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28 20:29:21

LCP 스토브리그/2025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LCP 스토브리그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LCP 스토브리그/2025/발표 과정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keepall>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svgLoL e스포츠
2025년 스토브리그 일람
}}}
<rowcolor=#fff,#fff>
아시아 · 퍼시픽
EMEA
아메리카
파일:LCK 심볼.svg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LCK
파일:LPL 심볼.svg
LPL
파일:LCP 심볼.svg
LCP
파일:lec 심볼 민트.svg
LEC
파일:LCS 심볼_Black.svg파일:LCS 심볼_White.svg
LCS
파일:CBLOL 심볼.svg파일:CBLOL 심볼 화이트.svg
CBLOL

파일:LCP 심볼 블랙.svg LCP 역대 스토브리그
2025

1. 개요2. 특징
2.1. 개괄2.2. 포지션 별 상황
2.2.1. 탑2.2.2. 정글2.2.3. 미드2.2.4. 바텀2.2.5. 서포터
2.3. 팀 상황 및 전망
3. 팀별 FA 상황
3.1. LCP3.2. 하위 리그
3.2.1. LJL3.2.2. PCS3.2.3. VCS3.2.4. LTS3.2.5. LASA3.2.6. LR3.2.7. LNC3.2.8. LTC3.2.9. OPQ
4. 타임라인
4.1. 재계약4.2. 이적4.3. 임대4.4. 콜업/센드다운
5. 행보 확정
5.1. 은퇴5.2. 군 복무 및 휴식
5.2.1. 코칭 스태프5.2.2. 선수
5.3. 행보 미정
5.3.1. 코칭 스태프5.3.2. TOP5.3.3. JGL5.3.4. MID5.3.5. BOT5.3.6. SPT
6. 팀별 사전 예상 및 공식 발표 과정7. 팀별 엔트리 변경 현황8. 팀별 최종 엔트리 및 평가9. 총평

1. 개요

2025년 11월부터 진행되는 LCP의 2025년 스토브리그에 대해 기록한 문서이다.

2. 특징

2.1. 개괄

올해 처음으로 진행된 LCP였고 운영 관련된 잡음도 많았으나, 결국 CFO가 LCP의 대표로써 모든 국제전에 나와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LCP를 당당히 메이저리그로 자리잡도록 했다. 그러나 CFO 외의 다른 팀들은 그리 큰 활약을 보여주지 못 했고, 대만과 베트남, 일반과 오세아니아 각 지역 간의 실력 차가 여전히 보여진 해였다. 이와중에 탈론은 임금 체불 등의 이슈로 라이엇 이스포츠에서 퇴출되는 사건도 일어나며 혼란한 와중에 스토브리그가 진행된다.
월즈 8강을 이뤄낸 CFO는 도고 외 모든 선수들이 FA로 풀리며, 특히 준지아와 홍큐는 LPL 리그에서 눈독 들이고 있는 상황이다.

2.2. 포지션 별 상황

2.2.1.

LCP 내 아지, 레스트, 드라이버, 에비, 레이파키, 플로런이 있다. 또 LPL에서 LCP로 올 만한 대만 선수인 일짱이 있다.

베트남 탑 라이너들은 모두 26~27년까지 계약이 묶여 있어 변동이 없다는 점이다.

일본 탑 라이너들도 단년 계약이지만, 에비의 최근 트윗에서 "내년에 내가 월즈에 나가서 최연장자로 뛰겠다"라는 내용이 있었고, 이는 은퇴가 아니라 SHG와 재계약을 암시하는 발언으로 볼 수 있다.[1] 레이파키 역시 올해 DFM에서 준수한 활약을 보여줘 다른 팀으로 이적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결국 변동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곳은 대만 팀이다. CFO와 PSG 모두 탑 라이너의 체급이 낮은 편이라 보강이 우선 과제로 꼽힌다. 특히 일짱은 LPL에서 예상보다 좋은 모습을 보여줬지만, 팀에서 방출된 상태라 그를 두고 두 팀이 치열한 영입 경쟁을 펼칠 것으로 전망된다.

2.2.2. 정글

LCP 내 S급 정글인 준지아가 풀리고, 그 외에 카사, 리바이, 시트러스, 요한, 665이 있다.

특히 준지아의 경우 LPL에서 정글 매물 부족으로 인해 LPL 진출도 유력하지만, 이번 월즈에서 폼이 일정하지 않은 점과 동시에 LPL의 재정 상황을 고려하면 CFO와 다시 재계약할 가능성도 있는 점이다. 카사의 경우 메이플과 같이 군복무 이행이 남겨진 시점에서 이탈 가능성도 있다는 점이다. 만약 이탈할 경우 PSG 2군 정글러인 황치현 콜업이 유력하다.

베트남팀 쪽 정글러는 리바이를 제외한 구리히즈토가 여전히 계약이 남아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리바이의 은퇴로 GAM이 정글러 영입 싸움에 참가한다.

2.2.3. 미드

이번 시즌 스토브리그를 달궈줄 포지션으로 지목된다.

LCP에서 가장 핫한 매물로는 홍큐가 있다. 특히 2007년생이라는 어린 나이와 국제 무대에서 상위권 미드들을 상대로 워낙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준 덕분에 "LPL로 갈 수 있는 거 아니냐"라는 우려 섞인 의견이 많이 나온다. 다만 모기업이 중신은행인 만큼 e스포츠에 앞으로 얼마나 과감하게 투자할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

LMS부터 뛰었던 미드라이너 메이플이 이번 월즈를 끝으로 2026년도에 병역 의무 이행을 위해 새 미드라이너를 반드시 구해야 한다.

또 다른 상위 매물로는 아리아가 있다. 아리아는 LCP 로컬 자원일 뿐만 아니라 일본어 소통이 가능하고, DFM이 새로운 프랜차이즈 스타로 아리아로 밀며, DFM과 아리아 모두 현 상황을 유지하는 것이 윈윈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페이트는 이번 시즌 기대 이하의 퍼포먼스를 보였지만, SHG가 대체할 미드라이너를 구하지 않는 이상 잔류가 유력한 상태다.

베트남 미드라이너 중 가장 주목받는 유망주인 Dire이 2027년까지 계약이 남아 현 팀에 머무를 것으로 보인다. 또한 카티아레스는 이번 시즌 LCP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진 못했지만, 당장 교체할 만한 미드가 없는 상황이라 잔류할 가능성이 크다.

2.2.4. 바텀

이번 해에 FA로 풀리는 원딜러로 베티, 마블, 카쿤, 이 있다.

베트남 원딜쪽 역시 다년 계약을 모두 맺은 상태이기에 변동 가능성은 없다.

일본팀들의 경우 DFM은 유타폰이 올해 휴식을 취해 공백기를 카쿤으로 대체했다. 그의 공백은 여전했고 만약에나 유타폰이 복귀할시 카쿤이 FA로 나올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 즉 유타폰의 선택에 따라 DFM의 원딜러 자리가 결정. 그리고 SHG 원딜러인 마블의 경우에는 SHG에서 초기부터 굉장히 아낀 모습을 여전히 보여 재계약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된다.

대만 팀들의 경우, 베티는 시즌 킥오프 당시 퍼스트 팀 칭호까지 받을 정도로 좋은 모습을 보였지만, 시즌이 진행될수록 폼이 급격하게 하락했고 결국 월즈 스위스 스테이지에서도 1승도 거두지 못한 채 마무리했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이번 오프시즌에서 그의 재계약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2] 또한 DCG는 이번 시즌에 승격한 팀이라 현재 로스터를 그대로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2.2.5. 서포터

LCP 베스트 서포터였던 Taki가 올해 계약이 만료된다. 워낙 뛰어난 활약을 보여왔기 때문에 GAM으로 이적하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대단히 많았다. 그 외에도 Elio, Gaeng, Harp, Harp, ShiauC의 계약도 모두 만료 상태다.

베트남 팀들의 경우, Taki가 GAM으로 이적할 경우 TSW의 서포터가 Elio로 트레이드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대만 팀들은 돌연 Kaiwing까지 FA가 되면서 말 그대로 총체적 난국에 빠졌다. LCP에서 카이윙보다 뛰어난 서포터는 대부분 베트남 선수들이었고, 오더·밴픽·초반 설계 등 CFO의 ‘두뇌’를 담당하던 선수였기에 FA 발표는 상당한 충격이었다. 이로 인해 2군 서포터를 콜업해 육성하거나, 외부 한국인 용병 서포터를 영입할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다.

LCP 관계자에 따르면, 일본 팀들 중 한 팀이 ‘슈퍼팀’을 만들 계획이 있다고 전해졌는데, 그 팀이 SHG일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에 더해, 2024 SHG 시절 뛰어난 활약을 보였던 뷔스타가 복귀하는 것 아니냐는 루머까지 돌고 있다.

2.3. 팀 상황 및 전망

해당 팀의 순서는 2025 시즌 순위 순으로 작성되었다.

3. 팀별 FA 상황

3.1. LCP


공식적인 계약 종료 시각인 11월 18일 오전 7시(ICT)[KST] 이전 계약 종료되거나, FA 이후 재계약 소식이 없을 경우 볼드체, 재계약 확정 시 취소선으로 표기한다.
<rowcolor=#000> 2025 LCP 스토브리그 팀별 FA 현황
<rowcolor=#fff> 감독[4] 코치 TOP JGL MID BOT SUP
CFO <rowcolor=#0c2744> Chawy Wulala Driver
Rest
JunJia HongQ - Kaiwing
TSW <rowcolor=#233364> Naul - - - - - Taki
PSG <rowcolor=#fff> Corgi Maru
Zero
Azhi Karsa Maple Betty Woody
GAM <rowcolor=#febf08> - - - Levi - - Elio
MVKE <rowcolor=#542b80> SofM - - - - Shogun
Sty1e
-
DFM <rowcolor=#fff> - - RayFarky
Momo
Citrus Aria Milan
Kakkun
Harp
SHG <rowcolor=#000> Moment Gamin Evi
YellowYoshi
Courage
Yohan
FATE Marble Gaeng
DCG <rowcolor=#1168d2> - - Flauren 665 HongSuo
XiaoXiang
Feng ShiauC

3.2. 하위 리그

3.2.1. LJL


공식적인 계약 종료 시각인 11월 18일 오전 7시(ICT)[KST] 이전 계약 종료되거나, FA 이후 재계약 소식이 없을 경우 볼드체, 재계약 확정 시 취소선으로 표기한다.
<rowcolor=#fff> 2025 LJL 스토브리그 팀별 FA 현황
<rowcolor=#fff> 감독[6] 코치 TOP JGL MID BOT SUP
QTD <rowcolor=#000> Son iSuMy Washidai Van Dice Yuhi hetel
RC <rowcolor=#fff> VicaL TaNa Kinatu Forest Recap Samver Raina
DFM.A tobi - p1ng Nesty rre Deant kurahuto
BCT YSDS Isuka tol2 Bruce Rose L1mit enapon
VLY <rowcolor=#fff> apaMEN Vapor kkkkkkkkk HALdesu Competitive rakii OsaKi

3.2.2. PCS


공식적인 계약 종료 시각인 11월 18일 오전 7시(ICT)[KST] 이전 계약 종료되거나, FA 이후 재계약 소식이 없을 경우 볼드체, 재계약 확정 시 취소선으로 표기한다.
<rowcolor=#fff> 2025 PCS 스토브리그 팀별 FA 현황
<rowcolor=#fff> 감독[8] 코치 TOP JGL MID BOT SUP
CHF <rowcolor=#3B97D7> Ceres Hankey Biopanther Whynot JimieN Slayder Luon
FAK <rowcolor=#000> Skywalk Empt2y YSKM Husha
Gemini
Pretender Shunn
MnM
Koala
PSG.A <rowcolor=#0b3b6a> - - - - - - -
CFO.A - - - - - - -
HPS xiaotu - Sailuo TA0 godfan XiaoYang EnHoa
WP <rowcolor=#283786> Lun1105 - hasu7 whisper BuLuKaKa
rcg
Chich1 TNS
GZ <rowcolor=#3B414D> Calvin Styled
Bai
RYue RenYe 1116
minji
Herma Kin0
WT <rowcolor=#fff> smooya - IGliuliubb2 Killer2 Zeylan yukin0 pinvvei

3.2.3. VCS


공식적인 계약 종료 시각인 11월 18일 오전 7시(ICT)[KST] 이전 계약 종료되거나, FA 이후 재계약 소식이 없을 경우 볼드체, 재계약 확정 시 취소선으로 표기한다.
<rowcolor=#000> 2025 VCS 스토브리그 팀별 FA 현황
<rowcolor=#000> 감독[10] 코치 TOP JGL MID BOT SUP
Dino <rowcolor=#000> JackieWind ptkHai Sparda Tomrio
Yusah
POUT
AisyL
Aomine Bie
SCBC <rowcolor=#fff> Kyo Cieleta
Mymy
Kazunn1 Bojji1 Vin Arrietty Yume
NGU <rowcolor=#fff> - - Souma Tiphat TT SlowZ kairi
TF <rowcolor=#000> ALT Koo Yoshino Draktharr Jane Puddin Soraaa
MVKA <rowcolor=#e99822> - - - - - - -
TS <rowcolor=#fff> - - - - - - -
MG <rowcolor=#fff> Zin Tricky KingHobbit
DNTL
Selxis
Limerence
Hustle QTC9
Bumblebee
LDK
GENZ <rowcolor=#fff> - - - - - - -

3.2.4. LTS

3.2.5. LASA

3.2.6. LR

3.2.7. LNC

3.2.8. LTC

3.2.9. OPQ


4. 타임라인

4.1. 재계약

<rowcolor=#000> 일자 이름 닉네임 포지션 소속 팀 기간
11월 27일 쩐띠엔틴 Ciel 코치 파일:Secret_Whales_lightmode.png파일:Secret_Whales_darkmode.png Team Secret Whales 2027년 11월 15일 (2년)
11월 28일 웡싱레이 Chawy 감독 파일:CTBC_Flying_Oyster_2022.png CTBC Flying Oyster 2026년 11월 16일 (1년)
류성웨이 Wulala 코치

4.2. 이적

<rowcolor=#000> 일자 이름 닉네임 포지션 원소속 팀 이적 팀
11월 24일 레응옥또안 Draktharr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파일:Team_Flashlogo_square.png Team Flash 파일:GAM Esports 로고.svg GAM Esports
보탄루안 Naul 감독 파일:Secret_Whales_lightmode.png파일:Secret_Whales_darkmode.png Team Secret Whales
딘안따이 Taki 파일:LCK_SUP.png파일:LCK_SUP_white1.png
11월 26일 링카이윙 Kaiwing 파일:LCK_SUP.png파일:LCK_SUP_white1.png 파일:CTBC_Flying_Oyster_2022.png CTBC Flying Oyster 파일:VIVO KEYD STARS 로고 심플.svg Vivo Keyd Stars

4.3. 임대

4.4. 콜업/센드다운

<rowcolor=#000> 일자 이름 닉네임 포지션 원소속 팀 콜업/센드다운 팀
11월 17일 레꾸옥카인 SanSan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파일:Vikings Esports 로고 심플.svg MGN Vikings Esports 파일:Vikings Esports 로고 심플.svg MVKE Academy
11월 18일 보레년 Chika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5. 행보 확정

5.1. 은퇴

<rowcolor=#000> 일자 이름 닉네임 포지션 마지막 소속 팀
5월 28일 후숴제 SwordArt 파일:LCK_SUP.png파일:LCK_SUP_white1.png 파일:Vikings Esports 로고 심플.svg MGN Vkinings Esports
11월 17일 황이탕 Maple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파일:PSG Talon 아이콘 2025.svg PSG Talon
11월 18일 도두이칸 Levi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파일:GAM Esports 로고.svg GAM Esports

5.2. 군 복무 및 휴식

5.2.1. 코칭 스태프

5.2.2. 선수

5.3. 행보 미정

5.3.1. 코칭 스태프

5.3.2. TOP

5.3.3. JGL

5.3.4. MID

5.3.5. BOT

5.3.6. SPT

6. 팀별 사전 예상 및 공식 발표 과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CP 스토브리그/2025/발표 과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LCP 스토브리그/2025/발표 과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LCP 스토브리그/2025/발표 과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팀별 엔트리 변경 현황

영입
[SC]
임대 차출
[LO]
재계약
[RS]
아카데미 센드다운
[SD]
아카데미 콜업
[CU]
계약 종료
[RR][XP]
보직 변경
[CA]
징계 복귀
[RP]
  • 색상은 가장 최근에 있었던 사건 기준으로 적용

7.1. CTBC Flying Oyster

파일:CTBC_Flying_Oyster_2022.png CFO
<rowcolor=#0c2744,#0c2744> 2025 2026
<rowcolor=#0c2744,#0c2744> 시작 중도합류
<colbgcolor=#0c2744,#0c2744><colcolor=#eabc21,#eabc21> 감독 웡싱레이(Chawy)
코치 류성웨이(Wulala)
TOP 쉬스제(Rest)
선쭝화(Driver)
JGL 위쥔자(JunJia)
MID 차이밍훙(HongQ)
BOT 추쯔취안(Doggo)
SPT 링카이윙
(Kaiwing)

7.2. Team Secret Whales

파일:Secret_Whales_Vietnam_2024_full_lightmode.png파일:Secret_Whales_Vietnam_2024_full_darkmode.png TSW
<rowcolor=#233364> 2025 2026
<rowcolor=#0c2744,#0c2744> 시작 중도합류
<colbgcolor=#000><colcolor=#fff> 감독 보탄루안(Naul)
코치 쩐띠엔틴(Ciel)
TOP 쩐러쭌허우(Hiro02)
레꽝빈(Steller)[RR] 응우옌당꾸아(Pun)[SC]
JGL 레반호앙하이(Hizto)
MID 쩐두이즉(Dire)
BOT 호앙꽁응히아(Eddie)
SPT 딘안따이(Taki)

7.3. PSG Talon

파일:PSG Talon 아이콘 2025.svg PSG Talon
<rowcolor=#fff> 2025 2026
<rowcolor=#fff> 시작 중도합류
<colbgcolor=#e30041><colcolor=#fff> 감독 청핀룬(Corki) 팀 퇴출[22]
코치 중전화(Zero)
이상훈(Maru)
TOP 황상즈(Azhi)
JGL 훙하오쉬안(Karsa)
MID 주쥔란(FoFo)[RR]
황이탕(Maple)[SC]
BOT 루위훙(Betty)
SPT 린위언(Woody)

7.4. GAM Esports

파일:GAM Esports 로고.svg GAM
<rowcolor=#febf08> 2025 2026
<rowcolor=#febf08,#febf08> 시작 중도합류
<colbgcolor=#febf08><colcolor=#fff> 감독 쩐밍윳(Archie)[RR] 보탄루안(Naul)
쩐흐우또안
(HYPE)
[CA]
코치 쩐흐우또안(HYPE)
부이호앙선브엉
(XuHao)
[RR]
TOP 쩐두이상(Kiaya)
JGL 도두이칸(Levi) 레응옥또안(Draktharr)
MID 호반비따이(Aress)
응우옌타이빈
(Emo)
[RR]
BOT 쩐꾸옥훙(Artemis)
흐어타인안
(EasyLove)
[RR]
SPT 팜탁년방(Elio)[RR] 딘안따이(Taki)

7.5. MGN Vikings Esports

파일:Vikings_Esports_29logo_profile.webp MVKE
<rowcolor=#542b80,#542b80> 2025 2026
<rowcolor=#542b80,#542b80> 시작 중도합류
<colbgcolor=#542b80,#542b80><colcolor=#e99822> 감독 레꽝주이(SoftM)
코치 판바푹 (Suga)
후인떤닷
(Hankay)
[RR]
TOP 응오득카인(Kratos)
럼후인자호이(Hasmed)[RR]
JGL 루옹하이롱
(Gury)
레꾸옥카인
(SanSan)
[SD]
MID 당타인페(Kati)
보레년(Chika)[SD]
BOT 마이호앙썬
(Sty1e)
[RR]
응우옌반후이
(Shogun)
[RR]
SPT 응우옌호앙람(SiuLoong)
후숴줴
(SwordArt)
[RR]

7.6. DetonatioN FocusMe

파일:DFM 로고 2023.svg파일:DFM 로고 2023 화이트.svg DFM
<rowcolor=#fff> 2025 2026
<rowcolor=#fff> 시작 중도합류
<colbgcolor=#000><colcolor=#2462ff> 감독 김민권(Ares)[RR]
사시키 시로
(Paz)
[CA]
코치 사사키 시로
(Paz)
아오키 하루히코
(Gismo)
[CA]
TOP 시노하라 미나토
(Rayfarky)
토비타 소라(Momo)[CU]
JGL 구관모(Guwon)[RR]
변지웅(Citrus)[SC]
MID 이가을(Aria)
BOT 노모토 카몬
(Kakkun)
나카모토 료
(Milan)
[RR]
SPT 이지융 (Harp)

7.7.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파일: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로고.svg파일: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로고 화이트.svg SHG
<rowcolor=#fff> 2025 2026
<rowcolor=#fff> 시작 중도합류
<colbgcolor=#000><colcolor=#fff> 감독 김지환(Moment)
코치 가민준(Gamin)
TOP 무라세 슌스케
(Evi)
JGL 전현민
(Courage)
김요한(Yohan)[SC]
MID 유수혁(FATE)
BOT 시마야 레이(Marble)
SPT 양광우(Gaeng)

7.8. Deep Cross Gaming

파일:Deep_Cross_Gaming_lightmode_full.png파일:Deep_Cross_Gaming_darkmode_full.png DCG
<rowcolor=#1168d2> 2025 2026
<rowcolor=#1168d2> 시작 중도합류
<colbgcolor=#1168d2><colcolor=#fff> 감독 추량룽(Lxz)
코치
TOP 로우짝킨
(Flauren)
JGL 우이한(665)
MID 궈베이이
(HongSuo)
랴오이샹
(Xiaoxiang)
BOT 천쥔펑(Feng)
SPT 류자하오
(ShiauC)

8. 팀별 최종 엔트리 및 평가

8.1. CTBC Flying Oyster

파일:CTBC_Flying_Oyster_2022.png CFO
<rowcolor=#0c2744,#0c2744> CTBC 플라잉 오이스터
<colbgcolor=#0c2744,#0c2744><colcolor=#eabc21,#eabc21> 감독 웡싱레이
(Chawy)
코치 류성웨이
(Wulala)
TOP -
JGL -
MID -
BOT 추쯔취안
(Doggo)
SPT
2025년의 다크호스로써 돌풍을 일으키며 기대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팀의 주력인 준지아홍큐가 LPL로 건너가며 로스터가 공중분해 되버렸다.
그나마 팀의 또다른 주력인 도고가 그대로 남아있긴 하지만 2025년의 위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을 지에 대해 큰 의문점이 생긴 상황이다.

8.2. Team Secret Whales

파일:Secret_Whales_Vietnam_2024_full_lightmode.png파일:Secret_Whales_Vietnam_2024_full_darkmode.png TSW
<rowcolor=#233364> 팀 시크릿 웨일즈
<colbgcolor=#000><colcolor=#fff> 감독 -
코치 -
TOP 응우옌당꾸아
(Pun)
JGL 레반호앙하이
(Hizto)
MID 쩐두이즉
(Dire)
BOT 호앙꽁응히아
(Eddie)
SPT -

8.3. GAM Esports

파일:GAM Esports 로고.svg GAM
<rowcolor=#febf08> 감 이스포츠
<colbgcolor=#febf08><colcolor=#fff> 감독 보탄루안
(Naul)
코치 쩐흐우또안
(HYPE)
TOP 쩐두이상
(Kiaya)
JGL 레응옥또안
(Draktharr)
MID 호반비따이
(Aress)
BOT 쩐꾸옥훙
(Artemis)
SPT 딘안따이
(Taki)
GAM의 레전드이자 프랜차이즈 선수인 리바이의 은퇴로 후계자에 굉장한 관심이 쏠렸는데, 지난 케스파 컵에서 베트남 팀의 정글러로 활동했던 드락사르를 영입했고 LCP 한 해 최고의 서포터였던 타키까지 영입하며 최고의 선수들을 다 모은 베트남 올스타 팀이 완성되었다. 특히 TSW의 두뇌 담당이었던 타키와 감독이었던 나울을 그대로 영입하며 TSW의 기둥을 다 영입한 셈이 되었다. 이로써 GAM은 그들의 공백을 최선의 방식으로 채웠다고 볼 수 있으며, 앞으로 호흡만 맞아준다면 강력한 우승 후보로 떠오를 것이다.

8.4. MGN Vikings Esports

파일:Vikings_Esports_29logo_profile.webp MVKE
<rowcolor=#542b80,#542b80> MGN 바이킹 이스포츠
<colbgcolor=#542b80,#542b80><colcolor=#e99822> 감독 -
코치 판바푹
(Suga)
TOP 응오득카인
(Kratos)
JGL 루옹하이롱
(Gury)
MID 당타인페
(Kati)
BOT -
SPT 응우옌호앙람
(SiuLoong)

8.5. DetonatioN FocusMe

파일:DFM 로고 2023.svg파일:DFM 로고 2023 화이트.svg DFM
<rowcolor=#fff> 데토네이션 포커스미
<colbgcolor=#000><colcolor=#2462ff> 감독 -
코치 -
TOP -
JGL -
MID -
BOT -
SPT -

8.6.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파일: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로고.svg파일: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로고 화이트.svg SHG
<rowcolor=#fff> 후쿠오카 소프트 뱅크 게이밍
<colbgcolor=#000><colcolor=#fff> 감독 -
코치 -
TOP -
JGL -
MID -
BOT -
SPT -

8.7. Deep Cross Gaming

파일:Deep_Cross_Gaming_lightmode_full.png파일:Deep_Cross_Gaming_darkmode_full.png DCG
<rowcolor=#1168d2> 딥 크로스 게이밍
<colbgcolor=#1168d2><colcolor=#fff> 감독 -
코치 -
TOP -
JGL -
MID -
BOT -
SPT -

9. 총평


[1] 과거 DFM을 떠날 때 "DFM 왕조를 내가 부수겠다"라는 식의 트윗을 남긴 적이 있어 DFM으로의 복귀 가능성 역시 없다고 볼 수 있다.[2] PSG 팀의 경우에는 특히 성적이 안좋을 경우 칼같이 로스터에 변화를 주는 모습을 종종 보여줬다.[KST] 한국 표준시 기준 11월 18일 오전 9시[4] 가독 편의를 위해 감독 대행도 코치가 아닌 감독으로 간주하고 서술한다.[KST] [6] 가독 편의를 위해 감독 대행도 코치가 아닌 감독으로 간주하고 서술한다.[KST] [8] 가독 편의를 위해 감독 대행도 코치가 아닌 감독으로 간주하고 서술한다.[KST] [10] 가독 편의를 위해 감독 대행도 코치가 아닌 감독으로 간주하고 서술한다.[SC] 시즌 도중 영입.[LO] 시즌 도중 임대 차출[RS] 계약 기간 중 재계약[SD] 시즌 도중 2군(아카데미)으로 센드다운.[CU] 시즌 도중 2군(아카데미)에서 콜업[RR] 시즌 도중 계약 종료 및 로스터 말소.[XP] 시즌 종료 후 계약 기간이 남은 상태에서, 계약 종료 또는 이적.[CA] 시즌 도중 보직 변경.[RP] 시즌 도중 징계 복귀.[RR] [SC] [22] 임금 체불로 인해 라이엇 측에서 퇴출시켰다.[RR] [SC] [RR] [CA] [RR] [RR] [RR] [RR] [RR] [RR] [SD] [SD] [RR] [RR] [RR] [RR] [CA] [CA] [CU] [RR] [SC] [RR] [S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