀 SiC-VVVF로 바뀌었다는점 정도다.[13] 그리고 케이큐 2000형 전동차중 2031F가 1177F의 영업운전 시기와 비슷한 때에 운용이탈하였다.

2017년 2월 21일에 1185편성이 시운전에 들어간 것이 목격되었다.

2017년 11월말에 신 1000형 도입계획을 밝혔다.

그에 따라 사양변경이 조금 있는데 주요 변동사항은 기존 래핑 도색에서 더 진화한 전면도장과[14] 알루미늄 차량에서 쓰였던 전면부의 폰트로 변경 되는 것이라고 한다.[15]그리고 네이밍 센스의 케이큐 답게 2018년 창사 120주년을 맞는 의미에서 1200번대로 시작한다고 한다. 또한 1600번대에서도 1613F부터 사양이 변경되면서 도입된다.

2018년 1월 초에 J-TREC에서 제작된 1201편성이 먼저 시운전을 시작하였다. 근데, 도색이 다 안된 채[16]시운전을 하고 있었다. 그 후에 가와사키 공장에서 제작된 1613편성이 갑종회송되었고 1201편성이 시운전을 한 지 좀 지나서 시운전을 시작하였다.[17]참고로 1613편성의 인버터는 1001편성, 1177편성 등 처럼 미쓰비시제 풀 SiC-VVVF가 아닌 기존의 1600번대에 쓰인 도요전기제 IGBT를 사용한다. 아무래도 앞으로 도입될 신차의 8량편성은 미쓰비시제 풀 SiC-VVVF를 장착하고 6량편성은 도요전기제 IGBT를 장착할 것 같다.

2018년 1월 말에 1613편성의 본격적인 영업운전이 시작하였다. 참고로 내부의 LCD 안내기가 살짝 바뀌었다. 기존에는 두 화면의 노선이 따로 표시하게 되어있었는데, 1613편성의 LCD 안내기는 두 화면의 노선이 하나로 이어지게 표시되어 있다. 또한 1201편성의 도색이 대부분 하얀색으로 도색되어 있다가 최근에 1613편성처럼 측면이 전부 다 도색이 완료된 상태로 시운전 하고 있는 중이다.

2018년 1월 28일에 가와사키공장에서 1619편성이 갑종회송되었다. 사양은 1613편성과 동일하다.

2018년 2월 2일부터 시운전이 완료된 1201편성의 본격적인 영업 운전을 시작하였다. 1177편성, 1185편성 처럼 미쓰비시제 VVVF-SiC를 사용하며 그 외의 사양들은 동일하다.

2018년 2월 19일에 1209편성이 1201편성처럼 도색이 다 안된 상태, 즉, 대부분 도색이 하얀색인 상태로 시운전을 시작하였다.

직통운행하는 타사의 신형 차량들인 도쿄도 교통국 5500형 전동차케이세이 3100형 전동차가 원형 손잡이를 버리고 삼각형 손잡이를 장착하는 반면, 케이큐의 신형 전동차들은 여전히 원형 손잡이를 고수 중이다.[18]

2.4. 1890번대

파일:Keikyu_Type_1000-1891F_Wing.jpg
20차 도입분으로, J-TREC에서 제작하여 2020년에 4량 2편성이 도입되었다. 2020년에 입찰 공고가 올라옴에 따라 2편성이 추가 제작될 예정으로 되어 있었고, 제작사는 J-TREC에서 제작 예정이며, 2100형에는 없던 화장실과 롱시트 - 크로스시트 전환 좌석[19]이 장착 됨으로써 기존의 통근형 전동차와는 다른 모습을 갖추게 된다. 표기도 기존 18XX에서 189X-Y로 바뀔 예정이다. 케이큐의 최고 등급인 WING호 및 각종 이벤트 등에 투입될 예정이다.

2021년 3월 4일, J-TREC에서 시제 편성인 1891편성이 출고 되었다. sustina를 기반으로 빗물받이가 돌출되지 않게 되고 용접자국을 최대한 줄였다. 또한 브레이크 완해음이 JR과 동일한 것으로 변경되었다. 행선지 표시 LED 또한 기존 대비 커졌으며,[20] 일본어, 영어, 중국어, 한국어 4개국어를 지원한다. 소자의 경우 도요전기제이며, 기존 IGBT에서 SiC로 변경 되었다. 2021년 5월 부터 정식 운행을 시작하였다. 또한 1890번대 한정으로 '하늘'이라는 뜻의 르시엘(Le Ciel)이라는 애칭이 붙었는데, 과거 케이큐에서 운행했던 좌석지정제 열차인 '바다'라는 뜻의 라메르(La Mer)호를 계승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20차차인 1890번대가 2022년 블루리본상을 수상하였다. 당시 후보 차량은 역대 최저인 5종류에 불과했다.[21]

이 1890번대는 1800번대를 베이스로 했지만, 기존 차량에 비해서 디자인이 파격적으로 변한것이 특징이다.[22] 1890번대 차량에는 애칭을 공모하여 2021년 12월 24일에 프랑스어로 '하늘'을 의미하는 'Le Ciel'(르 시엘)으로 명명되었다.

2.5. 1500번대, 1700번대

파일:_mg_6613001.jpg
2023년부터 도입되는 케이큐 1500형 전동차의 6량, 8량 편성 대체분 전동차로, 1890번대를 기초로 한 페이스리프트 차량이다. 차번도 1500형의 것을 이어받았으나 1500형과는 달리 600형 전동차 처럼 5XX-Y 표기로 변경되었다. 1500번대는 가와사키 차량에서, 1700번대는 종합차량제작소에서 제조되었다.

1500번대는 도요전기제 SiC를, 1700번대는 미쓰비시제 SiC를 사용한다. 또한 1700번대의 경우 조성 역시 기존 1200번대의 6M 2T에서 1000번대와 동일하게 4M 4T로 변경되었다.

2024년 4월 4일부터, 1701편성이 아사쿠사선케이세이 전철에 직통 운전한다.관련 영상, 케이세이 구간에서 촬영된 신 1701호

3. 여담

여담으로 지멘스 옥타브라고 불리는 전동차가 이 케이큐 신 1000형 열차에 존재했었다. 과거엔 케이큐 2100형 전동차E501계 전동차에도 지멘스제 인버터가 달려있었지만 노후화 문제와 부품이 단종되어 수급이 거의 불가한 상태라 각각 케이큐 2100형 전동차는 도요전기제 IGBT로, JR 동일본 E501계 전동차는 도시바제 IGBT로 교체되었다.[23] 동일하게 지멘스 옥타브가 달려있던 케이큐 2100형 전동차과 달리 이 전동차는 아사쿠사선을 타고 케이세이 나리타 공항선을 거쳐 나리타 공항역까지 가기 때문에 한때는 나리타나 하네다에서 운 좋게 이 차로 운행되는 에어포트 쾌특을 잡으면 도쿄로 들어가고 나가는 내내 옥타브를 들으며 갈 수 있던 시절이 있었다. 케이큐 2100형 전동차보다는 도입시기가 2002~2004년으로 늦어 비교적 최신인 신1000형은 노후화의 문제로부턴 조금 자유로운가 싶었지만, 2010년에 1405편성의 소자가 갱신되었다. 그리고 한동안 뜸하다가 2016년 3월에 1401편성의 소자가 갱신되었다.[24]

2017년 2월 10일, 케이큐 신1000형의 첫 열차인 1001F가 운용 15년이 되어감에 따라 리뉴얼 공사를 하기위해 케이큐 구리하마 파인텍 사업소로 입고되었다. 슬슬 기존 지멘스제 GTO를 장착하고 있는 신1000형의 소자개조에 시동이 걸린듯 하다.

여담으로 1405F소자를 갱신하고 남은 부품을 예비용 보존하다가 어느날 2100형의 2148호차의 인버터에 문제가 생겼다. 2100형 전동차는 유료라이너로 이용될때가 있는만큼 하나하나가 중요한데 그 열차의 메인 부품이 맛이 갔던 것. 케이큐는 이때 2148호에 1405F의 인버터 한 쪽을 이식했다.[25] 대신 사운드가 우스꽝스러웠는데 2100형에 달린 지멘스제 GTO와 신 1000형에 달린 지멘스제 GTO는 구동음이 약간 달랐기 때문이다.[26]그래서 한동안은 어색하게 달리다 2148호차에 있던 인버터가 수리완료되자 정상적으로 환원되었다.

2017년 5월 28일 케이큐 차량기지 공개 행사에서 도색이 지워지고 헤드라이트가 LED로 장착되는 등 각종 리뉴얼과 중검수를 받고 있는 1001편성이 발견되었다. 동시에 한편에서는 PMSM 제어 장치가 있는것이 발견되었다.#결국 미쓰비시제 SiC 인버터로 교체되었다.

2017년 8월 중 공장내에서 개조가 완료된 1001편성이 굴러다니고 있는게 목격되었다.

2017년 9월부터 본선 시운전을 시작했다.
바뀐점은 실내를 본 형식의 16차차와 동일한 수준의 내장재로 교체, 추진제어장치를 기존 지멘스제에서 미쓰비시제 탄화규소 인버터로 교체[27], 정지형 인버터도 신형으로 교체하였다. 그리고 측면 유리창구조가 조금 변경되었으며 측면 행선기가 롤지에서 풀컬러 LED로 교체되었다. 보통 공항급행으로 많이 운행하니 잡을 사람은 참고하자.

2017년 11월 말부터 신 1000형의 헤드라이트, 측면 행선기를 LED로 교체하는 등 다시 리뉴얼과 중검수를 하기 시작하였다. 2017년 11월 말에는 1401편성, 2018년 1월 초에는 1017편성이 리뉴얼과 중검수를 받았다. 다만, 1001편성 처럼 내장재, 유리창구조, 인버터 등은 교체하지 않고 헤드라이트와 측면 행선기, 그리고 실내의 조명만 교체되었다.

2018년 2월 초에 1405F도 리뉴얼과 중검수를 받았다. 이로써 도시바제 IGBT를 사용하는 1401편성, 1405편성 두 편성은 리뉴얼과 중검수를 마치게 되고 두 편성이 서로 병결운행하는 경우가 늘어나게 되었다.

2018년 8월경 1409편성의 소자 교체가 완료되었다. 시운전 영상

2019년 4월 현재 1413편성, 1009편성이 각각 도시바, 도요전기제 IGBT로 교체되었으며 심지어 지멘스제 IGBT를 사용하던 1417편성 1421편성 마저도 도요전기제 IGBT로 교체했다. 그러다 한동안 교체가 안될 것 같았던 지멘스제 IGBT 차량이 또 다시 갱신 작업에 들어가고 있다. 2020년 2월 3일 확인 결과, 1425편성이 갱신 공사가 완료된 것이 확인되었다.

2019년 7월에는 1025편성이, 2019년 8월에는 1017편성이 소자 갱신에 들어가면서 지멘스제 GTO 소자는 교체되었다. 그래도 1025편성은 1017편성보다 차량 리뉴얼 시기가 조금 더 늦어서인지 외부 창문이 교체되지 않은 점 및 전두부의 케이큥 스티커가 붙지 않았다. 하지만 현재는 1017편성이 모든 리뉴얼 갱신을 마치고 운행을 다시 시작한지 얼마 안된지라 완전히 리뉴얼 할 시기도 조만간 다가올 듯 하다(...)라고 할 줄 알았지만 현재도 잘 운행하고 있고, 완전한 리뉴얼을 한다고 해봐야 1033편성의 소자 갱신에 들어간 이후부터 가능한 일이 될 것 같다.

현재 지멘스 옥타브 인버터를 사용하는 차량은 2003년산 알루미늄 제작분인 1033편성 단 1편성만 존재한다. 이 차량도 2020년 5월 중순까지 도요전기제 IGBT로 갱신 예정이었으나[28] 2021년 현재도 GTO 소자로 잘 다니고 있다.

이렇게 올해 까지는 잘 다닐것만 같았던 도레미 인버터 차량이 결국 6월 중순에 게이큐에서 라스트런 공고가 올라옴에 따라 이번 7월 10부로 마지막 운행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1033편성의 전세열차 운용 계획으로 인해 1차례 더 연기되어 2021년 7월 20일 최종적으로 라스트런이 진행 되었고 도요전기 IGBT로 교체되어 2021년 말부터 본격적으로 운행에 들어갔다. 또한, 도레미 인버터의 라스트런을 기념하기 위해 게이큐 카마타역에서 관련 기념품들을 판매 하였다.

지멘스제 IGBT가 장착된 알루미늄 후기 제작분들도 교체 대상에 있기 때문에 일본 영업용 차량중 독일제 전장품은 더더욱 찾아보기 힘들어 질 것이다.[29] 상기에서도 서술했듯이 지멘스제 IGBT 차량들도 4량 편성들이 먼저 교체가 진행되고 있다. 우선 8량 편성의 경우 1065편성이 먼저 갱신되었고 뒤이어 1049편성이 갱신되었다.

이후 2022년 11월 10일, 지멘스 IGBT 탑재차량 중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1057편성[30]이 운행을 마치고 쿠리하마 공장으로 입고되면서 케이큐의 지멘스 인버터는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또한, 갱신공사에 착수하면서 세이부 콜라보 당시 적용했던 노란색 도장을 그대로 적용하고 나올지, 기본도색으로 환원될지에 대한 추측도 있었으나, 결론적으로 노란색 도장 그대로 출고된 것이 확인되었다.

4. 편성 정보

현재 8량 27편성, 6량 22편성, 4량 26편성이 운행중이다.

M = 동력차
T = 무동력차
c = 제어차
p = 팬터차
u = 우라가방면차
s = 센가쿠지방면차

8량, 4량 편성의 경우 특이하게도 팬터 칸이 무동력칸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누리로도 마찬가지.

4.1. 8량 편성

우라가 방면 ↔ 센가쿠지 방면
알루미늄 차량
< > < >
편성 Muc Tpu Tu Mu Ms Ts Tps Msc 제작 회사
1001편성 1001 1002 1003 1004 1005 1006 1007 1008 도큐차량
1009편성 1009 1010 1011 1012 1013 1014 1015 1016 도큐차량
1017편성 1017 1018 1019 1020 1021 1022 1023 1024 카와사키 중공업
1025편성 1025 1026 1027 1028 1029 1030 1031 1032 도큐차량
1033편성[31] 1033 1034 1035 1036 1037 1038 1039 1040 카와사키 중공업
< > < >
편성 Muc Tpu M2u M1u M1s M2s Tps Msc 제작 회사
1041편성 1041 1042 1043 1044 1045 1046 1047 1048 도큐차량
1049편성 1049 1050 1051 1052 1053 1054 1055 1056 가와사키 중공업
1057편성[32] 1057 1058 1059 1060 1061 1062 1063 1064 가와사키 중공업
1065편성 1065 1066 1067 1068 1069 1070 1071 1072 도큐차량
스테인레스 차량
< > > < >
편성 M2uc M1u Tu M1u' M2s Ts M1s M2sc 제작 회사
1073편성 1073 1074 1075 1076 1077 1078 1079 1080 도큐차량
1081편성 1081 1082 1083 1084 1085 1086 1087 1088 도큐차량
1089편성 1089 1090 1091 1092 1093 1094 1095 1096 도큐차량
1097편성 1097 1098 1099 1100 1101 1102 1103 1104 도큐차량
1105편성 1105 1106 1107 1108 1109 1110 1111 1112 도큐차량
1113편성 1113 1114 1115 1116 1117 1118 1119 1120
1121편성 1121 1122 1123 1124 1125 1126 1127 1128
1129편성 1129 1130 1131 1132 1133 1134 1135 1136
1137편성[33] 1137 1138 1139 1140 1141 1142 1143 1144
1145편성 1145 1146 1147 1148 1149 1150 1151 1152
1153편성 1153 1154 1155 1156 1157 1158 1159 1160
1161편성 1161 1162 1163 1164 1165 1166 1167 1168
1169편성 1169 1170 1171 1172 1173 1174 1175 1176
1177편성 1177 1178 1179 1180 1181 1182 1183 1184
1185편성 1185 1186 1187 1188 1189 1190 1191 1192
1201편성 1201 1202 1203 1204 1205 1206 1207 1208
1209편성 1209 1210 1211 1212 1213 1214 1215 1216
1217편성 1217 1218 1219 1220 1221 1222 1223 1224
1225편성 1225 1226 1227 1228 1229 1230 1231 1232

4.2. 6량 편성

우라가 방면 ↔ 센가쿠지 방면
스테인레스 차량
< < >
편성 M2uc1 M1u1 Tu1 Ts1 M1s1 M2sc1 제작 회사
1301편성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가와사키 중공업
1307편성 1307 1308 1309 1310 1311 1312 가와사키 중공업
1313편성 1313 1314 1315 1316 1317 1318 가와사키 중공업
1319편성 1319 1320 1321 1322 1323 1324 가와사키 중공업
1325편성 1325 1326 1327 1328 1329 1330 가와사키 중공업
1331편성 1331 1332 1333 1334 1335 1336 가와사키 중공업
1337편성 1337 1338 1339 1340 1341 1342 가와사키 중공업
1343편성 1343 1344 1345 1346 1347 1348 가와사키 중공업
1349편성 1349 1350 1351 1352 1353 1354 가와사키 중공업
1355편성 1355 1356 1357 1358 1359 1360 가와사키 중공업
1361편성 1361 1362 1363 1364 1365 1366 가와사키 중공업
1367편성[34] 1367 1368 1369 1370 1371 1372 가와사키 중공업
집전기 증설
< > < >
편성 M2uc1 M1u1 Tu1 Ts1 M1s1 M2sc1 제작 회사
1601편성 1601 1602 1603 1604 1605 1606 가와사키 중공업
1607편성 1607 1608 1609 1610 1611 1612 가와사키 중공업
1613편성 1613 1614 1615 1616 1617 1618 가와사키 중공업
1619편성 1619 1620 1621 1622 1623 1624 가와사키 중공업
1625편성[35] 1625 1626 1627 1628 1629 1630 가와사키 중공업
1631편성 1631 1632 1633 1634 1635 1636 가와사키 중공업
1637편성 1637 1638 1639 1640 1641 1642 가와사키 중공업
1643편성 1643 1644 1645 1646 1647 1648 가와사키 중공업
1649편성 1649 1650 1651 1652 1653 1654 가와사키 중공업
1655편성 1655 1656 1657 1658 1659 1660 가와사키 중공업
1661편성 1661 1662 1663 1664 1665 1666 가와사키 중공업
1667편성 1667 1668 1669 1670 1671 1672 가와사키 중공업

4.3. 4량 편성

우라가 방면 ↔ 센가쿠지 방면
알루미늄 차량
> >
편성 Muc1 Tpu1 Tps1 Msc1 제작 회사
1401편성 1401 1402 1403 1404 가와사키 중공업
1405편성 1405 1406 1407 1408 가와사키 중공업
< >
편성 Muc1 T Tp Msc1 제작 회사
1409편성 1409 1410 1411 1412 도큐차량
1413편성 1413 1414 1415 1416 가와사키 중공업
< >
편성 Muc1 M2 Tp Msc1 제작 회사
1417편성 1417 1418 1419 1420 도큐차량
1421편성 1421 1422 1423 1424 가와사키 중공업
1425편성 1425 1426 1427 1428 도큐차량
1429편성 1429 1430 1431 1432 가와사키 중공업
1433편성 1433 1434 1435 1436 가와사키 중공업
1437편성 1437 1438 1439 1440 가와사키 중공업
1441편성 1441 1442 1443 1444 가와사키 중공업
1445편성 1445 1446 1447 1448 가와사키 중공업
스테인레스 차량
< <
편성 M2uc1 M1u1 M1s1 M2sc1 제작 회사
1449 편성 1449 1450 1451 1452 가와사키 중공업
1453 편성 1453 1454 1455 1456 가와사키 중공업
1457 편성 1457 1458 1459 1460 가와사키 중공업
1461 편성 1461 1462 1463 1464 가와사키 중공업
1465 편성 1465 1466 1467 1468 가와사키 중공업
1469 편성 1469 1470 1471 1472 가와사키 중공업
1473 편성 1473 1474 1475 1476 가와사키 중공업
1477 편성 1477 1478 1479 1480 가와사키 중공업
1481 편성 1481 1482 1483 1484 가와사키 중공업
1485 편성 1485 1486 1487 1488 가와사키 중공업
1489 편성 1489 1490 1491 1492 가와사키 중공업
전면관통문
< <
편성 M2uc1 M1u1 M1s1 M2sc1 제작 회사
1801 편성 1801 1802 1803 1804 J-TREC
1805 편성 1805 1806 1807 1808 J-TREC
1809 편성 1809 1810 1811 1812 J-TREC
1891 편성 1891-1 1891-2 1891-3 1891-4 J-TREC
1892 편성 1892-1 1892-2 1892-3 1892-4 J-TREC
1893 편성 1893-1 1893-2 1893-3 1893-4 J-TREC
1894 편성 1894-1 1894-2 1894-3 1894-4 J-TREC
1895 편성 1895-1 1895-2 1895-3 1895-4 J-TREC

5. 사건 사고

2018년 9월 1625호 차량[36]가와사키 차량 효고 공장에서 출고 중 충돌사고가 발생해 탈선, 차체왜곡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폐차판정을 받아 케이큐 본선에서 달려보지도 못하고 그대로 폐차되었다. 가와사키 중공업측은 차량을 다시 제작하기로 했고 사고당한 차량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부품은 다시 제작되는 차량에 이식할 예정이라고 한다.[37]


2019년 9월 5일 11시 40분경에 가나가와신마치역 ~ 케이큐히가시카나가와역 사이에 있는 건널목에서 1137편성이 트럭과 충돌하는 사고가 있었다. 이 사고를 당한 차량은 폐차되었다.


6. 관련 문서



[1] 지멘스 옥타브 적용 소자였으며, 2021년 7월 20일을 마지막으로 운용이 종료되었다.[2] 2022년 11월 10일을 마지막으로 운용이 종료되었다.[PMSM] PMSMIGBT[4] 1367편성.[5] 지멘스 IGBT 인버터가 장착된 차량이다. 2023년 현재 지멘스 IGBT 인버터가 장착된 차량도 모두 일본제 IGBT 인터버로 교체하였다.[6] 1978년 부터 도입된 케이큐 800형 전동차에서 부터 쓰였던 도색이며, 기존 도색과 다르게 창문부분에 전체적으로 아이보리색의 도색 라인이 들어가있다는 것이다. 이후 1982년 케이큐 2000형 전동차에도 적용되었으며 1994년 도입된 600형 이후 통근형 전동차에도 적용되기 시작했다. 다만 아이러니하게도 가장 처음 도색을 적용했던 800형 전동차는 2000형 전동차가 도입된 이후 기존 통근형 전동차와 동일한 도색으로 돌아갔고, 1985년부터 도입된 1500형에는 아예 적용되지 않았다. 또한 2000형 전동차도 케이큐 2100형 전동차가 도입된 이후 통근형 전동차로 개조됨과 동시에 도색도 변경되었다. 이후 800형과 2000형은 퇴역 직전 한 편성에만 리바이벌 도색을 적용하여 운행하였다.[7] 디자인이 기존의 아이보리색이 있었던 창문부분이 전체 무도장으로 되어있으며, 그 밑으로 흰색 라인이 들어가있다. 이는 케이큐 800형 전동차, 1500형 전동차, 2000형 전동차에 있던 도색과 기존 알루미늄 차량의 도색을 합친 느낌과 같다.[8] 유래는 후지필름일회용 카메라 '우츠룬데스(写ルンです, 수출명은 QuickSnap)'. 이 카메라는 한번 쓰고 현상한 다음 버리는 것을 전제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싸구려 느낌이 난다. 일본 철도동호계에서 하시룬데스는 여기에 빗대어 '짧게 쓰고 버릴 생각으로 싸구려처럼 만든 전동차'라는 뜻을 갖고 있다. 수도권 지역 JR 히가시니혼 차량들(209계 전동차 이래 신차들)이 이에 속한다.[9] 현재는 세이부 철도와의 콜라보레이션이 종료된 상태이지만 호평을 받아서 도색을 완전히 노란색으로 바꾸고 운행하고 있다. 다만 이름은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반대로 세이부에서도 당시 콜라보 하던 케이큐 도색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고, 지금은 4량 편성으로 짤려 세이부 타마코선/세이부 타마가와선에서 운행중이다.[10] 케이큐 1500형 전동차도 중문이 있지만, 1800번대와는 달리 케이오 8000계 전동차처럼 중문이 옆으로 열리기 때문에 연결막을 장착할 수가 없다. 이는 비상탈출문의 개폐방식과 같다.[11] 아무래도 스테인리스 차량은 도장에 비판을 받았고, 1800번대 차량은 전두부에 비판을 받았기 때문에 두 차량의 비판받은 점을 수용해서 스테인리스 차량의 도장과 1800번대 차량의 전두부를 버리고 괜찮은 스테인리스 차량의 외형과 호평을 받은 1800번대의 차량의 도장을 서로 합쳐서 도입하기로 한 듯 하다.[12] 원래는 케이큐 1500형 전동차에 1600번대가 있었지만 현재 1600번대는 1500번대 차량에 1900번대라는 번호의 선두차를 제외한 나머지 차량들을 1500번대 차량 사이에 끼워넣어 서로 섞인 상태라서 지금은 해당 접수번대가 없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다시 새로 1600번대라는 번호를 쓸 수 있게 됐다.[13] 하지만, 초기 sic소자 음이 너무 씨끄러운 것을 알아챈 것인지 추 후 케이큐 측에서 1200호대와 같은 sic 소자로 변경 하였다. 초기 sic 소자음은 E235계 전동차와 같은 구동음이였다.[14] 스테인리스 질감을 아예 안보이게 전체에 걸쳐 도색하는 것이라고 한다. 마치 알루미늄 차량의 도색 시절로 돌아가는 것이다.[15] 다만 알루미늄 차량처럼 폰트가 뚫려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와이퍼를 가리지는 못한다.[16] 시운전을 시작한 1201편성의 도색에서 빨간 전차를 상징하는 빨간색 도색은 출입문과 외부 스피커에만 도색되어 있었고 나머지는 다 하얀색으로 도색되어 있었다.[17] 갑종회송을 하기 전에 가와사키 공장에서 중간차의 관통로 입구 옆에 제조사와 열차 번호와 같이 18-01이라는 숫자가 노란색으로 표시된 것이 보였는데, 아마 시운전 시작일 또는 영업운전 시작일을 표시한 것 같다.[18] 케이큐는 일본 수도권 철도 회사 중에서 유독 원형 손잡이를 선호하는 편이다. 자사 2100형 전동차의 통로쪽에 장착되었던 삼각형 손잡이조차 뽑아버리고 원형 손잡이로 바꿔 달 정도다.[19] 세이부 40000계 전동차, 도부 50090계 전동차와 같은 종류의 좌석이다.[20] 케이세이 3100형에 적용된 것과 동일하다.[21] 이 차량을 제외하면 도쿄메트로 17000계&18000계 전동차(로렐상 수상), 케이한 전기철도 3000계 전동차 프리미엄카 부수차(로렐상 수상), JR 동일본 E131계 전동차, 도부 철도 SL 타이쥬용 전망차[22] 기존 후미등 부분이 아예 관서 지방에서 보이는 차량들의 후미등 디자인으로 변경되었고, 백색 전면 차폭등과 적색 미등 겸용으로 사용한다.[23] 같은 이유에서인지 한국의 대구 1호선 차도 101편성은 다원시스제 IGBT로 개조했고, 나머지 미개조 차량들은 2020년~2022년 경에 폐차 여부를 결정한다는 공사측의 답변이 있었다.[24] 2002년도에 지멘스제 GTO가 달린 채로 나왔지만 얼마 안 가 1401호차에 시범용으로 케이큐가 독일에서 사온 지멘스제 IGBT를 장착했었다. 이 인버터는 현재 케이큐가 사용하는 지멘스제 IGBT와 소리가 비슷하고 VVVF음의 높이는 조금 더 낮았다.# 그런데 효율이 별로인지 2005년부터 도입된 4차차에는 1401호차에 달린 모델과는 다른 지멘스제 인버터로 출고했으며 1401호차의 시범용 소자는 다시 GTO로 환원되었다. 그러다가 최근에 도시바제 2레벨 IGBT로 갱신되었다.[25] 둘 다 지멘스제 GTO였던지라 호환엔 문제가 없다.[26] 2100형의 구동음이 대구1호선의 것에 더 가까운 느낌이다.[27] 한국의 다윈시스 IGBT랑 많이 비슷하다.[28] 때마침 2020년 5월 12일에 단류기 고장으로 입고되었지만 별도의 갱신 없이 5월 14일부터 잘 굴러 다니고 있다.[29] IGBT는 부품이 단종된 GTO 소자보단 부품수급이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독일제인만큼 부품수급이 일본제보단 자유로울 수는 없다.[30] 케이큐에서 행복의 노란 열차로 운행하던 차량이다.[31] 지멘스 GTO가 탑재되었던 마지막 차량으로, 2021년 07월 18일에 마지막 운행 이후 IGBT로 개조되었다.[32] 지멘스 IGBT가 탑재되었던 마지막 차량으로, 2022년 11월 10일 마지막 운행 이후 토요 IGBT로 개조되었다.[33] 사고로 인해 폐차 되었다.[34] 영구자석 동기전동기(PMSM)를 사용하는 편성. 서울 5호선 4차분 501~525편성, 서울 7호선 5차분 701~717편성, 부산 1호선의 101~111편성도 이 편성과 동일한 구동음을 낸다.[35] 출고 도중 사고로 1625호 폐차 후 동일한 번호로 대체신조[36] 1600번대 6량편성 전동차 중 5번째 편성의 앞쪽 선두칸이다.[37] 이 사고 이후로 약 5년 후, 한국에서도 비슷한 사건이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