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02:05:38

세이부 40000계 전동차

파일:세이부철도 로고.svg
세이부 철도 소속의 통근형 전동차
101계2000계3000계4000계6000계
9000계20000계

파일:세이부철도 로고.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세이부 40000계 전동차
西武40000系電車
Seibu 40000 series
}}}
파일:Seibu-Series40000_40001.jpg
▲ 40000계 외부
파일:Seibu_railway_40000_kei_interior.jpg 파일:西武40000系50番台の車内.jpg
▲ 0번대 내부[1] ▲ 50번대 내부
차량 정보
용도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8량, 10량 1편성
운행노선 세이부 철도 파일:Seibu-SI.svg 이케부쿠로선,[2] 파일:Seibu-SI.svg 유라쿠초선,[3] 파일:Seibu-SS.svg 신주쿠선[4]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 로고.svg 유라쿠초선, 파일: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 로고.svg 후쿠토신선
도큐 전철 파일:TK-TY.svg도요코선
요코하마
고속철도
파일:MinaMira_SM.svg 파일:YMRC-MM.svg미나토미라이선
도입시기 2016년 ~ 생산 중
제작사 가와사키 차량[5]
소유기관 세이부 철도
운영기관
운행시기 2017년 ~ 현재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전장 선두차 20,270㎜
중간차 20,000㎜
전폭 2,800㎜
전고 4,050㎜
팬터그래프 부착차량 4,115㎜
궤간 1,067㎜
차중 0번대 : 26.7 - 36.9t
50번대 : 24.8 - 35.9t
급전방식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운전보안장치 세이부형 ATS[세이부]
CS-ATC, ATO[도쿄메트로]
ATC-P[도요코선/미나토미라이선]
제어방식 도시바 VVVF-IGBT 2레벨 인버터 제어
동력장치 도시바 영구 자석 동기 전동기
기어비 14:87
제동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9]
주전동기 출력 190kW
최고속도 영업 105㎞/h(세이부)
80㎞/h(도쿄메트로)
110㎞/h(도큐)
설계 120㎞/h
가속도 3.3㎞/h/s
감속도 상용 3.5㎞/h/s
비상 4.5㎞/h/s
MT 비 5M5T, 4M4T }}}}}}}}}

1. 개요2. 관련 문서3. 기타

[clearfix]

1. 개요

세이부 철도에서 운행 중인 전동차. 9000계, 2000계 일부 차량의 대차와 S-TRAIN의 도입, 6000계 일부차량의 신주쿠선 이적에 따른 대체분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0번대, 50번대 모두 지하철 직통용으로도 운행된다(평일: 유라쿠초선, 주말, 공휴일: 후쿠토신선). 2023년 12월 현재 0번대 6편성[10], 50번대 14편성[11] 총 20편성이 제작되어 운행중이며 #, 2024년 12월부터 8량 편성 3편성[12]도 도입중이다. #

또한 '하이지마 라이너' 투입을 위해 세이부 신주쿠선에서도 운행중이며, 2024년부터 신주쿠선의 여러 종별에도 투입되고 있다. 지하철선 히카와다이역을 경유해 와코시역까지도 운행한다.

세이부는 소테츠 본선과는 직결운행하지 않지만 6000계와 똑같이 와코시까지는 운행하기 때문에 와코시발 에비나행/쇼난다이행으로 운행하게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신요코하마선 개통 직전에 40151F 편성 전동차가 신요코하마역까지 시운전을 하였다는 소식이 올라왔다. 관련 영상

0번대[13]는 롱 시트와 크로스시트 전환이 가능하고 화장실도 있지만[14], 이후 제작된 50번대 편성은 일반 전동차와 같은 고정식 롱 시트 인테리어이며 화장실도 없다.

2021년 10월 7일, 8일에는 세이부큐조마에역에 이 차량이 유치되어,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경기 전에 재택근무를 할 수 있는 "WORKING TRAIN"이 운영되었다. 0번대 차량의 콘센트와 화장실 등의 차내 설비가 활용되었다.

2024년부터 도입중인 8량 편성은 8050번대 부번을 부여받는다.[롱시트] 2025년 3월까지는 우선 3편성 도입이 예정되어 있다.

2. 관련 문서

3. 기타

대한민국에서는 부산 1호선 신형전동차 2차 도입분부터 해당 소자를 사용하기 시작해, 우진산전에서 제작한 서울 4호선 5차분 전동차, 5호선 4차분, 7호선 5차분, 8호선 별내선 연장 3차분 역시 이 소자를 사용한다.


[1] 크로스시트 모드 시의 모습이다. 롱시트 모드 시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2] 치치부선, 사야마선 포함[3] 후쿠토신선 및 유라쿠초선 직통 열차가 입선한다.[4] 하이지마선 포함[5] 1927년 세이부 모하 550형 전동차 제작 이후, 무려 90년 만에 가와사키 중공업이 납품한 세이부 철도 차량이다.[세이부] [도쿄메트로] [도요코선/미나토미라이선] [9] 순전기 제동 포함[10] 40101F ~ 40106F[11] 40151F ~ 40164F[12] 48151F ~ 48153F[13] S-TRAIN, 하이지마 라이너 투입 목적[14] 다만 지하철 직통용 중 유일한 타이틀은 아닌데 이미 후쿠오카에서 JR 큐슈소속 303계305계 전동차가 이미 화장실이 달려져서 운용중이다.[롱시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