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2025 | ||||
1. 개요
2025년 11월부터 진행되는 LCP의 2025년 스토브리그에 대해 기록한 문서이다.2. 특징
2.1. 개괄
2.2. 포지션 별 상황
2.2.1. 탑
2.2.2. 정글
LCP 내 S급 정글인 준지아가 풀리고, 그 외에 카사, 리바이, 시트러스, 요한, 665이 있다.특히 준지아의 경우 LPL에서 정글 매물 부족으로 인해 LPL 진출도 유력해보인 상황이지만 이번 월즈에서 폼이 일정하지 않는다는 점과 동시에 LPL의 재정 상황을 고려하면 CFO와 다시 재계약할 가능성도 있다는 점이다. 카사의 경우 메이플과 같이 군복무 이행이 남겨진 시점에서 이탈 가능성도 있다는 점이다. 만약 이탈할 경우 PSG 2군 정글러인 황치현 콜업이 유력해보인다.
베트남팀쪽 정글러는 리바이를 제외한 구리와 히즈토가 여전히 계약이 남아있기에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2.2.3. 미드
이번 시즌 스토브리그를 달궈줄 포지션으로 지목된다.LCP에서 가장 핫한 매물로는 홍큐가 있다. 특히 2007년생이라는 어린 나이와 국제 무대에서 상위권 미드들을 상대로 워낙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준 덕분에, “LPL로 갈 수 있는 거 아니냐”는 우려 섞인 의견이 많이 나오고 있다. 다만 모기업이 중신은행인 만큼 e스포츠에 앞으로 얼마나 과감하게 투자할지는 더 지켜봐야 할 것이다.
LMS부터 뛰었던 미드라이너였던 메이플이 이번 월즈를 끝으로 2026년도에 병역 의무 이행을 위해 새 미드라이너를 반드시 구해야만 한다.
또 다른 상위 매물로는 아리아가 있다. 아리아는 LCP 로컬 자원일 뿐만 아니라 일본어 소통이 가능하고, DFM이 새로운 프랜차이즈 스타로 아리아로 밀고 있는 만큼, DFM과 아리아 모두 현 상황을 유지하는 것이 윈윈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페이트는 이번 시즌 기대 이하의 퍼포먼스를 보였지만, SHG가 대체할 미드라이너를 구하지 않는 이상 잔류가 유력한 상태다.
베트남 미드라이너 중 가장 주목받는 유망주인 Dire이 2027년까지 계약이 남아 있어 현 팀에 머무를 것으로 보인다 . 또한 카티와 아레스는 이번 시즌 LCP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진 못했지만, 당장 교체할 만한 미드가 없는 상황이라 잔류할 가능성이 크다.
2.2.4. 바텀
2.2.5. 서포터
2.3. 팀 상황 및 전망
해당 팀의 순서는 2025 시즌 순위 순으로 작성되었다.3. 팀별 FA 상황
3.1. LCP
공식적인 계약 종료 시각인 11월 17일 오전 9시 이전 계약 종료되거나, FA 이후 재계약 소식이 없을 경우 볼드체, 재계약 확정 시
| <rowcolor=#000> 2025 LCP 스토브리그 팀별 FA 현황 | |||||||
| <rowcolor=#fff> 팀 | 감독[1] | 코치 | TOP | JGL | MID | BOT | SUP |
| CFO | <rowcolor=#0c2744> Chawy | Wulala | Driver Rest | JunJia | HongQ | - | - |
| TSW | <rowcolor=#233364> - | - | - | - | - | - | Taki |
| PSG | <rowcolor=#fff> - | Maru | Azhi | Karsa | Maple | Betty | - |
| GAM | <rowcolor=#febf08> - | - | - | Levi | - | - | Elio |
| MVKE | <rowcolor=#542b80> SofM | - | - | - | - | Shogun | - |
| DFM | <rowcolor=#fff> - | - | RayFarky Momo | Citrus | Aria | Milan Kakkun | Harp |
| SHG | <rowcolor=#000> Moment | Gamin | Evi YellowYoshi | Courage Yohan | FATE | Marble | Gaeng |
| DCG | <rowcolor=#1168d2> - | - | Flauren | 665 | HongSuo XiaoXiang | Feng | ShiauC |
3.2. 하위 리그
3.2.1. LJL
3.2.2. PCS
3.2.3. VCS
3.2.4. LTS
3.2.5. LASA
3.2.6. LR
3.2.7. LNC
3.2.8. LTC
3.2.9. OPQ
4. 타임라인
4.1. LCP 재계약
서술 지침: 해당하는 경우만 서술합니다.- LCP 팀과 계약이 확정된 선수 및 코칭 스태프
- 외국인 선수가 LCP팀과 재계약하는 경우도 포함
- 현 LCP 팀 소속 선수가 현재 팀과 같은 팀과 재계약
| <rowcolor=white> 일자 | 이름 | 닉네임 | 포지션 | 소속 팀 | 기간 |
4.2. LCP 이적
서술 지침: 해당하는 경우만 서술합니다.- LCP 팀과 계약이 확정된 선수 및 코칭 스태프
- 외국인 선수가 LCP팀과 계약하는 경우도 포함
- 전년도 팀과 재계약인 경우는 제외
- 현 LCP 팀 소속 선수가 비LCP 리그로 이적
| <rowcolor=white> 일자 | 이름 | 닉네임 | 포지션 | 원소속 팀 | 이적 팀 |
4.3. LCP 임대
4.4. LCP 콜업/센드다운
5. 행보 확정
5.1. 은퇴
| <rowcolor=white> 일자 | 이름 | 닉네임 | 포지션 | 마지막 소속 팀 |
| 11월 17일 | 황이탕 | Maple | | |
5.2. 군 복무, 휴식 등 행보 확정
5.2.1. 코칭 스태프
5.2.2. 선수
5.3. 감독
5.4. 코치
6. 팀별 사전 예상 및 공식 발표 과정
7. 팀별 엔트리 변경 현황
영입 [SC] 임대 차출 [LO] 재계약 [RS] 아카데미 센드다운 [SD] 아카데미 콜업 [CU] 계약 종료 [RR][XP] 보직 변경 [CA] 징계 복귀 [RP] |
8. 팀별 최종 엔트리 및 평가
9. 총평
[1] 가독 편의를 위해 감독 대행도 코치가 아닌 감독으로 간주하고 서술한다.[SC] 시즌 도중 영입.[LO] 시즌 도중 임대 차출[RS] 계약 기간 중 재계약[SD] 시즌 도중 3군(아카데미)으로 센드다운.[CU] 시즌 도중 3군(아카데미)에서 콜업[RR] 시즌 도중 계약 종료 및 로스터 말소.[XP] 시즌 종료 후 계약 기간이 남은 상태에서, 계약 종료 또는 이적.[CA] 시즌 도중 보직 변경.[RP] 시즌 도중 징계 복귀.[11] 즉, 1군 감코진의 감독만 감독으로 분류.[12] 플레이오프 진출 팀들은 2025 플레이오프 로스터, 플레이오프 탈락 팀들은 2025 5라운드 로스터.